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235A - 조인트 밀봉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 - Google Patents

조인트 밀봉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235A
KR20200122235A KR1020200040797A KR20200040797A KR20200122235A KR 20200122235 A KR20200122235 A KR 20200122235A KR 1020200040797 A KR1020200040797 A KR 1020200040797A KR 20200040797 A KR20200040797 A KR 20200040797A KR 20200122235 A KR20200122235 A KR 20200122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seal
pivot axis
support pi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프 바일러
Original Assignee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2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2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rigid seal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47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48Sealing means, e.g. for sealing the interior from fluid en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3S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64Features of probes
    • A61B2018/0097Cleaning prob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bipo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61B2018/145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having a moving blade for cutting tissue grasped by the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6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13Accessories designed for easy sterilising, i.e. re-u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봇 조인트(13)에 의해 서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2 개의 브랜치들(11, 12)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10)에 관한 것이다. 피봇 조인트(13)는 지지 핀(34) 및 지지 공동(37)을 갖는다. 지지 핀(34)은 특히 브랜치(11 또는 12) 중 하나와 토크 방지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다른 브랜치(12 또는 11)의 지지 공동(37)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브랜치들(11, 12) 사이에는 2 개의 브랜치들(11, 12)에 밀봉식으로 접하고 원주방향으로 지지 핀(34)을 완전히 둘러싸는 밀봉(45)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핀(34)은 축방향 단부에서 각각의 브랜치(11, 12)와 밀봉식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할 때, 모든 측면으로부터 지지 핀(34)과 지지 공동(37) 사이의 영역에 오염물의 유입 또는 접근 가능성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된다.

Description

조인트 밀봉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JOINT SEAL}
본 발명은 예컨대 열 융합 및/또는 밀봉 또는 응고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수술 기구는 각각 죠(jaw)를 갖는 2 개의 브랜치를 구비한다. 각각의 죠는 조직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조직 접촉 표면을 통해, 예컨대 조직을 밀봉하기 위해 조직 접촉 표면 사이에 클램핑된 조직을 통해 전류가 전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수술 기구는 공지되어 있다. EP 1 372 512 B1에는 각각 죠를 포함하고 서로 관절연결(articulate)되어 있는 2 개의 브랜치를 갖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전기수술 기구는 일회용 기구 또는 복수회용 기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공급자가 추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회용 기구도 재처리된다. 복수회용 기구는 복수의 적용을 위해 제공되며 각각의 사용 후에 살균 및 재처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화된 세척 및/또는 살균을 보장하는 서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2 개의 브랜치를 갖는 전기수술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에 의해 해결된다.
전기수술 기구는 제 1 브랜치 및 제 2 브랜치를 갖는다. 2 개의 브랜치는 적어도 하나의 피봇 조인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피봇 축을 중심으로 서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피봇 조인트는 지지 핀 및 지지 공동을 갖는다. 지지 핀은 지지 공동 내로 연장되고 특히 피봇 축을 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봇 조인트에서 두 브랜치 사이에 밀봉이 존재한다. 밀봉은 피봇 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피봇 핀을 완전히 둘러싼다. 밀봉은 축방향으로 밀봉 효과를 갖는다. 축방향은 피봇 축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밀봉은 제 1 브랜치 및 제 2 브랜치에서 축방향으로 밀봉식으로 접한다. 밀봉이 접하는 제 1 및 제 2 브랜치의 접합 표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밀봉에 의해 피봇 조인트는 브랜치들 사이에서 밀봉된다. 오염물은 브랜치 사이에서 피봇 핀을 둘러싼 갭으로 들어갈 수 없거나 오염물의 유입은 밀봉에 의해 적어도 완화된다. 그러나, 밀봉은 브랜치들 사이의 영역이 세척을 위해 충분히 접근 가능하도록 브랜치들 사이에 갭 또는 틈새가 남을 수 있음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은 140 ℃ 이상의 온도에서 내열성이다. 밀봉은 특히 증기 및 에틸렌 옥사이드(ETO)에 대해 투과성이다. 그렇게 할 때, 밀봉은 살균을 방해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은 실리콘으로 구성된다.
밀봉은 60 쇼어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밀봉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밀봉은 밀봉 디스크로 지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밀봉은 밀봉이 브랜치들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렇게 할 때, 밀봉과 브랜치 사이의 압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압력은 우수한 밀봉 효과를 생성한다.
