KR20200124187A -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187A
KR20200124187A KR1020200133686A KR20200133686A KR20200124187A KR 20200124187 A KR20200124187 A KR 20200124187A KR 1020200133686 A KR1020200133686 A KR 1020200133686A KR 20200133686 A KR20200133686 A KR 20200133686A KR 20200124187 A KR20200124187 A KR 20200124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electrode
control
terminal
protec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900B1 (ko
Inventor
지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2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10
    • H01M2/3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셀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베어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며, 집적 회로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는, 그 제어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접속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턴-온 저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배터리 관리가 가능한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접속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턴-온 저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배터리 관리가 가능한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셀룰러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컴팩트하고 경량화된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들이 활발하게 개발 및 생산되고 있으며, 상기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들이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배터리를 내장시키고 있다.
다만, 배터리의 화학적 특성상 과충전, 과방전, 단자 간의 쇼트 등에 의한 과전류 상황에서, 발화·파열·폭발에 의해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터리 팩(100)에서 볼 수 있듯이, 베어셀(110)의 과충전, 과전류 및 과방전을 검출하여 베어셀(110)를 보호하는 배터리 보호회로(120)가 함께 설치된다.
배터리 보호회로(120)는 IC 칩(chip)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제어 회로(130)와 스위칭부(140)를 포함함으로써, 베어셀(110)의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위칭부(140)는 제어 회로(130)에 의해 제어되는 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141)와 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142)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배터리 보호회로(120)에서는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141, 142)의 각 소스/드레인 전극으로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단자(T1, T2, T3)를 구비하고 있었다.
다만, 종래의 배터리 보호회로(120)는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141, 142)의 제어 전극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별도의 외부 단자는 구비하지 않고 있었다.
배터리 팩(100)의 내부 저항(internal resistance)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141, 142)의 제어 전극을 제어할 필요가 있으나,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141, 142)의 제어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141, 142)의 턴-온 저항을 변경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접속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턴-온 저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배터리 관리가 가능한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보호회로는, 베어셀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베어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집적 회로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는, 그 제어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방전 제어를 위한 제1 트랜지스터와 충전 제어를 위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접속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접속 단자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제1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제1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3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의 일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의 타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셀 및 상기 베어셀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베어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집적 회로로 형성된 배터리 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는, 그 제어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방전 제어를 위한 제1 트랜지스터와 충전 제어를 위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접속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접속 단자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제1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제1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3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보조 스위칭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보조 트랜지스터 및 제2 보조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트랜지스터는, 제1 전극이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상기 제2 보조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조 트랜지스터는 제1 전극이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조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의 일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의 타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접속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충방전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턴-온 저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배터리 관리가 가능한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200)은 베어셀(210) 및 배터리 보호회로(220)를 포함한다.
