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282A -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282A
KR20200122282A KR1020200135773A KR20200135773A KR20200122282A KR 20200122282 A KR20200122282 A KR 20200122282A KR 1020200135773 A KR1020200135773 A KR 1020200135773A KR 20200135773 A KR20200135773 A KR 20200135773A KR 20200122282 A KR20200122282 A KR 2020012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ball
eco
joints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진
류민
Original Assignee
(주)건설기술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설기술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건설기술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20013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282A/ko
Publication of KR2020012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7Geotextiles 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9Geotextiles with multi-lay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은, 사면(斜面)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사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Green Net Form)에 있어서, 사면을 따라 설치되고, 제1 섬유대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제1 방틀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틀공은, 토목 섬유(Geosynthetics)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합될 때에 제1 섬유대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을 서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면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는 상기 사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Green Net Form for reinforcing bag slop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비해 사면 침식 방지 및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사면 보강 공사를 보다 용이하게 시공할 있고, 사면 보강 공사 및 식생 환경 조성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농업용 배수로, 도로 또는 철도, 아파트 단지, 댐 또는 저수지, 해안 또는 간척지 제방 등을 시공하는 지역에는 사면(斜面)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사면의 침식 및 세굴을 방지함과 동시에 주변 자연 환경과 조화되는 친환경 사면 보강 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사면 보강 공법으로, 사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격자 형태로 설치하고, 콘크리트 블록의 내부에 잔디, 화훼, 초목 등을 심어 생육시킴으로써, 사면으로부터 토사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면에 식생 환경을 조성하는 공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681호(친환경 식생블록)(2001년 10월 8일 공고) 등에는 내부에 흙, 자갈 등을 담을 수 있는 식수, 식생용 공간이 형성되고 조립이 용이한 콘크리트 식생 블록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는, 콘크리트 블록이 사면의 굴곡에 대응하지 못하므로 해당 사면의 면 고르기 작업(토공 작업) 등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고, 콘크리트 블록의 성형 및 양생 작업, 그 설치 시공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전체 시공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단순히 격자 형태로 배치하여 사면에 설치한 것이므로, 콘크리트 블록의 상호 결합이 약하여 하천 사면 등과 같이 물이 흐르는 지역이나 장마 등 비가 많이 내릴 때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침식 및 세굴이 발생하는 경우, 토사의 유출 및 이에 따른 식생 환경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는, 콘크리트 블록이 설치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세굴이 발생하는 경우, 기존 콘크리트 블록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보수 및 보강 작업)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비해 사면 침식 방지 및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사면 보강 공사를 보다 용이하게 시공할 있고, 사면 보강 공사 및 식생 환경 조성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이 요구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681호(친환경 식생블록)(2001년 10월 8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섬유대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방틀공을 조합하여 사면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비해 사면 침식 방지 및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사면 보강 공사를 보다 용이하게 시공할 있고, 사면 보강 공사 및 식생 환경 조성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은, 사면(斜面)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사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Green Net Form)에 있어서, 사면을 따라 설치되고, 제1 섬유대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제1 방틀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틀공은, 토목 섬유(Geosynthetics)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합될 때에 제1 섬유대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을 서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면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는 상기 사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은 각각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제는 콘크리트(Concrete), 시멘트(cement), 모르터(Mortar), 잡석, 토사 또는 모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상기 제1 방향의 행 간격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열 간격이 서로 동일한 격자(lattice) 구조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행에 포함된 복수의 접합부 각각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접합부 각각은 선택적으로 전체 또는 일부가 절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은, 사면(斜面)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사면에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Green Net Form)을 설치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은 사면에 설치되는 제1 방틀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틀공은, 토목 섬유(Geosynthetics)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합될 때에 제1 섬유대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을 