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978A -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978A
KR20200123978A KR1020190047220A KR20190047220A KR20200123978A KR 20200123978 A KR20200123978 A KR 20200123978A KR 1020190047220 A KR1020190047220 A KR 1020190047220A KR 20190047220 A KR20190047220 A KR 20190047220A KR 20200123978 A KR20200123978 A KR 20200123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support structure
existing
link beam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861B1 (ko
Inventor
이혁
강희성
김진흥
조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8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8Foundations inserted underneath existing building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안벽에 대해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하여 보강함으로써 5만톤이상 10만톤 하중인 초대형 해양구조물에 대해 수용 가능하도록 기존 안벽의 설계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는 기존 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기존 안벽구조물; 기존 안벽구조물의 바다쪽 전방부에 설치, 고정된 복수의 강관파일;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면이 기존 지면 및 기존 안벽구조물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슬래브; 기존 지면과 슬래브의 상부면 상에 각각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신규 레일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레일받침구조물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레일받침구조물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단차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다른 단차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을 따라 이동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로드아웃시키는 제 2 링크빔; 및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 및 제 2 링크빔 상에 형성되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신규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Quay structure reinforced pier type erection and method for reinforcement quay structure using pier type erection}
본 발명은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안벽에 대해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하여 보강함으로써 5만톤이상 10만톤 하중인 초대형 해양구조물에 대해 수용 가능하도록 기존 안벽의 설계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도크(dock)에서 건조하여 진수 후에 후속 의장작업 등을 위해 안벽(quay)에 계류된다. 안벽은 바다에 접하는 접안시설로서, 일반적으로 해저에 강관 파일(pile)을 박아서 고정하는 고정형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를 이룬다.
도크와 안벽 사이에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 및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구비되는데, 일정 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최근 초대형 해양구조물의 발주가 증가하고 있어 기존의 안벽으로 이들 초대형 해양구조물을 수용하는데 안전성 측면 등에서 한계가 있다.
초대형 해양구조물을 수용하기 위해 신규 안벽을 설치하는 방법 이외에 기존의 안벽을 보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기존의 안벽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그라우팅 시공을 통해 기존 안벽의 강도를 높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그라우팅 시공을 통해 기존 안벽의 강도를 높이는 방법은 강도 증가의 폭이 작아 초대형 해양구조물을 수용하는데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350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안벽에 대해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하여 보강함으로써 5만톤이상 10만톤 하중인 초대형 해양구조물에 대해 수용 가능하도록 기존 안벽의 설계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는 기존 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기존 안벽구조물; 기존 안벽구조물의 바다쪽 전방부에 설치, 고정된 복수의 강관파일;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면이 기존 지면 및 기존 안벽구조물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슬래브; 기존 지면과 슬래브의 상부면 상에 각각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신규 레일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레일받침구조물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레일받침구조물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단차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다른 단차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을 따라 이동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로드아웃시키는 제 2 링크빔; 및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 및 제 2 링크빔 상에 형성되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신규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 안벽구조물에 인접하는 강관파일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기존 안벽구조물과 강관파일 열 사이에 그라우팅 공정을 통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은 기존 안벽구조물에 접하는 바다의 수중지면에 복수의 강관파일을 이격하여 설치하는 단계; 기존 안벽구조물과 그에 인접하는 강관파일 열 사이의 토사를 제거하고, 토사가 제거된 부위의 공간에 시멘트 또는 몰탈을 이용하여 그라우팅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강관파일의 상부에 철근 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 기존 지면과 슬래브의 상부면 상에 각각 일정 높이의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제 1 레일받침구조물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단차부에 제 1 링크빔을 설치하는 단계;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다른 단차부에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로드아웃시키는 제 2 링크빔을 설치하는 단계; 및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 및 제 2 링크빔 상에 신규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관파일은 PRD(percussion rotary drill) 공법 또는 항타공법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강관파일, 슬래브,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대, 제 2 링크빔 등으로 이루어지는 잔교식 구조물이 기존 안벽구조물을 보강함에 따라 수직하중, 수평하중 등의 설계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신규의 레일받침구조물 및 링크빔을 통해 초대형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로드아웃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강관파일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조선소의 안벽을 보강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선소의 안벽은 도크에서 진수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접안시켜 후속의 공정을 진행하거나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인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도크에서 진수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안벽으로 이동하여 안벽에 접안되는 방식임에 따라, 안벽은 일정 설계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안벽의 설계하중을 증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세부적으로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하여 기존 안벽의 설계하중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여 궁극적으로, 5만톤이상 10만톤 하중인 초대형 해양구조물을 수용 가능한 안벽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안벽보강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안벽구조물(10)이 존재한다. 상기 안벽구조물(10)은 기존의 안벽에 해당되는 구조물로서, 복수단의 블록이 철근 콘크리트 방식으로 수직 적층된 구조물이다. 상기 안벽구조물(10)의 상면 상에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11)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11)은 도크(도시하지 않음)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크와 안벽구조물(10) 사이의 레일 하부에는 골리앗 크레인, 집(jib) 크레인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파일(pile)(12)(13)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하여 기존의 안벽구조물(10)을 보강함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안벽구조물(10)을 보강하기 위해 강관파일(110), 슬래브(130),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 제 1 링크빔(160), 제 2 링크빔의 구성이 추가된다.
