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606A - 시트 팩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시트 팩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606A
KR20200121606A KR1020190044370A KR20190044370A KR20200121606A KR 20200121606 A KR20200121606 A KR 20200121606A KR 1020190044370 A KR1020190044370 A KR 1020190044370A KR 20190044370 A KR20190044370 A KR 20190044370A KR 20200121606 A KR20200121606 A KR 2020012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liquid material
sheet
separation film
materi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913B1 (ko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이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1020190044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9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시트 팩용 파우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시트 저장부; 내부에 액상재가 수용되며, 상기 시트 저장부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액상재 저장부; 상기 시트 저장부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가 서로 마주 보는 경계부를 가로 막아서 상기 시트 저장부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수용 공간을 각각 구획 분리하도록 제공되는 분리 필름; 및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일단이 상기 분리 필름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분리 필름을 천공하여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액상재가 상기 시트 저장부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나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팩용 파우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 팩용 파우치{POUCH FOR SHEET PACK}
본 발명은 시트 팩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센스와 시트를 분리 보관하다가 시트를 사용할 때 에센스를 시트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시트 팩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피로할 때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얼굴 피부를 탄력 있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안 후 얼굴에 마스크 팩을 사용한다.
마스크 팩은 피부 미용에 이용되는 화장용품의 일종으로써, 모공에 쌓인 피지나 노폐물을 제거하고 피부에 부족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스크 팩은 바쁜 현대인이 간편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인 바, 부직포 또는 미용 필름 등을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켜 마사지할 얼굴 부위에 덮어 씌울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얼굴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 팩이 출시되고 있다.
마스크 팩은 부직포나 종이와 같은 시트재에 피부 노폐물 제거, 주름 제거, 미백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성분이 포함된 액상재를 함침시켜서 적절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포장된다.
시트재로 많이 사용되는 부직포는 섬유가 얽혀 있어서 종횡의 방향성이 없으며, 자른 가장자리가 풀리는 문제도 없기 때문에 마스크 팩의 시트재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마스크 팩에 함침되는 액상재는 기본적으로 피부 미용에 도움을 주는 천연 오일과 그 외 로션 또는 로션 혼합제 등의 화장 에센스를 시트재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진공 포장된다.
낱개로 포장되는 종래의 마스크 팩은 최종적으로 PP나 PE 소재로 제작된 파우치에 가장자리의 실링 작업을 통해 밀봉 포장되고, 사용시 파우치를 간단하게 절취한 후 내부에 들어 있는 마스크 팩을 꺼내어 얼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 팩용 파우치는 시트재에 액상재가 함침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성분이 혼합된 액상재가 진공 방식으로 밀봉 포장되더라도 장기간 보관, 유통되는 과정에서 액상재의 각 성분간 화학 반응이 일어나 부직포 소재인 시트재와의 트러블이 발생하여 피부 미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포장시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리 진공 포장이 나중에 이루어지더라도 시트재에 기본적으로 함침된 성분과 액상재 성분의 혼합에 따른 변질이 우려되는 바, 피부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약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트재와 액상재를 별도 분리 포장한 마스크 팩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분리 포장 마스크 팩용 파우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7143호에 개시된 '마스크 팩 시트 및 화장 에센스 분리포장 마스크팩 파우치'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 기술은 분리 포장을 위해 2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1개의 영역에는 화장 에센스를 보관하고 다른 1개 영역에는 마스크 팩을 보관하며, 2개의 영역을 실링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해 화장 에센스를 마스크 팩으로 이동시켜 사용 전에 함침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이때 2개의 영역은 미사용시 분리 보관되어야 하고 압력을 가할 때 실링된 부분이 열리면서 개봉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열 융착 방식으로 하여 완전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함침 상태의 포장에 비해 변질, 약용 효과의 유지 및 화학성분 간의 반응 문제는 해소되는 장점이 있지만, 파우치가 유통시나 보관시 주변의 온도에 따라 