서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면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사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섬유대를 상기 사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섬유대의 내부에 충진제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 중 전체 또는 일부에 식생활착(植生活着)을 위한 토사 또는 잡석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방틀공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제2 섬유대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은, 상기 제1 방틀공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한 곳의 세굴을 방지하는 백 타입(Bag type) 또는 매트 타입(Mat type)의 세굴 방호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은, 상기 제2 섬유대의 내부에 동물 이동 통로 또는 동물 서식 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은, 사면(斜面)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사면에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Green Net Form)을 설치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은 사면에 설치되는 제1 방틀공과, 상기 사면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방틀공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틀공은, 토목 섬유(Geosynthetics)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합될 때에 제1 섬유대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을 서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면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사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은, 토목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섬유대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백 타입(Bag type) 또는 매트 타입(Mat type)의 세굴 방호공이며, 상기 제1 섬유대와 상기 제2 섬유대를 상기 사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섬유대의 내부에 충진제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섬유대의 내부에 충진제를 주입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 중 전체 또는 일부에 식생활착(植生活着)을 위한 토사 또는 잡석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섬유대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방틀공을 조합하여 사면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비해 사면 침식 방지 및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사면 보강 공사를 보다 용이하게 시공할 있고, 사면 보강 공사 및 식생 환경 조성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제1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되는 경우, 사면의 횡단 방향을 따라 두껍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로 인해 접합부의 상부면에 채워진 토사 또는 잡석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고 유지되므로, 복수의 접합부를 절개하지 않아도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복수의 접합부를 절개하지 않으므로 사면의 토사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사면에 설치되는 제1 방틀공의 일단에 세굴 방지를 위한 제2 방틀공을 연결함으로써, 제2 방틀공이 설치된 하천 사면에 2차 세굴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유지 보수 작업 없이 2차 세굴이 발생한 사면이 자연스럽게 보강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비해 하천 사면의 세굴 방지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따르면, 제2 방틀공에 동물 이동 통로 또는 동물 서식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자연 생태계와 최대한 조화된 보다 친환경적인 사면 보강 구조 및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의 제1 방틀공을 구성하는 접합부의 다양한 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의 제1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후 복수의 접합부가 절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의 제1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후 복수의 접합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의 제1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후 접합부의 상태에 따라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2 방틀공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2 방틀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2 방틀공의 다른 예에서 접합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 및 제2 방틀공이 하천 사면에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 및 제2 방틀공이 하천 사면에 설치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2 방틀공의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Green Net Form)(100)은 사면(斜面)(G)의 침식에 따른 토사 유실을 방지하여 사면(G)을 보강하기 위해 사면(G)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면(G)은 하천 사면, 농업용 배수로, 도로 또는 철도, 아파트 단지의 경사면, 댐 또는 저수지의 경사면, 해안 또는 간척지 제방의 경사면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100)은, 사면(G)에 설치되는 제1 방틀공(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틀공(110)은 전체적으로 매트(Mat) 형상을 가지고, 제1 섬유대(111)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M2)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틀공(110)은 제1 섬유대(111)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 복수의 접합부(112), 복수의 제1 기둥부(113) 및 복수의 제2 기둥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직물(111a) 및 하부 직물(111b)은 토목 섬유(Geosynthetics)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합될 때에 제1 섬유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은 각각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와 신도(Persentage slongation at break)가 우수한 고강도 토목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은 각각 한 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중량, 인장 강도 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여러 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직물(111a) 또는 하부 직물(111b)은 적절한 위치에 충진제(M2)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충진제 주입구(111c)가 형성될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충진제 주입구(111c)는 제1 섬유대(111)의 표면으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된 원통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충진제(M2)의 주입 후 노끈 등으로 묶어 마감될 수 있다.
