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024A -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024A
KR20200122024A KR1020190044754A KR20190044754A KR20200122024A KR 20200122024 A KR20200122024 A KR 20200122024A KR 1020190044754 A KR1020190044754 A KR 1020190044754A KR 20190044754 A KR20190044754 A KR 20190044754A KR 20200122024 A KR20200122024 A KR 20200122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compressor
noise
fa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람
황근배
박군동
이종찬
조영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024A/ko
Publication of KR2020012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5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dishwashers
    • G10K2210/1054Refriger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1Rotating machines, e.g. engines, turbines, motors; Periodic or quasi-periodic signals in general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냉장고의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 냉동실 팬모터 및 냉장실 팬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회로부와,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가 배치되는 기계실에 설치되며, 기계실의 내부에서 생성되어 기계실의 외부로 흘러나가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소음 저감 유닛과, 메인 회로부로부터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아 소음 저감 유닛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POWER SUPPLY APPRATUS AND METHOD OF NOISE REDUCTION UNIT FOR HOME APPLIAN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음 저감 유닛을 가전기기에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 인가 및 회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단말기와는 달리, 건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아웃렛(electrical outlet), 즉 벽 전원을 통해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가전기기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직류 전원을 필요로 하므로, 가전기기에는 보통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가 설치된다. 또한, 가전기기에 음향 장비가 설치될 경우에는, 음향 장비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교류 성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여 험(hum) 노이즈가 발생하고, 이러한 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가전기기에는 노이즈 필터가 설치된다.
따라서, 특정 가전기기가 구현하고자 하는 본연의 기능, 예컨대 냉장고나 에어컨의 경우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가전기기에 추가하려고 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컨버터나 노이즈 필터가 추가적으로 가전기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제조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컨버터나 노이즈 필터가 설치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음 저감 유닛을 가전기기에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 인가 및 회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냉장고의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 냉동실 팬모터 및 냉장실 팬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회로부와,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가 배치되는 기계실에 설치되며, 기계실의 내부에서 생성되어 기계실의 외부로 흘러나가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소음 저감 유닛과, 메인 회로부로부터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아 소음 저감 유닛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음 저감 유닛은,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집음하는 소음 감지부와,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와, 소음 감지부로 집음되는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생성하여 음파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음파 신호를 음파 발생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는 메인 회로부에 온보드(on-board)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는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회로부와 전원 케이블과 그라운드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는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회로부에서 압축기 팬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일부를 분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메인 회로부와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메인 회로부와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스위칭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저소음 요구 조건은 제1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기준 운전 주파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저소음 요구 조건은 제2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메인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냉장고의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 냉동실 팬모터 및 냉장실 팬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냉장고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와,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와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를 모니터링하여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소음 저감 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소음 저감 유닛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음 저감 유닛은 메인 회로부로부터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메인 회로부와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메인 회로부와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소음 요구 조건은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기준 운전 주파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소음 요구 조건은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는 메인 회로부에 온보드(on-board)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는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가 설치되는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회로부와 전원 케이블과 그라운드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는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가 설치되는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회로부에서 압축기 팬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일부를 분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가전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컨버터나 노이즈 필터와 같은 추가적인 장치를 가전기기에 설치하지 않고도 소음 저감 장치를 가전기기에 보다 저렴하고 컴팩트한 사이즈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에 설치되는 소음 저감 장치를 구동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가전기기를 운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로써,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가 메인 회로부에 온보드(on-board)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가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가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되, 압축기 팬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와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를 기반으로 메인 회로부에서 전원 공급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로써,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가 메인 회로부에 온보드(on-board)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메인 회로부(110)와 소음 저감 유닛(120) 및 전원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메인 회로부(110)는 건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아웃렛(2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냉장고(50)의 압축기(51)와 압축기 팬모터(52), 냉장실 팬모터(53) 및 냉동실 팬모터(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회로부(110)는 가전기기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웃렛(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terminal)와 