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755A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755A
KR20200121755A KR1020200045758A KR20200045758A KR20200121755A KR 20200121755 A KR20200121755 A KR 20200121755A KR 1020200045758 A KR1020200045758 A KR 1020200045758A KR 20200045758 A KR20200045758 A KR 20200045758A KR 20200121755 A KR20200121755 A KR 20200121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inner housing
connector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근
박현상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2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시일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이며, 상기 제 1 커넥터는, 메인 파트와, 메인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연장 파트를 포함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을 감싸는 플러그 쉴드; 상기 플러그 쉴드를 감싸는 아우터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파트의 내측에 마련되는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 파트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터미널 헤드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이너 하우징을 수용 가능한 수용 포트; 상기 수용 포트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을 수용 가능한 지지 포트; 상기 수용 포트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접속 쉴드; 및 상기 수용 포트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 헤드에 삽입 가능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설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전기적인 접속을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전기 부품의 일종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커넥터와, 제 1 장치와 전기적인 연결이 요구되는 제 2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컴팩트한 구조와 방수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부품들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시일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이며, 상기 제 1 커넥터는, 메인 파트와, 메인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연장 파트를 포함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을 감싸는 플러그 쉴드; 상기 플러그 쉴드를 감싸는 아우터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파트의 내측에 마련되는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 파트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터미널 헤드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이너 하우징을 수용 가능한 수용 포트; 상기 수용 포트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을 수용 가능한 지지 포트; 상기 수용 포트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접속 쉴드; 및 상기 수용 포트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 헤드에 삽입 가능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쉴드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일측을 감싸는 제 1 쉴드와, 상기 이너 하우징의 타측을 감싸는 제 2 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는, 각각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표면에 면접촉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표면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 플레이트; 상기 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 또는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이너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에 걸림 가능하다.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걸림 가능한 외측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하우징은, 상기 연장 파트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쉴드를 지지 가능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가 상기 연장 파트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리브로부터 상기 수용 포트의 내측벽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메인 시일 및 플러그 쉴드는 상기 리브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메인 파트와, 메인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연장 파트를 포함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일측을 감싸는 제 1 쉴드와, 상기 이너 하우징의 타측을 감싸는 제 2 쉴드를 포함하는 플러그 쉴드; 및 상기 플러그 쉴드를 감싸는 아우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는, 각각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표면에 면접촉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표면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 플레이트; 상기 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 또는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스토퍼는, 상기 상면 플레이트 또는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이너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에 걸림 가능하다.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 각각은, 상기 상면 플레이트 또는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걸림 가능한 외측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간단한 구조로 플러그 쉴드를 이너 하우징 및 아우터 하우징 사이에 배치시키면서, 플러그 하우징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너 하우징에 마련되는 리브를 통해 플러그 쉴드 및 시일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방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터미널이 이너 하우징의 메인 파트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연장 파트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를 구비하므로, 이너 하우징을 해체할 필요 없이 터미널은 이너 하우징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와 다른 방향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우터 하우징이 플러그 쉴드 및 이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쉴드가 이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쉴드가 이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9년 4월 16일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9-0044272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고, 해당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특허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서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는 각각 서로 