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842A - 계류 장치 및 하나 이상의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 - Google Patents

계류 장치 및 하나 이상의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842A
KR20200121842A KR1020207026599A KR20207026599A KR20200121842A KR 20200121842 A KR20200121842 A KR 20200121842A KR 1020207026599 A KR1020207026599 A KR 1020207026599A KR 20207026599 A KR20207026599 A KR 20207026599A KR 20200121842 A KR20200121842 A KR 20200121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arm
floating
joint devic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앙 툰스베이트 마그누손
데이비드 미칼 넛센
Original Assignee
코넥트 엘엔게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넥트 엘엔게 아에스 filed Critical 코넥트 엘엔게 아에스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9/05385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58710A1/en
Publication of KR2020012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2Magnetic moor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1Mooring bars, yokes, or the like, e.g. comprising articulations on both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6Suction cups, or the like, e.g. for mooring, or for towing or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63B2059/025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pneumatic, e.g. infl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부유식 유닛(110)을 계류하기 위한 부착 유닛(66)을 포함하는 계류 장치(10)가 개시된다. 계류 장치(10)는 부유식 유닛(110)이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대해 이동할 때 발생하는 힘과 에너지를 전달 및/또는 흡수하기 위한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계류 장치(10)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 및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계류 장치 및 하나 이상의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
본 발명은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non-floating structure)에 부유식 유닛(floating unit)을 계류하기 위한 계류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이러한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 및 비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반잠수식 유닛, 선박, 바지선 및 기타 유형의 부유식 유닛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부유식 유닛은 여러 이유로 인해 반잠수식 유닛, 선박, 바지선 및 기타 유형의 부유식 선박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에 계류되거나, 부유식 유닛이 계류될 수 있는 부두, 선창 또는 유사한 비부유식 구조물과 같은 비부유식 구조물에 계류될 필요가 종종 있다.
오늘날 선박에서 해안으로의 온화한 유체(temperate fluid)의 전달은, 다른 방법 중에서도, 해저에서 들어올려져 선박 매니폴드에 직접 연결되는 수중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를 통해 달성된다.
그러나 극저온 응용을 위한 파이프의 취급은 선박의 리프팅 장비 및 매니폴드에 대해 종종 어려운데, 파이프를 통한 극저온 유체(cryogenic fluid)의 전달이 외부 얼음층의 축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과 접촉하는 파이프를 통한 극저온 액체의 전달은 따라서 파이프가 광범위하게 절연될 것을 필요로 하고, 결국은 온화한 유체를 전달하는 파이프보다 미터당 무게가 상당히 커진다. 과도한 열 손실을 피하기 위해 단열재도 필요하다.
다양한 유형의 부유 개념으로 구성된 적재 시스템의 사용은 해양 석유 산업에 공지되어 있다. 해양 환경 조건은 종종 가혹하고, 따라서 이러한 조건에서 시스템이 작동하는 데 필요한 요건과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전통적인 로프, 와이어 등과는 다른 몇 가지 계류 장치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기 위해, 부유식 구조물과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 간의 유체 또는 전력의 전달을 위한 부유식 유닛이 공개공보 WO 2015/107147 A1 에 제안되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을 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이 공개공보에 개시된 계류 시스템에 대한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
다른 공지된 계류 시스템은 공개공보 US 2004/154518 A1 및 WO 2009/048342 A2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을 계류하기 위한 계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대한 부유식 유닛의 임의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 병진 이동 및 회전 이동은 허용하지만,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대한 부유식 유닛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측면 병진 이동 및 회전 이동은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류 장치를 통한 하중 전달을 최적화하는 것으로서, 하중은, 부유식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계류 장치에 의해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계류될 때 부유식 유닛과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 사이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발생된다.
또 다른 목적은 부유식 유닛과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유닛 사이에 건현freeboard) 차이가 큰 경우에도 부유식 유닛과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 사이에 가까운 계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부유식 유닛 및 부유식 유닛이 계류되어 있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 사이에 견고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제공하는 계류 장치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표는 낮은 제조 및 설치 비용과 낮은 유지 보수 비용의 계류 장치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정의된 계류 장치, 청구항 제 22 항에 정의된 부유식 유닛, 청구항 제 23 항에 정의된 비부유식 구조물 및 청구항 제 29 항 및 제 30 항에 정의된 계류 장치의 용도에 의해 달성된다. 독립항은 계류 장치 및 부유식 유닛의 추가 실시형태를 정의한다.
본원에 개시된 계류 장치는 선박 또는 플랫폼과 같은 부유식 유닛을 또 다른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유닛, 선박 또는 구조물에 일시적으로 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계류 장치는 부유식 유닛과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 사이의 상대적 이동에서 발생하는 힘과 에너지를 흡수한다. 수평면에서 두 개의 주요 방향, 즉 일반적으로 데카르트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에서 x-방향 및 y-방향인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에서 일어나는 상대적 이동에서 발생하는 힘과 에너지는 계류 장치에 의해 흡수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와 같은,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에 의해 부유식 유닛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유닛, 선박 또는 구조물에 연결된 두 개의 계류 장치가 부유식 유닛을 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계류 장치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유닛 또는 선박에 부유식 유닛을 일시적으로 계류하여 상대적 이동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진공 패드 또는 전자기 패드를 구비한다. 계류 장치는 통합된 강성 요소,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를 사용하여 수평면에서의 상대적 병진 이동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는 계류 유닛 및 지지 요소(support element)를 구비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댐핑 요소(damping element)도 포함될 수 있다.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인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을 계류하기 위한 계류 장치가 개시된다. 계류 장치는 구조물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계류 장치는:
부유식 유닛이 구조물에 계류되고 부유식 유닛이 구조물에 대해 이동할 때 발생하는 힘과 에너지를 전달 및/또는 흡수하기 위한 제 1 계류 아암으로서, 종축을 갖는 제 1 계류 아암과,
부유식 유닛이 구조물에 계류되고 부유식 유닛이 구조물에 대해 이동할 때 발생하는 힘과 에너지를 전달 및/또는 흡수하기 위한 제 2 계류 아암으로서, 종축을 갖는 제 2 계류 아암과,
지지 요소와,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support element joint device) 및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attachment unit joint device)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로서,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에 연결되고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에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조인트 장치와,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에 부착되는 부착 유닛으로서,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에 대해 두 개 또는 세 개의 독립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부착 유닛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 유닛을 포함하는 계류 장치로서,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 및 지지 요소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는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계류 아암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제 2 단부는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제 1 단부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에 부착되고,
제 2 계류 아암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제 2 단부는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제 1 단부는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에 부착되고,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는 축(A)의 모든 위치에서 제 1 계류 아암 및/또는 제 2 계류 아암에 대해 하나의 회전축(A)만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축(A)은 제 1 계류 아암과 제 2 계류 아암의 모든 위치에서 제 1 계류 아암의 종축과 제 2 계류 아암의 종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이다.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에 대해 0, 1, 2 또는 3 개의 독립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2 계류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에 대해 1 개 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독립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계류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계류 아암은 텔레스코프식(telescopic)이고, 제 1 계류 아암의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부분과 제 1 계류 아암의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제 2 텔레스코픽 부분을 포함한다.
