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040A -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 Google Patents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040A
KR20200124040A KR1020190047412A KR20190047412A KR20200124040A KR 20200124040 A KR20200124040 A KR 20200124040A KR 1020190047412 A KR1020190047412 A KR 1020190047412A KR 20190047412 A KR20190047412 A KR 20190047412A KR 20200124040 A KR20200124040 A KR 20200124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haft
odor
melting device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filed Critical 김현준
Priority to KR102019004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4040A/ko
Publication of KR2020012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dry-heat treatment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급되는 분쇄입자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융,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제거되도록 구비된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장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연부에 구비된 히팅코일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된 스크류축과; 상기 실린더의 배출구 상부로 구비된 흡입팬이 구비된 집진 호퍼와; 상기 집진 호퍼에 덕트의 일측이 연결되며, 덕트의 타측에 연결된 집진룸; 및 상기 집진룸의 하부가 실린더의 투입구에 결합되며, 집진룸에 연결된 덕트와 마주보도록 구비된 분쇄입자 공급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급되는 분쇄입자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융,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제거되도록 하여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MELTING APPARATUS FOR ODOR REMOVAL}
본 발명은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급되는 분쇄입자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융,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는 비닐 하우스 내에서 다양한 품종의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는데, 그 이유로 비닐은 농작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해주기 위한 보온성 및 방수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여 농작물 재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비닐은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많은 장점이 있지만, 토양에 묻혔을 경우에는 썩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어 버려지는 폐비닐들을 재생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재생용 자재를 생산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폐비닐의 재생시 폐비닐들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재생자재들을 생산하면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폐비닐을 재생하기 위해 폐비닐의 파쇄, 세척, 건조의 공정으로 선처리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폐비닐의 건조 시간이 다소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720855호(200 7.05.16)의 폐비닐 건조장치가 제안되어 폐비닐에 묻어 있는 수분이 온풍과 히팅장치에 의하여 건조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몸체의 내부를 이송되는 과정에서 단순 이송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폐비닐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수증기와 악취가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수증기와 악취가 확산됨에 따라 주변의 환경이 오염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720855호(2007.05.16)
본 발명은 공급되는 분쇄입자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융,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제거되도록 하여 주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직경이 상이한 스크류축에 의하여 가열, 용융,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점진적인 용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분쇄입자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융,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제거되도록 구비된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A)에 있어서, 상기 용융장치(A)는 투입구(110)와 배출구(120)를 갖는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의 외주연부에 구비된 히팅코일(200)과; 상기 실린더(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310)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된 스크류축(300)과; 상기 실린더(100)의 배출구(120) 상부로 구비된 흡입팬(410)이 구비된 집진 호퍼(400)와; 상기 집진 호퍼(400)에 덕트(510)의 일측이 연결되며, 덕트(510)의 타측에 연결된 집진룸(500); 및 상기 집진룸(500)의 하부가 실린더(100)의 투입구(110)에 결합되며, 집진룸(500)에 연결된 덕트(510)와 마주보도록 구비된 분쇄입자 공급부(60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코일(200)은 170~180℃의 열이 발생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300)은 투입구(110)의 직하부로부터 실린더(100)의 배출구(120)를 향하여 직경이 상이한 제1축(301)과 제2축(302) 및 제3축(30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축(301)과 제2축(302) 및 제3축(303)의 외주연부에 각각 이송블레이드(304)가 나선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축(301)은 직경이 15mm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2축(302)은 직경이 65mm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3축(303)은 직경이 100mm를 갖도록 함으로써, 히팅코일(20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분쇄입자가 용융되면서 실린더(100)의 배출구(120)를 향하여 이동되는 과정 중 점진적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룸(500)은 직육면체의 테두리형태를 갖는 룸프레임(510) 외부에 냄새제거부재(520)가 덮혀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냄새제거부재(520)는 천 또는 광목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입자 공급부(600)는 집진룸(500)에 구비된 관통홀(530)에 내, 외측이 걸쳐지도록 구비된 컨베이어벨트(61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분쇄입자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융,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집진호퍼와 덕트에 의하여 집진룸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제거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일부 잔류된 냄새는 분쇄입자 공급부로 공급되는 분쇄입자와 같이 투입구를 통해 실린더의 내부로 들어가 열에 의하여 산화됨으로써,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주변으로 수증기와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린더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스크류축이 다단의 형태 즉,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를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가열, 용융, 이송되는 과정에서 점진적인 용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분쇄입자의 용융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에 있어 스크류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의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에 있어 스크류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A)는 분쇄입자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융,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제거되도록 하는 가운데 직경이 상이한 스크류축에 의하여 가열, 용융,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점진적인 용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실린더(100), 히팅코일(200), 스크류축(300), 집진 호퍼(400), 집진룸(500) 및 분쇄입자 공급부(600)로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1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태로 분쇄입자가 공급되는 투입구(110)와 투입된 분쇄입자가 용융되어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히팅코일(200)은 실린더(100)의 외주연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발생된 열이 실린더(100)의 내부로 충분하게 전되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투입구(110)로 공급되는 분쇄입자는 우레탄, 스치로풀, 스폰지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기 히팅코일(200)은 약 160~190℃의 열이 발생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170~180℃의 열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분쇄입자인 우레탄, 스치로풀, 스폰지가 용이하게 용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크류축(300)은 실린더(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310)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집진 호퍼(400)는 실린더(100)의 배출구(120) 상부로 흡입팬(410)이 결합된 상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스크류축(300)은 투입구(110)의 직하부로부터 실린더(100)의 배출구(120)를 향하여 직경이 상이한 제1축(301)과 제2축(302) 및 제3축(30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축(301)과 제2축(302) 및 제3축(303)의 외주연부에 각각 이송블레이드(304)가 나선형태로 구비되어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분쇄입자가 충분하게 용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축(301)은 직경이 15mm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2축(302)은 직경이 65mm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3축(303)은 직경이 100mm를 갖도록 함으로써, 히팅코일(20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분쇄입자가 용융되면서 실린더(100)의 배출구(120)를 향하여 이동되는 과정 중 점진적으로 가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진룸(500)은 집진 호퍼(400)에 일측이 연결된 덕트(5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실린더(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냄새가 모두 집진되어 집진룸(5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집진룸(500)은 직육면체의 테두리형태를 갖는 룸프레임(510) 외부에 냄새제거부재(520)가 덮혀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냄새제거부재(520)는 천 또는 광목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집진룸(500)으로 포집된 냄새는 천이나 광폭에 형성되어 있는 실, 털에 의하여 걸려지고 필터링되어 이물질인 다이옥신이나 냄새 등을 포집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집진룸(500)의 내부에서 일정 시간 동안 포집된 상태가 유지되면, 천이나 광목을 통과한 냄새만 차단 방출시킴에 따라 외부로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쇄입자 공급부(600)는 집진룸(500)의 하부가 실린더(100)의 투입구(110)에 결합된 것으로 집진룸(500)에 연결된 덕트(510)와 마주보도록 구비된 분쇄입자 공급부(600)가 구비되어 냄새가 포함된 공기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제거되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잔류된 냄새가 실린더(100)의 내부로 공급되어 산화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쇄입자 공급부(600)는 집진룸(500)에 구비된 관통홀(530)에 내, 외측이 걸쳐지도록 구비된 컨베이어벨트(610)로 구비된다.
100:실린더
110:투입구
120:배출구
200:히팅코일
300:스크류축
310:구동부
400:집진 호퍼
410:흡입팬
500:집진룸
510:덕트
600:분쇄입자 공급부