다른 전자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는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다른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 1 커넥터(1)는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커넥터(2)에 결합되거나, 제 2 커넥터(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와 다른 방향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 사이로 유체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인 시일(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는 제 1 커넥터(1)의 상측에서 제 1 커넥터(1)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데, 제 1 커넥터(1)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 메인 시일(3)은 제 1 커넥터(1)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 유체가 제 2 커넥터(2)의 하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메인 시일(3) 뿐만 아니라, 제 2 커넥터(2)에 하단부에 마련된 별도의 시일(도 3 참조) 역시 유체가 제 2 커넥터(2)의 하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는 이너 하우징(11), 플러그 쉴드(12), 아우터 하우징(13), 터미널(14) 및 커넥터 시일(19)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ㄱ'자 구조를 가지면서도 터미널(14)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제 1 커넥터(1)는 내장되는 커넥터 시일(19)과, 이너 하우징(11)에 마련되는 메인 시일(3)을 통해, 효율적으로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11)은 메인 파트(111)와, 메인 파트(11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연장 파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파트(111)는 그 길이 방향이 +x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고, 연장 파트(112)는 메인 파트(111)의 전방 단부로부터 -z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너 하우징(11)은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 하우징(11)은 플러그 쉴드(12)를 지지하기 위한 리브(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113)는 플러그 쉴드(12)의 하측을 지지하여, 플러그 쉴드(12)가 이너 하우징(11)에 대해 -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 쉴드(12)는 이너 하우징(11)을 감쌀 수 있다. 플러그 쉴드(12)는 후술하는 제 2 커넥터(2)의 접속 쉴드(23)에 접촉할 수 있다. 플러그 쉴드(12) 및 접속 쉴드(23)는,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가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는 데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노이즈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플러그 쉴드(12)는 이너 하우징(11)에 의해 내측면이 지지되고, 아우터 하우징(13)에 의해 외측면이 지지됨으로써,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3)은 플러그 쉴드(12)를 감쌀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3)은 복수 개의 조립 가능한 파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조립 가능한 파트들은, 플러그 쉴드(12)가 이너 하우징(11)에 안착된 상태에서, 플러그 쉴드(12)를 감싸도록 조립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3)은 이너 하우징(11) 및/또는 플러그 쉴드(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 하우징(11) 및/또는 플러그 쉴드(12)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여 아우터 하우징(13)도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아우터 하우징(13)은 대략 'ㄱ'자 형상을 갖고, 이너 하우징(11) 및 플러그 쉴드(12)를 수용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3)의 하측 단부는 플러그 쉴드(12)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용 포트(21) 및 지지 포트(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터미널(14)은 이너 하우징(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14)은 제 1 커넥터(1)가 연결되어 있는 전자 장치(미도시)로부터 제 2 커넥터(2)의 단자(24)까지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터미널(14)은 메인 파트(111)의 내측에 마련되는 터미널 바디(141)와, 터미널 바디(141)에 연결되고 연장 파트(112)가 연장하는 방향(다시 말하면, -z 방향)으로 개구되는 터미널 헤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바디(141) 및 터미널 헤드(142)는 모두 메인 파트(1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할 수 있으며, 터미널 헤드(142)의 개구부는 메인 파트(1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z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이너 하우징(11)을 해체하는 작업 없이도, 터미널(14)을 이너 하우징(11)에 삽입하거나, 이너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커넥터 시일(19)은 이너 하우징(11)의 내측벽과 터미널(14)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커넥터(1)의 후방으로부터 유체가 제 1 커넥터(1)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커넥터(2)는 커넥터 베이스(20), 수용 포트(21), 지지 포트(22), 접속 쉴드(23) 및 단자(2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베이스(20)는 제 2 커넥터(2)가 연결되는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파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베이스(2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 베이스(20)는 전자 장치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홀(29)을 구비할 수 있다. 별도의 고정 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나사는 복수 개의 고정홀(29)을 통과하여 전자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베이스(20)의 해당 연결 방식은 일 예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수용 포트(21)는 커넥터 베이스(2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이너 하우징(11)을 수용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수용 포트(21)는 이너 하우징(11)을 둘러쌀 수 있다.
지지 포트(22)는 수용 포트(21)를 둘러싸고, 아우터 하우징(13)을 수용 가능하다.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아우터 하우징(13)은 수용 포트(21) 및 지지 포트(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속 쉴드(23)는 수용 포트(21)에 배치되고, 플러그 쉴드(12)에 접촉 가능하다. 접속 쉴드(23)는 중앙 부분이 수용 포트(21)의 외측벽에 면접촉한 상태로 마련되고, 상측 단부가 수용 포트(21)의 내측벽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용 포트(21)의 상단을 감쌀 수 있다. 접속 쉴드(23) 중 일단은 수용 포트(21)의 내측에 마련되고, 플러그 쉴드(12)에 접촉할 수 있다. 접속 쉴드(2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접속 쉴드(23) 및 플러그 쉴드(12)가 서로 접촉할 때, 접속 쉴드(23)는 탄성 변형되어, 접속 쉴드(23) 및 플러그 쉴드(12) 사이에 보다 확실한 접촉 유지가 가능하다. 접속 쉴드(23)의 하측 단부는 상측 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접속 쉴드(23)의 하측 단부는,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아우터 하우징(13)의 단부에 걸림 가능하다.