베어셀(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베어셀(210)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베어셀(210)의 대전류 경로에는 충전기(미도시)나 전자 제품(미도시) 등에 연결되는 양극 단자(281)와 음극 단자(282)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보호회로(220)는 베어셀(210)의 이상 상태(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등)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어셀(210)에 연결되어 베어셀(210)의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보호회로(22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보호회로(220)는 제어 회로(230) 및 스위칭부(240)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230)는 베어셀(21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230)는 베어셀(210)의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등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230)는 스위칭부(240)를 제어함으로써, 베어셀(210)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230)는 집적 회로(IC)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스위칭부(240)는 베어셀(21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230)에 의해서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스위칭부(240)의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는, 제어 전극(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 또는 베이스 전극 등)이 외부로 노출된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칭부(240)는 방전 제어를 위한 제1 트랜지스터(241)와 충전 제어를 위한 제2 트랜지스터(2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일례로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트랜지스터(241)의 제어 전극은 외부로 노출된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제1 접속 단자(G1)와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242)의 제어 전극은 외부로 노출된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제2 접속 단자(G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배터리 보호회로(120)에서는 스위칭부(14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141, 142)의 제어 전극이 배터리 보호회로(120)의 내부에서 제어 회로(130)와 연결될 뿐이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트랜지스터들(141, 142)의 제어 전극에 대한 접속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내부 저항의 조절 등을 위하여 트랜지스터들(141, 142)의 제어 전극을 외부에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스위칭부(24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241, 242)의 제어 전극이 접속 단자(G1, G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트랜지스터들(241, 242)의 턴-온 저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241)와 제2 트랜지스터(242)의 접속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트랜지스터(241)는 제1 전극이 외부로 노출된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제1 단자(T1)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제2 트랜지스터(242)의 제2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트랜지스터(242)는 제1 전극이 외부로 노출된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제2 단자(T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트랜지스터(241)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각각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트랜지스터(242)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각각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트랜지스터(241)와 제2 트랜지스터(242)는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251, 252)를 구비함으로써, 제1 트랜지스터(241)와 제2 트랜지스터(242)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되는 충전 또는 방전 시에 전원이 다이오드(251, 252)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241)의 제2 전극과 제2 트랜지스터(242)의 제2 전극은 외부로 노출된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제3 단자(T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241)와 제2 트랜지스터(242)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랜지스터(241)와 제2 트랜지스터(242)는 N-MOS 트랜지스터 또는 P-MOS 트랜지스터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보호 회로(220)는 제1 단자(T1), 제2 단자(T2), 제3 단자(T3)와 더불어 제1 접속 단자(G1)와 제2 접속 단자(G2)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자(T1)는 베어셀(210)의 음극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단자(T2)는 배터리 팩(200)의 음극 단자(28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보호회로(220)는 베어셀(210)의 양극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 단자(VDD) 및 배터리 팩(200)의 음극 단자(282)와 연결되기 위한 보조 단자(V-)를 구비할 수 있다.
베어셀(210)의 양극과 전원 단자(VDD) 사이에는 저항(R1)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전원 단자(VDD)와 제1 단자(T1) 사이에는 커패시터(C)가 존재할 수 있다.
보조 단자(V-)와 배터리 팩(200)의 음극 단자(282) 사이에는 저항(R2)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접속 단자(G1)와 제2 접속 단자(G2)는 회로 설계의 편의성을 위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접속 단자(G1)가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 제2 접속 단자(G2)는 그와 반대로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T1)는 제1 접속 단자(G1)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단자(T2) 역시 제2 접속 단자(G2)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일측에는 위에서부터 전원 단자(VDD), 제1 접속 단자(G1), 제1 단자(T1)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타측에서는 위에서부터 보조 단자(V-), 제2 접속 단자(G2), 제2 단자(T2)가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접속 단자(G1)는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일측 중앙부에 위치하고, 제2 접속 단자(G2)는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타측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어 회로(230)는 베어셀(210)의 과충전 여부를 검출하는 과충전 검출부(VD1), 베어셀(210)의 과방전 여부를 검출하는 과방전 검출부(VD2), 배터리의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는 방전 과전류 검출부(VD3) 및 충전 과전류 검출부(VD4), 제1 논리회로(311), 제2 논리회로(312), 지연회로(320), 발진기(330), 카운터(340), 레벨 시프트 회로(350), 단락 검출 회로(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230)는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전원 단자(VDD) 및 보조 단자(V-)와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칭부(240)와 연결되는 접지 단자(VSS), 방전 제어 단자(Dout), 충전 제어 단자(Cout)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230)는 발진기(330)와 연결되는 DS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230)의 접지 단자(VSS)는 스위칭부(240)에 포함된 제1 트랜지스터(241)의 제1 전극 및 제1 단자(T1)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방전 제어 단자(Dout)는 스위칭부(240)에 포함된 제1 트랜지스터(241)의 제어 전극 및 제1 접속 단자(G1)에 연결될 수 있고, 충전 제어 단자(Cout)는 스위칭부(240)에 포함된 제2 트랜지스터(242)의 제어 전극 및 제2 접속 단자(G2)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배터리 보호회로(220)에 의해 수행되는 기본적인 동작들을 살펴본다.