제 1 브랜치는 밀봉의 접합을 위한 제 1 접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브랜치는 밀봉의 접합을 위한 제 2 접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 표면은 각각 제 1 브랜치 또는 제 2 브랜치에서 지지 핀을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가 존재한다.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는 피봇 축에 평행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브랜치의 제 1 접합 표면과 제 2 브랜치의 제 2 접합 표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한정한다. 예컨대, 축방향 거리는 0.1 mm 내지 0.4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축방향 거리는 0.2 mm의 길이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접합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피봇 조인트의 영역은 브랜치의 개방 각과 무관하게 브랜치에 의해 차폐되거나 덮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영역은 브랜치가 임의로 넓게 열리더라도 예컨대 브러시에 의해 직접 청소하거나 닦을 수 없다. 따라서, 기계적 청소를 위해 접근할 수 없다.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로 인해, 피봇 조인트 영역의 두 브랜치 사이에 한정된 갭 또는 틈새가 남는다. 따라서, 밀봉까지의 접근성이 향상된다. 또한, 두 브랜치 사이의 밀봉의 한정된 축방향 압축 또는 탄성 변형은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에 의해 미리 한정되거나 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는 또한 조인트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고 브랜치의 비틀림 및/또는 뒤틀림 및/또는 기울기를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는 브랜치들 중 하나와 고정되게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는 두 브랜치 중 하나 또는 두 브랜치 중 하나의 일부의 일체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이 하나의 브랜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를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플라스틱 코팅의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는 연결 공정 예컨대, 용접, 접착 등에 의해 브랜치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는 자유 단부에서 예컨대 피봇 축에 대해 직사각형으로 배향될 수 있는 단부면을 가질 수 있다. 단부면은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거나 적어도 볼록 구형 또는 곡선의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부면은 마찰 베어링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단부면 또는 마찰 베어링 표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는 제 1 브랜치 또는 제 2 브랜치와 접촉할 수 있다. 단부면 또는 마찰 베어링 표면은 브랜치들의 상대적인 이동 중에 작은 마찰이 발생하도록 충분히 작다. 따라서, 피봇 축에 대한 피봇 성을 보장하기 위해, 두 브랜치 사이의 마찰 베어링 접촉은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에 의해 확립된다. 적어도 3 개의 거리 요소 및 일 실시예에서 정확히 3 개의 거리 요소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요소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리 요소는 원주방향으로 피봇 축 주위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비변형 초기 조건에서, 밀봉은 탄성 변형의 생성을 위해 제 1 브랜치의 제 1 접합 표면과 제 2 브랜치의 제 2 접합 표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보다 클 수 있는 축방향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비변형 초기 조건에서의 축방향 초기 두께는 축방향 거리보다 0.1 mm 내지 0.2 mm 더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변형 초기 조건에서의 축방향 초기 두께는 축방향 거리보다 약 적어도 25 % 또는 약 적어도 50 % 만큼 더 크다. 비변형 밀봉의 축방향 초기 두께는 축방향 거리보다 최대 200 % 더 클 수 있다.
밀봉이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는 제 1 브랜치 및/또는 제 2 브랜치에 존재할 수 있다. 피봇 축에 직교 또는 방사상의 밀봉의 위치는 함몰부에 의해 미리 한정될 수 있다. 제 1 접합 표면 및/또는 제 2 접합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의 하단에 의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에 의해, 접합 표면들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두 브랜치 사이의 축방향 거리 및 그에 따른 기구의 축방향 치수를 증가시킬 필요없이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밀봉을 위한 더 두꺼운 두께가 가능하며, 이는 밀봉의 축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위한 더 큰 압축 경로 또는 압축 이동을 초래한다. 이렇게 할 때,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 공차가 우수하게 보상될 수 있다. 또한, 기구는 조인트 영역에서 재료의 수축 및/또는 마모와 같은 사용 관련 변경 및 외부 영향에 덜 민감한다.
제 1 브랜치 및/또는 제 2 브랜치에는 나이프 안내 공동이 제공될 수 있다. 나이프 안내 공동은 안내 방식으로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에 배치된 나이프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방향은 피봇 축에 평행한 축방향에 직교하도록 향한다. 이 구성에서 피봇 핀은 나이프 안내 공동에 오프셋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브랜치 및 제 2 브랜치를 서로를 향해 피봇 축에 평행한 축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누르는 편향 요소가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할 때, 공차 또는 마모를 보상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고 한정된 접합 또는 밀봉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밀봉 또는 조인트 영역에 작용하는 편향 효과 또는 편향력이 고정된 것을 의미한다. 편향 요소는 예컨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료가 마모되거나 수축하는 경우 재조정될 수 있다.
두 브랜치 사이의 밀봉 외에, 바람직하게는 지지 핀과 제 1 브랜치 및/또는 제 2 브랜치 사이의 지지 갭도 밀봉된다. 예컨대, 피봇 핀은 브랜치들 중 하나의 일체 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이 브랜치와 견고하고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고 예컨대 브랜치에 용접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핀은 브랜치에서 토크 방지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 핀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에서의 견고하고 긴밀한 연결로 인해 피봇 핀 주위의 갭에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추가의 다른 밀봉 요소는 지지 공동에서 지지 핀이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브랜치에 대해 지지 공동과 지지 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갭을 밀봉할 수 있다. 이 다른 밀봉 요소는 밀봉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추가 밀봉 요소는 밀봉 커버, 고정 요소, 특히 고정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는 지지 핀에 제공될 수 있거나 지지 핀의 일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기수술 기구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브랜치는 다른 브랜치가 연장되는 포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지지 핀은 포크부의 영역에서 두 브랜치를 통과하고 두 브랜치를 서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브랜치의 2 개의 내부 접합 표면을 위한 2 개의 밀봉이 제공된다. 포크부로 연장되는 브랜치는 밀봉들 사이에 배열되고, 따라서 양 측의 피봇 축의 영역에서 다른 브랜치의 포크부에 대하여 밀봉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이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서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2 개의 브랜치를 갖는 전기수술 기구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서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2 개의 브랜치를 갖는 전기수술 기구의 추가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전기수술 기구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브랜치의 피봇 가능한 지지를 위한 피봇 조인트의 실시예를 통한 사시 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브랜치의 피봇 가능한 지지를 위한 피봇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
도 6은 각각의 다른 브랜치를 향하는 표면에서 볼 수 있고 나이프 안내 채널 및 거리 요소를 포함하는, 피봇 조인트 영역의 브랜치의 개략도.
도 7 내지 도 11은 도 1 내지 도 3의 브랜치의 피봇 가능한 지지를 위한 피봇 조인트의 상이한 실시예의 피봇 축을 따른 하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는 브랜치들 사이에 배치된 밀봉의 축방향 압축을 도시하기 위한 기본도.
