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980A - 멀티 센서조립체 - Google Patents

멀티 센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980A
KR20200123980A KR1020190047223A KR20190047223A KR20200123980A KR 20200123980 A KR20200123980 A KR 20200123980A KR 1020190047223 A KR1020190047223 A KR 1020190047223A KR 20190047223 A KR20190047223 A KR 20190047223A KR 20200123980 A KR20200123980 A KR 2020012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nnector
housing
coupled
coup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511B1 (ko
Inventor
조향은
김영민
정재룡
Original Assignee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11B1/ko
Priority to US17/602,404 priority patent/US11898878B2/en
Priority to PCT/KR2020/005181 priority patent/WO2020218782A1/ko
Publication of KR2020012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의 선단에 있는 센서결합부(14)에 제1센서(3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센서(34)의 전면으로 개방되는 안착홈(36)에는 제2센서(4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센서(34)에서 측정된 신호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을 관통하는 제1연결구(26)에 의해 전달된다. 상기 제1연결구(26)는 제1센서(34)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제1센서(34)가 센서홀더(14)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연결구(26)의 후단 외면에는 제2연결구나사부(29')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설치된 조절고정구(20)의 고정구나사부(24')와 결합되어 상대 이동된다.

Description

멀티 센서조립체{Multi sensor assembly}
본 발명은 멀티 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는 멀티 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는 특정한 장치의 제어를 위해서 필요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얻어진 물리량을 기초로 해서 해당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하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많은 수의 물리량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물리량에 대응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와 같이 많은 종류의 물리량을 얻기 위해서 그에 상응하는 갯수의 센서를 사용하게 되면, 센서의 설치를 위한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좁은 설치공간밖에 허용되지 않는 장치에서는 다수개의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따라서, 하나의 센서조립체에서 다수개의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센서를 가지는 멀티 센서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센서조립체에서는 측정된 물리량을 이를 활용하는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즉, 센서에 의해 물리량이 감지되는 공간의 환경이 제어부가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감지된 물리량을 제어부로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11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87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물리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멀티 센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측정된 물리량을 제어부로 정확하고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결합되고 물리량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물리량을 전달하는 것으로 선단에 상기 제1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센서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구의 내부를 통해 제2연결선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센서와, 상기 제1연결구의 후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제1연결선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관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1센서에는 전면으로 개방되게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제1센서의 안착홈과 연통되게 상기 제1센서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외부가 연통되게 상기 제1센서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제1연결구가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구의 내부와 상기 관통공이 연통되어 상기 제2센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제2연결선이 통과한다.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구와 결합되어 상기 제1센서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조절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1연결구에 결합된 결합링이 설치되고, 상기 결합링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제1연결선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링의 내면에는 상기 제1연결구의 외면에 형성된 제2연결구나사부에 결합되는 링나사부가 있고, 상기 결합링의 표면에는 결합링의 재질보다 납땜성이 좋은 물질이 도금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센서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물리량을 동시에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제1센서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센서를 설치하고 하우징을 통해 측정된 물리량들을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어, 하나의 센서로 여러 물리량을 측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서 제1센서에 연결된 제1연결구의 단부에 결합링을 설치하여 상기 결합링에 전선을 납땜을 통해 연결하여 커넥터를 제1연결구에 연결하여 제1센서의 측정값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1센서의 측정값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연결구가 제1센서의 측정값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연결구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임피던스와 하우징의 후단에 있는 조절고정구 뒷단에서의 임피던스가 다르기 때문에 제1연결구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위치에서 제1연결구와 제1연결선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제1연결구의 후단에서 임피던스 변경이 없이 신호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센서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조절고정구와 