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698A - 농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698A
KR20160098698A KR1020150020609A KR20150020609A KR20160098698A KR 20160098698 A KR20160098698 A KR 20160098698A KR 1020150020609 A KR1020150020609 A KR 1020150020609A KR 20150020609 A KR20150020609 A KR 20150020609A KR 20160098698 A KR20160098698 A KR 2016009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agricultural product
main body
dry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춘
Original Assignee
이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춘 filed Critical 이광춘
Priority to KR102015002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698A/ko
Publication of KR2016009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정화시키면서 장치 내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정화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먼지나 농산물의 이물질찌꺼기는 걸러내며, 잔열을 회수하여 열풍기와 함께 재사용하도록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부를 갖는 박스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며, 외부의 에어를 흡입하여 수용부내의 건조공간으로 이송하는 에어흡입부, 상기 에어흡입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어 건조공간 내의 에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에어로 건조공간 내의 농산물건조대에 적재된 농산물을 건조하는 열풍기, 상기 건조공간을 경유한 고온열기를 흡입하는 흡배기덕트, 상기 흡배기덕트를 통해 고온열기에서 먼지나 농산물의 이물질찌꺼기를 분리 제거하는 싸이클론부, 상기 싸이클론부를 거친 고온열기를 열풍기 측으로 이송하는 열회수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공기를 정화시키면서 장치 내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정화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먼지나 농산물의 이물질찌꺼기는 걸러내며, 잔열을 회수하여 열풍기와 함께 재사용하도록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 중에는 장기보관 목적 등으로 그 수확 후에 건조 처리하여 출하하는 것들이 있다. 그러한 농산물로는 고추, 고사리, 담배, 버섯, 약초, 약재, 인삼 등이 있다.
이러한 건조를 위해서 종래에는 단순히 햇빛과 바람을 이용하는 자연 건조를 이용하였으나, 자연 건조는 매우 오랜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건조 과정에서 먼지나 각종 이물질찌꺼기가 부착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비가 오거나 습기가 많은 날에는 실시할 수 없으며, 생산자가 수시로 뒤집어주면서 건조시켜야 함에 따라 번거로움과 불편성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농산물을 인공적으로 강제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건조장치는 내부에 밀폐되는 건조실이 마련되고, 해당 건조실 내로 채반 등을 이용하여 건조 대상의 농산물을 널어진 상태로 투입하여, 이후 열원이 발열 작동되어 고열을 발생시키고, 또한 구비된 블루워가 작동되어 열풍을 유동시키게 된다. 즉, 농산물을 열원에 의한 직접적인 열기와 블로워에 의한 열품의 유동으로 건조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외부공기가 정화되지 않고 그대로 건조실 내로 흡입된 후 건조실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순환되고, 건조실 내의 공기 순환과정에서도 먼지나 이물질찌꺼기를 제대로 걸러내주지 못하기 때문에 건조되는 농산물이 오염될 우려가 있고, 고온열기와 열풍이 닿은 일부분만 건조되고, 농산물끼리 밀착되어 있거나 농산물이 다른 물체에 밀착되어 있는 부분은 고온열기와 열풍이 닿지 않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떨어지고, 건조된 후의 농산물의 내부에서 부패가 빈번히 발생됨으로써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조실 내의 공기 순환과정에서도 먼지나 이물질찌꺼기를 제대로 걸러내주지 못하여 오염된 공기가 계속 순환되고, 잔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하지 못하여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426716호 등록특허 제10-126669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외부공기를 정화시키면서 장치 내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정화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먼지나 농산물의 이물질찌꺼기는 걸러내며, 잔열을 회수하여 열풍기와 함께 재사용하도록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부를 갖는 박스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며, 외부의 에어를 흡입하여 수용부내의 건조공간으로 이송하는 에어흡입부, 상기 에어흡입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어 건조공간 내의 에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에어로 건조공간 내의 농산물건조대에 적재된 농산물을 건조하는 열풍기, 상기 건조공간을 경유한 고온열기를 흡입하는 흡배기덕트, 상기 흡배기덕트를 통해 고온열기에서 먼지나 농산물의 이물질찌꺼기를 분리 제거하는 싸이클론부, 상기 싸이클론부를 거친 고온열기를 열풍기 측으로 이송하는 열회수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로 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외부공기를 정화시키면서 장치 