충진제(M2)는 콘크리트(Concrete), 시멘트(cement), 모르터(Mortar), 잡석, 토사 또는 모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진제(M2)는 사면(G)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토사, 모래, 잡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강도 증가의 필요성 등으로 인해 충진제(M2)로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터 등이 사용되는 경우, 충진제(M2)는 페이스트 상태로 제조된 상태에서 레미콘 차에 탑재되어 제1 방틀공(110)의 설치 현장으로 이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현장 여건, 제1 방틀공(110)이 설치되는 사면(G)의 형상, 상태 등에 따라 현장 비빔(Field mixing)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도 3의 (a)에서는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이 복수의 접합부(112)에 의해 서로 접합된 제1 섬유대(111)에 충진제(M2)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의 (b)에서는 제1 충진제 주입구(111c)를 통해 충진제(M2)가 주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접합부(112)는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을 서로 접합하도록 사면(G)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도 2 및 도 3의 예에서, ±Y 방향)과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도 2 및 도 3의 예에서, ±X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합부(112)는, 제1 방향의 행 간격이 서로 동일하고, 제2 방향의 열 간격이 서로 동일한 격자(lattice) 구조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접합부(112)는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을 서로 접합하도록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의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접합부(112)는 상부 직물(111a)(또는, 하부 직물(111b))에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 직물(111b)(또는, 상부 직물(111a))과 접합되거나,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에 각각 형성된 후 접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접합부(112)는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을 서로 접합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필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와는 달리 배수 기능이 우수하고 토사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면(G)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합부(112)는 제1 기둥부(113) 또는 제2 기둥부(114)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접합부(112)를 일부 절개할 경우에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접합부(112)의 폭은 제1 기둥부(113) 또는 제2 기둥부(114)의 폭보다 대략 2~5 배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접합부(112)의 폭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면(G)의 용도, 지형,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각각의 접합부(112)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접합부(112)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각각의 접합부(112)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접합부(112) 중 일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기둥부(113)는 복수의 접합부(112)를 제외한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M2)가 경화되며, 제1 방향(도 2 및 도 3의 예에서, ±Y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기둥부(114)는 복수의 접합부(112)를 제외한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M2)가 경화되며, 제2 방향(도 2 및 도 3의 예에서, ±X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방틀공(110)이 사면(G)에 설치되었을 때에, 복수의 제1 기둥부(113)는 사면(G)의 종단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제2 기둥부(114)는 사면(G)의 횡단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틀공(110)은 서로 종단 방향과 횡단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기둥부(113) 및 복수의 제2 기둥부(114)로 인해 사면(G)에 설치된 이후에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합부(112)가 제1 방향의 행 간격이 서로 동일하고, 제2 방향의 열 간격이 서로 동일한 격자(lattice) 구조를 가지도록 배치된 경우, 각각의 제2 기둥부(114)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기둥부(113)는 제1 방향(도 2 및 도 3의 예에서, ±Y 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복수의 제1 기둥부(113) 및 복수의 제2 기둥부(114)의 단면이 원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타원형 등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방틀공(110)이 사면(G)에 설치되었을 때, 자중에 의해 복수의 제1 기둥부(113) 및 복수의 제2 기둥부(114)의 단면이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하단이 약간 눌린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100)의 제1 방틀공(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기둥부(114)는 사면(G)으로부터의 높이가 복수의 제1 기둥부(11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기둥부(114)의 높이는 제1 기둥부(113)의 높이보다 대략 2 배 이상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틀공(110)이 사면(G)에 설치되는 경우, 사면(G)의 횡단 방향을 따라 두껍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114)로 인해 접합부(112)의 상부면에 채워진 토사 또는 잡석(S)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고 유지되므로, 복수의 접합부(112)를 절개하지 않아도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복수의 접합부(112)를 절개하지 않으므로 사면(G)의 토사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면(G)의 횡단 방향을 따라 두껍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114)로 인해 복수의 접합부(112)에 토사 또는 잡석(S)을 인위적으로 채우지 않아도, 사면(G) 주변의 토사 또는 잡석(S)이 자연스럽게 채워질 수 있으므로, 주변 조건에 알맞은 식생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접합부(112)는 필요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접합부(112)는 절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토사 또는 잡석(S)이 채워질 수 있으나, 사면(G)의 형상, 상태 등에 따라, 특정 접합부(112)는 절개된 상태에서 토사 또는 잡석(S)이 채워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의 제1 방틀공을 구성하는 접합부의 다양한 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합부(112)는 절개되지 않고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는 