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104A - 요소수 파우치 용기 - Google Patents

요소수 파우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104A
KR20200124104A KR1020190047561A KR20190047561A KR20200124104A KR 20200124104 A KR20200124104 A KR 20200124104A KR 1020190047561 A KR1020190047561 A KR 1020190047561A KR 20190047561 A KR20190047561 A KR 20190047561A KR 20200124104 A KR20200124104 A KR 20200124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pouch
water tank
main body
pouch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619B1 (ko
Inventor
조재민
김세일
Original Assignee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61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B65D41/3409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를 요소수 탱크 주입구에 삽입하여 요소수를 주입할 때, 요소수 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여 요소수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요소수 파우치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요소수 파우치 용기{POUCH CONTAINER FOR UREA SOLUTION}
본 발명은 요소수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소수를 담는 가요성 파우치 본체와, 가요성 파우치 본체로부터 요소수를 차량의 요소수 탱크로 주입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스파우트를 포함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에 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면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배기가스 규제가 점차로 엄격해지고 있다. 특히, 버스나 트럭과 같이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디젤 엔진 차량의 배기가스에는 산성비 및 호흡기 질환의 원인물질로 밝혀진 질소산화물(NOx)이 포함되어 있어, 최근에 적용되고 있거나 적용될 예정인 유럽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기준인 유로 5(EURO-5) 및 유로 6(EURO-6)은 질소산화물의 배출 기준을 더욱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배출 기준에 대응하기 위하여, 차량에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법) 시스템을 적용하여, 차량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SCR 시스템은 촉매제로서 요소수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환원함으로써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제거한다.
SCR 시스템은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 연료 사용량의 약 4~6%에 이르는 요소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차량에 연료를 충전하는 것처럼 요소수도 충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디젤 엔진 차량에는 연료 탱크와 별도로 요소수 탱크가 구비된다.
요소수는, 차량의 연료 주입 방식과 같이, 요소수 판매처에서 주입 노즐을 이용하여 요소수 탱크에 주입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등록 특허 제10-1323534호는 차량에 연료를 주입하는 것처럼 간편하게 요소수를 차량의 요소수 탱크에 주입할 수 있는 요소수 공급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요소수는 휴대용 요소수 용기에 담긴 형태로도 공급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는 필요한 시점에서 스스로 요소수를 요소수 탱크에 주입할 수 있다. 요소수 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는 데, 이 중에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도 공지되어 있다. 요소수 파우치 용기는 유연한 필름으로 형성된 가요성 파우치에 스파우트가 부착되어 있다. 파우치 용기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용기에 비해 적재가 용이하고 충격에 강한 장점이 있으며, 특히 내부의 요소수를 비운 상태에서는 용기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휴대성이 향상된 장점이 있다.
요소수 파우치 용기를 이용하여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를 주입할 때, 스파우트 상단으로 고정된 밀폐 캡을 개방하고 스파우트를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에 삽입하여 요소수의 주입이 이루어진다.
요소수 용기는 많은 용량의 요소수를 담고 있으므로 중량이 크다. 따라서 스파우트를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에 삽입할 때, 하중에 의해 스파우트는 주입구에 완전히 끼워지고, 주입구 방향으로 요소수의 하중이 작용하여, 주입구의 상단이 밀폐되게 된다. 이로 인해 요소수 탱크 내부의 공기 배출이 방해되어, 요소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를 요소수 탱크 주입구에 삽입하여 요소수를 주입할 때, 요소수 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여 요소수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요소수 파우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요소수 탱크에 주입되는 요소수를 담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로서, 내부에 요소수를 담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가요성 파우치 본체와, 상기 가요성 파우치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요소수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스파우트를 포함한다. 