주변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센서홀더와 주변을 보인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센서조립체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멀티 센서조립체의 제1센서(34)와 제2센서(42)가 물리량 감지를 위해 놓여지는 공간과 외부와의 거리를 고려하여서 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실제로 사용될 때 일부는 감지 대상이 되는 공간 내에 있고 반대쪽은 제어부가 있는 장치 또는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는 장치 내에 위치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 외면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3)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절반 정도를 제거하여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13)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1연결선(32)이 내부공간(12)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타단부, 즉 상기 개구부(13)가 형성된 일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센서결합부(14)가 있다. 상기 센서결합부홀더(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센서(34)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 즉 상기 센서결합부(14)의 반대쪽에는 조절고정구(20)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고정구(20)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조절고정구(20)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드러난 부분이 원판형상이다. 상기 조절고정구(20)의 일면에는 삽입돌부(2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삽입돌부(2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돌기(22)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10)의 내경과 거의 같아서 상기 삽입돌기(2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 이상의 힘에 의해 조절고정구(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고정구(20)의 중심을 관통하여서는 연결구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공(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연결구(26)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구공(24)의 내면에는 고정구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나사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연결구(26)에 형성된 제2연결구나사부(29')와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나사부(24')와 제2연결구나사부(29')는 상기 조절고정구(20)의 회전에 의해 제1연결구(26)의 직선운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연결구(26)의 직선운동은 상기 제1센서(34)의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센서결합부(14)에 제1센서(34)가 결합되도록 한다.
제1연결구(26)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관형태이다. 상기 제1연결구(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센서(34)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센서(34)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연결구(26)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연통로(28)가 있다. 상기 연통로(28)는 상기 제1연결구(26)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통로(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연결선(43)이 통과한다. 상기 제1연결구(26)는 무게나 전기전도성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연결구(26)의 일측 단부 외면에는 제1연결나사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나사부(29)는 제1센서(34)의 결합나사부(40')와 결합되어 제1센서(34)와 제1연결구(26)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1연결구(26)의 타측 단부 외면에는 제2연결나사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나사부(29')는 상기 조절고정구(20)의 고정구나사부(24')와 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나사부(29')에는 또한 결합링(30)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연결나사부(29')와는 별도로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링(30)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연결나사부(29')가 결합링(30)이 있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결합링(3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30)의 내면에는 링나사부(30')가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나사부(29')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링(30)도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링(30)의 외면에는 결합링(30)의 재질보다 납땜성이 좋은 물질이 도금되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링(30)이 알루미늄인 경우에는 은을 도금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링(30)의 외면에 은도금층이 형성되고, 이에 제1연결선(32)이 납땜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연결선(32)은 상기 제1연결구(26)를 통해 전달된 제1센서(34)의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연결선(32)의 반대쪽 끝부분에는 커넥터가 있어서 외부와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센서(34)는 상기 제1연결구(26)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구(26)가 상기 조절고정구(20)와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센서(34)를 후방으로 당겨줌에 의해 상기 하우징(10)과 제1센서(34)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센서(34)의 전면으로 개방되게 안착홈(3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센서(42)가 위치된다.