제 2 계류 아암은 바람직하게 텔레스코프식이고, 제 2 계류 아암의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부분과 제 2 계류 아암의 제 2 단부를 갖는 제 2 텔레스코픽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계류 아암은 제 1 복동식 유압 실린더(double-acting hydraulic cylinder)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아암은 제 2 복동식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복동식 유압 실린더와 제 2 복동식 유압 실린더는 바람직하게 수동 유압 실린더(passive hydraulic cylinder)이다.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 또는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바람직하게 지지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지지 요소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플레이트 요소(base plate element)와, 베이스 플레이트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 및 베이스 플레이트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계류 아암과 제 2 계류 아암은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와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는 바람직하게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를 통과하는 볼트 요소(bolt element)를 더 포함하고, 따라서 제 1 계류 아암과 제 2 계류 아암은 볼트 요소의 종축(A)에 대해 지지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포크 형상(fork-shaped)일 수 있고,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플레이트 형상(plate-shaped)이고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지지 요소는 포크 형상일 수 있고,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포크 형상의 지지 요소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볼트 요소가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를 통과한다.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 즉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 및/또는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 1 계류 아암의 제 2 단부는,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 1 계류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attachment joint device)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 계류 아암의 제 2 단부는,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 2 계류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두 개의 다른 축을 중심으로, 즉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계류 아암의 종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수직인 축(A)을 중심으로 그리고 각각 제 1 및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를 통과하는 제 2 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제 1 및 제 2 계류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암이 옆으로 이동할 때, 즉 제 1 및 제 2 계류 아암이 축(A)에 수직인 평면에서 이동할 때, 축(A)은 제 1 및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를 통과하는 회전축과 평행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지지 요소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가 견고하게 부착되는 플레이트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각각 세 개의 독립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계류 아암과 제 2 계류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바람직하게 볼 조인트(ball joint) 및/또는 유니버설 조인트이다.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는 바람직하게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제한 아암(restricting arm)을 더 포함하고, 제 2 단부는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제 1 단부는 지지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한 아암은 바람직하게 제한 아암의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부분 및 제한 아암의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제 2 텔레스코픽 부분을 포함하는 텔레스코프식이다.
제한 아암의 제 2 단부는,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대해 두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한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 조인트 장치에 부착된다. 부착 조인트 장치는 예를 들어 카르단 조인트(cardan joint)일 수 있다.
제한 아암은 제한 아암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 요소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한 아암의 제 1 단부는 용접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 요소에 의해 지지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지지 요소는 홀더 요소(holder element)와, 홀더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1 핀 요소(pin element) 및 홀더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2 핀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계류 아암과 제 2 계류 아암은 제 1 핀 요소와 제 2 핀 요소를 통과하는 축(A)을 중심으로 각각 제 1 핀 요소와 제 2 핀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에, 예를 들어, 지지 요소의 홀더 요소에 및/또는 지지 요소의 제 1 및/또는 제 2 핀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포크 형상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 예를 들어 지지 요소의 홀더 요소 및/또는 지지 요소의 제 1 및/또는 제 2 핀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포크 형상일 수 있고 홀더 요소의 제 1 핀 요소와 제 2 핀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는 포크 형상일 수 있고 홀더 요소의 제 1 핀 요소와 제 2 핀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핀 요소는 홀더 요소의 제 1 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 2 핀 요소는 홀더 요소의 제 2 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은 홀더 요소의 대향하는 외부 측면이다.
계류 장치는,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가 부착되는 제 1 단부 및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가 부착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지지 아암(support arm)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지지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는 부유식 유닛 또는 구조물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지지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계류 장치에 대한 하나의 지지 아암 대신에, 모든 계류 아암에 대해 지지 아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 아암은 바람직하게 텔레스코프식이고, 지지 아암의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부분 및 지지 아암의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제 2 텔레스코픽 부분을 포함한다.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는 지지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요소(ball element) 및 부착 유닛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지지 요소(ball support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는 부착 유닛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요소 및 조인트 장치의 지지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지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유닛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재(attachment member)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가 부착되는 프레임 장치(frame device)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재는 바람직하게 진공 패드 또는 전자기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이 또한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인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을 계류하기 위해 부유식 유닛에 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비부유식 구조물이 또한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을 계류하기 위해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가 부착되는 부유식 유닛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는 바람직하게 부유식 유닛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축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는 바람직하게,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류 장치가 완전히 철수될 때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보다 부유식 유닛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는 바람직하게, 압축된 상태에서, 계류 장치가 완전히 철수될 때 부유식 유닛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멀리 연장된다.