실링된 부분이 임의적으로 개봉되어 사용하기도 전에 화장 에센스가 마스크 팩과 함침되는 상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7143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재와 액상재를 완벽하게 분리 보관하여 유통 또는 보관하는 중에 액상재가 시트재 쪽으로 임의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되 시트 팩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액상재가 시트재 쪽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팩용 파우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시트 저장부; 내부에 액상재가 수용되며, 상기 시트 저장부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액상재 저장부; 상기 시트 저장부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가 서로 마주 보는 경계부를 가로 막아서 상기 시트 저장부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수용 공간을 각각 구획 분리하도록 제공되는 분리 필름; 및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일단이 상기 분리 필름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분리 필름을 천공하여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액상재가 상기 시트 저장부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나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팩용 파우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 저장부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가 서로 맞닿는 상기 경계부의 단면은 각각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 저장부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는 상기 경계부로부터 내부로 오목한 형태의 용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재 저장부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프 부재는, 상기 분리 필름과 마주 보는 곳에 위치한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분리 필름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프 부재는, 상기 액상재 저장부 내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분리 필름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프 부재는 상기 분리 필름을 관통하여 천공시키는 일단부의 단면이 상기 나이프 부재의 다른 부위의 단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프 부재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 개의 상기 나이프 부재는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외측면 중에서 상기 나이프 부재의 타단과 만나는 부분의 상부에는,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액상재 저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압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필름은 그 일측면이 상기 액상재 저장부와 부착되고 그 타측면이 상기 시트 저장부와 부착되며, 상기 분리 필름과 상기 시트 저장부 간의 부착력은, 상기 시트 저장부가 상기 액상재 저장부보다 먼저 상기 분리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분리 필름과 상기 액상재 저장부 간의 부착력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재와 액상재를 완벽하게 분리 보관하여 유통 또는 보관하는 중에 액상재가 시트재 쪽으로 임의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며, 시트 팩의 사용시에는 내장된 나이프 부재로 분리 필름을 천공하여 액상재가 시트재 쪽으로 신속, 간편하게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액상재가 시트재에 완전히 함침되고 나서 분리 필름을 제거할 때 시트 저장부에 부착된 분리 필름이 먼저 제거되기 때문에 시트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팩용 파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액상재를 시트 저장부로 공급하기 위해 액상재 저장부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시트 팩을 꺼내기 위해 시트 저장부를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팩용 파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액상재를 시트 저장부로 공급하기 위해 액상재 저장부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시트 팩을 꺼내기 위해 시트 저장부를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팩용 파우치(10)는 시트 저장부(100), 액상재(2) 저장부(200), 분리 필름(300) 및 나이프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저장부(100)는 시트재(1)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시트재(1)는 사용자의 얼굴에 덮힐 수 있도록 마스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몇 겹으로 접힌 상태로 시트 저장부(10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는 내부에 액상재(2)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재 저장부(200)는 시트 저장부(100)와 대칭적으로 마주 보도록 시트 저장부(100)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액상재(2)는 피부 미용에 도움을 주는 천연 오일, 로션 또는 로션 혼합제 등의 화장 에센스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중에 액상재(2)가 상기 시트 저장부(100)로 공급되면 시트재(1)에 스며들어 사용자의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게 된다.
시트 저장부(100)와 액상재 저장부(200)는 서로 맞닿아 결합되도록 상호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트 저장부(100)와 액상재 저장부(200)가 서로 맞닿는 경계부의 단면은 각각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시트 저장부(100)와 액상재 저장부(200)는 각각 그 경계부로부터 내부로 오목한 형태의 용기 구조로 구성되어 그 각각의 내부에는 시트재(1)와 액상재(2)가 저장 또는 보관될 수 있다.
