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440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440A
KR20200121440A KR1020190043923A KR20190043923A KR20200121440A KR 20200121440 A KR20200121440 A KR 20200121440A KR 1020190043923 A KR1020190043923 A KR 1020190043923A KR 20190043923 A KR20190043923 A KR 20190043923A KR 20200121440 A KR20200121440 A KR 20200121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frame
signal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석
권명호
이정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1440A/ko
Priority to US16/746,100 priority patent/US10996809B2/en
Priority to EP20164364.0A priority patent/EP3726350A1/en
Priority to CN202010288481.6A priority patent/CN111831148A/zh
Publication of KR2020012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440A/ko
Priority to US17/246,934 priority patent/US1158633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2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alternate mutual and self-capacitive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47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being a dynamic memory without any storage capacitor, i.e. with use of parasitic capacitances as storag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데이터선들,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에 연결되는 화소들을 구비한다. 표시 구동부는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주사선들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터치 감지부는 감지 전극들을 구비한다. 터치 구동부는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 내에서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제1 구간이 감소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주사선들, 데이터선들 및 화소들을 포함한다. 구동부는 주사선들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화소들 각각은 해당 주사선을 통해 제공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데이터선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 및 터치 구동부를 포함하고,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 의해 화면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롤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된 이전 프레임 영상 및 재생되는 현재 프레임 영상간의 미스 매칭에 의한 화면 이상(예를 들어, 화면 끌림(image drag))이 발생하고, 표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선들, 주사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에 연결되는 화소들을 구비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표시 구동부; 감지 전극들을 구비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터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 내에서 상기 주사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제1 구간이 감소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사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화되며,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감소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는 하나의 프레임 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행들 각각의 시작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프로세서에 감지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영상의 재생률(refresh rate)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구간은 기준 시간의 약 80% 내지 90%범위 이내이며,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주사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프레임 구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구간은 상기 제1 구간 및 인접 프레임 구간의 제1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프레임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간이며,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구간은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구간은 상기 제1 구간 및 인접 프레임 구간의 제1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프레임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고정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는 발광제어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발광제어선들에 발광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화소들은 상기 발광제어선들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순차 발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선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주사선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사 신호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주사선들에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화소들은 상기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이동 속도를 산출하되, 상기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속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선들, 주사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에 연결되는 화소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들을 통해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표시 구동부; 감지 전극들을 구비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구동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 영상의 재생률(refresh rate)을 가변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은 상기 주사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 및 인접 프레임 구간의 제1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프레임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간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은 상기 주사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 및 인접 프레임 구간의 제1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프레임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간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사 신호는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터치 감지부를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포치(porch) 구간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표시부에서 상기 포치 구간에 기초하여 프레임 영상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영상들 중 제1 프레임 영상의 표시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포치 구간만큼 경과된 시점에서 상기 프레임 영상들 중 제2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기 시작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치 구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프레임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선들, 주사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에 연결되는 화소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들을 통해 프레임 영상들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표시 구동부; 상기 표시부의 자세 또는 회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 영상들의 포치 구간을 가변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포치 구간은 상기 프레임 영상들 중 제1 프레임 영상의 표시가 종료된 시점 및 상기 프레임 영상들 중 상기 제1 프레임 영상에 인접한 제2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기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기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화면 방향이 제1 화면 방향인 경우 상기 포치 구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화면 방향은 상기 표시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 영상들 각각의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이 위치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사선들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이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화면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스크롤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의 폭을 고정시키고, 포치(porch)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구간 내 표시 구간이 감소되고, 감소된 표시 구간 동안 데이터 신호가 보다 빠르게 업데이트되거나 전환되며,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 영상이 보다 빠르게 표시될 수 있다. 즉, 스크롤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이 감소되고,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은, 프레임 구간의 폭을 고정시키고, 표시 구간만을 감소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3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터치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측정된 신호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0은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측정된 신호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1은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측정된 신호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2는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은 일부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생략되었을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의 일부 구성 요소는 그 크기나 비율 등이 다소 과장되어 도시되었을 수 있다. 