부유식 유닛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은 하나 또는 다수의 계류 장치 및 계류 장치 또는 계류 장치들의 어느 한 면에서 부유식 유닛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계류 장치는 부유식 유닛의 측면을 따라 중앙에서 부유식 유닛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계류 장치의 용도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을 계류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계류 장치는 부유식 유닛에 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계류 장치의 추가 용도는 부유식 구조물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을 계류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계류 장치는 부유식 구조물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착된다. 이는 부유식 유닛에 계류 장치를 장착하는 대신에, 부유식 유닛이 계류되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 예를 들어, 부유식 유닛이 계류될 수 있는 선박, 선창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계류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형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계류 아암, 제 2 계류 아암 및 조인트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계류 아암, 제 2 계류 아암, 지지 아암 및 조인트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부착 유닛의 프레임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무게추 요소(weight element)를 구비하는 도 5의 프레임 장치를 도시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한 아암의 단면 A-A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의 지지 요소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11은 지지 아암이 제 1 및 제 2 계류 아암 아래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지지 아암이 제 1 및 제 2 계류 아암 위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 및 계류 장치의 양쪽에서 부유식 유닛에 장착된 두 개의 펜더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계류 장치 및 두 개의 계류 장치의 양쪽에서 부유식 유닛에 장착된 두 개의 펜더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 및 계류 장치의 양쪽에서 부유식 유닛에 장착된 두 개의 펜더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부착 유닛이 두 개의 다른 위치, 즉 부유식 유닛이 계류되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대한 부유식 유닛의 이동 전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부착 유닛은 동일한 위치에 있고, 부유식 유닛은, 부유식 유닛이 계류되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축에 대해 부유식 유닛이 기울어지기 전후의 두 개의 다른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부착 유닛은 동일한 위치에 있고, 부유식 유닛은, 부유식 유닛이 계류되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회전축에 대해 부유식 유닛이 기울어지기 전후의 두 개의 다른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10)의 세 개의 실시형태 중 하나의 실시형태의 두 가지 변형을 도시하고 있다. 계류 장치(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는 조인트 장치(28)를 포함하고, 도면에 도시된 세 개의 실시형태는 하나의 변형 중 두 개의 변형이 있는 조인트 장치(28)의 세 개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동일한 특징부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되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계류 장치(10)는 제 1 단부(15)와 제 2 단부(16)를 포함하는 제 1 계류 아암(12)을 포함한다. 제 1 단부(15)는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장치 또는 방법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볼트에 의해 조인트 장치(28)에 부착된다. 계류 장치(10)는 제 1 단부(23)와 제 2 단부(24)를 포함하는 제 2 계류 아암(20)을 더 포함한다. 제 1 단부(23)는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장치 또는 방법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볼트에 의해 조인트 장치(28)에 부착된다. 제 1 계류 아암(12)은, 제 1 계류 아암을 종방향으로 통과하고 제 1 단부(15)와 제 2 단부(16)를 통과하는 종축을 포함한다. 제 2 계류 아암(20)은, 제 2 계류 아암을 종방향으로 통과하고 제 1 단부(23)와 제 2 단부(24)를 통과하는 종축을 포함한다.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2 단부(16)에,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볼트 요소에 의해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7)가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7)는, 예를 들어 볼트, 용접 또는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7)를 체결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체결 수단 또는 방법에 의해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 (125)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7)는 바람직하게 계류 장치(10)가 부착되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 1 계류 아암(1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7)는 볼 조인트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일 수 있지만, 계류 장치(10)가 부착되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 1 계류 아암(12)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다른 조인트 장치일 수도 있다.
제 1 계류 아암(12)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부분(13)과 제 2 텔레스코픽 부분(14)을 포함하는 텔레스코프식이고, 제 1 텔레스코픽 부분(13)은 제 2 텔레스코픽 부분(14)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제 1 계류 아암(12)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및/또는 하나 이상의 댐핑 장치와 같은 충격 흡수 요소를 포함하는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더 상세히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1 텔레스코픽 부분(13)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1 단부(15)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2 텔레스코픽 부분(14)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2 단부(1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7)는 바람직하게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2 텔레스코픽 부분(14)에 부착되고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2 단부(24)에,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볼트 요소에 의해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25)가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25)는,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25)를 체결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체결 수단 또는 방법에 의해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 (125)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25)는 바람직하게 계류 장치(10)가 부착되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 2 계류 아암(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25)는 볼 조인트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일 수 있지만, 계류 장치(10)가 부착되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 2 계류 아암(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다른 조인트 장치일 수도 있다.
제 2 계류 아암(20)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부분(21)과 제 2 텔레스코픽 부분(22)을 포함하는 텔레스코프식이고, 제 1 텔레스코픽 부분(21)은 제 2 텔레스코픽 부분(22)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제 2 계류 아암(20)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및/또는 하나 이상의 댐핑 장치와 같은 충격 흡수 요소를 포함하는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더 상세히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1 텔레스코픽 부분(21)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1 단부(23)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2 텔레스코픽 부분(22)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2 단부(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25)는 바람직하게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2 텔레스코픽 부분(22)에 부착되고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계류 장치(10)는 계류 장치(10)의 조인트 장치(28)에 부착되는 부착 유닛(66)을 더 포함한다.
부착 유닛(66)은 프레임 장치(67)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재를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1, 2 또는 3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부착 부재(85, 87, 89, 9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각각의 조인트 장치에 의해 프레임 장치(67)에 독립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부착 부재(85, 87, 89, 91)를 포함한다. 조인트 장치는 예를 들어 볼트 요소, 카르단 조인트, 볼 조인트,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원하는 수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부착 부재(85, 87, 89, 91)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다른 조인트 장치일 수 있다.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지만 자체 위치에 거의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가황 진공 패드도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 장치(67)는 분명히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프레임 장치(67)가 제 1 프레임 부재(68)와, 제 2 프레임 부재(74) 및 제 3 프레임 부재(80)를 포함하는 하나의 예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제 3 프레임 부재(80)는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 1 프레임 부재(68)는 제 3 프레임 부재(80)의 제 1 단부(81)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반면, 제 2 프레임 부재(7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프레임 부재(80)의 제 2 단부(82)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1 프레임 부재(68)는 제 1 조인트 장치(70)가 배치되거나 장착되는 제 1 단부(69)를 포함한다. 제 1 부착 부재(85)는 제 1 부착 부재(85)가 프레임 장치(6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제 1 조인트 장치(70)에 연결된다. 도시된 제 1 조인트 장치(70)는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제 1 부착 부재(85)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 요소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단부(69) 및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1, 2 또는 3 개의 축을 중심으로 제 1 부착 부재(85)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제 1 부착 부재(85)를 제 1 단부(69)에 연결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조인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 부재(68)는 제 2 조인트 장치(72)가 배치되거나 장착되는 제 2 단부(71)를 더 포함한다. 제 4 부착 부재(91)는 제 4 부착 부재(91)가 프레임 장치(6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제 2 조인트 장치(72)에 연결된다. 