인쇄회로기판 상에 압축기(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압축기 팬모터(52)와 냉장실 팬모터(53) 및 냉동실 팬모터(54)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자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소음 저감 유닛(120)은 압축기(51)와 압축기 팬모터(52)가 배치되는 냉장고(50)의 기계실(55)에 설치되며, 기계실(55)의 내부에서 생성되어 기계실(55)의 외부로 흘러나가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음 저감 유닛(120)은 기계실(55)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기(51)와 압축기 팬모터(52)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집음하는 소음 감지부(121)와, 소음 감지부(121)에서 집음되는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122)와, 소음 감지부(121)로 집음되는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생성하여 음파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음파 신호를 음파 발생부(122)로 전송하는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30)는 메인 회로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음 저감 유닛(1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30)는 소음 저감 유닛(120)의 소음 감지부(121)와 음파 발생부(122)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소음 감지부(121)와 음파 발생부(122)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음 저감 유닛(12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입출력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도 1은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의 일 실시예로서, 전원 공급부(130)가 메인 회로부(110)에 온보드(on-board) 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즉, 메인 회로부(110)에는 전원 공급부(130)를 구성하는 회로 소자들과 커넥터들이 온보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가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30)는 기계실(55)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회로부(110)와는 전원 케이블(131)과 그라운드 케이블(132)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130) 또한 메인 회로부(110)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회로 소자들과 커넥터들을 구비한 상태로 기계실(5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가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되, 압축기 팬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30)는 기계실(55)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회로부(110)에서 압축기 팬모터(52)로 인가되는 전원의 일부를 분기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에도, 전원 공급부(130)는 메인 회로부(110)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회로 소자들과 커넥터들을 구비한 상태로 기계실(5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에 의하면 가전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웃렛(25)으로부터 메인 회로부(110)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 중 일부를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소음 저감 유닛(120)으로 전달하는 전원 공급부(130)를 메인 회로부(110) 또는 기계실(55)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나, 음향 장치(여기서는, 전원 공급부(130) 없이 컨버터를 사용하는 상태의 소음 저감 유닛(120)을 의미)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교류 성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험(hum)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필터와 같은 추가적인 장치를 가전기기(여기서는, 냉장고(50))에 설치하지 않고도,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를 가전기기에 보다 저렴하고 컴팩트한 사이즈로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와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를 기반으로 메인 회로부에서 전원 공급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메인 회로부(110)와 전원 공급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메인 회로부(110)와 전원 공급부(13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스위칭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압축기(51)의 운전 주파수를 감지하는 제1 센서(150)와, 압축기 팬모터(52)의 시간당 회전수를 감지하는 제2 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소음 요구 조건"이라 함은, 제1 센서(150)에서 감지되는 압축기(51)의 운전 주파수가 기준 운전 주파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저소음 요구 조건"은 제2 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압축기 팬모터(52)의 시간당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저소음 요구 조건은 압축기(51)의 운전 주파수가 기준 운전 주파수 이상에 해당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소음이 발생할 경우와, 압축기 팬모터(52)의 시간당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이상에 해당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소음이 발생할 경우를 의미한다.
즉,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많은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메인 회로부(110)에서 전원 공급부(130)로 전원을 공급하여 소음 저감 유닛(120)을 작동시킴으로써 소음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소음이 많이 발생하지 않아 소음 저감 유닛(120)을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메인 회로부(110)는 제1 센서(150)와 제2 센서(160)로부터 감지된 각각 압축기(51)의 운전 주파수와 압축기 팬모터(52)의 시간당 회전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위칭 부재(140)를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메인 회로부(110)와 전원 공급부(130)를 전기적으로 분리할 것인지, 혹은 스위칭 부재(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메인 회로부(110)와 전원 공급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30)는 소음 저감 유닛(120)의 소음 감지부(121)와 음파 발생부(122) 및 제어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스위칭 부재(14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전술한 소음 저감 유닛(120)의 각 구성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결과적으로, 제1 센서(150)에서 감지되는 압축기(51)의 운전 주파수와, 제2 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압축기 팬모터(52)의 시간당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는 저소음 요구 조건에 따라 전원 공급부(130)는 소음 저감 유닛(120)에 전원을 인가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장고(50)의 기계실(55)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예컨대 건물 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끼칠 정도로 커질 경우, 메인 회로부(110)는 스위칭 부재(140)를 통해 전원 공급부(130)와 소음 저감 유닛(120)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첨언하여, 전술한 "기준 운전 주파수"와 "기준 회전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의 제조 시 메인 회로부(110)에 미리 세팅된 값일 수 있고, 또한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를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값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기계실(55)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건물 내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에게 각기 다르게 청음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기준 운전 주파수와 기준 회전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의 제조 시 일괄적으로 미리 세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에 의하면,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평상 시에는 소음 저감 유닛(12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전원 공급부(130)를 통해 소음 저감 유닛(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가전기기에 설치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를 구동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가전기기를 운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은 냉장고(50)에 전원을 공급(ON)하는 단계(S510)와, 냉장고(50)를 운전하는 중에 압축기(51)와 압축기 팬모터(52)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S520)와,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30)와,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소음 저감 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S540) 및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소음 저감 유닛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S550)를 포함한다.