도면 전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고,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은 터치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부재 등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양 장변들(예를 들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제1 장변(LS1)과 제2 장변(LS2))과 양 단변들(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제1 단변(SS1)과 제2 단변(SS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장변들(LS1, LS2)과 단변들(SS1, SS2)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서리는 곡면을 이룰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0)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0)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일 수 있다. 일례로, 표시 장치(100)의 적어도 일 영역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및/또는 롤링(rolling)이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표시 장치(100)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 예컨대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표시 영역(DA)의 전체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변형된 상태, 예컨대 벤딩, 폴딩 및/또는 롤링된 상태에서는 표시 영역(DA) 중 일부의 영역, 예컨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일부의 영역에서만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에는 펼쳐진 상태(unfolding state)의 표시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 내지 도 2d에는 접혀진 상태(folding state)의 표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는 제1 폴딩 축(FA1)을 기준으로 표시 영역(DA)이 내측을 향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제1 폴딩 축(FA1)은 표시 장치(100)의 양 단변들(예를 들어, 제1 단변(SS1)과 제2 단변(SS2))과 교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표시 장치(100)는 인-폴더블 표시 장치(in-foldable display device)일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10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는 제1 폴딩 축(FA1)을 기준으로 표시 영역(DA)이 외측을 향하도록 아웃-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0)의 전면을 통해 영상이 표시되고, 표시 장치(100)가 접혀진 경우 표시 장치(100)의 배면이 상대적으로 인접하거나 접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는 아웃-폴더블 표시 장치(out-foldable display device)일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서, 표시 장치(100)는 상호 다른 복수의 영역들에서 폴딩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제1 폴딩 축(FA1) 및 제2 폴딩 축(FA2)을 기준으로 표시 영역(DA)이 내측을 향하도록 인-폴딩될 수도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제1 폴딩 축(FA1)을 기준으로 표시 영역(DA)이 내측을 향하도록 인-폴딩되고, 제2 폴딩 축(FA2)을 기준으로 표시 영역(DA)이 외측을 향하도록 아웃-폴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rollable display device)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DA)이 외측을 향하도록 롤링되거나, 표시 영역(DA)이 내측을 향하도록 롤링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일 영역이 롤링될 수 있으며, 롤링 방향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또는, 패널), 표시 구동부, 터치 구동부(210), 프로세서(300), 및 센서부(400)(또는, 자세 센서(attitud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연성 회로 기판(FPC) 및 메인 회로 기판(MFP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10)은 벤딩, 폴딩 및/또는 롤링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은 제1 폴딩 축(FA1)을 기준으로 인-폴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 패널(11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외곽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 구동부는 제1 구동부(120) 및 제2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20)는 프로세서(300)로부터 제어신호 및 입력 데이터(또는, 원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신호 및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며,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120)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주사 제어신호(및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주사 제어신호를 제2 구동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20)는 집적 회로로 구현되고, 연성 회로 기판(FPC)에 실장되며(또는, 회로 필름(미도시)에 실장되어 연성 회로 기판(FPC)에 연결되며), 표시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20)(및 연성 회로 기판(FPC))는 표시 패널(110)의 일 장변(예를 들어, 제2 장변(LS2, 도 1 참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표시 패널(110)의 일 장변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30)는 주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며, 표시 패널(110)에 주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30)는 제1 서브 구동부(131) 및 제2 서브 구동부(132)를 포함하고, 제1 서브 구동부(131)는 표시 패널(110)의 일 단변(예를 들어, 제1 단변(SS1, 도 1 참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서브 구동부(132)는 표시 패널(110)의 타 단변(예를 들어, 제2 단변(SS2, 도 1 참조))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구동부(130)가 발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구동부(130)는 발광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표시 패널(110)에 발광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고,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구동부(131)는 주사 신호를 생성하는 주사 구동부이고, 제2 서브 구동부(132)는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발광 구동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서브 구동부(131) 및 제2 서브 구동부(132) 각각은 주사 구동부 및 발광 구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구동부(130)(또는, 제2 구동 회로)는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DA)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구동부(120) 및 제2 구동부(13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구동부(210)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구동 신호를 표시 패널(110)(또는, 표시 패널(110)에 구비된 감지 전극)에 제공하며, 터치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구동부(210)는 표시 패널(110)에 구비된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정전 요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구동부(210)는 감지된 터치 입력의 정보(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크기, 좌표 등)를 프로세서(30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터치 구동부(210)는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감지신호(또는, 감지 정보)를 프로세서(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신호는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며, 이동 속도의 크기, 방향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터치 구동부(210)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터치 구동부(210)는 집적 회로로 구현되고, 메인 회로 기판(MFPC)에 실장되며, 연성 회로 기판(FPC)을 통해 표시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제어신호 및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어신호 및 입력 데이터를 메인 회로 기판(MFPC)을 통해 표시 구동부(또는, 제1 구동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터치 구동부(210)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입력의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0)는 터치 구동부(21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가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큼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사용자가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DA)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또는, 화면)을 빠르게 스크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 구동부의 구동 설정값(즉, 제어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300)는 표시 구간(즉, 표시 패널(110)을 통해 영상이 표시되는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표시 구간에서, 표시 패널(110)에 데이터 신호 및 주사 신호(및 발광 제어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300)는 포치(porch) 구간(즉, 표시 패널(110)을 통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구간들 사이의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참고로, 표시 장치(100)는 프레임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되, 하나의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구간(또는,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할당된 프레임 구간)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구간(또는, 액티브 구간)과, 포치 구간(또는, 수직 포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간의 시작(또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은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의해 정의되거나 결정되며,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행들의 시작은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의해 정의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프레임 구간의 표시 구간은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또는, 주파수)에 의해 가변될 수 있으며, 포치 구간은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또는, 주파수)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가 일정하거나 고정된 경우,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가 짧아질수록 표시 구간이 감소하고, 포치 구간은 증가할 수 있다.