상기 강관파일(110)은 안벽의 전방부 즉, 안벽 전방의 바다에 고정되어 슬래브(130),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 제 1 링크빔(160), 제 2 링크빔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관파일(110)은 복수개가 복수의 열을 지어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3개의 강관파일(110)이 하나의 열을 이루고, 5개의 강관파일(110) 열이 수중 지반에 고정될 수 있다. 안벽에 인접하는 강관파일(11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안벽과 강관파일(110) 열 사이에 그라우팅 공정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2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의 강관파일(110) 상부에는 선반 형태로 슬래브(130)가 구비된다. 상기 슬래브(130)는 강관파일(110)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설계하중을 증가시킴과 함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래브(130)의 상부면은 기존에 설치된 레일면과 일치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래브(130)의 상부면, 기존 안벽구조물(10)의 상부면, 기존 레일이 설치된 기존 지면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여기서, 기존 지면이라 함은 도크와 안벽구조물(10) 사이의 지면을 일컫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 지면의 하부에는 골리앗 크레인, 집(jib) 크레인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파일(pile)(12)(13)이 구비된다.
기존 레일의 상부에는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이 구비되고, 상기 슬래브(130)의 상부면에는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이 구비된다.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및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은 신규 레일(18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규 레일(18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함께 신규 레일(180)을 따라 이동되는 해양구조물의 하중을 견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및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은 복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조합하여 완성할 수 있다.
기존 안벽구조물(10) 상에는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또는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이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을 따라 이동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 사이에 제 1 링크빔(160)이 구비된다. 또한,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의 다른 일단측에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최종적으로 로드아웃(load out)시키기 위한 제 2 링크빔(170)이 구비된다.
제 1 링크빔(160)과 제 2 링크빔(170)의 배치를 위해 마주보는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의 일단측 그리고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의 다른 일단측에 단차부가 구비되며, 제 1 링크빔(160)과 제 2 링크빔(170)은 상기의 단차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를 통해,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및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 상의 신규 레일(180)은 제 1 링크빔(160) 및 제 2 링크빔(170)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제 1 링크빔(160),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 및 제 2 링크빔(170)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에서 기존 안벽구조물(10)에 강관파일(110), 슬래브(130),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 제 1 링크빔(160), 제 2 링크빔(170)이 보강되는 형태임에 따라 이들 구성의 조합을 잔교식 구조물이라 칭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안벽보강구조를 설치하는 방법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존의 안벽구조물(10) 및 주변구조물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크(도시하지 않음)와 안벽구조물(10) 사이의 지면 상에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존 레일이 구비되며, 기존 레일은 도크로부터 안벽구조물(10)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도크와 안벽구조물(10) 사이의 레일 하부에는 골리앗 크레인, 집(jib) 크레인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파일(pile)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안벽구조물(10)에 접하는 바다의 수중지면은 안벽구조물(10)의 일정 지점에 접하는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이 진행된다. 먼저, 강관파일(110)의 설치공정을 진행한다(도 3a 참조). 구체적으로, 안벽구조물(10)에 접하는 바다의 수중지면에 박혀 고정되도록 강관파일(110)을 설치한다. 강관파일(110)의 설치는 PRD(percussion rotary drill) 공법 또는 항타공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천공시공성 및 소음, 진동 등을 고려하면 PRD 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관파일(110)은 후술하는 슬래브(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일정 영역 상에 복수개의 강관파일(110)이 설치되며, 복수개의 강관파일(110)은 복수의 열을 지어 배치된다. 또한, 복수개의 강관파일(110)은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하나의 열에 3개의 강관파일(110)을 배치되고, 5개의 열로 강관파일(110) 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관파일(110)의 설치 전에, 필요에 따라 강관파일(110)이 설치되는 수중지면에 저면매트를 미리 깔아놓을 수도 있다.