냉장고(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510)는, 건물 내에 구비된 아웃렛(25)에 냉장고(50)의 콘센트를 접속시켜 메인 회로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메인 회로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축기(51)와 압축기 팬모터(52), 냉동실 팬모터(53) 및 냉장실 팬모터(54)에 전원을 인가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냉장고(50)를 운전하는 중에 압축기(51)와 압축기 팬모터(52)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S520)는, 압축기(51)에 설치된 제1 센서(150)에서 압축기(51)의 운전 주파수를 감지하고, 압축기 팬모터(52)에 설치된 제2 센서(160)에서 압축기 팬모터(52)의 시간당 회전수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30)는, 제1 센서(150)와 제2 센서(160)에서 각각 감지된 압축기(51)의 운전 주파수와 압축기 팬모터(52)의 시간당 회전수를 기반으로, 압축기(51)의 운전 주파수가 기준 운전 주파수 이상인지, 또는 압축기 팬모터(52)의 시간당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소음 저감 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S540)는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메인 회로부(110)와 전원 공급부(130)를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51)의 운전 주파수가 기준 운전 주파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메인 회로부(110)는 저소음 요구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며, 압축기 팬모터(52)의 시간당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이상일 경우에도 메인 회로부(110)는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회로부(110)는 저소음 요구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스위칭 부재(1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아웃렛(25)에서 메인 회로부(110)로 공급된 전원을 스위칭 부재(140)를 넘어 전원 공급부(130)고 전달하고, 전원 공급부(130)는 소음 메인 회로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소음 저감 유닛(120)에 인가할 수 있다. 즉, 소음 저감 유닛(120)은 메인 회로부(110)로부터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130)로부터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칭 부재(140)는 냉장고(50)에 전원을 공급한 이후 메인 회로부(110)에서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했다고 판단하기 이전까지, 메인 회로부(110)에서 전원 공급부(13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3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은 소음 저감 유닛(120)은 소음 감지부(121)와 음파 발생부(122) 및 제어부(123)를 작동시켜 기계실(55)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소음 저감 유닛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S550)는 메인 회로부(110)와 전원 공급부(13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회로부(110)는 저소음 요구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스위칭 부재(140)를 개방하여 아웃렛(25)에서 메인 회로부(110)로 공급된 전원을 스위칭 부재(140)에서 차단시키는 방법을 통해 메인 회로부(110)에서 전원 공급부(130)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음 저감 유닛(120)의 소음 감지부(210)와 음파 발생부(220) 및 제어부(230)는 전원 공급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므로, 소음 저감 유닛(120)은 기계실(55)의 내부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저소음 요구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을 수행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술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구조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30)는 메인 회로부(110)에 온보드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30)는 압축기(51)와 압축기 팬모터(52)가 설치되는 기계실(55)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회로부(110)와 전원 케이블(131)과 그라운드 케이블(132)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30)는 압축기(51)와 압축기 팬모터(52)가 설치되는 기계실(55)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회로부(110)에서 압축기 팬모터(52)로 인가되는 전원의 일부를 분기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에 의하면,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평상 시에는 소음 저감 유닛(12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전원 공급부(130)를 통해 소음 저감 유닛(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가전기기에 설치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100)를 구동하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가전기기를 운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5: 전원 공급원 121: 소음 감지부
50: 냉장고 122: 음파 발생부
51: 압축기 123: 제어부
52: 압축기 팬모터 130: 전원 공급부
53: 냉동실 팬모터 131: 전원 케이블
54: 냉장실 팬모터 132: 그라운드 케이블
55: 기계실 140: 스위칭 부재
100: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150: 제1 센서
110: 메인 회로부 160: 제2 센서
120: 소음 저감 유닛

Claims (15)

  1. 냉장고의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 냉동실 팬모터 및 냉장실 팬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회로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 팬모터가 배치되는 기계실에 설치되며,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기계실의 외부로 흘러나가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소음 저감 유닛; 및
    상기 메인 회로부로부터 상기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아 상기 소음 저감 유닛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 유닛은,