프레임 구간 내 표시 구간 및/또는 포치 구간의 변화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부(400)는 표시 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표시 장치(100)(또는, 표시패널(110))의 자세 또는 표시 장치(100)의 물리적인 회전을 감지하여 표시 장치(100)의 자세 정보(또는, 자세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40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자세 센서(attitude sensor)으로 구현되고, 표시 장치(100)의 단변(예를 들어, 제2 단변(SS2, 도 1 참조))(또는, 장변)이 지평선과 이루는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00)는 자세 센서(400)에서 생성된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screen orientation)(또는, 화면의 출력 방향, 보기 모드)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방향은 표시 장치(100)(또는, 표시 패널(110))를 기준으로 영상이 출력되거나 표시되는 방향, 영상(예를 들어, 글자)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하측 부분으로의 방향, 또는, 영상의 상측 부분(또는, 하측 부분)이 위치하는 방향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화면 방향들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제1 화면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1 방향(DR1)과 같고, 제2 화면 방향은 제2 방향(DR2)과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1 화면 방향(또는, 제2 방향(DR2))인 경우, 표시 장치(100)는 제1 보기 모드에서 동작하며, 프로세서(300)는 제1 화면 방향에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회전 및/또는 스케일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기 모드는 세로 방향 보기 모드(또는, portrait mode)(예를 들어, 영상의 상하측 변들이 단변인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2 화면 방향(또는, 제1 방향(DR1))인 경우, 표시 장치(100)는 제2 보기 모드에서 동작하며, 프로세서(300)는 제2 화면 방향에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회전 및/또는 스케일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기 모드는 가로 방향 보기 모드(또는, landscape mode)(예를 들어, 영상의 상하측 변들이 장변인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0)는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2 방향(DR2)인 경우(또는, 표시 장치(100)가 제1 보기 모드(예를 들어, 세로 방향 보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포치 구간(porch)을 증가시키거나, 표시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1 방향(DR1)인 경우(또는, 표시 장치(100)가 제2 보기 모드(예를 들어, 가로 방향 보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포치 구간(porch)을 감소시키거나, 표시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0)는 표시 장치(100)의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가변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구동부(120)는 표시 패널(110)의 일 장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주사 신호를 생성하는 제2 구동부(130)는 표시 패널(110)의 단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구동부(210)는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프로세서(300)는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프레임 구간 내 표시 구간을 감소시키거나 포치 구간을 증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에 대한 입력 데이터(또는, 데이터 신호)의 업데이트 속도가 빨라지고, 화면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예를 들어, 스크롤 입력에 의해 전환되는 화면에서 발생하는 화면 끌림)이 개선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기판(SUB), 표시부(DISP)(또는, 표시층), 및 터치 감지부(TSP)(또는, 터치 감지층)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판(SUB)은 플렉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일 수 있다. 기판(SUB)은 유연한 소재의 박막 필름(thin fil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판(SUB)의 구성 물질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외에도 소정 범위의 유연성을 만족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기판(SUB)을 구성할 수 있다.