시트 저장부(100)와 액상재 저장부(200)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액상재 저장부(200)의 액상재(2)가 시트 저장부(100)의 시트재(1) 쪽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저장부(100)는 액상재 저장부(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상재 저장부(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힘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시트 저장부(100)는 액상재 저장부(200)와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시트 저장부(100)가 반드시 변형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변형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분리 필름(300)은 시트 저장부(100)와 액상재 저장부(200)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경계부를 가로 막아서 시트 저장부(100)와 액상재 저장부(2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분리 필름(300)은 시트 저장부(100)와 액상재 저장부(200)의 수용 공간을 각각 구획 분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액상재(2)와 시트재(1)가 임의적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 필름(300)의 일측면은 액상재 저장부(200)의 경계부에 부착되고, 분리 필름(300)의 타측면은 시트 저장부(100)의 경계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분리 필름(300)은 액상재 저장부(200) 및 시트 저장부(100)와 서로 다른 부착력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팩을 사용하기 위한 최종 단계로서 액상재(2)가 함침된 시트재(1)를 시트 저장부(100)로부터 꺼내야 하는데, 이때 시트 저장부(100)가 액상재 저장부(200)보다 먼저 분리 필름(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리 필름(300)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된 시트 저장부(100)와 액상재 저장부(200)에 동일한 외력이 가해질 때 시트 저장부(100)가 액상재 저장부(200)보다 먼저 분리 필름(300)으로부터 분리(제거)되도록, 분리 필름(300)과 시트 저장부(100) 간의 부착력은 분리 필름(300)과 액상재 저장부(200)와의 부착력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분리 필름(300)과 액상재 저장부(200) 및 시트 저장부(100)는 각각 열 융착에 의한 접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열 융착에 의한 접합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분리 필름(300)은 액상재 저장부(200)와의 부착에 필요한 접합 온도를 시트 저장부(100)와의 접합 온도보다 더 높도록 설정하여 분리 필름(300)과 액상재 저장부(200) 간의 접합력이 시트 저장재 간의 접합력보다 더 높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분리 필름(300)과 액상재 저장부(200) 간에 사용되는 접착제를 시트 저장부(100)간에 사용되는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더 우수한 것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약한 시트 저장부(100)가 액상재 저장부(200)보다 먼저 분리 필름(3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프 부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재 저장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일단이 분리 필름(300)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나이프 부재(400)는 사용자가 시트 팩을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여 액상재 저장부(200)의 액상재(2)가 시트 저장부(10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재(1)에 액상재(2)가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나이프 부재(400)는 액상재 저장부(20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예컨대,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분리 필름(300) 쪽으로 이동하여 분리 필름(300)을 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상재 저장부(200)의 액상재(2)가 나이프 부재(400)에 의하여 천공된 분리 필름(300)의 구멍을 통하여 시트 저장부(1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시트재(1)에 함침되어 시트 팩으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이프 부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재 저장부(200)의 내부 중에서도 분리 필름(300)과 마주 보는 곳에 위치한 액상재 저장부(200)의 내측면(예컨대, 천장)으로부터 상기 분리 필름(30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이프 부재(400)는 액상재 저장부(200)의 내측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분리 필름(300)의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나이프 부재(400)의 일단은 분리 필름(300)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액상재 저장부(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나이프 부재(400)가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나이프 부재(400)는 분리 필름(300)을 관통하여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게 될 일단부(401)의 단면이 나이프 부재(400)의 다른 부위의 단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 부재(400)의 일단부(401)가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였을 때 생성된 관통공의 직경이 나이프 부재(400)의 다른 곳의 직경보다 커지게 되어 액상재(2)가 분리 필름(300)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시트 저장부(100)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나이프 부재(400)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나이프 부재(400)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액상재 저장부(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나이프 부재(400)에 의해 분리 필름(300)이 동시에 여러 곳이 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상재(2)가 보다 신속하게 시트 저장부(100) 쪽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팩용 파우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상재 저장부(200)의 상부를 누르면 나이프 부재(40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여 분리 필름(300)에는 구멍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에 있는 액상재 저장부(200)의 액상재(2)는 분리 필름(300)의 구멍을 통하여 중력 방향인 하부의 시트 저장부(100)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얼마간의 시간이 경과하면 시트 저장부(100) 쪽에 채워져 시트재(1)에 액상재(2)가 함침된다.