필터부(112a)와, 절개되어 제거되는 절개부(112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a)에서는 절개부(112b)가 직사각형 형태로 절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4의 (b)에서는 절개부(112b)가 마름모 형태로 절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의 (c)에서는 절개부(112b)가 원 형태로 절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4의 (d)에서는 절개부(112b)가 X자 형태로 절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4의 (e)에서는 절개부(112b)가 십자 형태로 절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각각의 접합부(112)는, 상부 직물(111a)과 하부 직물(111b)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는 필터부(112a)가 없이, 전체가 완전히 절개되는 절개부(112b)로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접합부(112)는,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행에 포함된 복수의 접합부(112) 각각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에서는 복수의 접합부(112)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제1 방틀공(110)의 제1 섬유대(111)에 충진제(M2)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의 (b)에서는 제1 섬유대(111)에 충진제(M2)가 주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에서는 제1 방틀공(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접합부(112)가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행과 열 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6에서는 인접한 행 또는 열에 형성된 접합부(112)가 서로 교차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틀공(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접합부(112)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 제1 방틀공(110)의 일부 부분이 취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전체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6에서는 1 개의 제1 방틀공(110)이 사면(G)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방틀공(110)은 사면(G)의 형상, 상태 등에 따라 설치 면적이 결정되면 1 개의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제1 방틀공(110)이 서로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100)이 사면(G)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의 제1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후 복수의 접합부가 절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의 제1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후 복수의 접합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제1 방틀공(110)이 사면(G)에 설치된 후 복수의 접합부(112)가 절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접합부(112)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유입된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에서는 제1 방틀공(110)이 사면(G)에 설치된 후 복수의 접합부(112)가 절개된 상태에서 각각의 접합부(112)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유입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합부(112)가 절개되지 않는 경우, 각각의 접합부(112)와 사면(G) 사이는 사면(G) 표면의 토사(S0)가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채워지고, 접합부(112) 각각의 상부면에는 인접하는 2 개의 제2 기둥부(114) 사이 공간에 사면(G) 주변의 토사 또는 잡석(S)이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채워지거나, 인위적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접합부(112)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채워지면, 복수의 제1 기둥부(113)는 토사 또는 잡석(S)에 묻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합부(112)가 절개된 경우, 각각의 접합부(112)에는 인접하는 2 개의 제2 기둥부(114) 사이 공간에 사면(G) 주변의 토사 또는 잡석(S)이 인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a)에서는 복수의 접합부(112)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채워진 후, 토사 또는 잡석(S)에 잔디, 화훼, 초목 등(F1)을 심은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7 및 도 8의 (b)에서는 복수의 접합부(112)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채워진 후, 토사 또는 잡석(S)에 잔디, 화훼, 초목 등(F1)을 심고 복수의 제2 기둥부(114) 중 일부에 화분 등(F2)을 거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틀공(110)이 하천 사면(G)에 설치되는 경우, 사면(G)은 하천 바닥면과 하천이 흐르는 부분인 하천 수면(W)의 아래 부분과 하천 수면(W)의 윗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수면(W)의 윗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접합부(112)에는 비교적 작은 입자를 가지는 토사(S1)를 채우므로, 잔디, 화훼, 초목 등(F1)이 자라기에 양호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하천 수면(W)의 윗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접합부(112)가 절개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접합부(112)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절개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수면(W)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접합부(112)에는 비교적 큰 입자를 가지는 자갈, 잡석 등(S2)을 채우므로, 플랑크톤, 어패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하천 수면(W)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접합부(112)에 자갈, 잡석 등(S2)을 채우는 대신, 물고기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어소(漁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천 수면(W)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접합부(112)에는 필요에 따라 자갈, 잡석 등(S2) 이외에 모르터가 주입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복수의 접합부(112)가 모두 절개되지 않은 예를 도시하고, 도 8에서는 복수의 접합부(112)가 모두 절개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접합부(112) 중 일부만 절개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100)을 사면(G)에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의 제1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후 접합부의 상태에 따라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100)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100)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110)의 제1 섬유대(111)를 사면(G)에 설치할 수 있다(S110).