도 1 및 도 2에서, 전기 외과 수술기구(10)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예컨대 바이폴라 기구로 구성된다. 전기수술 기구(10)는 피봇 조인트(13)에 의해 서로 피봇 축(S)을 중심으로 서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브랜치(11) 및 제 2 브랜치(12)를 갖는다. 피봇 축(S)에 평행한 방향은 축방향(A)으로 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위 섹션에서 피봇 축(S) 또는 피봇 조인트(13)로부터 시작하여 연장되는 죠(14, 15)가 주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죠(14) 및/또는 제 2 죠(15)는 피봇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죠(14, 15)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도 1의 기구(10)는 작동 유닛(16)을 포함한다. 작동 유닛(16)에 의해, 예컨대 제 1 죠(14)의 제 1 조직 접촉 표면(17)과 제 2 죠(15)의 제 2 조직 접촉 표면(18)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추가 작업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두 조직 접촉 표면(17, 18) 사이에 고정되거나 유지될 수 있는 조직을 통한 전류 흐름이 유발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가위처럼 구성된 전기수술 기구(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개략적인 분해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브랜치(11)는 원위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피봇 축(S)에서 시작되는 제 1 죠 및 근위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피봇 축(S)에서 시작되는 제 1 작동부(19)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브랜치(12)는 원위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피봇 축(S)으로부터 시작되는 제 2 죠(15) 및 근위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피봇 축(S)에서 시작되는 제 2 작동 경로(20)를 포함한다.
브랜치 중 하나에서 그리고 제 1 브랜치(11)의 예에 따르면, 피봇 조인트(13)의 영역에서 그리고 피봇 조인트(13)로부터 제 1 작동부(19)의 근위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이프 안내 공동(24)이 또한 제공된다. 나이프 안내 공동(24)에서, 나이프(25)(도 3)는 이동 방향(B)으로 안내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이프 안내 공동(24)은 제 1 죠(14) 내의 제 1 안내 리세스(26)에서 그리고 제 2 죠(15) 내의 제 2 안내 리세스(27)에서 계속된다. 나이프(25)는 나이프 작동 장치(28)에 의해 안내 리세스(26, 27)를 따라 나이프 안내 공동(24) 밖으로 이동 방향(B)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직 접촉 표면들(17, 18) 사이에 유지 또는 고정된 조직은 나이프(25)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피봇 조인트(13) 또는 피봇 축(S)은 나이프 안내 공동(24)으로부터 이동 방향(B)을 가로질러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따라서, 나이프 안내 공동(24)은 피봇 조인트(13)를 지나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외부 플러그 또는 다른 적절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연결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 장치(29)는 바람직하게는 가위형 전기수술 기구의 경우에 그리고 근위 단부에서 제 1 브랜치(11) 및 따라서 제 1 작동부(19)에서 예에 따라 브랜치들 중 하나에 배치된다. 제 1 브랜치(11) 내의 개시되지 않은 도체들을 통해서, 2 개의 조직 접촉 표면(17, 18)이 전기 연결 장치(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회로는 환자의 신체 상의 추가 중성 전극(단극 RF 클램핑 기구)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2 개의 조직 접촉 표면(17, 18)은 동일한 전위를 갖는다. 조인트 영역을 내부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할 필요는 없다.
바이폴라 기구로 구성된 기구(10)에서, 두 조직 접촉 표면(17, 18) 사이의 전기 회로는 그와 접하여 조직을 통해 폐쇄된다. 2 개의 도체는 연결 장치(29)를 통해 조인트로 안내된다. 제 2 브랜치(12)의 조직 접촉 표면(18)으로의 전류 전달 및/또는 전압 전위 인가는 조인트 영역에서 실현된다. 그렇게 할 때, 특히 전위의 분리를 보장하기 위해 조인트 영역에 전기 절연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전기 연결 장치(29)는 작동 유닛(16)에 배치되고, 전기 도체는 작동 유닛(16)으로부터 시작하여 조직 접촉 표면(17, 18)으로 연장된다. 피봇 조인트(13)의 실시예의 구성은 도 3에서 분해도로 도시되고 도 4에서 이동 방향(B)에 직교하고 피봇 축(S)을 따른 사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봇 조인트(13)는 별도의 지지 핀(34)을 포함한다. 지지 핀(34)은 피봇 축(S)에 동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차축 섹션(35)을 가진다. 축방향 단부에서 지지 핀(34)은 차축 섹션(35)으로서 피봇 축(S)에 직교하는 더 큰 치수를 갖는 헤드(36)를 갖는다. 예컨대, 헤드(36)는 디스크형 및 특히 지지 핀(34)의 원형 링 디스크형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차축 섹션(35)과 헤드(36)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고정되게 연결된 개별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브랜치(11)는 지지 핀(34)의 차축 섹션(3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지지 공동(37)을 갖는다. 헤드(26)는 제 2 브랜치(12)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 1 브랜치(11)의 외면(38)에 접한다. 헤드(36) 반대편의 지지 핀(34)의 자유 단부(39)는 제 2 브랜치(12)의 관통 구멍(40)으로 연장되거나 관통 구멍(40)을 통과한다. 자유 단부(39)는 관통 구멍(40)보다 더 큰 치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봇 축(S)을 가로지르는 섹션으로 포함하는 단부(41)와 연결된다. 단부(41) 및/또는 지지 핀(34)은 예컨대 용접 및/또는 접착 및/또는 가압 끼워맞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연결에 의해 제 2 브랜치(12)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지지 핀(34)은 피봇 축(S)에 평행한 축방향(A)으로의 원하지 않는 움직임에 대해 고정된다. 단부(41)는 예컨대 용접 및/또는 접착 및/또는 가압 끼워맞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연결에 의해 지지 핀(34)과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부(41)는 디스크형 또는 판형 또는 캡형 형태를 갖는다.
제 2 브랜치(12)와 지지 핀(34)은 동일한 전위를 갖는다. 본 예에 따르면, 단부(41)는 지지 핀(34)의 자유 단부(39)를 외부에 대해 전기 절연시키고 터치 가드(touch guard)로서 기능한다. 지지 핀(34)의 자유 단부(39)의 전기 절연은 또한 다른 수단 예컨대 자유 단부(39)를 접착제와 같은 절연 재료로 덮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접착제는 예컨대 경화 후 단부(4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 예컨대 캡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부(41)는 피봇 축(S)에 평행한 축방향(A)으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에 대한 지지 핀(34)의 고정 효과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지지 핀(34)의 차축 섹션(35)은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제 2 브랜치(12)의 관통 구멍(40)에 결속될 수 있다.