표시부(DISP)는 기판(SUB)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DISP)는 화소들(PXL)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L)은 표시 영역(DA)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L) 각각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나, 화소들(PXL)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DISP)는 제1 서브 구동부(131) 및 제2 서브 구동부(132)(즉, 제2 구동부(13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구동부(131) 및 제2 서브 구동부(132)는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구동부(131) 및 제2 서브 구동부(132)는 화소들(PXL)과 함께 기판(SU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ISP)는 화소들(PXL)을 밀봉하는 플렉서블 박막 봉지층(flexible thin film encapsul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및 무기막을 포함하는 다층막(multi-layer) 구조의 봉지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봉지층은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무기막과, 상기 제1 및 제2 무기막의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한 층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박막 봉지층은 유무기 물질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단층막(single-layer) 구조의 봉지층일 수도 있다.
한편, 표시부(DISP)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패널(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부(DISP)의 종류 및/또는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부(DISP) 상에 배치되고, 감지 전극(IE)(또는,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IE)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 전극(IE)은 뮤추얼 캡 방식 및/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감지 전극(IE)은 ITO, IZO, IGZO, ZnO, ITZO 등과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감지 전극(IE)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감지 전극(IE)은 불투명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서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부(DISP)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감지부(TSP)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TSP)의 별도의 패널(예를 들어, 터치 패널)로 구현되고, 별도의 접착층(예를 들어, OCA, OCR 등)을 통해 표시부(DISP)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는 표시 장치의 표시 기능(즉,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표시 장치(100)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DISP), 데이터 구동부(121), 타이밍 제어부(122), 및 제2 구동부(130)(또는, 주사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ISP)는 표시 영역(DA)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DA)은 제1 폴딩 축(FA1)(즉,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폴딩 축)을 기준으로 복수의 표시 영역들(AA1, AA2)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표시 영역(DA)을 구성하는 영역들(예컨대, 제1 및 제2 표시 영역들(AA1, AA2))의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DISP)는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 단, m은 양의 정수), 주사선들(SL1 내지 SLn, 단, n은 양의 정수), 및 화소들(PXL)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L)은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 및 주사선들(SL1 내지 SLn)에 의해 구획된 영역들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과 교차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주사선들(SL1 내지 SLn)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주사선들(SL1 내지 SLn)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표시 영역들(AA1, AA2)에 배치되는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은 제1 및 제2 표시 영역들(AA1, AA2)의 사이에서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은 제1 및 제2 표시 영역들(AA1, AA2)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ISP)는 발광제어선들(EL1 내지 EL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사선들(SL1 내지 SLn)과 유사하게, 발광제어선들(EL1 내지 ELn)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발광제어선들(EL1 내지 ELn)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화소들(PXL)은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 및 주사선들(SL1 내지 SLn)(및 발광제어선들(EL1 내지 ELn))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XL1)는 제1 표시 영역(AA1)에 제공되며, 제j 데이터선(DLj, 단, j는 양의 정수), 제i 주사선(SLi, 단, i는 양의 정수), 및 제i 발광제어선(ELi)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화소(PXL2)는 제2 표시 영역(AA2)에 제공되며, 제j 데이터선(DLj), 제k 주사선(SLk, 단, k는 양의 정수), 및 제k 발광제어선(ELk)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부(DISP)에는 제1 및 제2 전원전압들(VDD, VSS)이 제공될 수 있다. 전원전압들(VDD, VSS)은 화소들(PXL)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들이며, 제1 전원전압(VDD)은 제2 전원전압(VSS)의 전압 레벨보다 높은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부(DISP)에는 초기화 전원전압(Vint)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전원전압들(VDD, VSS), 및 초기화 전원전압(Vint)은 별도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표시부(DISP)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30)(또는, 주사 구동부)는 타이밍 제어부(122)로부터 주사 제어 신호(SCS)를 공급받고, 주사 제어 신호(SCS)에 대응하여 주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사 제어 신호(SCS)는 스타트 펄스 및 클럭 신호(또는, 시프트 클럭)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30)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스타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시프트함으로써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주사 신호를 주사선들(SL1 내지 SLn)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럭 신호의 주기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구동부(210)로부터 프로세서(300)에 감지신호(DS)가 제공된 경우(즉, 터치 구동부(210)를 통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타이밍 제어부(122)는 클럭 신호의 주기를 감소시키거나 주파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클럭 신호의 펄스 폭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표시부(DISP)에 주사 신호가 제공되는 총 시간(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 구간 내에서 주사 신호가 제공되는 총 시간)이 감소되고,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 영상이 보다 빠르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2)로부터 발광 구동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발광 구동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발광 구동 제어 신호는 발광 스타트 펄스 및 발광 클럭 신호(또는, 발광 시프트 클럭)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30)는 발광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발광 스타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시프트함으로써 발광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발광 제어 신호를 발광선들(EL1 내지 ELn)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발광 클럭 신호의 주기는, 클럭 신호(즉, 주사 신호에 