상술한 바와 같이, 충진제(M2)가 주입되지 않은 제1 방틀공(110)의 제1 섬유대(111)는 넓은 천과 같은 형태를 가지므로, 사면(G)의 형상을 따라 자연스럽게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제1 충진제 주입구(111c)는 충진제(M2) 주입 작업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0의 (a)에서는 제1 섬유대(111)의 내부에 충진제(M2)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섬유대(111)를 사면(G)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1 섬유대(111)의 내부에 충진제(M2)의 일부가 주입된 상태에서 제1 섬유대(111)를 사면(G)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면(G)에 굴곡부가 존재하는 경우, 토공 작업이 필요할 때에는 사면(G)에 대한 고르기 작업(토공 작업)을 먼저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섬유대(111)는 와이어(Wire) 또는 로프(Rope)에 의해 사면(G)에 설치된 말뚝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섬유대(111)를 사면(G)에 설치한 후(S110), 도 9 및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섬유대(111)의 내부에 충진제(M2)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복수의 제1 기둥부(113) 및 복수의 제2 기둥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S120).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제(M2)는 제1 섬유대(111)에 형성된 제1 충진제 주입구(111c)를 통해 주입되며, 복수의 접합부(112)를 제외한 복수의 제1 기둥부(113) 및 복수의 제2 기둥부(114)는 충진제(M2)의 주입이 진행되는 동안 설계에 의해 미리 정해진 크기만큼 팽창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충진제(M2)의 주입을 마친 후, 충진제 주입구(111c)는 노끈 등에 의해 묶여 깔끔하게 마감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충진제(M2)를 경화시켜 복수의 제1 기둥부(113) 및 복수의 제2 기둥부(114)를 형성한 후(S120),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합부(112) 중 전체 또는 일부에 식생활착(植生活着)을 위한 토사 또는 잡석(S)을 채울 수 있다(S130).
도 11의 (a)에서는 복수의 접합부(112)가 절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접합부(112)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유입된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의 (b)에서는 복수의 접합부(112)가 절개된 상태에서 각각의 접합부(112)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유입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합부(112)가 절개되지 않은 경우, 접합부(112) 각각의 상부면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자연스럽게 유입되거나 인위적으로 채워진 후,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 화훼, 초목 등(F1)을 심어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합부(112)가 절개된 경우, 접합부(112) 각각에 토사(S1) 또는 잡석(S2)을 채운 후,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 화훼, 초목 등(F1)을 심어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이 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2 방틀공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2 방틀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2 방틀공의 다른 예에서 접합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200)은 사면(G)의 침식에 따른 토사 유실을 방지하여 사면(G)을 보강하기 위해 사면(G)에 설치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G)에 설치되는 제1 방틀공(210)과, 제1 방틀공(210)에 연결되는 제2 방틀공(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틀공(210)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1 방틀공(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방틀공(220)은 사면(G)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제1 방틀공(210)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사면(G)의 상단 또는 하단 부분에서의 침식 또는 세굴을 방지할 뿐 아니라, 사면(G)의 상단 또는 하단 부분에서 2차 세굴이 발생하는 경우, 세굴이 일어난 부분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1 개의 제2 방틀공(220)이 제1 방틀공(210)의 일단(도 12의 예에서, 제1 방틀공(210)의 하단)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방틀공(220)의 개수,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방틀공(220)이 제1 방틀공(210)에 연결되는 부분, 복수의 제2 