도시된 제 2 조인트 장치(72)는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제 4 부착 부재(9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 요소이다. 그러나,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단부(71) 및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1, 2 또는 3 개의 축을 중심으로 제 4 부착 부재(91)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제 4 부착 부재(91)를 제 2 단부(71)에 연결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조인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 부재(74)는 제 3 조인트 장치(76)가 배치되거나 장착되는 제 1 단부(75)를 포함한다. 제 2 부착 부재(87)는 제 2 부착 부재(87)가 프레임 장치(6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제 3 조인트 장치(76)에 연결된다. 도시된 제 3 조인트 장치(76)는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제 2 부착 부재(87)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 요소이다. 그러나,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단부(78) 및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1, 2 또는 3 개의 축을 중심으로 제 2 부착 부재(87)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 부착 부재(87)를 제 1 단부(75)에 연결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조인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 부재(74)는 제 4 조인트 장치(78)가 배치되거나 장착되는 제 2 단부(77)를 더 포함한다. 제 3 부착 부재(89)는 제 3 부착 부재(89)가 프레임 장치(6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제 4 조인트 장치(78)에 연결된다. 도시된 제 4 조인트 장치(78)는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제 3 부착 부재(89)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 요소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단부(77) 및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1, 2 또는 3 개의 축을 중심으로 제 3 부착 부재(89)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제 3 부착 부재(89)를 제 2 단부(77)에 연결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조인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조인트 장치를 선택함으로써, 부착 부재(85, 87, 89, 91)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하나의 축 대신에 프레임 장치(67)에 대해 두 개 또는 세 개의 독립적인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대한 대안으로서, 부착 부재(85, 87, 89, 91)는 볼트 요소(70, 72, 76, 78)에 장착되는 각각의 구형 조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부착 부재(85, 87, 89, 91)가 3자유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유닛(66)은 네 개의 부착 부재, 즉 도 5 및 도 6에 더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 요소(70) 형태의 조인트 장치에 의해 프레임 장치(6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부착 요소(86)를 포함하는 제 1 부착 부재(85)와, 볼트 요소(76) 형태의 조인트 장치에 의해 프레임 장치(6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부착 요소(도 1에는 보이지 않음)를 포함하는 제 2 부착 부재(87)와, 볼트 요소(78) 형태의 조인트 장치에 의해 프레임 장치(6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3 부착 요소(90)를 포함하는 제 3 부착 부재(89) 및 볼트 요소(72) 형태의 조인트 장치에 의해 프레임 장치(6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3 부착 요소(92)를 포함하는 제 4 부착 부재(9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부착 유닛(66)은 도 1에 도시된 네 개 이외의 임의의 적절하고 바람직한 수의 부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부착 유닛(66)은 예를 들어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부착 부재(85, 87),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부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유닛(66)은 무게추 요소(95)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 요소(95)는 제 3 프레임 부재(80)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거나, 제 3 프레임 부재(80)의 제 2 단부(82)를 형성할 수 있다. 무게추 요소(95)는 부착 유닛(66)의 부착 부재(85, 87, 89, 9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계류 장치(10)가 장착되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을 향해 연장된다. 무게추 요소(95)는 균형추(counter weight)로서 작용하고, 부착 유닛(66)의 균형을 유지하며 부착 유닛이 임의의 부유식 유닛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착되지 않을 때, 원하는 실질적인 수직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프레임 장치(67)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조인트 장치(28)에 부착 유닛(66)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의 부착을 위한 리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에의 부착 유닛(66)의 부착은 도면에 도시된 계류 장치(10)의 세 개의 실시형태 사이에서 약간 다르며 아래에서 더 기술될 것이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부착 부재(85, 87, 89, 91)는 바람직하게 진공 패드 또는 전자기 패드로서, 이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의 외부 표면, 예를 들어 LNG 운반선의 선체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나중에 상기 외부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패드 및 전자기 패드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더 상세히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위에서 기술되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부착 유닛(66)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계류 장치(10)의 제 2 실시형태 및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계류 장치(10)의 제 3 실시형태에도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계류 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인트 장치(28)를 포함한다. 조인트 장치(28)는 세 개의 주요 부품, 즉 지지 요소(30)와, 지지 요소(30)에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 및 지지 요소(30)에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를 포함한다. 조인트 장치(28)는 도면에 도시된 계류 장치(10)의 세 가지 실시형태를 서로 분리하는 것이며, 조인트 장치(28)의 세 가지 다른 설계는 각각의 실시형태의 설명과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계류 장치(10)의 제 1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는 베이스 플레이트 요소(32)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요소(32)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33) 및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요소(32)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34)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3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요소(30)는 바람직하게 대체로 U-자형 또는 포크 형상이다.
계류 장치(10)의 제 1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를 더 포함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는 예를 들어 용접 또는 하나 이상의 볼트에 의해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1 단부(15)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는 예를 들어 용접 또는 하나 이상의 볼트에 의해 제 2 계류 아암(2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체로 U-자형 또는 포크 형상일 수 있고, 포크 형상의 지지 요소(30)의 갭 내에 꼭 맞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는 대체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의 갭에 꼭 맞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는 포크 형상의 지지 요소(30)의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33)와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34),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의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 및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 내의 대응하는 구멍을 관통하거나 통과하는 볼트 요소(46)를 더 포함한다.
이는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 모두가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 모두는 볼트 요소(46)를 통과하는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축(A)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 중 하나만 지지 요소(30)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이는 부착 유닛(66)의 이동과 위치가 추적되고 제어될 수 있도록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또는 지지 요소(30)에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를 견고하게 부착하는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반면에,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는 바람직하게 볼트 요소(4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는 볼트 요소(46)를 통과하는 축(A)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용접, 볼트 체결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방법에 의해 지지 요소(30)에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를 견고하게 부착하는 것이 분명 가능한 반면,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는 지지 요소에 연결되어, 볼트 요소(46)를 통과하는 축(A)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의 포크에 끼워지는 플레이트 및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와 플레이트 형상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를 갖는 이러한 구성은, 지지 요소(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 중 하나가 볼트 요소(46)를 통과하는 축(A)을 중심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는 제 1 계류 아암의 종축과 제 2 계류 아암의 종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수직인 하나의 축만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축(A)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볼트 요소(46)를 통과한다.
계류 장치(10)의 제 1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는 부착 유닛(66)에 조인트 장치(28)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를 더 포함한다.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지지 요소(30)에 대해 두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부착 유닛(66)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르단 조인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지지 요소(30)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부착 유닛(66)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조인트일 수 있다. 볼 요소(64)는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볼 지지 요소(63)는 부착 유닛(66)의 프레임 장치(67) 내에 장착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계류 장치(10)의 제 2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는 플레이트 요소(36)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30)를 포함한다.