단부(41)는 선택적이다. 이는 또한 독점적인 전기 절연 효과만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된 차축은 예컨대 용접에 의해 제 2 브랜치(12)와 직접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단부(41)는 실질적으로 캡에 대응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단부(41)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적 요건을 준수할 수 있고 조인트를 축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수술 기구(10)는 또한 피봇 축(S)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링 형상 방식으로 폐쇄되는 밀봉(45)을 포함한다. 밀봉(45)은 원형 링 형상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도 12에서 밀봉(45)은 개략적으로 단면에 도시되어 있다. 탄성 비변형 초기 조건에서의 밀봉(45)의 형상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피봇 축(S)에 평행한 축방향(A)에서 밀봉(45)은 축방향 두께(D)를 갖는다. 두 브랜치들(11, 12) 사이의 조립된 상태에서, 밀봉(45)은 축방향(A)으로 압축되고 그 두께는 감소된다. 축방향(A)에서의 이러한 압축으로 인해,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축(S)에 대해 방사상인 밀봉(45)의 단면 치수가 증가한다. 실선으로 도시된 밀봉(45) 및 해칭된 단면적은 축방향(A)으로 압축된 상태에 대응한다.
밀봉(45)은 제 1 브랜치(11)의 제 1 접합 표면(46)에서 축방향(A)으로 접하고 제 2 브랜치(12)의 제 2 접합 표면(47)에서 축방향(A)으로 반대 측에서 밀봉 방식으로 접한다. 제 1 접합 표면(46)은 링 형태로 지지 공동(37)을 둘러싼다. 제 2 접합 표면(47)은 링 형상 방식으로 관통 구멍(40)을 둘러싼다. 제 1 접합 표면(46)과 제 2 접합 표면(47)은 서로 마주 보며 서로의 사이에서 축방향 거리(X)를 갖고 축방향(A)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밀봉(45)은 제 1 접합 표면(46)과 제 2 접합 표면(47) 사이의 축방향 거리(X)에 대응하는 압축된 상태에서 축방향(A)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거리(X)는 0.1mm 이상 0.4mm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축방향 거리(X)는 약 0.2 mm이다. 비변형 초기 조건에서, 밀봉(45)은 예컨대 축방향 거리(X)(도 12)보다 0.1mm 내지 0.2mm 더 큰 축방향 두께(D)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두께(D)는 축방향 거리(X)보다 25 % 이상 또는 50 % 이상 또는 100 % 이상의 비변형 초기 상태에 있다. 비변형 초기 조건의 축방향 두께(D)가 축방향 거리(X)보다 최대 200 % 더 큰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다.
이 예에 따르면, 밀봉(45)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따라서 밀봉 디스크로도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 경도는 60 쇼어의 양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밀봉(45)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복합 재료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밀봉(45)은 증기 및 에틸렌 옥사이드(ETO)에 대해 투과성이다. 밀봉(45)의 재료는 140 ℃ 내지 최대 250 ℃ 또는 최대 300 ℃ 또는 최대 400 ℃의 온도에 대해 내열성이다.
밀봉(45)에 의해, 두 브랜치 사이의 지지 영역이 밀봉된다. 오염물은 지지 핀(34)과 지지 공동(37) 사이의 지지 갭 또는 두 브랜치들(11, 12) 사이의 관통 구멍(40)에 들어갈 수 없거나 적은 양으로만 들어갈 수 있다.
축방향 단부, 즉 헤드(36) 및 자유 단부(39)에서 오염물의 유입을 피하기 위해, 실시예에서 지지 핀(34)은 예컨대 캡형 단부(41) 및/또는 제 2 브랜치(12)와의 접착제 연결 및/또는 용접 연결에 의해서 축방향 단부(39)의 영역에 밀봉된다. 상기 단부(41)는 상기 제 2 브랜치(12)에서 밀봉식으로 밀착되게 접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연결, 본드 연결 또는 용접 연결에 의해서 제 2 브랜치(12)와 밀봉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원주방향으로 모든 주위로 연장되는 접착 연결부 또는 용접 연결부가 존재할 수 있다.
헤드(36)의 영역에서 지지 핀(34)을 밀봉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헤드(36)를 덮고 제 1 브랜치(11)에서 그리고 제 1 브랜치(11)의 외면(38)에서 예에 따라 밀봉식으로 접하는 캡(48)이 존재한다. 캡(48)은 캡(48)과 제 1 브랜치(11) 사이에 오염물의 유입을 피하기 위해 예컨대 본드 연결, 접착제 연결, 용접 연결 등에 의해, 제 1 브랜치(11)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제 연결 또는 용접 연결은 원주방향으로 모든 곳에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핀(34)은 캡(48)에 대해 피봇 축(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외면(38)에는 제 1 공동(49)이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공동에서 헤드(36) 및 피봇 축(S)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상기 헤드(36)를 둘러싸는 링(5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캡(48)은 링(50)으로부터 시작하여 피봇 축(S)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면(38)에서 제 1 공동(49)의 외부에 접하는 원주방향 에지(51)를 갖는다.