방틀공(22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등 인장 강도와 신도가 우수한 고강도 토목 섬유로 이루어진 세굴 방지막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방틀공(220)은 제1 방틀공(210)과 마찬가지로, 제2 섬유대(221)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M2)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섬유대(221)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등 고강도 토목 섬유로 이루어지고, 충진제(M2)는 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터, 잡석, 토사 또는 모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방틀공(220)은 제1 방틀공(210)의 일단 또는 타단의 세굴을 방지하는 백 타입(Bag type) 또는 매트 타입(Mat type)의 세굴 방호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3에서는 제2 방틀공(220)이 백 타입(Bag type)의 세굴 방호공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 방틀공(220)의 제2 섬유대(221)는 굴곡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3의 (a)에서는 제2 섬유대(221)의 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인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의 (b)에서는 제2 섬유대(221)의 단면이 타원형 형태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섬유대(2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2 섬유대(221)는 적절한 위치에 충진제(M2)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충진제 주입구(221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는 제2 방틀공(220)이 매트 타입(Mat type)의 세굴 방호공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틀공(220)은, 토목 섬유로 이루어지며, 제2 섬유대(221)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221a) 및 하부 직물(221b), 상부 직물(221a)과 하부 직물(221b)을 서로 접합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222) 및 복수의 접합부(222)를 제외한 상부 직물(221a)과 하부 직물(221b) 사이의 내부 공간에 주입된 충진제(M2)가 경화되는 복수의 충진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는 제2 방틀공(2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접합부(222) 각각이 정사각형 형태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접합부(222) 각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합부(222)는 정사각형 형태 이외에도, 직사각형 형태, 연속 십자 형태, 불연속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200)은, 사면(G)에 설치되는 제1 방틀공(210)의 일단에 세굴 방지를 위한 제2 방틀공(220)을 연결함으로써, 제2 방틀공(220)이 설치된 하천 사면(G)에 2차 세굴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유지 보수 작업 없이 2차 세굴이 발생한 사면(G)이 자연스럽게 보강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비해 하천 사면(G)의 세굴 방지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200)이 사면(G)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 및 제2 방틀공이 하천 사면에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6에서는 제1 방틀공(210)이 사면(G)에 설치된 후 복수의 접합부(212)가 절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접합부(212)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유입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의 접합부(212)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절개된 상태에서 토사 또는 잡석(S)이 유입될 수도 있다.
도 16의 (a)에서는 제1 방틀공(210)의 하단에 백 타입(Bag type)으로 형성된 2 개의 제2 방틀공(220)이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방틀공(220)은 사면(G)의 하단 부분에서의 침식 또는 세굴을 방지할 뿐 아니라, 사면(G)의 하단 부분에서 2차 세굴이 발생하는 경우, 세굴이 일어난 부분(G1)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G)의 하단에 제2 방틀공(220)이 설치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하천의 흐름에 따라 2차 세굴이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제2 방틀공(220)은 2차 세굴이 발생한 부분(G1)의 지형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2 방틀공(220)은 2차 세굴이 발생한 위치(G1)에서 세굴이 발생한 부분(G1)의 지형에 맞게 이동한 후 해당 위치에 고정되므로, 2차 세굴이 발생한 위치(G1)에 대한 추가 보강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제1 