대한 클럭 신호)의 주기와 유사하게, 가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1)는 타이밍 제어부(122)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 소스 클럭 신호(또는, 소스 시프트 클럭)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예를 들어, 유효한 데이터 신호의 출력을 지시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1)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선들(DL1 내지 DLm)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클럭 신호의 주기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구동부(210)를 통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타이밍 제어부(122)는 소스 클럭 신호의 주기를 감소시키거나 주파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DISP)에 데이터 신호가 보다 빠르게 제공되고,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 영상이 보다 빠르게 표시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22)는 프로세서(30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DATA1)(또는,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CS)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CS)에 기초하여 주사 제어 신호(SCS)(및 발광 구동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생성하며,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변환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CS)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클럭(CL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부(122)는 RGB 포맷의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표시부(DISP) 내 화소 배열에 부합하는 RGBG 포맷의 제2 영상 데이터(DATA2)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데이터 구동부(121) 및 타이밍 제어부(122)는 상호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121) 및 타이밍 제어부(122)는 하나의 집적 회로(예를 들어, 제1 구동부(120, 도 3 참조))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표시 구동부(즉, 타이밍 제어부(122), 데이터 구동부(121), 제2 구동부(130)) 및/또는 표시부(DISP)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CS) 및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300)는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30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프로세서(300)는 해당 표시 장치에 부합되는 다른 종류의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00)는 터치 구동부(210)로부터 감지신호(DS)를 수신하고, 감지신호(DS)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CS)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가 감지신호(DS)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300)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의 화면을 빠르게 스크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 신호(CS)(예를 들어,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타이밍 제어부(122)는 가변된 제어 신호(CS)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 소스 클럭 신호 등을 가변시키고, 표시 구동부 및 표시부(DISP)는 가변된 클럭 신호, 소스 클럭 신호 등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00)는 센서부(400)로부터 표시 장치(100)(또는, 표시패널(110, 도 3 참조), 표시부(110))의 자세 정보를 수신하고,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CS)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의 단변이 지평선과 평행한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300)는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을 제1 화면 방향으로 결정하고, 제1 화면 방향에 따라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 장치(100)의 장변이 지평선과 평행한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300)는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을 제2 화면 방향으로 결정하고, 제2 화면 방향에 따라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소들(PXL)은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화소들(PXL)을 포괄하여 제1 화소(PXL1)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화소(PXL1)는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발광 소자(LD)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 각각은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 중 적어도 일부는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은 제2 노드(N2)에 연결되거나,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전원선(즉, 제1 전원전압(VDD)이 인가된 전원선)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은 제1 노드(N1)에 연결되거나,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발광 소자(LD)의 애노드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3 노드(N3)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3 노드(N3)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 전원선으로부터 발광 소자(LD)를 경유하여 제2 전원선(즉, 제2 전원전압(VSS)을 전달하는 전원선)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데이터선(DLj)과 제2 노드(N2)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Li)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주사선(SLi)으로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Lj)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1 노드(N1) 및 제3 노드(N3)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Li)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주사선(SLi)으로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제1 노드(N1) 및 제3 노드(N3)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 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는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전원선과 제3 노드(N3)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 및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3 노드(N3)와 초기화 전원선(즉, 초기화 전원전압(Vint)을 전달하는 전원선)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은 이전 주사선(SLi-1)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이전 주사선(SLi-1)으로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제1 노드(N1)로 초기화 전원전압(Vint)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화 전원전압(Vint)은 데이터 신호보다 낮은 전압 레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1 전원선과 제2 노드(N2)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은 발광제어선(ELi)에 접속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발광제어선(ELi)으로 발광 제어 신호가 공급될 때 턴-오프되고, 그 외의 경우에 턴-온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노드(N1)와 발광 소자(LD)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 게이트 전극은 발광제어선(ELi)에 접속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발광제어선(ELi)으로 발광 제어 신호가 공급될 때 턴-오프되고, 그 외의 경우에 턴-온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초기화 전원선과 발광 소자(LD)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Li)에 접속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주사선(SLi)으로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초기화 전원전압(Vint)을 발광 소자(LD)의 애노드로 공급할 수 있다.