상기 스파우트는, 상기 파우치 본체에 부착되는 접합 부분과; 상기 접합 부분으로부터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요소수 주입 시에 상기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를 통해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밀폐 캡이 장착되도록 상단에 형성된 캡 장착부와 상기 캡 장착부와 상기 접합 부분 사이의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관형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는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내로 삽입되는 삽입 영역과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상단 내주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영역과,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외측으로 위치하는 비삽입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의 외주면에는 돌출부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영역에서 요소수 탱크 주입구 상단 내주면과 상기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 사이의 갭을 통해, 요소수 주입 시 요소수 탱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 유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바디는 요소수 탱크 주입구의 직경 보다 직경이 작은 상단과, 요소수 탱크 주입구의 직경 보다 큰 하단을 구비하여, 상기 하단에서 상기 상단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캡 장착부의 길이의 2배~5배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끼움지지 영역은 상기 메인 바디의 전체 길이에서 중간 부분 아래에서 형성되고, 또한 2/3 부분 아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우치 본체에는, 파우치시트들이 접합된 시트 접합영역에 한 쌍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양단에 걸림부를 구비한 손잡이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우치 본체에는, 상기 파우치 본체의 상부 부분이 접힘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착부는 열융착을 통해 표면끼리 분리가능한 형태로 부착되는 1회성 부착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파우트의 상기 메인 바디는 외주면 전체에 상기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파우트의 상기 메인바디는 외주면에 외주면 프로파일을 부분적으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를 요소수 탱크 주입구에 삽입하여 요소수를 주입할 때, 요소수 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므로 요소수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요소수 주입의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에 사용되는 스파우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를 주입할 때 스파우트를 차량의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에 끼운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에서 상부 부분이 접힌 상태로 부착 고정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명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분산되어 실시되는 구성요소들은 특별한 제한이 있지 않는 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1)는 가요성 파우치 본체(100)와, 스파우트(200)를 포함한다.
가요성 파우치 본체(100)는 내부에 요소수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50)을 포함한다. 파우치 본체(100)는 가요성 필름으로 된 파우치 시트들(110)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이음매(130)가 되는 파우치 시트(110)의 단부들이 서로 열융착되어 실링됨으로써 내부에 요소수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50)이 형성된다.
파우치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을 가지며, 수용공간(150)에 요소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측면(122)과 바닥면(124)이 형성되는 입체적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내부에 요소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직립 형태로 세워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에 요소수가 비어지면 파우치 시트들(110)을 겹쳐지면서 플랫해지고, 시트와 같은 형태가 된다.
스파우트(200)는 파우치 본체(100)에 결합되어 파우치 본체(100)의 수용공간(150)에 수용된 요소수가 배출되는 유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파우트(200)는 파우치 본체(100)의 상부로 연장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스파우트(200)는 요소수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에 중공(201)이 형성된 부재이다. 스파우트(200)는 접합 부분(210)과, 관형 부분(220)을 포함한다.
접합 부분(210)은 파우치 본체(100)에 부착된다. 이음매(130)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파우치 시트(110)들 사이에 접합 부분(210) 개재되고, 파우치 시트(110)들이 열융착됨으로써 스파우트(200)와 파우치 본체(100)는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파우트(200)는 파우치 본체(10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접합 부분(210)은 웰딩면(212)과 다수의 웰딩리브(214)를 구비한다. 웰딩리브(214)는 판형의 웰딩면(21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즉, 중공(201)이 형성된 부분의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형태로 다층을 형성한다. 접합 부분을 저면에서 보면 중심부를 볼록하고 양측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볼록렌즈 형상 또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을 이루면서 양 측단으로 웰딩면(212)이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관형 부분(220)은 접합 부분(210)의 상부로 연장된다. 관형 부분(220)은 파우치 본체(100) 외부로 위치한다. 관형 부분(220)은 캡 장착부(230)와 메인 바디(250)를 포함한다.
관형 부분(220)의 맨 윗부분에 형성되는 캡 장착부(230)에는 스파우트(200)의 밀폐를 위한 밀폐 캡(290)이 장착된다. 관형 부분(220)은 맨 윗부분부터 차량의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내로 일부가 삽입된다. 이때 캡 장착부(230)는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보다 작게 형성되어 완전히 삽입되며, 메인 바디(250)는 일 부분만 삽입된다.
캡 장착부(230)의 상단으로 개구(231)가 위치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232)이 형성된다. 캡 장착부(230)에 형성된 나사산(232)은 밀폐 캡(290)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된다. 따라서 캡 장착부(230)에 밀폐 캡(290)을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하고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캡 장착부(230)에는 나사산(232)이 형성된 외주면 하부로 칼라(234)가 돌출 형성되어, 밀폐 캡(290)이 캡 장착부(230)의 넘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캡 장착부(230)에는 칼라(234)의 하부로 보강리브(236)가 구비된다. 보강리브(236)는, 밀폐 캡(290)에서 개봉 흔적을 남기기 위하여 제공하는 스커트 부분(295)을 지지한다. 칼라(234)와 보강리브(236) 사이에 돌출편이 형성되어 밀폐 캡(290)의 개봉 시 스커트 부분(295)을 파단시키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밀폐 캡의 개봉 동작을 감각적으로 인지하게 한다.