방틀공(210)과 제2 방틀공(220) 사이, 2 개의 제2 방틀공(220) 사이에 구비된 세굴 방지막(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추가 세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의 (b)에서는 제1 방틀공(210)의 상단에 백 타입(Bag type)으로 형성된 1 개의 제2 방틀공(220)이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16의 (b)에 도시된 제2 방틀공(220)은 사면(G)의 상단 부분에서의 침식 또는 세굴을 방지할 뿐 아니라, 사면(G)의 상단 부분에서 2차 세굴이 발생하는 경우, 세굴이 일어난 부분(G1)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의 (a)에서는 제2 방틀공(220)이 제1 방틀공(210)의 하단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도 16의 (b)에서는 제2 방틀공(220)이 제1 방틀공(210)의 상단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방틀공(220)은 제1 방틀공(210)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연결될 수도 있고, 제1 방틀공(210)에 연결되는 제2 방틀공(220)의 개수, 타입 등은 사면(G)의 형상, 상태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 및 제2 방틀공이 하천 사면에 설치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을 구성하는 제2 방틀공의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7에서는 제1 방틀공(210)이 사면(G)에 설치된 후 복수의 접합부(212)가 절개된 상태에서 각각의 접합부(212)에 토사 또는 잡석(S)이 유입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의 접합부(212)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절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사 또는 잡석(S)이 유입될 수도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200)을 구성하는 제2 방틀공(220)은, 제2 섬유대(221)의 내부에 동물 이동 통로 또는 동물 서식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의 (a)에서는 제1 방틀공(210)의 하단에 백 타입(Bag type)으로 형성된 2 개의 제2 방틀공(220)이 연결되고, 제2 섬유대(221)의 내부에 물고기 등 수중 생물을 위한 어소(漁所) 또는 어도(魚道)(222)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7의 (b)에서는 도 17의 (a)에 도시된 제1 방틀공(210)의 상단에 백 타입(Bag type)으로 형성된 1 개의 제2 방틀공(230)이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제2 섬유대(231)의 내부에 다람쥐, 개구리, 곤충 등 육상 생물을 위한 생태 통로(232)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섬유대(221)의 내부에 구비되는 동물 이동 통로 또는 동물 서식 공간(222, 232)은, 별도로 제작되어 제2 섬유대(221)의 내부에 미리 삽입되거나, 제2 섬유대(221)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M2)가 경화될 때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의 (a)에서는 별도로 제작된 U 자형, 또는 J 자형 관 형태를 가지는 어소 또는 어소(222)가 제2 섬유대(221)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8의 (b) 및 (c)에서는 각각 매트 타입(Mat type) 또는 튜브 타입(Tube type)인 복수의 제2 섬유대(221)가 저수 호안에 옹벽 형상으로 적층(도 18의 (b))되거나 계단 형상으로 적층(도 18의 (c))된 상태에서 내부에 충진제(M2)가 주입될 때에, 인접하는 제2 섬유대(221) 각각(221A, 221B)이 엠보싱(Embossing) 형태로 변형하여 내부에 어소 또는 어도(222)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저수 호안에 적층된 복수의 제2 방틀공(220)은 각각 옹벽(도 18의 (b))이나 계단(도 18의 (c))을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패류의 이동 또는 서식이 가능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200)은, 제2 방틀공(220)에 동물 이동 통로 또는 동물 서식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자연 생태계와 최대한 조화된 보다 친환경적인 사면 보강 구조 및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200)을 사면(G)에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200)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200)을 구성하는 제1 방틀공(210)의 제1 섬유대(211)와, 제2 방틀공(220)의 제2 섬유대(221)를 사면(G)에 설치할 수 있다(S210).
그리고, 제1 섬유대(211)의 내부에 충진제(M1)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복수의 제1 기둥부(213) 및 복수의 제2 기둥부(214)를 형성하고(S220), 제2 섬유대(221)의 내부에 충진제(M2)를 주입한 후 경화시킬 수 있다(S230). 이 때, 단계 S220와 단계 S230은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복수의 접합부(212) 중 전체 또는 일부에 식생활착을 위한 토사 또는 잡석(S)을 채울 수 있다(S240).