강관파일(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안벽구조물(10)의 인접하는 강관파일(110)이 안벽구조물(10)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벽구조물(10)과 강관파일(110) 사이에 그라우팅 공정을 실시한다(도 3b 참조). 구체적으로, 안벽구조물(10)과 그에 인접하는 강관파일(110) 열 사이의 토사를 제거하고, 토사가 제거된 부위의 공간에 시멘트 또는 몰탈을 이용하여 그라우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라우팅 공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슬래브(130) 설치공정을 진행한다(도 3c 참조). 구체적으로, 강관파일(110)의 상단부와 결합되도록 철근 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130)를 설치한다. 슬래브(130)가 복수의 강관파일(110)과 결합됨에 따라,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이 증가된다. 상기 슬래브(130)의 상부면은 기존 레일이 설치된 지면 및 기존 안벽구조물(10)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슬래브(13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및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의 설치공정을 실시한다(도 3d 참조).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은 기존 지면 및 기존 레일 상에 설치되고,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은 슬래브(130)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며,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은 동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및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은 신규 레일(18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함께 신규 레일(180)을 따라 이동되는 해양구조물의 하중을 견디는 역할을 하며, 복수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조합하여 완성할 수 있다.
마주보는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의 일단측의 단차부에는 제 1 링크빔(160)이 설치되며, 바다를 향하는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의 다른 일단측의 단차부에는 제 2 링크빔(170)이 설치된다(도 3e 참조). 상기 제 1 링크빔(160)은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 사이를 연결하며, 제 2 링크빔(170)은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제 1 링크빔(160),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을 거쳐 이동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최종적으로 바다로 로드아웃(load out)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 제 1 링크빔(160) 및 제 2 링크빔(17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 1 레일받침구조물(140), 제 2 레일받침구조물(150), 제 1 링크빔(160) 및 제 2 링크빔(170) 상에 신규 레일(180)을 설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은 완료된다.
10 : 기존 안벽구조물 11 : 기존 레일
12 : 골리앗 크레인 고정용 파일 13 : 집 크레인 고정용 파일
110 : 강관파일 120 : 콘크리트 구조물
130 : 슬래브 140 : 제 1 레일받침구조물
150 : 제 2 레일받침구조물 160 : 제 1 링크빔
170 : 제 2 링크빔 180 : 신규 레일

Claims (4)

  1. 기존 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기존 안벽구조물;
    기존 안벽구조물의 바다쪽 전방부에 설치, 고정된 복수의 강관파일;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면이 기존 지면 및 기존 안벽구조물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슬래브;
    기존 지면과 슬래브의 상부면 상에 각각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신규 레일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레일받침구조물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레일받침구조물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단차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다른 단차부에 거치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을 따라 이동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로드아웃시키는 제 2 링크빔; 및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 및 제 2 링크빔 상에 형성되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신규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존 안벽구조물에 인접하는 강관파일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기존 안벽구조물과 강관파일 열 사이에 그라우팅 공정을 통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3. 기존 안벽구조물에 접하는 바다의 수중지면에 복수의 강관파일을 이격하여 설치하는 단계;
    기존 안벽구조물과 그에 인접하는 강관파일 열 사이의 토사를 제거하고, 토사가 제거된 부위의 공간에 시멘트 또는 몰탈을 이용하여 그라우팅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강관파일의 상부에 철근 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
    기존 지면과 슬래브의 상부면 상에 각각 일정 높이의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제 1 레일받침구조물과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단차부에 제 1 링크빔을 설치하는 단계;