계류 장치(10)의 제 2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8)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9)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를 더 포함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8)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9)는 예를 들어 용접, 볼트 체결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수단에 의해 지지 요소(30)의 플레이트 요소(36)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8)는 바람직하게 지지 요소(30)에 대해 세 개의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계류 아암(1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8)는 예를 들어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1 단부(15)에 볼 요소가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조인트일 수 있고, 볼 지지 요소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요소(30)의 플레이트 요소(36)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9)는 바람직하게 지지 요소(30)에 대해 세 개의 서로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2 계류 아암(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9)는 예를 들어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1 단부(23)에 볼 요소가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조인트일 수 있고, 볼 지지 요소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요소(30)의 플레이트 요소(36)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는 제한 아암(51), 즉 지지 요소(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아암(51)을 더 포함한다.
제한 아암(51)은 제 1 단부(54)와 제 2 단부(53)를 포함한다. 제 1 단부(54)는 예를 들어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해, 또는 볼트 체결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수단에 의해 조인트 장치(28)의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2 단부(53)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대해 두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한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 조인트 장치(56)에 의해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부착된다. 제한 아암(51)은, 종방향으로 제한 아암(51)을 통과하고 제 1 단부(54)와 제 2 단부(53)를 통과하는 종축을 포함한다.
제한 아암(51)은 바람직하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부분(52)과 제 1 텔레스코픽 부분(52)을 포함하는 텔레스코프식이고, 제 1 텔레스코픽 부분(52)은 제 2 텔레스코픽 부분(53)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제한 아암(51)은 일반적으로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고, 원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스프링 및/또는 하나 이상의 댐핑 장치와 같은 충격 흡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텔레스코프식 어셈블리 및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더 상세히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 7a에 나타낸 제한 아암(51)의 단면 A-A는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아암(51)의 단면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제조되지만, 육각형 또는 삼각형과 같은 다른 다각형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제 1 텔레스코픽 부분(52)과 제 2 텔레스코픽 부분(53)의 단면은 모두 다각형이고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이고, 따라서 제 1 텔레스코픽 부분(52)은 제 2 텔레스코픽 부분(52) 내에서 쉽게 미끄러질 수 있다. 제한 아암(51)의 단면의 다각형 형상은 제 2 텔레스코픽 부분(53)에 대해 제 1 텔레스코픽 부분(52)의 뒤틀림 이동이 없음을, 즉 제한 아암(51)의 종축에 대해 지지 요소(30)의 회전 이동이 없음을 보장한다.
부착 조인트 장치(56)는 부유식 유닛(110)에 대해 두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한 아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도 7a에 도시된 카르단 조인트일 수 있다. 하나의 축은, 부착 조인트 장치(56)를 통과하고 제 1 계류 아암(12)의 종축과 제 2 계류 아암(20)의 종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인, 도 7a에 도시된 축(A)이다.
제한 아암(51)이 카르단 조인트(56)에 의해 지지 요소(30)의 플레이트 요소에 그리고 부유식 유닛(110)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이 볼 조인트(48 및 49)에 의해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계류 장치(10)의 제 2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의 이러한 구성은,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가 하나의 축만을 중심으로, 즉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의 종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항상 수직인 축(A)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는 하나의 축만을 중심으로,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계류 아암의 종축과 제 2 계류 아암의 종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인, 도 7a에 도시된 축(A)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30) 즉 플레이트 요소(36)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계류 장치(10)의 제 2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는 부착 유닛(66)에 조인트 장치(28)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를 더 포함한다.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지지 요소(30)에 대해 두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부착 유닛(66)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르단 조인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지지 요소(30) 즉 플레이트 요소(36)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부착 유닛(66)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조인트일 수 있다. 볼 요소(64)는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볼 지지 요소(63)는 부착 유닛(66)의 프레임 장치(67) 내에 장착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계류 장치(10)의 제 3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는 제 1 측면(41)과 제 2 측면(42)을 갖는 홀더 요소(38)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30)를 포함한다. 제 1 핀 요소(39)는 제 1 측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제 2 핀 요소(40)는 제 2 측면(42)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축(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를 통과한다.
홀더 요소(38)는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의 볼 지지 요소(63)가 장착될 수 있는 공동(cavity)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의 볼 요소(64)는 이 실시형태에서 부착 유닛(66)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볼 조인트의 볼 요소(64)는 홀더 요소(38) 내에 배치된 볼 지지 요소(63) 내에 배치된다.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가 볼 조인트인 경우,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의 이러한 배치는 부착 유닛(66)과 축(A) 사이의 거리를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와 축(A)이 일치하는 정도로 줄인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는 축(A)에 대한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의 제어되지 않은 회전 및/또는 힌지 동작을 수동적으로 감소시킨다.
계류 장치(10)의 제 3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는 대체로 포크 형상 또는 U-자형인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 및 대체로 포크 형상 또는 U-자형이고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에 꼭 맞도록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를 더 포함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는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1 단부(15)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는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1 단부(23)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는 지지 요소(30)의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지지 요소(30)는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 모두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는 지지 요소(30) 예를 들어 제 1 핀 요소(39) 및/또는 제 2 핀 요소(40)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는 지지 요소(30), 즉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는 지지 요소(30), 예를 들어 제 1 핀 요소(39) 및/또는 제 2 핀 요소(40)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는 지지 요소, 즉,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3 실시형태의 약간 다른 변형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 요소(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박스 형상 대신에 이 실시형태에서 실린더 형상을 갖는 홀더 요소(38)를 더 포함한다.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의 볼 지지 요소(도 10에 도시되지 않음)는 도 8 및 도 9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홀더 요소(3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는 여기서 용접, 볼트 체결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방법에 의해 지지 요소(30), 예를 들어 홀더 요소(38)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요소(58)로서 도시된다.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1 단부(15)는 요소(58)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따라서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를 배제하고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1 단부(15)를 지지 요소(30)에 직접 용접하거나 볼트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는 간단히 제 1 단부(15)를 지지 요소(30)에 연결하는 용접 또는 볼트/볼트 구멍일 수 있다.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포크 형상이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30)의 제 1 및 제 2 핀 요소(39, 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축(A)은 포크 형상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가 연결되는 핀 요소를 통과한다.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의 구성은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즉,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는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는 포크 형상이고, 핀 요소(39, 40)를 통과하는 축(A)을 중심으로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 및 포크 형상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 또는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요소(58)를 포함하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 및 핀 요소(39)를 통과하는 축(A)을 중심으로 핀 요소(39, 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포크 형상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를 포함하는 계류 장치(10)의 제 3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의 이러한 구성은, 지지 요소(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 중 하나가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를 통과하는 축(A)을 중심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는, 제 1 계류 아암의 종축과 제 2 계류 아암의 종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수직인 하나의 축만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여기서 축(A)은 도 9에 나타낸 볼트 요소(46)를 통과한다.