도 19에 도시된 단계 S210 내지 단계 S240은 도 9에 도시된 단계 S110 내지 단계 S130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제1 실시예)
110: 제1 방틀공 111: 제1 섬유대
112: 접합부 113: 제1 기둥부
114: 제2 기둥부
200: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제2 실시예)
210: 제1 방틀공 220: 제2 방틀공
221: 제2 섬유대

Claims (8)

  1. 사면(斜面)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사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Green Net Form)에 있어서,
    사면을 따라 설치되고, 제1 섬유대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제1 방틀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틀공은,
    토목 섬유(Geosynthetics)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합될 때에 제1 섬유대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을 서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면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합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 각각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는 상기 사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 각각은 선택적으로 전체 또는 일부가 절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상기 제1 방향의 행 간격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열 간격이 서로 동일한 격자(lattice) 구조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행에 포함된 복수의 접합부 각각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방틀공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제2 섬유대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은,
    상기 제1 방틀공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한 곳의 세굴을 방지하는 백 타입(Bag type) 또는 매트 타입(Mat type)의 세굴 방호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은,
    상기 제2 섬유대의 내부에 동물 이동 통로 또는 동물 서식 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7. 사면(斜面)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사면에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Green Net Form)을 설치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은 사면에 설치되는 제1 방틀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틀공은,
    토목 섬유(Geosynthetics)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합될 때에 제1 섬유대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을 서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면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접합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 각각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는 상기 사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 각각은 선택적으로 전체 또는 일부가 절개 가능하고,
    상기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은,
    상기 제1 섬유대를 상기 사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섬유대의 내부에 충진제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 중 전체 또는 일부에 식생활착(植生活着)을 위한 토사 또는 잡석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
  8. 사면(斜面)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사면에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Green Net Form)을 설치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은 사면에 설치되는 제1 방틀공과, 상기 사면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방틀공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틀공은,
    토목 섬유(Geosynthetics)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합될 때에 제1 섬유대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을 서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면의 경사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 직물과 상기 하부 직물 사이의 내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틀공은,
    토목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섬유대의 내부에 주입된 충진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백 타입(Bag type) 또는 매트 타입(Mat type)의 세굴 방호공이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 각각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는 상기 사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접합부 각각은 선택적으로 전체 또는 일부가 절개 가능하고,
    상기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은,
    상기 제1 섬유대와 상기 제2 섬유대를 상기 사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섬유대의 내부에 충진제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섬유대의 내부에 충진제를 주입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접합부 중 전체 또는 일부에 식생활착(植生活着)을 위한 토사 또는 잡석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시공 방법.
KR1020200135773A 2020-10-20 2020-10-20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200122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73A KR20200122282A (ko) 2020-10-20 2020-10-20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73A KR20200122282A (ko) 2020-10-20 2020-10-20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075A Division KR102180601B1 (ko) 2018-07-12 2018-07-12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282A true KR20200122282A (ko) 2020-10-27

Family

ID=7313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773A KR20200122282A (ko) 2020-10-20 2020-10-20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2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681Y1 (ko) 2001-03-14 2001-10-08 이원영 친환경 식생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681Y1 (ko) 2001-03-14 2001-10-08 이원영 친환경 식생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200415273Y1 (ko)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20060108595A (ko)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102211322B1 (ko) 식생토낭을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방법 및 사면보강 구조물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0802197B1 (ko) 개비온 메쉬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JP2002363990A (ja) 法面緑化工法
JPH11323943A (ja) 法面、壁面、岸面等の保護緑化構造
KR102180601B1 (ko)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US10246842B2 (en) Water barrier, in particular a dike
KR100350423B1 (ko) 식생 흙벽돌 및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법
JP5097249B2 (ja) ドレーン構造およびドレーン構造の施工方法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2282A (ko) 친환경 사면 보강 방틀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0412817Y1 (ko)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JP4220613B2 (ja) 法面、壁面、岸面等の保護緑化構造
KR101131897B1 (ko) 사면용 섬유대와 하천용 섬유대의 연결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대
KR200419609Y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호안의 식생 축조에 적합한 유공관조립체
JP2023526340A (ja) 侵食防止の改善および侵食防止に関連する改善
JP3720969B2 (ja) 法面、壁面等の緑化構造
KR102472346B1 (ko) 친환경 매트리스 개비온 철망조립체의 제조방법
JP2006249659A (ja) 地盤補強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39335A (ja) 補強土護岸工用植生マ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