캡 장착부(230)는 차량의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를 통해 삽입되므로, 캡 장착부(230)에 포함되는 칼라(234) 및 보강리브(236) 등은 모두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캡 장착부(230)에 장착되는 밀폐 캡(290)은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 형태로 하단에 스커트 부분(295)을 포함한다. 스커트 부분(295)은 밀폐 캡(290)의 최초 분리 시에 파단되어 용기가 최초 개방인지 여부를 알려준다.
관형 부분(220)에서 메인 바디(250)는 캡 장착부(230)를 제외한 부분으로서, 메인 바디(250)는 캡 장착부(230)와 접합 부분(210) 사이에 위치한다. 메인 바디(250)는 캡 장착부(230)와의 경계가 되는 상단과, 접합 부분(210)과의 경계가 되는 하단 사이로 정의된다.
메인 바디(250)는 캡 장착부(230)의 2배 내지 5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메인 바디는 400mm 내지 100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메인 바디(250)는 요소수 주입 시에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내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내로 삽입되는 삽입 영역(252)과,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상단 내주면에 끼워져 지지되는 고정 영역(254)과,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외측으로 위치하는 비삽입 영역(256)으로 구분되다.
고정 영역(254)은 메인 바디(250)에서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상단 내주면에 끼워지는 크기를 가진 외주면의 부분으로,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상단 내주면에 형상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차량에서의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는 표준 규격을 가진다. 따라서 메인 바디는 이러한 표준 규격에 맞추어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바디(250)는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상단 내주면 크기에 대응되는 고정 영역(254)을 가지므로, 스파우트(200)를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내로 삽입할 때, 캡 장착부(230) 및 메인 바디(250) 상부의 삽입 영역(252)이 삽입된 후 고정 영역(254)이 요소수 탱크 주입구 상단 내주면에 끼워진다. 스파우트(200)의 메인 바디(250)가 고정 영역(254)에 의해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므로, 사용자는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파우치 본체를 들어 올려주는 간편한 동작으로 요소수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메인 바디(250)는 요소수 탱크 주입구의 직경보다 작은 상단과, 요소수 탱크 주입구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 하단을 가지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로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한 설계로 메인 바디의 특정 부분이 요소수 탱크 주입구에 끼워지게 즉, 고정 영역(25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고정 영역(254)은 메인 바디(250)의 상단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중간 부분 아래에서 형성되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유리하고, 또는 메인 바디(250) 의 상단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2/3 부분에 형성되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바디(250)의 외주면은 돌출부(262)와 오목부(264)로 형성된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을 구비한다. 돌출부(262)와 오목부(264)는 메인 바디(25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62)와 오목부(264)를 구비한 메인 바디(250)의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은 요소수 주입 시 공기 배출 유로(268)를 형성시킨다.
요소수 탱크 내부로 요소수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요소수 주입 시 요소수 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요소수 탱크 내부에는 이미 공기가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요소수 주입에 맞추어 밀려나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다면, 공기가 요소수가 요소수 탱크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바디(250)의 외주면에, 돌출부(262)와 오목부(264)에 의한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을 구비하므로, 공기 배출 유로(268)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요소수 탱크 내외부의 공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를 주입할 때 스파우트를 차량의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에 끼운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메인바디(250)의 상기 고정 영역(254)은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을 구비한 상태로 요소수 탱크 주입구의 내주면 상단에 끼워진다.