과충전, 과방전, 방전 과전류, 충전 과전류 또는 단락이, 과충전 검출부(VD1), 과방전 검출부(VD2), 방전 과전류 검출부(VD3), 충전 과전류 검출부(VD4) 또는 단락 검출 회로(360)에 의해 검출되면, 발진기(330)가 활성화되고, 카운터(340)는 카운팅 동작들을 개시한다.
과충전 또는 충전 과전류 검출의 경우, 카운터(340)를 통해 미리 결정된 검출 지연 시간을 계측한 이후에, 충전 제어 단자(Cout)의 출력은 로직 회로(311) 및 레벨 시프트 회로(350)를 통하여 로우 레벨로 스위칭되므로, 제2 트랜지스터(242)는 오프될 수 있다.
또한, 과방전, 방전 과전류 또는 단락 검출의 경우, 방전 제어 단자(Dout)의 출력은 로직 회로(312)를 통하여 로우 레벨로 스위칭되므로 제1 트랜지스터(241)는 오프될 수 있다.
상술한 제어 회로(230)의 구성 및 동작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제어 회로(230)의 구성 및 동작은 다른 형태로도 변화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200)은 보조 스위칭부(300)를 더 포함한다.
보조 스위칭부(300)는 배터리 팩(200)의 내부 저항, 즉 대전류 경로에 존재하는 스위칭부(240)의 저항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위칭부(240)에 포함된 제1 트랜지스터(241) 및 제2 트랜지스터(242)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보조 스위칭부(300)는 스위칭부(24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보조 스위칭부(300)는 제1 보조 트랜지스터(311)와 제2 보조 트랜지스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트랜지스터(311)와 제2 보조 트랜지스터(312)는 제1 트랜지스터(241) 및 제2 트랜지스터(242)와 병렬로 위치하기 위하여, 제1 단자(T1)와 제2 단자(T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조 트랜지스터(311)는 제1 전극이 제1 단자(T1)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제2 보조 트랜지스터(312)의 제2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 트랜지스터(312)는 제1 전극이 제2 단자(T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보조 트랜지스터(311)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각각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보조 트랜지스터(312)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각각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스위칭부(300)는 스위칭부(24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 보조 트랜지스터(311) 및 제2 보조 트랜지스터(312)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보조 다이오드들(321, 32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 트랜지스터(311)는 제1 트랜지스터(241)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 전극이 제1 접속 단자(G1)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 트랜지스터(312)는 제2 트랜지스터(242)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 전극이 제2 접속 단자(G2)에 접속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나의 스위칭부(240)가 도시되어 있으나, 스위칭부(24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배터리 보호회로(220)에 별도의 접속 단자(G1, G2)를 추가함으로써, IC 칩 형태로 제조되는 배터리 보호회로(220)의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내부 저항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 스위칭부(300)를 용이하게 추가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배터리 팩 210: 베어셀
220: 배터리 보호회로 230: 제어 회로
240: 스위칭부 300: 보조 스위칭부
G1: 제1 접속 단자 G2: 제2 접속 단자

Claims (5)

  1. 집적회로 칩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보호회로로서,
    각각 제어 전극,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
    상기 집적회로 칩의 외부면;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외부에 출력되기 위한 제1 접속 단자;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외부에 출력되기 위한 제2 접속 단자;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 전극이 연결되는 제1 단자;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 전극이 연결되는 제2 단자; 및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전극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보호회로.