    제 2 레일받침구조물의 다른 단차부에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로드아웃시키는 제 2 링크빔을 설치하는 단계; 및
    제 1 레일받침구조물, 제 1 링크빔, 제 2 레일받침구조물 및 제 2 링크빔 상에 신규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은 PRD(percussion rotary drill) 공법 또는 항타공법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
KR1020190047220A 2019-04-23 2019-04-23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 KR10226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220A KR102262861B1 (ko) 2019-04-23 2019-04-23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220A KR102262861B1 (ko) 2019-04-23 2019-04-23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78A true KR20200123978A (ko) 2020-11-02
KR102262861B1 KR102262861B1 (ko) 2021-06-08

Family

ID=7339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220A KR102262861B1 (ko) 2019-04-23 2019-04-23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2905A (zh) * 2021-08-27 2021-12-24 华东勘测设计院(福建)有限公司 一种综合提升的防洪墙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496B1 (ko) * 2011-07-05 2011-12-19 주식회사 유일종합기술단 노후 잔교식 안벽의 개축 공법 및 중력식 구조의 널말뚝 안벽
KR20150029379A (ko) * 2013-09-10 2015-03-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탑사이드 설비의 이송 시스템
JP2015059362A (ja) * 2013-09-19 2015-03-3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桟橋の耐震補強構造
KR20150035047A (ko) 2013-09-27 2015-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임시 안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496B1 (ko) * 2011-07-05 2011-12-19 주식회사 유일종합기술단 노후 잔교식 안벽의 개축 공법 및 중력식 구조의 널말뚝 안벽
KR20150029379A (ko) * 2013-09-10 2015-03-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탑사이드 설비의 이송 시스템
JP2015059362A (ja) * 2013-09-19 2015-03-3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桟橋の耐震補強構造
KR20150035047A (ko) 2013-09-27 2015-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용 임시 안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2905A (zh) * 2021-08-27 2021-12-24 华东勘测设计院(福建)有限公司 一种综合提升的防洪墙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861B1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1201B2 (ja) 橋を建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橋を建造する装置
US10179984B2 (en) Dock 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2262861B1 (ko)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및 잔교식 구조물을 이용한 안벽보강방법
JP5510692B1 (ja) 鋼製仮締切設置工法及びこれに用いる低空用移動式クレーン台船
CN103498420B (zh) 大型钢箱梁上岸施工方法
KR102616709B1 (ko) 안벽의 옆을 따라 있는 수중 바닥을 위한 세굴 방지부 및 이러한 세굴 방지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200123977A (ko) 선반식 강관널말뚝 안벽보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벽보강구조
JP2021063404A (ja) 既存岸壁の改良構造及び改良方法
KR20220068125A (ko)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JP6641873B2 (ja) 岸壁・護岸の補強構造および岸壁・護岸の補強構築方法
KR100583007B1 (ko) 조립식 잔교형 부두
KR100750223B1 (ko) 이동식 부유안벽
Srinivasan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large shiplift facility in India
CN212612252U (zh) 一种码头升级改造结构
CN114671265B (zh) 智能化重物移位装置
RU2809068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ростверка мостовой опоры в акватории реки
JP2009137682A (ja) 吊り枠装置
CN111335313B (zh) 一种码头桩沉桩工艺
Leonard et al. Offshore Technology Utilized to Accelerate Nearshore Barge Terminal Construction
KR20240025325A (ko) 쇄석기둥 결속형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축조방법
RU2459902C2 (ru) Способ расширения причальных сооружений и перегрузочный причал
Arora et al.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ABC) Techniques for Heavy Lift (HL) & Materials Off-Loading Facility (MOF)
Paparis et al. Modernizing A Three Decade Old Wharf Structure For The Next Generation of Containerships
Vanderloos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Marine Structures for New Woodchip and Grain Handling Facility at Geelong, Vic
CN112623146A (zh) 船舶生活区总段拖移工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