단자(24)는 수용 포트(21)의 내측에 마련되고, 터미널 헤드(142)에 삽입 가능하다. 단자(24)는 터미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24)는 수용 포트(21)의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단자(24)는 수용 포트(21) 및 이너 하우징(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단자(24)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가 아래쪽(-z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단자(24)는 터미널(14)에 연결되고, 제 1 커넥터(1)가 위쪽(+z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단자(24)는 터미널(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우터 하우징이 플러그 쉴드 및 이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쉴드가 이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는 아우터 하우징, 플러그 쉴드 순으로 분리될 수 있고, 반대로 플러그 쉴드, 아우터 하우징 순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쉴드 복수 개의 쉴드(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121, 122)는 이너 하우징(11)의 일측을 감싸는 제 1 쉴드(121)와, 이너 하우징(11)의 타측을 감싸는 제 2 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쉴드(121)는 이너 하우징(11)의 좌측 영역(+y 방향 영역)을 감쌀 수 있고, 제 2 쉴드(122)는 이너 하우징(11)의 우측 영역(-y 방향 영역)을 감쌀 수 있다.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맞닿아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는 서로를 구속하는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고,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를 이너 하우징(11)에 안착시키면 되므로, 조립 고정이 단순화되고, 제 1 커넥터의 구조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는, 각각 이너 하우징(11)의 외표면에 면접촉하고, 상기 외표면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쉴드(121)는 이너 하우징(11)의 상면(+z 방향 면)을 커버하는 상면 플레이트(121a)와, 상면 플레이트(121a)로부터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고 이너 하우징(11)의 측면(+y 방향 면)을 커버하는 측면 플레이트(121b)와, 측면 플레이트(121b)로부터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고 이너 하우징(11)의 하면(-z 방향 면)을 커버하는 하면 플레이트(121c)와, 상면 플레이트(121a) 또는 측면 플레이트(121b)로부터 연장되고 이너 하우징(11)의 전면(+x 방향 면)을 커버하는 전면 플레이트(121d)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쉴드(122)는 상면 플레이트(122a), 측면 플레이트(122b), 하면 플레이트(122c) 및 전면 플레이트(122d)를 포함할 수 있다. 하면 플레이트(122c)는 이너 하우징(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되는 플레이트 절곡부(122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절곡부(1221)는 이너 하우징(11) 중 하측 방향(-z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플레이트 절곡부(1221)는 제 2 커넥터에 마련되는 접속 쉴드에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면 플레이트(121c)도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절곡부를 마련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는, 각각 복수 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내측 스토퍼(123) 및 외측 스토퍼(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11)은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를 지지하기 위한 리브(113)와, 내측 스토퍼(123)의 단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홈(114)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는 리브(113) 및/또는 이너 하우징(1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리브(113)는 이너 하우징(11)의 연장 파트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스토퍼(123)는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가 이너 하우징(11)에 대해 +x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스토퍼(123)는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이너 하우징(11)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하여 이너 하우징(11)에 걸림 가능하다. 내측 스토퍼(123)는 측면 플레이트의 일 영역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되면서 점차적으로 이너 하우징(11)의 외벽에 가까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 스토퍼(123)의 단부는 수용홈(114)을 구성하는 이너 하우징(11)의 외벽에 걸림 가능하다. 내측 스토퍼(123)에 의해, 제 1 쉴드(121)는 이너 하우징(11)에 대해 +x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복잡한 설계 없이, 제 1 쉴드(121)를 단지 -y 방향으로 이너 하우징(11)에 선형적으로 삽입하는 작업을 통해서, 다양한 방향으로 제 1 쉴드(121)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면 플레이트(121a) 및 하면 플레이트(121c)는 제 1 쉴드(121)가 이너 하우징(11)에 대해 z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하고, 전면 플레이트(121d) 및 내측 스토퍼(123)는 제 1 쉴드(121)가 이너 하우징(11)에 대해 x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아우터 하우징(131, 132)가 결합되기 전에, 제 1 쉴드(121)의 위치는 최적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외측 스토퍼(124)는 아우터 하우징(131, 132)이 결합된 후에 아우터 하우징(131, 132)에 걸림 가능하다. 외측 스토퍼(124)는 측면 플레이트의 일 영역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되면서 점차적으로 이너 하우징(11)의 외벽으로부터 멀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스토퍼(124)의 단부는 아우터 하우징(13)의 외벽에 걸림 가능하다. 