액상재(2)가 시트재(1)에 충분히 함침되고 나면, 시트 저장부(100)에서 시트재(1)를 꺼내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액상재 저장부(200)와 시트 저장부(100)를 잡고 비트는 동작(회전력을 가함) 또는 양쪽으로 분리하는 동작(인장력을 가함)을 취함으로써 시트재(1)를 꺼낼 수 있다. 이때, 분리 필름(300)은 시트 저장부(100)보다 액상재 저장부(200)에 더 강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재 저장부(200)와 시트 저장부(100)를 동시에 잡고 비틀거나 분리해도 분리 필름(300)은 부착력이 더 강한 액상재 저장부(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대적으로 부착력이 약한 시트 저장부(100)로부터 분리되어 시트 저장부(100)가 먼저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시트재(1)를 쉽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팩용 파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몇 가지 구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앞의 일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나이프 부재(400')는 액상재 저장부(200)의 측면으로부터 분리 필름(300)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이프 부재(400')는 액상재 저장부(200)의 내측 측면부로부터 분리 필름(300)이 있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분리 필름(300)의 일측면과 그 사이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프 부재(400')는 분리 필름(300)을 관통하여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게 될 일단부(401')의 단면이 나이프 부재(400)의 다른 곳의 단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 부재(400)의 일단부(401')가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였을 때 생성된 분리 필름(300)의 구멍의 직경이 나이프 부재(400)의 다른 곳의 직경보다 커지게 되어 액상재(2)가 분리 필름(300)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시트 저장부(100)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나이프 부재(400')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나이프 부재(400')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액상재 저장부(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나이프 부재(400')에 의해 분리 필름(300)이 동시에 여러 곳이 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상재(2)가 보다 빠르게 시트 저장부(100) 쪽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외측면 중에서 나이프 부재(400')의 타단과 만나는 부분의 상부에는 가압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홈(210)은 사용자에게 손으로 눌러야 할 부분을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액상재 저장부(20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액상재 저장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상재 저장부(200)의 가압홈(210)을 손으로 눌러 측압을 가하면 액상재 저장부(200)가 내측으로 압축, 변형되면서 가압홈(210)의 하부에 있는 나이프 부재(40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여 분리 필름(300)에 구멍을 생성하게 된다. 분리 필름(300)에 구멍이 생성되면 분리 필름(300)의 상부에 있는 액상재(2)가 그 구멍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면서 시트 저장부(100)에 공급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시트 저장부(100) 쪽에 채워져 시트재(1)에 함침된다.
액상재(2)가 시트재(1)에 충분히 함침되고 나면, 시트 저장부(100)에서 시트재(1)를 꺼내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액상재 저장부(200)와 시트 저장부(100)를 잡고 비트는 동작(회전력을 가함) 또는 양쪽으로 분리하는 동작(인장력을 가함)을 취함으로써 시트재(1)를 꺼낼 수 있다.
이때, 분리 필름(30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 저장부(100)보다 액상재 저장부(200)에 더 강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재 저장부(200)와 시트 저장부(100)를 동시에 잡고 비틀거나 분리해도 분리 필름(300)은 부착력이 더 강한 액상재 저장부(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대적으로 부착력이 약한 시트 저장부(100)로부터 분리(제거)되어 시트 저장부(100)가 개방되기 때문에 시트재(1)를 쉽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나이프 부재(400'')는, 내측이 빈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나이프 부재(400'')는, 상단부가 액상재 저장부(200)의 상부 내측면에 결합 또는 지지되고, 하단부에 톱니형의 칼날부(4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이프 부재(400'')의 칼날부(401'')가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여 분리 필름(300)에 구멍을 생성하였을 때, 액장재 저장부(200)의 내측 및 나이프 부재(400'')의 내측에 있는 액상재(2)가 그 구멍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면서 시트 저장부(100)에 공급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액상재(2)가 시트 저장부(100) 쪽에 채워져 시트재(1)에 함침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 : 시트재
2 : 액상재
10 :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100 : 시트 저장부
200 : 액상재 저장부
210 : 가압홈
300 : 분리 필름
400, 400', 400'' : 나이프 부재

Claims (9)

  1. 시트재(1)가 내부에 수용되는 시트 저장부(100);
    내부에 액상재(2)가 수용되며, 상기 시트 저장부(100)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액상재 저장부(200);
    상기 시트 저장부(100)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가 서로 마주 보는 경계부를 가로 막아서 상기 시트 저장부(100)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수용 공간을 각각 구획 분리하도록 제공되는 분리 필름(300); 및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일단이 상기 분리 필름(300)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분리 필름(300)을 천공하여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액상재(2)가 상기 시트 저장부(100)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나이프 부재(400,400',400'');
    를 포함하는, 시트 팩용 파우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저장부(100)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가 서로 맞닿는 상기 경계부의 단면은 각각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 저장부(100)와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는 상기 경계부로부터 내부로 오목한 형태의 용기 구조로 구성되는, 시트 팩용 파우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시트 팩용 파우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부재(400)는, 상기 분리 필름(300)과 마주 보는 곳에 위치한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분리 필름(30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시트 팩용 파우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부재(400')는,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 내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분리 필름(300)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시트 팩용 파우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부재(400,400')는 상기 분리 필름(300)을 관통하여 천공시키는 일단부(401,401')의 단면이 상기 나이프 부재(400,400')의 다른 부위의 단면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시트 팩용 파우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부재(400,400')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 개의 상기 나이프 부재(400,400')는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시트 팩용 파우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외측면 중에서 상기 나이프 부재(400')의 타단과 만나는 부분의 상부에는,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압홈(210)이 제공되는, 시트 팩용 파우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필름(300)은 그 일측면이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와 부착되고 그 타측면이 상기 시트 저장부(100)와 부착되며,
    상기 분리 필름(300)과 상기 시트 저장부(100) 간의 부착력은, 상기 시트 저장부(100)가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보다 먼저 상기 분리 필름(3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분리 필름(300)과 상기 액상재 저장부(200) 간의 부착력보다 작도록 구성된, 시트 팩용 파우치.