내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정화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먼지나 농산물의 이물질찌꺼기를 걸러내며, 잔열을 회수하여 열풍기와 함께 재사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화된 청정공기로 농산물을 건조할 수 있고, 고온열기가 싸이클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농산물에 먼지나 이물질찌꺼기가 접촉되지 않아 농산물의 건조 질을 높이게 되고, 고온열기를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농산물이 적재되는 농산물건조대를 진동자에 의해 떨림되게 하여 농산물이 농산물건조대에 닿아 있거나, 농산물 끼리 닿아 있는 부분에 까지 고온열기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장치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공기순환 경로를 나타낸 정면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 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장치 사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 개략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공기순환 경로를 나타낸 정면 개략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 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본체(10), 에어흡입부(20), 필터(30), 열풍기(40), 흡배기덕트(50), 싸이클론부(60) 및 열회수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수용부(11)를 갖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측에 농산물건조대(6)가 출입하도록 개폐도어(13)가 형성된다. 개폐도어(13)는 힌지 결합되어 작동되며, 잠금수단(14)에 의해 개폐가 결정된다.
상기 본체(10) 상에는 에어흡입부(20)가 형성된다. 에어흡입부(20)는 개폐도어(13) 상에 형성된 통공에 블로워나 팬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외부의 에어를 흡입하여 수용부(11) 내에 형성된 건조공간부(12)로 에어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흡입부(20)에는 에어를 정화하는 필터(30)가 구비된다. 필터(30)는 도 4에서처럼 외부먼지나 황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미세필터층(31)과, 외부습기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활성탄층(33)과, 에어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댐퍼부(35)가 외부측으로부터 차례로 구비된다.
필터(3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거의 대부분이 상온의 공기나 찬공기이다. 이러한 외부공기를 필터(30)에서 데워 본체(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데, 이때에는 활성탄층(33) 및 댐퍼부(35) 사이에 히팅라인(34)을 구비한다. 그리고 댐퍼부(35)는 댐퍼조절기(36)에 의해 독립적 또는 일괄적으로 작동된다.
상기 필터(30)를 통해 본체(10) 내의 건조공간부(12)에 에어가 유입되며, 상기 본체(10) 상에는 건조공간부(12) 내의 에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에어로 건조공간부(12) 내의 농산물건조대(6)에 적재된 농산물을 건조하도록 열풍기(40)가 구비된다. 열풍기는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로워나 팬으로 구비된다.
열풍기(40)에 의해 가열된 에어는 농산물건조대(6)에 적재된 농산물을 건조시키게 되고, 상기 건조공간부(12)를 경유한 고온열기는 펜이나 혹은 자연 흡기 형태로 흡입 및 배기 되는 형태의 흡배기덕트(50)를 경유하여 이동된다. 이때 고온열기에는 먼지, 농산물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찌꺼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흡배기덕트(50)를 통해 고온열기에서 먼지나 농산물의 이물질찌꺼기를 분리 제거하기 위해 싸이클론부(60)가 구비되고, 싸이클론부(60)를 거친 고온열기를 열풍기(40) 측으로 이송하는 열회수부(7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장치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건조장치의 본체(10) 내 건조공간부(12)에 농산물이 적재된 농산물건조대(6)를 투입한 다음, 건조장치를 작동시키면, 에어흡입부(20) 및 필터(30)에 의해 외부공기가 정화되면서 유입된다.
외부에어는 필터(30)의 히팅라인(34)에 의해 가열되면서 유입될 수도 있다.
이 유입된 에어는 열풍기(40)에 의해 농산물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고, 가열된 에어는 농산물을 건조하게 된다. 이때 에어와 농산물이 직접 닿는 부분은 건조가 잘 이루어지나, 농산물이 농산물건조대(6)에 닿아 있거나, 농산물 끼리 닿아 있는 부분은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건조공간부(12)의 바닥부에 진동자(16)를 갖는 받침대(15)를 구비하고, 받침대(15)의 상부에 농산물건조대(6)를 안착시켜, 진동자(16)에 의해 떨림되면서 농산물이 농산물건조대(6)에 닿아 있거나, 농산물 끼리 닿아 있는 부분을 이격 또는 떨림에 의한 순간 이격작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열풍기(40)에 의해 농산물을 건조시킨 고온열기는 펜이나 혹은 자연 흡기 형태로 한꺼번에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쪽이 넓고 반대쪽이 좁은 형태의 흡배기덕트(50)를 경유하여 싸이클론부(60)에 유입되고, 싸이클론부(60)에서는 고온열기에서 먼지나 농산물의 이물질찌꺼기를 분리하여 하부측으로 제거, 이탈시키고, 이들을 제외한 고온열기는 열회수부(70)를 통해 열풍기(40)로 이동된다.
열풍기(40)는 외부공기를 데우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열회수부(70)를 통해 고온의 열기를 전달받게 되면 그만큼의 열발생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6: 농산물건조대 10: 본체
11: 수용부 12: 건조공간부
20: 에어흡입부 30: 필터
40: 열풍기 50: 흡배기덕트
60: 싸이클론부 70: 열회수부