  2. 적어도 하나의 베어셀; 및
    적어도 하나의 베어셀에 연결되고, 집적회로 칩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보호회로는,
    상기 베어셀의 방전 제어를 위해 제어 전극,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베어셀의 충전 제어를 위해 제어 전극,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상기 베어셀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
    상기 집적회로 칩의 외부면;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외부에 출력되기 위한 제1 접속 단자;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외부에 출력되기 위한 제2 접속 단자;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 전극이 연결되는 제1 단자;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 전극이 연결되는 제2 단자; 및
    상기 외부면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전극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보조 스위칭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보조 트랜지스터 및 제2 보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보조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보조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2 보조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200133686A 2012-09-04 2020-10-15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KR102220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96672P 2012-09-04 2012-09-04
US61/696,672 2012-09-04
US13/903,870 2013-05-28
US13/903,870 US20140063670A1 (en) 2012-09-04 2013-05-28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842A Division KR20140031099A (ko) 2012-09-04 2013-07-22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87A true KR20200124187A (ko) 2020-11-02
KR102220900B1 KR102220900B1 (ko) 2021-02-26

Family

ID=487930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842A KR20140031099A (ko) 2012-09-04 2013-07-22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KR1020200133686A KR102220900B1 (ko) 2012-09-04 2020-10-15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842A KR20140031099A (ko) 2012-09-04 2013-07-22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063670A1 (ko)
EP (1) EP2704289B1 (ko)
JP (1) JP6230181B2 (ko)
KR (2) KR20140031099A (ko)
CN (1) CN103683211B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384A (ja) * 2005-06-16 2006-12-28 Renesas Technology Corp 充電制御システム
KR2007007662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
KR20080062684A (ko) *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전지 보호회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8283743A (ja) * 2007-05-08 2008-11-20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二次電池保護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90087400A (ko) * 2008-02-12 2009-08-17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전지 팩
JP2010288377A (ja) * 2009-06-11 2010-12-2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電池パック、充電装置および移動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7750A (en) * 1998-09-17 2000-03-14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pack controller
JP3380766B2 (ja) * 1999-03-18 2003-02-24 富士通株式会社 保護方法及び制御回路並びに電池ユニット
JP4491917B2 (ja) * 2000-06-02 2010-06-30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2005130664A (ja) * 2003-10-27 2005-05-19 Sony Corp 電池パック
JP2007274866A (ja) * 2006-03-31 2007-10-18 Mitsumi Electric Co Ltd 電池保護モジュール及び電池保護システム
CN201060906Y (zh) * 2007-04-13 2008-05-14 郑州德朗能电池有限公司 新型可充电锂离子电池
JP5205368B2 (ja) * 2007-04-19 2013-06-05 株式会社日立超エル・エス・アイ・システムズ 電池制御装置
JP5212042B2 (ja) * 2008-11-19 2013-06-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過電流保護回路
JP5439800B2 (ja) * 2008-12-04 2014-03-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保護用集積回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保護モジュール並びに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384A (ja) * 2005-06-16 2006-12-28 Renesas Technology Corp 充電制御システム
KR2007007662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
KR20080062684A (ko) *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전지 보호회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8283743A (ja) * 2007-05-08 2008-11-20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二次電池保護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90087400A (ko) * 2008-02-12 2009-08-17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전지 팩
JP2010288377A (ja) * 2009-06-11 2010-12-2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電池パック、充電装置および移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4289A1 (en) 2014-03-05
JP2014054169A (ja) 2014-03-20
JP6230181B2 (ja) 2017-11-15
KR20140031099A (ko) 2014-03-12
CN103683211A (zh) 2014-03-26
KR102220900B1 (ko) 2021-02-26
US20140063670A1 (en) 2014-03-06
CN103683211B (zh) 2018-06-01
EP2704289B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170B1 (ko)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US8367234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protecting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471526B2 (en) Protection device for secondary batteries, and battery pack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same
US10090690B2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JP6460218B1 (ja) 二次電池保護集積回路、二次電池保護装置及び電池パック
US20130063090A1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rotection device, and battery pack
KR101222334B1 (ko) 배터리 팩
US8665572B2 (en) Battery charge/discharge protection circuit
KR101054888B1 (ko)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KR101305468B1 (ko)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KR20180047178A (ko) Csr 지원 ic 소자 공용화를 위한 배터리 보호회로
KR101274227B1 (ko)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징 배치구조
KR102220900B1 (ko)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KR101170117B1 (ko)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구조
KR20170022449A (ko)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749246B1 (ko)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0898285B1 (ko) 휴대 전자기기용 배터리 팩
US8835030B2 (en) Battery pack
KR20180049456A (ko) 하나의 전류 센싱 저항을 갖는 배터리 보호 회로
KR101830282B1 (ko)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TWI639286B (zh) 電池充電與放電保護電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