회전 지지를 위해, 부싱(52)은 차축 섹션(35)과 제 1 브랜치(11)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부싱(52)은 예컨대 제 1 브랜치(11)에 대해 전기 절연된다. 연결 장치(29)로부터 시작된 전기 도체들 중 하나는 부싱(52)과 연결된다. 부싱(52)은 지지 핀(34)을 위한 슬라이딩 접촉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2 브랜치(12)에 대한 전기 연결은 지지 핀(34)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부(41)는 예에 따라 원통형 형상을 갖는 중심 섹션(53)을 가지며, 제 1 브랜치(11)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 2 브랜치(12)의 외면(55)에서 제 2 공동(54)에 수용된다. 단부(41)의 원주방향 에지(56)는 피봇 축(S)을 둘러싸고 중심 섹션(53)으로부터 시작하여 피봇 축(S)으로부터 멀리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다. 원주방향 에지(56)는 제 2 공동(54)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 2 브랜치의 외면(55)에 접한다.
브랜치(11 및 12)는 바람직하게는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고 전류 도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코어를 포함한다. 브랜치(11 및 12)의 외면, 즉 또한 외면(38 및 55)은 예에 따라 전기 비전도성이고 금속 코어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금속 코어는 예컨대 코팅, 오버캐스팅 또는 오버몰딩된다.
따라서, 피봇 조인트(13)는 밀봉(45)에 의해 축방향 단부뿐만 아니라 브랜치(11, 12) 사이의 조인트 영역에서 오염물의 유입에 대해 방지된다. 이렇게 할 때, 이러한 전기수술 기구(10)의 세정이 단순화된다.
제 1 접합 표면(46)과 제 2 접합 표면(47) 사이의 한정된 축방향 거리(X)를 보장하기 위해, 제 1 브랜치(11) 및/또는 제 2 브랜치(12)는 축방향(A)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된 거리 요소(60)들 중 하나는 제 2 브랜치(12)의 일체 부분이고 제 2 브랜치(12)로부터 제 1 브랜치(11)를 향해 연장되는 단면 평면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거리 요소(60)는 2 개의 브랜치(11 또는 12) 중 하나와 고정되게 연결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든 거리 요소(60)는 제 2 브랜치(12) 및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제 2 브랜치(12)의 플라스틱 몸체 또는 플라스틱 코팅의 제 2 브랜치(12)의 일체 부분과 고정되게 연결된다. 각각의 거리 요소(60)는 또한 브랜치들(11, 12) 중 하나의 금속 코어의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에 금속 코어는 코팅, 오버캐스트 또는 오버몰딩 또는 예컨대 플라스틱 몸체 또는 플라스틱 코팅에 의해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외부에 대해 전기 절연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거리 요소(60)가 존재한다. 도 6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예에 따르면, 제 2 브랜치(12)에는 피봇 축(S)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3 개의 거리 요소(60)가 제공된다. 피봇 축(S) 및 거리 요소(60) 사이의 방사상 거리는 동일하거나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리 요소(60)는 피봇 축(S)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공통 원주 라인을 따라 배열되고 피봇 축(S) 주위에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랜치들(11, 12) 또는 두 브랜치들(11, 12)의 죠(14, 15)는 서로에 대해 의도하지 않은 기울기에 대해 고정된다. 거리 요소들(60) 사이의 원주방향으로의 거리로 인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밀봉(45)까지의 방사상 거리로 인해, 세정이 개선되어 퍼지 액체로 정화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 요소(60) 중 적어도 일부는 원통형 윤곽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거리 요소(60)는 실시예에서 제 1 브랜치(11)와 대면하고 제 1 브랜치(11)에서 활주식으로 접하는 단부면(61)을 갖는다. 예에 따르면, 단부면(61)은 피봇 축(S)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연장된다. 단부면은 이에 대해 대안으로 볼록하게 곡선화될 수도 있다. 각각의 거리 요소(60)의 단부면(61)은 제 1 브랜치(11)를 위한 마찰 베어링 표면(62)을 형성한다. 서로에 대해 피봇 축(S)을 중심으로 두 개의 브랜치들(11, 12)의 피봇 동안, 제 1 브랜치(11)는 피봇 축(S)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 경로 상의 거리 요소(60)의 마찰 베어링 표면(62)에서 미끄러진다.
거리 요소(60)의 윤곽, 수 및 배열은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도 6의 예시와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6에서, 나이프 안내 공동(24)은 거리 요소들(60) 중 하나와 피봇 축(S) 사이에서 이동 방향(B)으로 연장되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배열은 피봇 축(S)으로부터의 나이프 안내 공동(24)의 거리는 가능한 작게 선택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따라서, 밀봉(45)의 외주와 나이프 안내 공동(24) 또는 나이프(25) 사이의 이용 가능한 공간은 예에 따라 나이프 안내 공동(24)의 다른 측에 제공된 거리 요소(60)를 배치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서, 도 4의 예와 비교하여 수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들이 일치하는 한,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도 4에 도시되고 지금까지 예시된 실시예에 추가하여, 도체(63)와 지지 핀(34)의 전기적 접촉 가능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체(63)는 예에 따라 부싱(52)까지 제 1 브랜치(11)를 따라 연장되며 부싱(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부싱(52)은 전기 전도성이다. 