외측 스토퍼(124)에 의해, 제 1 쉴드(121)는 아우터 하우징(131, 132) 내에서 큰 흔들림 없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 1 쉴드(121)에 대한 설명은 제 2 쉴드(1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 둔다. 또한, 내측 스토퍼(123) 및 외측 스토퍼(124)가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내측 스토퍼(123) 및 외측 스토퍼(124)는 상면 플레이트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아우터 하우징(131, 132)는 서로 조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우터 하우징(131, 132)은 이너 하우징(11) 및 플러그 쉴드(121, 122)를 사이에 둔 상태로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조립되는 제 1 아우터 하우징(131) 및 제 2 아우터 하우징(13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아우터 하우징(131, 132)은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조립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제 1 아우터 하우징(131) 및 제 2 아우터 하우징(132)은 각각 결합을 위한 결합 파트(131a, 132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1)가 제 2 커넥터(2)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메인 시일(3)은 제 1 커넥터(1)의 아우터 하우징(13)으로부터 삽입되는 유체가 제 2 커넥터(2)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의 내측에 마련된 커넥터 시일(19)은 제 1 커넥터(1)의 후방(-x 측)에서 유체가 제 1 커넥터(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미널(14)은 단자(24)와 서로 직교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미널(14)은 제 1 커넥터(1)의 이너 하우징(11)의 메인 파트(111)와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터미널(14)을 교체 또는 유지/보수하고자 할 때, 이너 하우징(11)의 분리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리브(113)가 이너 하우징(11)의 연장 파트(112)로부터 돌출된 높이(d1)는, 리브(113)로부터 수용 포트(21)의 내측벽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리브(113)가 메인 시일(3)의 상측 영역으로부터 메인 시일(3)로 이어지는 통로의 크기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메인 시일(3)의 밀봉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메인 시일(3) 및 플러그 쉴드(12)는 리브(113)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인 시일(3)을 리브(113)에 걸릴 때까지 밀어 넣는 방식으로, 메인 시일(3)을 쉽게 이너 하우징(11)에 결합할 수 있으며, 정밀한 위치 조정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터미널(14)은 터미널 바디(141)와 터미널 헤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바디(141)는 연결 라인(1411)과, 연결 라인(1411)을 피복하는 피복 쉴드(1412)를 포함할 수 있다. 피복 쉴드(1412)는 절연체일 수 있다. 터미널 헤드(142)는 연결 라인(1411)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헤드 연결부(1421)와, 헤드 연결부(1421)에 연결되고 단자(24)를 수용 가능한 헤드 접속부(142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연결부(1421)는 연결 라인(1411)을 수용한 상태로 변형되어, 연결 라인(14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 및 제 2 커넥터(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접속 쉴드(23)는 플레이트 절곡부(1221)에 접촉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쉴드가 이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러그 쉴드(121', 122')는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너 하우징(11)에 대해 분리 가능한 제 1 쉴드(121') 및 제 2 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쉴드(121')는 이너 하우징(11)의 하측부를 커버하고, 제 2 쉴드(122')는 이너 하우징(11)의 상측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 1 쉴드(121')는 이너 하우징(11)의 하면과, 전면 및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121a', 121b', 121c', 121d', 121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레이트(121a', 121b', 121c', 121d', 121e') 중 제 1 암 플레이트(121a') 및 제 2 암 플레이트(121b')는 이너 하우징(11)의 전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 1 쉴드(121')는 전방 파트가 서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암 플레이트(121a') 및 제 2 암 플레이트(121b')는 서로 분리되어 마주할 수 있다. 제 1 쉴드(121')는 제 1 암 플레이트(121a') 및 제 2 암 플레이트(121b')이 벌려진 상태로 리브(113)를 통과할 수 있다. 제 1 쉴드(121')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리브(113)를 통과한 뒤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제 2 쉴드(122')는 이너 하우징(11)의 상면과, 전면 및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122a', 122b', 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시일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메인 파트와, 메인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연장 파트를 포함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을 감싸는 플러그 쉴드;
    상기 플러그 쉴드를 감싸는 아우터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파트의 내측에 마련되는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 파트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터미널 헤드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이너 하우징을 수용 가능한 수용 포트;
    상기 수용 포트를 둘러싸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을 수용 가능한 지지 포트;