계류 장치(10)의 제 3 실시형태의 조인트 장치(28)는 부착 유닛(66)에 조인트 장치(28)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를 더 포함한다고 위에서 언급하였다.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지지 요소(30)에 대해 두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부착 유닛(66)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카르단 조인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에서 언급하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지지 요소(30)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부착 유닛(66)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조인트일 수 있다. 볼 요소(64)는 부착 유닛(66)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볼 지지 요소(63)는 상기한 지지 요소(30)의 홀더 요소(38)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계류 장치(10)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단부(100)와 제 2 단부(103)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97)을 더 포함한다. 제 1 단부(100)는 조인트 장치(28)에 부착되고, 제 2 단부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부착된다. 지지 아암(97)은, 종방향으로 지지 아암(97)을 통과하고 제 1 단부(100)와 제 2 단부(103)를 통과하는 종축을 포함한다. 지지 아암의 주요 목적은 계류 장치(10)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 아암(97)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도 11,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부분(98) 및 제 2 텔레스코픽 부분(99)을 포함하는 텔레스코프식이고, 제 1 텔레스코픽 부분(98)은 제 2 텔레스코픽 부분(99)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지지 아암(97)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및/또는 하나 이상의 댐핑 장치와 같은 충격 흡수 요소를 포함하는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더 상세히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지지 아암(97)의 제 1 텔레스코픽 부분(98)은 지지 아암(97)의 제 1 단부(10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지지 아암(97)의 제 2 텔레스코픽 부분(99)은 지지 아암(97)의 제 2 단부(103)를 포함한다.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01)는 바람직하게 지지 아암(97)의 제 1 텔레스코픽 부분(98)에 부착되고, 조인트 장치(28)의 지지 요소(30)에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01)를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01)는 바람직하게 지지 요소(30)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지지 아암(97)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지지 요소(30)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지지 아암(97)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조인트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조인트일 수 있다.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104)는 바람직하게 지지 아암(97)의 제 2 텔레스코픽 부분(99)에 부착되고,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104)를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104)는 바람직하게 계류 장치(10)가 부착되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지지 아암(97)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부유식 유닛(110) 또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지지 아암(97)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조인트,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조인트일 수 있다.
지지 아암 또는 지지 아암들(97)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6,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아암 또는 지지 아암들(97)은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아암 또는 지지 아암들(97)은 바람직하게, 계류 장치(10)와 함께 사용되는 지지 아암(97)의 수, 제 1 계류 아암(12), 제 2 계류 아암(20), 제한 아암(51) 및 조인트 장치(28)의 무게 등에 따라, 지지 아암(97)의 제 2 단부에서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제 1 계류 아암(12)에, 및/또는 제 2 계류 아암(20)에, 및/또는 제한 아암(51)에, 및/또는 조인트 장치(28)에 부착된다. 지지 아암 또는 지지 아암들(97)의 목적은 부착 유닛(66)의 무게를 지탱하고 공간에서 부착 유닛(66)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제한 아암(51) 및/또는 지지 요소(30) 및/또는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 모두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 아암(97)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대형 선박(110)에 장착되어 선박이 또 다른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계류되도록 하거나, 또 다른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이 선박(110)에 계류되도록 하는 계류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원하는 수의 계류 장치(10)가 선박(110)에 장착될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도 11,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8은 하나 또는 두 개의 계류 장치(10)가 장착된 부유식 유닛(110)을 도시하고 있다. 다시, 원하는 수의 계류 장치(10)가 부유식 유닛(110)에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원에 기술된 계류 장치(10)의 구성은 부유식 유닛(110)이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대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부유식 유닛(110)이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계류될 때 계류 장치(10)의 부착 유닛(66)은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부착될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 부유식 유닛(110)과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 사이의 일부 상대적 이동이 도시되어 있다.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대해 부유식 유닛(110)이 이동하는 동안, 부착 유닛(66)의 부착 요소(85, 87, 89)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의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부유식 유닛(110)의 갑판 부분(112), 제 1 및 제 2 계류 아암(12, 20) 및 부유식 유닛(110) 및 계류 장치(10)의 다른 부분들은 부착 요소(85, 87, 89 91) 및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대해 이동할 것이다.