부싱(52)과 지지 핀(34) 사이의 피봇 조인트 유격으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한편으로는 지지 핀(34)과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면(52)에 대해 피봇 축(S)으로부터 멀리 방사상 외측으로 편향된 스프링 접촉부(65)가 링 공동(64)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피봇 조인트(13)를 실현하기 위한 추가의 실시예는 이동 방향(B)에 직교하는 피봇 축(S)을 따른 단면도로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핀(34)의 자유 단부(39)는, 지지 핀(34)과 관통 구멍(40) 사이의 갭에서 오염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예컨대, 용접 조인트 또는 접착 조인트 모든 주위로 연장되는 조인트(70)에 의해 제 2 브랜치(12)와 연결된다. 모든 주위로 연장되는 다른 조인트(70)는 또한 용접 조인트 또는 접착 조인트로서 실현될 수 있는 제 1 브랜치(11)와 캡(48) 사이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거리 요소(60)는 제 1 브랜치(11)에 제공되거나 또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일체 부분이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가 제 2 브랜치(12)에 배열되거나 또는 그것의 일체 부분인 것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핀(34)은 또한 브랜치들(11, 12) 중 하나의 예에 따라서 제 2 브랜치(12)의 일체 부분이다. 관통 구멍(40) 및 헤드(36)는 생략된다. 예에 따르면, 차축 섹션(35)은 지지 공동(37)을 통해 제 2 접합 표면(47)으로부터 자유 단부(39)까지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자유 단부(39)는 지지 공동(37)으로부터 연장되고 예에 따른 디스크형일 수 있는 단부(41) 및/또는 차축 섹션(35)에 의해 고정된다. 디스크형 단부(41)는 자유 단부(39) 또는 지지 핀(34)의 차축 섹션(35)과 함께 주위로 연장되는 조인트(70)를 통해 밀봉식으로 고정되게 연결된다. 단부(41)는 밀봉 방식으로 마찰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브랜치(11)의 외면(38)에서 충분한 방사상 치수를 갖는 링 영역 위에 접한다. 이렇게 할 때, 차축 섹션(35)과 지지 공동(37) 사이의 지지 갭에서 오염물의 유입은 적어도 방해되거나 회피된다.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피봇 조인트(13)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가 차축 섹션(35)에 대해 피봇 축(S)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돌출부(71)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핀(34)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링 칼라를 형성하도록 모든 주위로 연장되는 하나의 단일 방사상 돌출부(71)가 제공된다. 또한, 다수의 방사상 돌출부(71)는 피봇 축(S)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3 개의 이러한 방사상 돌출부(71)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는 밀봉(45)과 피봇 축(S) 사이에서 피봇 축(S)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는 밀봉(4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이를 테면 피봇 조인트(13)의 밀봉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를 밀봉(45)보다 방사상으로 더 내측으로 배치함으로써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를 중심에 배치함으로써 도 7, 도 8 및 도 10의 실시예들 중 하나의 수정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돌출부(71)에서, 제 1 브랜치(11)를 갖는 예에 따라 브랜치들 중 하나와의 활주 접합을 위한 역할을 하는 마찰 베어링 표면(62)이 제공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기술된 실시예들과는 달리,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는 브랜치 중 하나에 제공되지 않고 지지 핀(34)에 제공된다. 거리 요소(60)는 밀봉(45)에 의해 밀봉된 영역에 위치된다. 피봇 축(S)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라볼 때, 밀봉(45)은 방사상 돌출부(71)로서 피봇 축(S)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자유 단부(39)의 영역에서, 지지 핀(34)의 차축 섹션(35)은 지지 공동(37) 밖으로 연장되며 도 8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모두 연장되는 조인트(70)에 의해 단부(41)와 밀봉식으로 연결된다.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단부(41)는 이 실시예에서 2 개의 브랜치들(11, 12) 사이에 편향력을 생성하는 편향 요소(72)로서 구성된다. 편향 요소(72)는 지지 핀(34)에서 축방향(A)으로 편향력을 생성하고 따라서 제 1 브랜치(11)를 향하여 마찰 베어링 표면(62)을 가압한다. 자유 단부(39)의 반대편 단부에서, 지지 핀(34)은 특히 제 2 브랜치(12)의 외면(55)의 영역에서 모든 주위로 연장되는 조인트(70)에 의해 제 2 브랜치(12)와 고정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조 공차 및/또는 마모 및/또는 수축 공정에도 불구하고, 축방향 거리(X)가 밀봉(45)의 밀봉 효과를 더욱 보장하기 위해 유지되거나 또는 의도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편향 요소(72)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밀봉(45)이 함몰부(73)에 배치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실시예에서 함몰부(73)는 제 1 브랜치(11)에 제공될 수 있다. 함몰부(73)는 제 2 브랜치(12)의 제 2 접합 표면(47)을 향해 개방된다. 함몰부(73)의 하단은 제 1 접합 표면(46)의 적어도 한 섹션을 형성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함몰부(73)는 또한 제 2 브랜치(12)에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73)는 비변형 초기 조건에서 밀봉(45)의 축방향 두께(D)가 더 크게 선택될 수 있고, 따라서 전기수술 기구의 축방향 치수를 축방향(A)으로 증가시킬 필요없이 더 긴 압축 경로 또는 압축 행정이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피봇 축(S) 또는 지지 핀(34)에 직교하는 밀봉(45)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73)에 의해 한정되고 유지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지지 핀(34)에 형성된 거리 요소(60) 외에, 예컨대 원하지 않는 기울기에 대해 피봇 조인트(13)를 살균하기 위한 추가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거리 요소(6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거리 요소(60)는 예컨대 밀봉(45)의 축방향 압축을 안정화시키되 제한하거나 조절하지 않는 작업만 수행한다.