    상기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 팬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집음하는 소음 감지부와,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상기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상기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와,
    상기 소음 감지부로 집음되는 상기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생성하여 상기 음파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음파 신호를 상기 음파 발생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메인 회로부에 온보드(on-board)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로부와 전원 케이블과 그라운드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로부에서 상기 압축기 팬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일부를 분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메인 회로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인 회로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스위칭 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소음 요구 조건은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기준 운전 주파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소음 요구 조건은 상기 제2 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9. 메인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냉장고의 압축기와 압축기 팬모터, 냉동실 팬모터 및 냉장실 팬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냉장고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와 상기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를 모니터링하여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소음 저감 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소음 저감 유닛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저감 유닛은 상기 메인 회로부로부터 상기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메인 회로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저소음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인 회로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 요구 조건은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기준 운전 주파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 요구 조건은 상기 압축기 팬모터의 시간당 회전수가 기준 회전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메인 회로부에 온보드(on-board)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 팬모터가 설치되는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로부와 전원 케이블과 그라운드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 팬모터가 설치되는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로부에서 상기 압축기 팬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일부를 분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
KR1020190044754A 2019-04-17 2019-04-17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200122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54A KR20200122024A (ko) 2019-04-17 2019-04-17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54A KR20200122024A (ko) 2019-04-17 2019-04-17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24A true KR20200122024A (ko) 2020-10-27

Family

ID=7313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754A KR20200122024A (ko) 2019-04-17 2019-04-17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52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52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47035B2 (en) Hybrid inverter generator
EP2453610B1 (en) Home applianc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100295493A1 (en) Hvac equipment phase and voltage monitor and control
US115466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in electric motor systems
US10418915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N104344535A (zh) 自适应调整空调器电机频率的方法、装置和空调器
CN103477328B (zh) 终端设备、控制设备、故障判断系统以及故障判断方法
KR20200122024A (ko) 가전기기용 소음 저감 유닛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JP2007101050A (ja) 原動機付き空気調和機
US10697682B2 (en) Motor assembly with integrated on/off detection with speed profile operation
US20150054338A1 (en) Intuitive Electronic Circuit
US5743465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ecting wireless control of an air conditoner
JP3867677B2 (ja) 冷却装置の制御回路及び冷却装置の制御方法
CN108120224A (zh) 一种基于led照明灯的故障提示方法、装置及冰箱
KR101332915B1 (ko) 전자 기기
CN112361553A (zh) 空气调节器控制方法、装置、空气调节器及存储介质
US10756663B2 (en) HVAC controller that provides multiple types of proportional motor control signals, an HVAC system that includes the same and a proportional control signal circuit
CN113513830A (zh) 一种工作参数的调整方法和装置
KR101524951B1 (ko) 디지털 전원분배 모니터링 시스템
US20220036876A1 (en) Speech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system
JP2006097959A (ja) 換気装置および室内の換気方法
JP2001082768A (ja) 振動騒音制御装置
CN111082468A (zh) 用电设备备用电源模式的功率控制方法及用电设备
US11722805B1 (en) Electrical appliance power monitoring
CN116893001A (zh) 一种检测室内机轴承音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