도 17은 부유식 유닛(110)과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 사이의 결합된 상대적 수직 이동 및 수평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부착 요소(85, 87, 89 91)가 부착되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의 측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인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유식 유닛(110)과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 사이의 상대적 회전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부착 요소(85, 87, 89 91)가 부착되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의 측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유식 유닛(110)과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 사이의 상대적 회전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부유식 유닛(110)은 도 14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펜더 장치(120, 121), 즉 제 1 펜더 장치(120)와 제 2 펜더 장치(1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펜더 장치(120, 121)는 계류 장치(10) 또는 계류 장치들(10)이 이들의 용량 이상으로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계류 장치(10)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유식 유닛(110)이 계류되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에 부유식 유닛(110)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 1 및 제 2 펜더 장치(120, 121)는, 제 1 및 제 2 펜더 장치(120, 121)가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125)로부터 힘을 받는 곳에 압축된 펜더 라인이 표시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펜더 장치(120, 121)가 이들에 작용하는 외부 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서 압축되지 않은 펜더 라인이 표시되어 있는 도 12, 도 14, 도 15, 도 17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유연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펜더 장치(120, 121)의 유연성과 압축성은 고무 재질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조된 공기 가압 요소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펜더 요소(120, 121)는 폼 또는 고무로 더 충전될 수 있다. 펜더 요소(120, 121) 내부의 공기의 압력 또는 폼 또는 고무의 강성은 제 1 및 제 2 펜더 장치(120, 121)의 원하는 압축성이 달성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유닛(110)은 제 1 펜더 장치(120)와 제 2 펜더 장치(121) 사이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계류 장치(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수의 계류 장치(10)가 부유식 유닛(110)에 장착될 수 있고, 임의의 수의 펜더 장치(120, 121)가 부유식 유닛(110)에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펜더 장치(120, 121) 및 계류 장치(10) 또는 계류 장치들(10)의 배치 및 상대적 및 상호간 위치는 또한 하나의 부유식 유닛(110)으로부터 다른 부유식 유닛(110)으로 변할 수 있다. 펜더 장치(120, 121)는 계류 장치(1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부유식 유닛(110)의 요 모멘트(yaw moment)를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계류 장치(10) 외에 하나 이상의 펜더 장치(120, 121)를 부유식 유닛(110)에 제공하면 계류 장치(10)의 유용성이 향상되는데, 이는 부유식 유닛(110)에 작용하는 외부 하중이 하나 이상의 펜더 장치(120, 12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처리될 수 있고 따라서 계류 장치(10)에 대한 설계 요건을 줄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모든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 있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첨부된 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청구 범위에서 괄호 안의 참조 번호는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에서 "포함하다"라는 동사의 사용 및 이의 다른 형태는 청구 범위에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요소 앞의 부정 관사는 이러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30)

  1.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인 구조물(125)에 부유식 유닛(110)을 계류하기 위한 계류 장치(10)로서, 계류 장치(10)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계류 장치는:
    - 부유식 유닛(110)이 구조물(125)에 계류되고 부유식 유닛이 구조물에 대해 이동할 때 발생하는 힘과 에너지를 전달 및/또는 흡수하기 위한 제 1 계류 아암(12)으로서, 종축을 갖는 제 1 계류 아암(12)과,
    - 부유식 유닛(110)이 구조물(125)에 계류되고 부유식 유닛이 구조물에 대해 이동할 때 발생하는 힘과 에너지를 전달 및/또는 흡수하기 위한 제 2 계류 아암(20)으로서, 종축을 갖는 제 2 계류 아암(20)과,
    - 지지 요소(30)와,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 및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28)로서,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는 지지 요소(30)에 연결되고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지지 요소(30)에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조인트 장치(28)와,
    -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에 부착되는 부착 유닛(66)으로서,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지지 요소(30)에 대해 두 개 또는 세 개의 독립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부착 유닛(66)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 유닛(66)을 포함하는 계류 장치로서,
    -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는 지지 요소(30)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 48, 58) 및 지지 요소(30)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는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 49, 59)를 포함하고,
    - 제 1 계류 아암(12)은 제 1 단부와(15) 제 2 단부(16)를 포함하고, 제 2 단부(16)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제 1 단부(15)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 48, 58)에 부착되고,
    - 제 2 계류 아암은 제 1 단부(23)와 제 2 단부(24)를 포함하고, 제 2 단부(24)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제 1 단부(23)는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 49, 59)에 부착되고,
    -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는 축(A)의 모든 위치에서 제 1 계류 아암(12) 및/또는 제 2 계류 아암(20)에 대해 하나의 회전축(A)만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축(A)은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의 모든 위치에서 제 1 계류 아암(12)의 종축과 제 2 계류 아암(20)의 종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계류 아암(12)은 텔레스코프식이고,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1 단부(15)를 포함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부분(13)과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2 단부(16)를 포함하는 제 2 텔레스코픽 부분(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계류 아암(20)은 텔레스코프식이고,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1 단부(23)를 포함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부분(21)과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2 단부(24)를 갖는 제 2 텔레스코픽 부분(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 48, 58) 또는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의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 49, 59)는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30)는 베이스 플레이트 요소(32)와, 베이스 플레이트 요소(32)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33) 및 베이스 플레이트 요소(32)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34)를 포함하고, 제 1 계류 아암(12) 및/또는 제 2 계류 아암(20)은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33)와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는 포크 형상이고,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지지 요소(30)는 포크 형상이고, 포크 형상의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는 포크 형상의 지지 요소(30)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볼트 요소(46)가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4),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5), 제 1 측면 플레이트 요소(33)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 요소(34)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계류 아암(12)의 제 2 단부(16)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 1 계류 아암(1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7)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계류 아암(20)의 제 2 단부(24)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 2 계류 아암(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2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30)는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8)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9)가 견고하게 부착되는 플레이트 요소(36)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8)와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49)는 계류 장치(10)가 장착되는 부유식 유닛(110)에 대해 각각 세 개의 독립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 조인트 장치(43)는 제 1 단부(54)와 제 2 단부(55)를 포함하는 제한 아암(51)을 더 포함하고, 제 2 단부(55)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제 1 단부(54)는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한 아암(51)은 텔레스코프식이고, 제한 아암(51)의 제 1 단부(54)를 포함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부분(52) 및 제한 아암(51)의 제 2 단부(55)를 포함하는 제 2 텔레스코픽 부분(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제한 아암(51)의 제 2 단부(55)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대해 두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제한 아암(5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부착 조인트 장치(5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 아암(51)은 제한 아암(51)의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 요소(3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30)는 홀더 요소(38)와, 홀더 요소(38)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1 핀 요소(39) 및 홀더 요소에(38) 견고하게 부착되는 제 2 핀 요소(40)를 포함하고, 제 1 계류 아암(12)과 제 2 계류 아암(20)은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를 통과하는 축(A)을 중심으로 각각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8)는 포크 형상이고 홀더 요소(38)의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 2 계류 아암 조인트 장치(59)는 포크 형상이고 홀더 요소(38)의 제 1 핀 요소(39)와 제 2 핀 요소(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핀 요소(39)는 홀더 요소(38)의 제 1 측면(41)에 부착되고, 제 2 핀 요소(40)는 홀더 요소(38)의 제 1 측면(4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 1 측면(41)과 제 2 측면(42)은 홀더 요소(38)의 대향하는 외부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류 장치(10)는, 지지 요소(30)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01)가 부착되는 제 1 단부(100) 및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104)가 부착되는 제 2 단부(103)를 포함하는 지지 아암(97)을 더 포함하고, 제 1 부착 조인트 장치(101)는 지지 요소(30)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지지 아암(97)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 부착 조인트 장치(104)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구조물(125)에 대해 세 개의 독립적인 축을 중심으로 지지 아암(97)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지지 아암(97)은 텔레스코프식이고, 지지 아암(97)의 제 1 단부(100)를 포함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부분(98) 및 지지 아암(97)의 제 2 단부(103)를 포함하는 제 2 텔레스코픽 부분(9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요소(64) 및 부착 유닛(66)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지지 요소(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는 부착 유닛(66)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요소(64) 및 조인트 장치(28)의 지지 요소(3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볼 지지 요소(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유닛(66)은,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재(85, 87, 89, 91)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부착 유닛 조인트 장치(61)가 부착되는 프레임 장치(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10)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110)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10)는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인 구조물(125)에 부유식 유닛(110)을 계류하기 위해 부유식 유닛(110)에 부착되는, 부유식 유닛(110).