Claims (4)

  1. 수용부(11) 및 개폐도어(13)를 갖는 박스 형태의 본체(10);
    상기 본체(10) 상에 구비되며, 외부의 에어를 흡입하여 수용부(11)내의 건조공간부(12)로 이송하는 에어흡입부(20);
    상기 에어흡입부(20)에 설치되어 에어를 정화하는 필터(30);
    상기 본체(10) 상에 구비되어 건조공간부(12) 내의 에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에어로 건조공간부(12) 내의 농산물건조대(6)에 적재된 농산물을 건조하는 열풍기(40);
    상기 건조공간부(12)를 경유한 고온열기를 흡입 및 배기하는 흡배기덕트(50);
    상기 흡배기덕트(50)를 통해 고온열기에서 먼지나 농산물의 이물질찌꺼기를 분리 제거하는 싸이클론부(60);
    상기 싸이클론부(60)를 거친 고온열기를 열풍기(40) 측으로 이송하는 열회수부(7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부(12)의 바닥부에 진동자(16)를 갖는 받침대(15)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15)의 상부에 농산물건조대(6)가 안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30)는 외측에 미세필터층(31), 활성탄층(33) 및 댐퍼부(35)가 차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층(33) 및 댐퍼부(35) 사이에 히팅라인(3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KR1020150020609A 2015-02-11 2015-02-11 농산물 건조장치 KR20160098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609A KR20160098698A (ko) 2015-02-11 2015-02-11 농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609A KR20160098698A (ko) 2015-02-11 2015-02-11 농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698A true KR20160098698A (ko) 2016-08-19

Family

ID=5687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609A KR20160098698A (ko) 2015-02-11 2015-02-11 농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6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540B1 (ko) 2020-01-08 2020-09-11 김영상 하이브리드 냉온풍 겸용 건조장치
KR20210025795A (ko) * 2019-08-28 2021-03-10 최영숙 갈색거저리 유충 가공장치 및 그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충 가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690B1 (ko) 2012-01-10 2013-05-28 백도웅 강제 흡입 순환식 농산물 건조 장치
KR101426716B1 (ko) 2013-03-28 2014-08-07 신농(주) 농산물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690B1 (ko) 2012-01-10 2013-05-28 백도웅 강제 흡입 순환식 농산물 건조 장치
KR101426716B1 (ko) 2013-03-28 2014-08-07 신농(주) 농산물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795A (ko) * 2019-08-28 2021-03-10 최영숙 갈색거저리 유충 가공장치 및 그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충 가공방법
KR102154540B1 (ko) 2020-01-08 2020-09-11 김영상 하이브리드 냉온풍 겸용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25602U (zh) 改进的药片除尘烘干装置
KR101562926B1 (ko) 백필터의 탈진 및 건조를 위한 집진기
CN206253351U (zh) 一种大米烘干筛选机
CN109289455A (zh) 一种硅胶加热循环除湿装置
CN106017018A (zh) 一种物料烘干装置
CN206291669U (zh) 一种干燥装置
KR20160098698A (ko) 농산물 건조장치
CN204902526U (zh) 谷物干燥机
CN105011574A (zh) 一种除尘衣柜
JP2017020691A (ja) 穀物乾燥機における熱風室の排塵装置
CN103521451B (zh) 一种猪毛自动分拣净化装置
CN209711449U (zh) 一种生姜除土清理装置
CN208832935U (zh) 一种用于石英石板材生产中的烘干装置
CN216522877U (zh) 高效型纺织烘干机
CN106152714A (zh) 一种新型箱式干燥器
CN215063747U (zh) 具有防尘清洁功能的酒瓶烤花炉系统
CN115127316A (zh) 一种多肽微生物有机无机复混肥用烘干装置及其使用方法
CN205175059U (zh) 一种塑料干燥机
CN210689095U (zh) 一种木材加工用干燥设备
TWM547423U (zh) 乾燥除塵裝置
CN109550369A (zh) 水幕除尘装置
CN208497770U (zh) 一种泡腾片压片机内部除湿设备
TWM493246U (zh) 全自動輸送模組
KR101432659B1 (ko) 농수산물 청결 건조기
CN206661770U (zh) 多功能煤炭去湿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06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05

Effective date: 2018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