도 10에 도시된 피봇 조인트(13)의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도 8에 따른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추가 밀봉 요소(74)가 제공된다. 예에 따르면, 추가 밀봉 요소(74)는 단부(41)와 제 1 브랜치(11) 또는 제 1 브랜치(11)의 외면(38) 사이에 배열된다. 추가 밀봉 요소(74)는 밀봉(45)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 밀봉 요소(74)는 지지 핀(34)의 지지 공동(37) 또는 차축 섹션(35)으로부터 연장되는 자유 단부(39)를 완전히 둘러싸고 단부(41)와 제 1 브랜치(11) 사이의 갭을 밀봉한다. 그로부터, 도 8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추가 밀봉 요소(74)는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피봇 조인트(13)의 실시예는 단일 측면 지지부를 참조한다. 이에 따라, 제 1 브랜치(11) 및 제 2 브랜치(12)는 서로 맞물리지 않고 피봇 축(S)을 따라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브랜치들 중 하나 및 예컨대 제 1 브랜치(11)는 축방향(A)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제 1 아암(77) 및 제 2 아암(78)을 갖는 포크부(76)를 피봇 조인트(13)의 영역에 갖는다. 지지 핀(34)은 두 아암(77, 78)을 통과하고 각각의 축방향 단부에 모든 주위로 연장되는 조인트(70), 특히 용접 조인트 또는 접착제 조인트에 의해 아암(77 또는 78)과 견고하고 밀봉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지지 공동(37)을 갖는 제 2 브랜치(12)는 아암(77, 78) 사이의 자유 공간에서 연장되며, 지지 핀(34)의 차축 섹션(35)은 지지 공동(37)을 통과한다. 제 1 밀봉(45a)은 제 2 브랜치(12)와 제 1 아암(77)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밀봉(45b)은 제 2 브랜치(12)와 제 2 아암(78)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의 각각의 아암(77 또는 78)과 타측의 제 2 브랜치(12) 사이에 각각 밀봉식으로 접한다. 적어도 2 개의 아암(77, 78) 중 하나와 양 아암(77, 78)과 제 2 브랜치(12) 사이의 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가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축방향 거리(X)를 한정하고 밀봉(45a, 45b)의 축방향 압축을 한정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피봇 조인트(13)의 실시예는 서로 결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각 실시예에서 밀봉(45)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73)가 제공될 수 있다.
피봇 조인트(13)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편향 요소(72)가 편향력에 의해 2 개의 브랜치들(11, 12)을 축방향(A)으로 서로를 향해 편향 또는 가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추가의 밀봉 요소(74)가 차축 섹션(35)과 지지 공동(37) 사이의 지지 갭에 대한 지지 핀(34)의 축방향 단부 및 특히 자유 단부(39)의 영역을 밀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
본 발명은 피봇 조인트(13)에 의해 서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2 개의 브랜치들(11, 12)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10)에 관한 것이다. 피봇 조인트(13)는 지지 핀(34) 및 지지 공동(37)을 갖는다. 지지 핀(34)은 특히 브랜치(11 또는 12) 중 하나에 토크 방지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다른 브랜치(12 또는 11)의 지지 공동(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브랜치들(11, 12) 사이에서, 지지 핀(34)을 원주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고 두 브랜치들(11, 12)에서 밀봉식으로 접하는 밀봉(45)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핀(34)은 축방향 단부에서 각각의 브랜치들(11, 12)과 밀봉식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할 때, 지지 핀(34)과 지지 공동(37) 사이의 영역에서 오염물이 모든 측면으로부터 유입되거나 접근 가능성이 회피되거나 적어도 감소된다.
10 전기수술 기구
11 제 1 브랜치
12 제 2 브랜치
13 피봇 조인트
14 제 1 죠
15 제 2 죠
16 작동 유닛
17 제 1 조직 접촉 표면
18 제 2 조직 접촉 표면
19 제 1 작동부
20 제 2 작동부
24 나이프 안내 공동
25 나이프
26 제 1 안내 리세스
27 제 2 안내 리세스
28 나이프 작동 장치
29 전기 연결 장치
34 지지 핀
35 지지 핀의 차축 섹션
36 지지 핀의 헤드
37 지지 공동
38 제 1 브랜치의 외면
39 지지 핀의 자유 단부
40 관통 구멍
41 단부
45 밀봉
45a 제 1 밀봉
45b 제 2 밀봉
46 제 1 접합 표면
47 제 2 접합 표면
48 캡
49 제 1 공동
50 캡의 링
51 원주방향 에지
52 부싱
53 중심 섹션
54 제 2 공동
55 제 2 브랜치의 외면
56 원주방향 에지
60 거리 요소
61 단부면
62 마찰 베어링 표면
63 도체
64 링 공동
65 스프링 접촉부
70 조인트
71 방사상 돌출부
72 편향 요소
73 함몰부
74 추가 밀봉 요소
76 포크부
77 제 1 아암
78 제 2 아암
A 축방향
d 축방향 두께
S 피봇 축
x 축방향 거리

Claims (15)

  1. 피봇 조인트(13)에 의해 피봇 축(S)을 중심으로 서로 피봇 가능하게 배열되는 제 1 브랜치(11) 및 제 2 브랜치(12)를 갖는 전기수술 기구(10)로서, 상기 피봇 조인트(13)는 지지 핀(34) 및 지지 공동(37)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수술 기구로서,
    상기 피봇 축(S)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상기 지지 핀(34)을 완전히 둘러싸고 상기 제 1 브랜치(11) 및 상기 제 2 브랜치(12)에 밀봉식으로 접하는 밀봉(45)을 구비하는, 전기수술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45)은 상기 피봇 축(S)에 평행한 축방향(A)으로 탄성 변형되는, 전기수술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랜치(11)는 상기 밀봉(45)을 위한 제 1 접합 표면(46)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브랜치(12)는 상기 밀봉(45)을 위한 제 2 접합 표면(47)을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축(S)에 평행한 축방향(A)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접합 표면(46) 및 상기 제 2 접합 표면(47) 사이의 축방향 거리(X)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가 제공되는, 전기수술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60)는 상기 브랜치들(11, 12) 중 하나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전기수술 기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리 요소는 자유 단부에서의 단부면(61)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면은 마찰 베어링 표면(62)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브랜치(11) 또는 상기 제 2 브랜치(12)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 기구.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축(S)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적어도 3 개의 거리 요소들(60)이 제공되는, 전기수술 기구.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45)은 비변형 초기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거리(X)보다 큰 축방향 두께(D)를 포함하는, 전기수술 기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45)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73)가 상기 제 1 브랜치(11) 및/또는 상기 제 2 브랜치(12)에 제공되는, 전기수술 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45)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이프(25)가 안내된 방식으로 이동 방향(B)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이프 안내 공동(24)이 상기 제 1 브랜치(11) 및/또는 상기 제 2 브랜치(12)에 제공되는, 전기수술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핀(34)은 상기 나이프 안내 공동(24)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전기수술 기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랜치(11) 및 상기 제 2 브랜치(12)를 상기 피봇 축(S)에 평행한 축방향(A)으로 서로를 향해 가압하는 편향 요소(72)가 제공되는, 전기수술 기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핀(34)은 상기 제 1 브랜치(11) 또는 상기 제 2 브랜치(12)에 토크 방지 연결되고, 각각의 다른 브랜치(12 또는 11)의 지지 공동(37)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기수술 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공동(37)과 상기 지지 핀(34) 사이의 영역은 추가 밀봉 요소(74)에 의해 밀봉되는, 전기수술 기구.