  23.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10)를 포함하는 비부유식 구조물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10)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110)을 계류하기 위해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착되는, 비부유식 구조물.
  24.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10)가 부착되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10)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120, 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닛.
  25. 제 2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120, 121)는 부유식 유닛(110)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닛.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120, 121)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류 장치가 완전히 철수될 때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10)보다 부유식 유닛(110)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닛.
  27. 제 2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120, 121)는, 압축된 상태에서, 계류 장치가 완전히 철수될 때 부유식 유닛(110)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계류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멀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닛.
  28. 제 25 항 내지 제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유식 유닛(110)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은 하나 또는 다수의 계류 장치(10) 및 계류 장치(10) 또는 계류 장치들(10)의 어느 한 면에서 부유식 유닛(110)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펜더 장치(120, 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닛.
  29. 부유식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110)을 계류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계류 장치(10)의 용도로서, 계류 장치(10)는 부유식 유닛(110)에 부착되는, 계류 장치(10)의 용도.
  30. 부유식 구조물(125)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유식 유닛(110)을 계류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계류 장치의 용도로서, 계류 장치(10)는 부유식 구조물 또는 비부유식 구조물에 부착되는 계류 장치(10)의 용도.
KR1020207026599A 2018-02-19 2019-02-15 계류 장치 및 하나 이상의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 KR202001218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80263 2018-02-19
NO20180263 2018-02-19
NO20181650 2018-12-19
NO20181650A NO345066B1 (en) 2018-02-19 2018-12-19 A mooring device and a floating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mooring device
PCT/EP2019/053855 WO2019158710A1 (en) 2018-02-19 2019-02-15 A mooring device and a floating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moor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842A true KR20200121842A (ko) 2020-10-26

Family

ID=6799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599A KR20200121842A (ko) 2018-02-19 2019-02-15 계류 장치 및 하나 이상의 계류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83801B2 (ko)
EP (1) EP3755616B1 (ko)
KR (1) KR20200121842A (ko)
CN (1) CN111989262B (ko)
NO (1) NO345066B1 (ko)
ZA (1) ZA2020052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9559B (zh) * 2019-11-22 2020-11-10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船舶靠泊的磁性岸端协同装置
JPWO2023095644A1 (ko) * 2021-11-24 2023-06-01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2284A (en) 1962-12-14 1964-07-28 Andrew G Kauffman Mooring device
US3463114A (en) * 1968-04-24 1969-08-26 Stanwick Corp The Method for maneuvering a vessel with respect to its station
US4193368A (en) * 1978-01-20 1980-03-18 Chicago Bridge & Iron Company Offshore mooring system for vessel or ship
NO145826C (no) 1979-02-14 1982-06-09 Moss Rosenberg Verft As Anordning for fortoeyning av en flytende konstruksjon
NL8403978A (nl) 1984-12-31 1986-07-16 Single Buoy Moorings Afmeerinrichting.
US5575234A (en) 1995-11-13 1996-11-19 Dysarz; Edward D. Boat and dock standoff
JP4768190B2 (ja) * 2000-02-26 2011-09-07 カボテック エムエスエ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ィド 係留装置
AU2002341632B2 (en) * 2001-04-17 2006-08-17 Cavotec Moormaster Limited Mooring robot
AU2002348952B2 (en) 2001-10-12 2007-01-25 Bluewater Energy Services B.V. Offshore fluid transfer system
GB0421795D0 (en) 2004-10-01 2004-11-03 Baross John S Full weathervaning bow mooring and riser inboarding assembly
BRPI0620174A2 (pt) 2005-12-22 2011-11-01 Bluewater Energy Services Bv sistema de amarração
KR101198829B1 (ko) * 2010-11-04 2012-11-07 한국과학기술원 선박의 계류 시스템, 이를 이용한 부유체, 이동항구 및 안벽
FI20115257A0 (fi) 2011-03-14 2011-03-14 Mobimar Oy Kiinnityslaite ja menetelmä aluksen kiinnittämiseksi tuulivoimalaan
NO337756B1 (no) * 2014-01-17 2016-06-13 Connect Lng As En overføringsstruktur, et overføringssystem og en fremgangsmåte for overføring av et fluid og/eller elektrisk kraft mellom en flytende struktur og en flytende eller ikke-flytende fasilitet
NO343569B1 (en) * 2016-07-12 2019-04-08 Fobox As Mooring assembly for a floating vessel
MX2021007874A (es) 2018-12-27 2021-10-26 Huawei Tech Co Ltd Un codificador de video, un decodificador de video y métodos correspondien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89262A (zh) 2020-11-24
US11383801B2 (en) 2022-07-12
US20210047013A1 (en) 2021-02-18
EP3755616A1 (en) 2020-12-30
EP3755616B1 (en) 2022-03-30
NO20181650A1 (en) 2019-08-20
NO345066B1 (en) 2020-09-14
ZA202005296B (en) 2022-01-26
CN111989262B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709B2 (en) Mooring system for a vessel
US10532796B2 (en) Transfer structure, a transfer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ferring LNG and/or electric power
KR101358228B1 (ko) 선박의 레이더 마스트
US6938570B2 (en) Mooring robot
EP3390216B1 (en) Multiple containment unit of compressed gas cylinders, in particular for marine transport
WO2005097590A1 (en) A mooring device for holding a floating vessel adjacent a mooring facility
EP3755616B1 (en) A mooring device and a floating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mooring device
AU2002341632A1 (en) Mooring robot
KR20220092976A (ko) 서지 감쇠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공정
WO2019158710A1 (en) A mooring device and a floating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mooring device
KR10119560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US10723416B2 (en) Mooring frame for mooring a floating unit and a floating unit comprising such a mooring frame
EP2778042A1 (en) Assembly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a vessel and a turret structure mounted in said vessel
WO2020013700A1 (en) A system for quick release of mooring and loading and unloading lines between a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at sea and a vessel
US9682752B2 (en) Deflection absorbing tensione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