Claims (7)

  1. 공급되는 분쇄입자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융,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제거되도록 구비된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A)에 있어서,
    상기 용융장치(A)는 투입구(110)와 배출구(120)를 갖는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의 외주연부에 구비된 히팅코일(200)과;
    상기 실린더(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310)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된 스크류축(300)과;
    상기 실린더(100)의 배출구(120) 상부로 구비된 흡입팬(410)이 구비된 집진 호퍼(400)와;
    상기 집진 호퍼(400)에 덕트(510)의 일측이 연결되며, 덕트(510)의 타측에 연결된 집진룸(500); 및
    상기 집진룸(500)의 하부가 실린더(100)의 투입구(110)에 결합되며, 집진룸(500)에 연결된 덕트(510)와 마주보도록 구비된 분쇄입자 공급부(60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코일(200)은 170~180℃의 열이 발생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300)은 투입구(110)의 직하부로부터 실린더(100)의 배출구(120)를 향하여 직경이 상이한 제1축(301)과 제2축(302) 및 제3축(30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축(301)과 제2축(302) 및 제3축(303)의 외주연부에 각각 이송블레이드(304)가 나선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301)은 직경이 15mm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2축(302)은 직경이 65mm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3축(303)은 직경이 100mm를 갖도록 함으로써, 히팅코일(20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분쇄입자가 용융되면서 실린더(100)의 배출구(120)를 향하여 이동되는 과정 중 점진적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룸(500)은 직육면체의 테두리형태를 갖는 룸프레임(510) 외부에 냄새제거부재(520)가 덮혀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제거부재(520)는 천 또는 광목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입자 공급부(600)는 집진룸(500)에 구비된 관통홀(530)에 내, 외측이 걸쳐지도록 구비된 컨베이어벨트(61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KR1020190047412A 2019-04-23 2019-04-23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KR20200124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12A KR20200124040A (ko) 2019-04-23 2019-04-23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12A KR20200124040A (ko) 2019-04-23 2019-04-23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040A true KR20200124040A (ko) 2020-11-02

Family

ID=7339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412A KR20200124040A (ko) 2019-04-23 2019-04-23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40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855B1 (ko) 2006-07-18 2007-06-15 주식회사 청일화학 폐비닐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855B1 (ko) 2006-07-18 2007-06-15 주식회사 청일화학 폐비닐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785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시스템장치
CN108759378A (zh) 一种滚筒式有机肥烘干机
KR20200124040A (ko) 냄새 제거용 용융장치
JPH0851891A (ja) 蚕の無菌飼育方法
CN206260508U (zh) 用于规模化肉兔养殖的投料结构
KR20190003246A (ko) 건조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조식품 제조방법
CN209893406U (zh) 一种高效环保的医疗垃圾处理装置
CN206413379U (zh) 一种园林种植种子消毒烘干除杂装置
CN214665858U (zh) 一种固体农药生产用干燥装置
US20060016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plastic film wherein the plastic film remains substantially intact
CN206698815U (zh) 一种菌菇栽培用覆壤土消毒杀菌装置
JP3054409B1 (ja) 鶏用マッシュ飼料の熱処理設備
CN115739325A (zh) 一种微生物肥料加工用研磨装置
CN208624149U (zh) 一种用于玉米秸秆的粉碎装置
CN108906571B (zh) 一种带有清洗功能的有机肥去杂设备
CN213578663U (zh) 一种中药学用中药烘干一体机
CN208242282U (zh) 花椒带枝干燥及枝条灭菌机
CN112212652A (zh) 一种有机肥烘干设备
CN219551019U (zh) 一种农业种子除尘干燥器
KR101825037B1 (ko) 축산분뇨 악취 제거용 효소 살포장치
CN107062833A (zh) 一种农作物种子干燥装置
JP200207922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160098698A (ko) 농산물 건조장치
CN219698514U (zh) 一种农用秸秆粉碎装置
CN209726747U (zh) 一种有机肥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