발광 소자(LD)의 애노드는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제1 트랜지스터(T1)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제2 전원선에 접속될 수 있다. 발광 소자(LD)는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 소자(LD)로 전류가 흐르도록, 제1 전원전압(VDD)은 제2 전원전압(VSS)보다 높은 전압 레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는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 기능(즉,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표시 장치(100)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터치 감지부(TSP) 및 터치 구동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제1 감지 전극들(IE1), 제1 감지 전극들(IE1)에 연결된 제1 신호 라인들(미도시), 제2 감지 전극들(IE2) 및 제2 감지 전극들(IE2)에 연결된 제2 신호 라인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 전극들(IE1)과 제2 감지 전극들(IE2)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IE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들(IE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IE1, IE2)은 뮤추얼 캡 방식 및/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IE1, IE2)은 ITO, IZO 등과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IE1, IE2)은 불투명 금속으로 구성된 도전성 세선들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IE1, IE2) 각각은 메쉬(mesh) 구조(또는, 메쉬 패턴)를 가질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IE1) 각각은 제1 센서부(SSP1) 및 제1 연결부(C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들(IE2) 각각은 제2 센서부(SSP2) 및 제2 연결부(C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SSP1) 및 제2 센서부(SSP2) 각각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센서부(SSP1) 및 제2 센서부(SSP2) 각각은 다른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 전극들(IE1)과 제2 감지 전극들(IE2)은 센서부와 연결부의 구분이 없는 형상(예컨대 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연결부(CP1)는 제1 센서부(SSP1)와 이에 인접한 제1 센서부(SSP1)를 연결하고, 제2 연결부(CP2)는 제2 센서부(SSP2)와 이에 인접한 제2 센서부(SSP2)를 연결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210)는 제1 감지 전극들(IE1) 및 제2 감지 전극들(IE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구동부(210)는 입력 감지부(211) 및 감지신호 생성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11)는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제1 감지 전극들(IE1)에 순차적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제2 감지 전극들(IE2)로부터 센싱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 의해 제1 감지 전극들(IE1) 및 제2 감지 전극들(IE2) 사이의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며, 변화된 커패시턴스는 센싱 신호에 반영되어 출력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11)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크기 및 좌표)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신호 생성부(212)는 입력 감지부(211)에 의해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며,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한 경우 감지신호(DS)를 생성하며, 감지신호(DS)를 프로세서(300)에 제공할 수 있다.
감지신호 생성부(212)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이 참조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터치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구동부(210)(또는, 감지신호 생성부(212))는 연속적으로 감지된 터치 입력들(INPUT_T1, INPUT_T2)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INPUT)의 이동 속도(MV)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구동부(210)는 제1 시점에서 감지된 제1 터치 입력(INPUT_T1)(또는, 제1 시점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의 중심점) 및 제2 시점에서 감지된 제2 터치 입력(INTPUT_T2)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INPUT)의 이동 속도(MV)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터치 구동부(210)는 터치 입력(INPUT)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 속도, 즉, 제1 이동 속도(MV_S1) 및 제2 방향(DR2)으로의 이동 속도, 즉, 제2 이동 속도(MV_S2)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R1)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주사선들(SL1 내지 SLn)이 배열되는 방향과 평행하며, 제2 방향(DR2)은 주사선들(SL1 내지 SLn)의 배열 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구동부(210)는 터치 입력(INPUT)의 제2 이동 속도(MV_S2)가 제1 이동 속도(MV_S1)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이동 속도(MV_S1)가 제2 이동 속도(MV_S2)보다 큰 경우, 터치 입력(INPUT)은 제1 방향(DR1)으로의 화면 전환(또는, 화면 스크롤)로 인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구동부(210)는 제2 이동 속도(MV_S2)가 기준 속도들(MVTH1, MVTH2)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 속도(MV_S2)가 제1 기준 속도(MVTH1)보다 큰 경우, 터치 입력(INPUT)은 제2 방향(DR2)으로의 화면 전환(또는, 화면 스크롤)로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구동부(210)는 감지신호(DS)를 생성하여 프로세서(300)에 제공하며, 프로세서(300)는 프레임 구간의 크기(또는, 프레임 주파수,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refresh rate), 예를 들어, 60Hz)를 유지하면서, 프레임 구간 내 포치 구간을 증가시키고, 프레임 구간 내 