상기 제1센서(34)에는 상기 안착홈(36)과 연통되어 관통공(38)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8)과 외부가 연통되게 결합공(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34)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안착홈(36), 관통공(38), 결합공(40)이 차례로 형성되어 제1센서(34)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결합공(40)의 내면에는 결합나사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나사부(40')는 상기 제1연결구(26)의 제1연결구나사부(29)와 결합된다. 상기 제1센서(34)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36)에는 제2센서(42)가 설치된다. 상기 제2센서(42)에는 제2연결선(4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선(42)은 제2센서(42)에서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연결선(42)은 상기 관통공(38)과 상기 결합공(40)에 위치된 제1연결구(26)의 연통로(28)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을 관통하여 하우징(10)의 타단부로 연장되어 외부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센서(34)에는 다수개의 안착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센서(42)가 안착되는 안착홈(36)의 주변 또는 상기 제1센서(34)의 외측면으로 개방되게 안착홈(36)이 형성될 수 있고, 이들 안착홈(36)들에 각각 다른 종류의 센서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다양한 물리량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이들 안착홈(36)에는 관통공(38)이 연통되거나, 현재의 관통공(38)에 별도의 관통공이 연결되게 형성되어 해당 센서에서 측정한 값을 전달하는 연결선이 상기 연통로(28)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센서조립체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 센서조립체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 제1센서(34)가 설치된다. 이에 앞서 상기 제1센서(34)는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한 상기 제1연결구(26)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 설치된다. 이는 상기 제1센서(34)의 결합공(40)에 형성된 결합나사부(40')와 제1연결구(26)에 형성된 제1연결구나사부(29)가 서로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센서(34)와 제1연결구(26)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센서(42)의 제2연결선(43)을 상기 제1센서(34)의 안착홈(36), 관통공(38), 연통로(28)를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구(26)의 반대쪽으로 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36)에 상기 제2센서(42)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제1센서(34), 제2센서(42) 그리고 제1연결구(26)의 조립체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연결구(26)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게 하고, 상기 제1연결구(26)의 끝부분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 제1연결구(26)에 결합링(30)을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13)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링(30)에 제1연결선(32)을 이때 납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절고정구(20)를 결합한 후에 상기 제1연결선(32)을 납땜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조절고정구(20)를 설치한다. 상기 조절고정구(20)의 삽입돌부(22)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삽입하고 상기 조절고정구(20)의 고정구나사부(24')와 제1연결구(26)의 제2연결구나사부(29')가 결합되게 한다. 이때, 상기 조절고정구(20)를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삽입돌부(22)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고정구(20)는 상기 하우징(10)에 대해서 회전만하고 하우징(10)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조절고정구(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구나사부(24')와 제2연결구나사부(29')가 상대 운동을 하여 상기 제1연결구(26)가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조절고정구(20)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 있는 센서결합부(14)에 상기 제1센서(34)가 결합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멀티 센서조립체의 조립순서는 위의 순서 외에도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과 조절고정구(20)를 제외한 나머저 부품을 조립한 상태로 상기 제1연결구(26)에 결합링(30)을 결합하고 이 상태에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을 상기 제1연결구(26)가 관통하여 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구(26)의 제2연결구나사부(29')에 상기 조절고정구(20)의 고정구나사부(24')를 결합하여 상대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제1센서(34)가 하우징(10)의 선단에 있는 센서결합부(1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센서조립체에는 상기 제1연결선(32)과 제2연결선(43)이 각각 제어부 쪽과 연결되어 감지된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센서(34)의 측정값을 전달하는 경로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있는 상기 제1연결구(26)와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부(13)를 ㅌ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된 제1연결선(32)이다. 상기 제1센서(34)의 측정값이 정확하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제1센서(34)의 측정값이 전달되는 경로의 임피던스값이 일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상기 제1연결구(26)를 설치하여 임피던스값이 일정하게 설정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설치된 조절고정구(20)의 존재 때문에 상기 조절고정구(20)를 지난 위치에서 상기 제1연결구(26)의 임피던스값은 제1센서(34)의 그것과는 달리된다. 따라서, 제1센서(34)의 측정값을 제어부로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개구부(13)를 통해 제1연결선(32)을 상기 제1연결구(26)에 연결하여 임피던스값이 일정하게 설정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구(26)의 후단 외면에 형성된 제2연결나사부(29')에 결합링(30)의 링나사부(3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결합링(30)과 제1연결구(26)사이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한다. 또한, 상기 결합링(30)의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에 제1연결선(32)을 납땜하여 전기적 연결이 정확하게 잘 이루어진다.
특히, 조절고정구(20)가 설치된 위치보다 상기 제1연결선(32)이 상기 제1연결구(26)에 연결된 위치가 상기 제1센서(34)에 더 가깝도록 하여 상기 조절고정구(20)가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본 발명을 제어부에 연결함에 의해 임피던스 조절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센서(34)가 부분방전 여부를 검출하는 부분방전센서이고 제2센서(42)가 수소를 감지하는 수소센서인데, 이들 센서의 조합은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제2센서(42)를 다수개 두는데, 이들 제2센서(42)가 각각 다른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센서(42)가 상기 제1센서(34)에 하나 설치되어 있으나,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센서(34)에 다수개의 제2센서(42)가 설치될 수 있다.
10: 하우징 10': 하우징나사부
12: 내부공간 13: 개구부
20: 조절고정구 22: 삽입돌부
24: 연결구공 24': 고정구나사부
26: 제1연결구 28: 연통로
29: 제1연결구나사부 29': 제2연결구나사부
30: 결합링 30': 링나사부
32: 제1연결선 34: 제1센서
36: 안착홈 38: 관통공
40: 결합공 40': 결합나사부
42: 제2센서 43: 제2연결선