KR1020190044370A 2019-04-16 2019-04-16 시트 팩용 파우치 KR102170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70A KR102170913B1 (ko) 2019-04-16 2019-04-16 시트 팩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70A KR102170913B1 (ko) 2019-04-16 2019-04-16 시트 팩용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606A true KR20200121606A (ko) 2020-10-26
KR102170913B1 KR102170913B1 (ko) 2020-10-28

Family

ID=7300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370A KR102170913B1 (ko) 2019-04-16 2019-04-16 시트 팩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9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9331A1 (en) * 2005-05-16 2008-07-31 Sji Limited Dispensing Closure Having Membrane Opening Device With Cutting Teeth
KR20110047715A (ko) * 2009-10-30 2011-05-09 동아정밀공업(주) 음료용 병의 이중구조 원 터치 뚜껑 및 제조방법
KR101677143B1 (ko) 2016-07-26 2016-11-17 민복기 마스크팩 시트 및 화장에센스 분리포장 마스크팩 파우치
JP2017043396A (ja) * 2015-08-27 2017-03-02 株式会社タイキ 液含浸用容器、及び液含浸キ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9331A1 (en) * 2005-05-16 2008-07-31 Sji Limited Dispensing Closure Having Membrane Opening Device With Cutting Teeth
KR20110047715A (ko) * 2009-10-30 2011-05-09 동아정밀공업(주) 음료용 병의 이중구조 원 터치 뚜껑 및 제조방법
JP2017043396A (ja) * 2015-08-27 2017-03-02 株式会社タイキ 液含浸用容器、及び液含浸キット
KR101677143B1 (ko) 2016-07-26 2016-11-17 민복기 마스크팩 시트 및 화장에센스 분리포장 마스크팩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913B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251A (en) Container means for separately storing at least two products to be brought into contact at the time of use
KR200455171Y1 (ko)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101756784B1 (ko) 브러시/스크럽 기능을 갖는 패드
EP2142067B1 (en) Liquid applicator with an angled elongated head
JP5261051B2 (ja) フェイスマスクの製造方法
JP2002034648A (ja) 優先的に供給されるアプリケータ領域を有するような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101260021B1 (ko) 커버부재가 부착된 마스크팩
KR20160061079A (ko) 마스크 팩 포장 용기 및 마스크 팩 포장 방법
JP3695644B2 (ja) 化粧品、ケア製品等の塗布装置
EP3016879B1 (en) Device for packaging a produc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JP4555581B2 (ja) シートタイプ化粧品
CN106660222A (zh) 一次性流体分配贮存器
KR102170913B1 (ko) 시트 팩용 파우치
WO2012105400A1 (ja) 折り畳みパックシート配列体及びパックシート包装体
JP2007254005A (ja) ティシュー取り出し容器
KR20170094066A (ko) 마스크팩파우치
KR102112792B1 (ko) 이액 혼합 마스크 팩
JP2003292421A (ja) シート状パックおよびそれに用いるシート状基材
US2013006141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wet wipe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wet wipes
JPH04250109A (ja) カプセル内蔵パッド
JP2009291319A (ja) 温熱具の包装構造
KR102560766B1 (ko) 믹싱 제품
JP6952532B2 (ja) 包装体及び処理剤の塗布方法
JP2017043396A (ja) 液含浸用容器、及び液含浸キット
KR102605666B1 (ko) 마스크팩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