도 3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 주입구(310)의 상단 내주면(320)에 원형 형상의 메인 바디(250)의 고정 영역(254)이 끼워지더라도, 요소수 탱크 주입구 상단 내주면(320)과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을 구비한 외주면 사이의 갭(gap) 을 통해 요소수 탱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과 요소수 탱크 내주면 사이의 갭이 공기 배출 유로(268)가 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주면 전체가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을 구비한 스파우트와 달리, 도 4에서 도시한 상기 스파우트(200)의 상기 메인 바디(250)는 원형 형상의 외주면 일부분에 돌출부(262)와 오목부(264)를 구비한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을 부분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요소수 주입 시 요소수에 의해 밀려나는 공기가 요소수 탱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므로, 요소수 주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에서 요소수 주입 시에 사용자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요소수 용기를 요소수 탱크 주입구로부터 분리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요소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 영역(254)에서 주입구 상단 내주면(320)과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 사이의 갭이 공기 배출 유로의 단면을 형성하므로, 공기배출 유로 단면적 즉,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상단 내주면과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265) 사이의 단면적(S1)과 관형 부분의 상단 개구 단면적(S2)을 비율을 조절하여, 요소수 탱크 내부로의 요소수 주입시, 보다 원활한 요소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를 요소수 탱크 주입구 내로 끼운 상태에서 요소수가 주입될 때, 요소수의 정체 또는 출렁거림 없이, 또는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요소수가 주입될 수 있다. 출렁거림은 요소수 탱크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요소수 파우치 용기 내로 주입될 때 발생하며, 순간적인 요동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파우치 본체를 놓치는 현상을 발생시키거나, 요소수가 요소수 탱크 주입구 외부로 흘러나오는 유출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요소수의 유출은 주변부의 오염과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요소수의 안정적인 주입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출렁거림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는 손잡이(170)를 더 포함한다.
스파우트(200)는 가요성 파우치 본체(100)의 상측 가운데로 연장된다. 그리고 파우치 본체(100)는 상부 부분에 양측으로 시트 접합영역(160)을 더 구비한다. 시트 접합영역(160)은 파우치 본체(100)를 이루는 파우치 시트들(110)이 열융착 접합되어 형성되며, 양측 시트 접합영역(160) 각각에 표면을 관통하여 관통구(162)가 형성되더라도 실링이 훼손되지 않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시트 접합영역(160)에 한 쌍의 관통구(162)를 형성하여 손잡이(170)를 고정한다.
손잡이(170)는 양단에 걸림부(172)를 구비하며, 각 관통구(162)를 통해 손잡이(170)의 양측 걸림부(172)를 각각 삽입하는 것으로 손잡이(170)는 쉽게 장착될 수 있다.
공지의 요소수 파우치 용기는 하중으로 인해, 운반하거나 들어올릴 때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17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요소수의 주입 편의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는 상부를 접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부착부(180)를 포함한다. 부착부(180)는 파우치 본체(100)의 일측 표면으로 상단 양측 가장자리 및 각각에 대응하여 아래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부착부(180)는 손잡이(170)가 위치되는 방향 반대 표면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서로 대응되는 부착부(180)가 서로 부착되는 경우 도 6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파우치 용기는 상부가 접힌 상태를 고정될 수 있다.
요소수 파우치 용기는 스파우트(200)가 상부로 연장되므로, 높이 방향으로 요소수 파우치 용기를 쌓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도 6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파우치 용기는 상부 부분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의해 스파우트(200)가 측면 방향으로 위치하므로, 요소수 파우치 용기를 높이 방향으로 쌓는데 유리하다. 또한, 사용자는 접힌 상태로 손잡이를 잡고 더욱 수월하게 운반할 수 있다.
부착부(180)는 벨크로, 접착제 등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융착 등을 이용하여 분리가능하게 표면이 약하게 부착되도록 한 1회성 부착부로 형성될 수 있다. 요소수 파우치 용기는 도 6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 부분이 접힌 상태로 보관 또는 운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요소수 주입 시에 상부 부분을 탈착한 후(도 5의 상태), 손잡이(170)를 잡고 요소수 파우치 용기를 들어올려 스파우트를 요소수 주입구에 삽입하고, 손잡이로 요소수 파우치를 지탱하면서 요소수 파우치를 기울여 요소수를 주입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차량의 요소수 탱크에 주입되는 요소수를 담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로서, 내부에 요소수를 담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가요성 파우치 본체와, 상기 가요성 파우치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요소수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스파우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우트는,
    상기 파우치 본체에 부착되는 접합 부분과;
    상기 접합 부분으로부터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요소수 주입 시에 상기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를 통해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밀폐 캡이 장착되도록 상단에 형성된 캡 장착부와 상기 캡 장착부와 상기 접합 부분 사이의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관형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바디는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내로 삽입되는 삽입 영역과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상단 내주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영역과, 요소수 탱크의 주입구 외측으로 위치하는 비삽입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의 외주면에는 돌출부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영역에서 요소수 탱크 주입구 상단 내주면과 상기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 사이의 갭을 통해, 요소수 주입 시 요소수 탱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요소수 탱크 주입구의 직경 보다 직경이 작은 상단과, 요소수 탱크 주입구의 직경 보다 큰 하단을 구비하여, 상기 하단에서 상기 상단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캡 장착부의 길이의 2배~5배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 영역은 상기 메인 바디의 전체 길이의 중간 부분 아래에서 형성되도록 디자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의 상기 메인 바디는 외주면 전체에 상기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의 상기 메인 바디는 외주면에 상기 요철형 외주면 프로파일을 부분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
  7. 제1항 있어서,
    상기 파우치 본체에는, 파우치시트들이 접합된 시트 접합영역에 한 쌍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양단에 걸림부를 구비한 손잡이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본체에는,
    상기 파우치 본체의 상부 부분이 접힘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열융착을 통해 표면끼리 분리가능한 형태로 부착되는 1회성 부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파우치 용기.