Claims (7)

  1. 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결합되고 물리량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물리량을 전달하는 것으로 선단에 상기 제1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센서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구의 내부를 통해 제2연결선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센서와,
    상기 제1연결구의 후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제1연결선을 포함하는 멀티센서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관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멀티 센서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에는 전면으로 개방되게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센서가 설치되는 멀티 센서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의 안착홈과 연통되게 상기 제1센서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외부가 연통되게 상기 제1센서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제1연결구가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구의 내부와 상기 관통공이 연통되어 상기 제2센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제2연결선이 통과하는 멀티 센서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구와 결합되어 상기 제1센서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조절고정구를 포함하는 멀티 센서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1연결구에 결합된 결합링이 설치되고, 상기 결합링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제1연결선이 결합되는 멀티 센서조립체.
  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의 내면에는 상기 제1연결구의 외면에 형성된 제2연결구나사부에 결합되는 링나사부가 있고, 상기 결합링의 표면에는 결합링의 재질보다 납땜성이 좋은 물질이 도금되는 멀티 센서조립체.

KR1020190047223A 2019-04-23 2019-04-23 멀티 센서조립체 KR10224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223A KR102241511B1 (ko) 2019-04-23 2019-04-23 멀티 센서조립체
US17/602,404 US11898878B2 (en) 2019-04-23 2020-04-17 Multi-sensor assembly
PCT/KR2020/005181 WO2020218782A1 (ko) 2019-04-23 2020-04-17 멀티 센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223A KR102241511B1 (ko) 2019-04-23 2019-04-23 멀티 센서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80A true KR20200123980A (ko) 2020-11-02
KR102241511B1 KR102241511B1 (ko) 2021-04-16

Family

ID=7294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223A KR102241511B1 (ko) 2019-04-23 2019-04-23 멀티 센서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98878B2 (ko)
KR (1) KR102241511B1 (ko)
WO (1) WO202021878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520A (ja) * 1992-08-31 1994-04-19 W Edmark Karl Iii マルチセンサプローブ組立品とその用法
KR20130011176A (ko) 2011-07-20 2013-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유입 변압기용 초고주파 부분방전 센서
KR20140026380A (ko) * 2011-02-15 2014-03-05 마이클 에이. 실베리 전류측정식 센서 시스템
KR101439485B1 (ko) * 2014-05-26 2014-09-17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다중 심도 센서
KR101788736B1 (ko) 2015-09-16 2017-10-23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유중가스 및 부분방전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548A (ja) * 2002-07-24 2004-02-19 Yokogawa Electric Corp 残留塩素測定方法及び残留塩素計
KR200362372Y1 (ko) * 2004-06-25 2004-09-23 농업기반공사 다중 심도 지하수 모니터링 장치
CN108318076A (zh) * 2016-12-30 2018-07-24 明光市泰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土壤监测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520A (ja) * 1992-08-31 1994-04-19 W Edmark Karl Iii マルチセンサプローブ組立品とその用法
KR20140026380A (ko) * 2011-02-15 2014-03-05 마이클 에이. 실베리 전류측정식 센서 시스템
KR20130011176A (ko) 2011-07-20 2013-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유입 변압기용 초고주파 부분방전 센서
KR101439485B1 (ko) * 2014-05-26 2014-09-17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다중 심도 센서
KR101788736B1 (ko) 2015-09-16 2017-10-23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유중가스 및 부분방전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05817A1 (en) 2022-06-30
US11898878B2 (en) 2024-02-13
WO2020218782A1 (ko) 2020-10-29
KR102241511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396B2 (en) Integrated modular connector in a drill pipe
KR101824950B1 (ko)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TW201504631A (zh) 光電元件檢測用之高頻探針卡
IL300644A (en) Electronic assembly
US20210382087A1 (en) Probe element and probe unit
JP2017026359A (ja) 水質センサ
US6150634A (en) Glow plug with electronic component for 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ion sensing functions
KR102241511B1 (ko) 멀티 센서조립체
US20080119062A1 (en) Coaxial Connecting Part
US11543434B1 (en) High-frequency data differential testing probe
US7300289B2 (en) Electrical cordset having connector with integral signal conditioning circuitry
TWI506280B (zh) Probe module (2)
JP2007192554A (ja) 四探針測定用同軸プローブ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ーブ治具
US6471395B1 (en) Heat transfer monitoring/measuring device
US20160138977A1 (en) Measuring Insert for Measuring Temperature
US20160018441A1 (en) Probe card, and connecting circuit board and signal feeding structure thereof
KR20180036331A (ko)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0440732B1 (ko) 나사 절연장치 및 그 나사 절연장치에 의해 조립된센서조립체
CN104297558A (zh) 一种电流测量装置
RU27900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оосности отверстий
US11698390B1 (en) High-frequency data differential testing probe
JP7008006B2 (ja) 圧力検出装置
JP2021177149A (ja) センサ
JP2006029950A (ja) 同軸ケーブル及びそれを用いた測定装置
JP2021177148A (ja) 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