KR1020200040797A 2019-04-17 2020-04-03 조인트 밀봉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 KR20200122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9865.3A EP3725250B1 (de) 2019-04-17 2019-04-17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mit gelenkabdichtung
EP19169865.3 2019-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235A true KR20200122235A (ko) 2020-10-27

Family

ID=6621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797A KR20200122235A (ko) 2019-04-17 2020-04-03 조인트 밀봉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84409B2 (ko)
EP (1) EP3725250B1 (ko)
JP (1) JP7431647B2 (ko)
KR (1) KR20200122235A (ko)
CN (1) CN111821013A (ko)
PL (1) PL372525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4868A1 (en) * 2020-10-02 2022-04-07 Covidien Lp Fine dissection end effector assembly
DE102021124786A1 (de) 2021-09-24 2023-03-30 Aesculap Ag Medizinisches Instrument und medizinisches Instrumentariu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4436A (en) * 1991-06-07 1996-01-16 Hemostatic Surgery Corporation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making
US5440813A (en) * 1993-06-04 1995-08-15 Roskam; Scott H. Rideless scissors with an adjustable load transverse to the pivot axis on a pivot joint
US6187003B1 (en) 1997-11-12 2001-02-13 Sherwood Services Ag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sealing vessels
WO2002080798A1 (en) 2001-04-06 2002-10-17 Sherwood Services Ag Molded insulating hinge for bipolar instruments
DE202005005406U1 (de) 2005-03-31 2006-01-19 Karl Storz Gmbh & Co. Kg Medizinisches Instrument mit konturiertem Achszapfen
LV14170B (lv) * 2010-03-15 2010-10-20 Golsen Limited Elektroķirurģiskas, bipolāras šķēres koagulācijai un griešanai
US9655672B2 (en) * 2010-10-04 2017-05-23 Covidien Lp Vessel sealing instrument
US8968360B2 (en) * 2012-01-25 2015-03-03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 with resilient driving member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2012236076A (ja) 2012-08-16 2012-12-06 Covidien Ag 血管の封止装置
US9610114B2 (en) * 2013-01-29 2017-04-04 Ethicon Endo-Surgery, Llc Bipolar electrosurgical hand shears
WO2015017992A1 (en) 2013-08-07 2015-02-12 Covidien Lp Surgical forceps
US10893914B2 (en) * 2015-10-19 2021-01-19 Ethicon Llc Surgical instrument with dual mode end effector and modular clamp arm assembly
DE102016111892B4 (de) * 2016-06-29 2022-05-05 Aesculap Ag Chirurgisches Instrument mit Linien- und/oder Punktkontakten in einem Koppelbereich
US11116532B2 (en) * 2016-11-16 2021-09-14 Cilag Gmbh International Surgical instrument with selectively actuated gap-setting features for end effector
WO2019028647A1 (en) * 2017-08-08 2019-02-14 Covidien Lp ELECTROSURGICAL APPARATUS WITH SAFETY INSULATION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30148A1 (en) 2020-10-22
PL3725250T3 (pl) 2022-06-27
US11684409B2 (en) 2023-06-27
EP3725250A1 (de) 2020-10-21
JP7431647B2 (ja) 2024-02-15
RU2020112452A (ru) 2021-09-27
BR102020007005A2 (pt) 2020-10-27
CN111821013A (zh) 2020-10-27
JP2020175188A (ja) 2020-10-29
EP3725250B1 (de)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8314A1 (en) Two-stage electrosurgical device for vessel sealing
KR20200122235A (ko) 조인트 밀봉을 갖는 전기수술 기구
JP3638324B2 (ja) 電気外科装置用の電極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外科装置
US5610379A (en) Liquid and gas impenetrable switch
US9931159B2 (en) Gap control via overmold teeth and hard stops
US6458129B2 (en) Medical instrument for cutting tissue in the human or animal body
US11712288B2 (en) Bipolar end effector apparatus for a surgical instrument
US5571100A (en) Electrosurgical apparatus
CN105310769A (zh) 手术器械
US20070016187A1 (en) Switch mechanisms for safe activation of energy on an electrosurgical instrument
JP2010010008A (ja) 真空スイッチギヤ
US11666376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KR20200136311A (ko) 전기 수술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RU2810462C2 (ru) Электро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с шарнирным уплотнением
CA2087484A1 (en) Disposable internal electrode
BR102020007005B1 (pt) Instrumento eletrocirúrgico com uma primeira ramificação e uma segunda ramificação
US20140171999A1 (en) Surgical instrument insert and surgical instrument system
US7452222B2 (en) Cable terminal sealing facility
US20210251703A1 (en) Endoscopic device
RU2807910C2 (ru) Электро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9397553U (zh) 末端执行装置及手术器械
US20210386450A1 (en) Ultrasound transducer device and ultrasound treatment tool
JPH11260211A (ja) 高速スイッチ
US20210038289A1 (en) Endoscopic device
JP6587551B2 (ja) スイッ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