    상기 수용 포트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쉴드에 접촉 가능한 접속 쉴드; 및
    상기 수용 포트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 헤드에 삽입 가능한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쉴드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일측을 감싸는 제 1 쉴드와, 상기 이너 하우징의 타측을 감싸는 제 2 쉴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는, 각각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표면에 면접촉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표면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 플레이트;
    상기 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 또는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이너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에 걸림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걸림 가능한 외측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은, 상기 연장 파트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쉴드를 지지 가능한 리브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상기 연장 파트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리브로부터 상기 수용 포트의 내측벽까지의 거리보다 큰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일 및 플러그 쉴드는 상기 리브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마련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메인 파트와, 메인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연장 파트를 포함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일측을 감싸는 제 1 쉴드와, 상기 이너 하우징의 타측을 감싸는 제 2 쉴드를 포함하는 플러그 쉴드; 및
    상기 플러그 쉴드를 감싸는 아우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는, 각각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표면에 면접촉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표면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 스토퍼를 포함하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 플레이트;
    상기 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 또는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토퍼는, 상기 상면 플레이트 또는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이너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에 걸림 가능한 커넥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 및 제 2 쉴드 각각은, 상기 상면 플레이트 또는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아우터 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에 걸림 가능한 외측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200045758A 2019-04-16 2020-04-16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1217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4272 2019-04-16
KR1020190044272 2019-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755A true KR20200121755A (ko) 2020-10-26

Family

ID=7300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758A KR20200121755A (ko) 2019-04-16 2020-04-16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17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163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신화콘텍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163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신화콘텍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858B1 (ko) 암커넥터 조립체
US20040247311A1 (en) Mounting structure for compact camera module
JP5272636B2 (ja) モジュールコネクタ
JP2006164943A (ja) 電気コネクタ
CN105531879A (zh) 适用于印刷电路板的电连接器
TW201322569A (zh) 插座連接器
KR20200121755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WM329781U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10057600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US9231352B2 (en) Modul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e and mating connector
KR20070089048A (ko) 전기커넥터조립체
JP2014059986A (ja) コネクタ
KR20120118663A (ko)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JP2004138708A (ja) 光コネクタ
JP2008186734A (ja) ジャック用ケース
US738427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01427Y1 (ko) 스피커용 하우징
JP7122874B2 (ja) 電池ユニット及び電子装置
KR20160053746A (ko) 오디오 잭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JP6865258B1 (ja) コネクタ接続構造
CN217158720U (zh) 触点模组及具有其的电子设备
KR100842714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및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에 백라이트 램프 단자를 중계하여 접속되게 하는 단자보호잭
KR200394959Y1 (ko)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 커버
KR100827961B1 (ko) 커넥터
JP3235545U (ja) アダプタ及び電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