KR1020190047561A 2019-04-23 2019-04-23 요소수 파우치 용기 KR102636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1A KR102636619B1 (ko) 2019-04-23 2019-04-23 요소수 파우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1A KR102636619B1 (ko) 2019-04-23 2019-04-23 요소수 파우치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04A true KR20200124104A (ko) 2020-11-02
KR102636619B1 KR102636619B1 (ko) 2024-02-15

Family

ID=7339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61A KR102636619B1 (ko) 2019-04-23 2019-04-23 요소수 파우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6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780U (ja) * 2005-12-22 2006-03-09 有限会社アサヒドリーム・ドットコム 自立袋
KR20080003425U (ko) * 2007-02-15 2008-08-20 김지용 깔때기
KR20080006319U (ko) * 2007-06-14 2008-12-18 이용호 찜질팩 충진용 주입관
JP2015063332A (ja) * 2013-09-25 2015-04-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把持部を備えた袋
KR20180108608A (ko) * 2016-02-04 2018-10-04 야라 인터내셔널 아에스아 차량의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scr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성 요소 용액을 보유하기 위한 주머니 조립체, 및 수성 요소 용액을 사용하여 차량의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780B2 (ja) * 1994-04-21 2000-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780U (ja) * 2005-12-22 2006-03-09 有限会社アサヒドリーム・ドットコム 自立袋
KR20080003425U (ko) * 2007-02-15 2008-08-20 김지용 깔때기
KR20080006319U (ko) * 2007-06-14 2008-12-18 이용호 찜질팩 충진용 주입관
JP2015063332A (ja) * 2013-09-25 2015-04-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把持部を備えた袋
KR20180108608A (ko) * 2016-02-04 2018-10-04 야라 인터내셔널 아에스아 차량의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scr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성 요소 용액을 보유하기 위한 주머니 조립체, 및 수성 요소 용액을 사용하여 차량의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619B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902B2 (en) Pouch assembly for holding an aqueous urea solution for use in an SCR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and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using the aqueous urea solution
US11618612B2 (en) Vented pour spout
KR20200124104A (ko) 요소수 파우치 용기
FR2949503A1 (fr) Reservoir souple pour produit additif
EP3202684A1 (en) Pouch assembly for holding a liquid urea solution for use in an scr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and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using the liquid urea solution
EP3299313A1 (en) Pouch assembly for holding a liquid urea solution for use in an scr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and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using the liquid urea solution
EP3202685A1 (en) Pouch assembly for holding a liquid urea solution for use in an scr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and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using the liquid urea solution
WO2020189614A1 (ja) 液体タンク
WO2020189558A1 (ja) 液体タンク
WO2006134826A1 (ja) 液体還元剤注入用ホース
KR200355566Y1 (ko) 접을 수 있는 간이 깔때기
US20210047080A1 (en) Fill nozzle pass through flame mitigation device for portable fuel container
JP2012161450A (ja) 還元剤補給容器の収納装置
JPH0667394U (ja) 液体輸送袋
KR20030032375A (ko) 원웨이밸브가 설치된 연료탱크
KR19990002047U (ko) 차량의 리어 와셔액 탱크 구조
KR20050049023A (ko) 휴대용 간이 연료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