표시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 속도(MV_S2)가 제2 기준 속도(MVTH2)보다 큰 경우, 터치 구동부(210)는 감지신호(DS)를 생성하여 프로세서(300)에 제공하며, 프로세서(300)는 프레임 구간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예를 들어, 프레임 주파수 또는 재생률을 60Hz에서 70Hz로 증가시키면서), 프레임 구간 내 표시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측정된 신호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에서 측정된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및 데이터 신호(DATA)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주사 신호(SCAN1)는 제1 주사선(SL1)에 제공되고, 제2 주사 신호(SCAN2)는 제2 주사선(SL2)에 제공되며, 제3 주사 신호(SCAN3)는 제3 주사선(SL3)에 제공되고, 제n 주사 신호(SCANn)는 제n 주사선(SLn)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표시 장치(100)는 제1 모드(또는, 노말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작은 경우, 표시 장치(100)는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간(FRAME2)에서, 표시 장치(100)는 제2 모드(또는, 가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표시 장치(100)는 특정 기간 동안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레임 구간들(FRAME1, FRAME2) 각각은 표시 구간 및 포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구간은 유효한 데이터 신호가 표시부(DISP, 도 3 참조)에 제공되는 시간, 또는,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및 데이터 신호(DATA)가 표시부(DISP)에 제공되는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포치 구간(또는, 블랭크 구간)은 표시 구간의 종료 시점과 시작 시점 사이의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구간(FRAME1)은 표시 구간으로서 제1 구간(P1)을, 포치 구간으로서 제2 구간(P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프레임 구간(FRAME2)은 표시 구간으로서 제3 구간(P3)을, 포치 구간으로서 제4 구간(P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펄스(예를 들어, 논리 로우 레벨을 가지는 펄스)를 포함하며, 프레임 데이터(즉, 하나의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낼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는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프레임 구간(FRAME2)의 크기(또는, 폭)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의 크기(또는, 폭)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 대응하는 프레임 영상(또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로 구성된 프레임 구간들에 대응하는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 및 제2 프레임 구간(FRAME2)에 대응하는 프레임 영상의 재생률 각각은 제1 주파수(FREQ1)(예를 들어, 60Hz)일 수 있다. 즉,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커지더라도, 재생률(또는, 프레임 주파수, 구동 주파수)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펄스(예를 들어, 논리 로우 레벨을 가지는 펄스)를 포함하며, 데이터 행(즉,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행들 중 하나의 데이터 행)의 시작을 나타낼 수 있다.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및 데이터 신호(DATA)(또는, 데이터 신호들(DATA1 내지 DATAn))은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동기화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들(DATA1 내지 DATAn)은 하나의 데이터선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 구간(FRAME2)에서의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제2 주기(PR2)(또는, 제2 수평 시간)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의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제1 주기(PR1)(또는, 제1 수평 시간)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주기(PR2)는 제1 주기(PR1)의 약 80% 내재 90%의 범위 이내이며, 재생률 및 주사선들의 개수에 따라 제1 및 제2 주기들(PR1, PR2)은 달라질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제1 주기(PR1)는 10.68μs이고, 제2 주기(PR2)는 9.25μs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는 제1 주기(PR1)를 가지고 주사선들에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간(FRAME2)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은 제2 주기(PR2)를 가지고 주사선들에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신호들(DATA1 내지 DATAn)은 제2 주기(PR2)를 가지고 데이터선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DATA)의 전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 구간(FRAME2)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및 데이터 신호(DATA)가 제공되는 총 시간, 즉, 제3 구간(P3)(또는, 표시 구간, 액티브 구간)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및 데이터 신호(DATA)가 제공되는 총 시간, 즉, 제1 구간(P1)보다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간(P3)은 제1 구간(P1)(또는, 기준 시간)의 약 80% 내지 90%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보다 제2 프레임 구간(FRAME2)에서, 데이터 신호(DATA1)가 보다 빠르게 업데이트되고,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 영상이 보다 빠르게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 구간(FRAME2)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각각의 제2 펄스 폭(PW2)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각각의 제1 펄스 폭(PW1)과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프레임 구간(FRAME2)에서, 화소들(PXL, 도 5 참조)에 데이터 신호(DATA)가 안정적으로 기록되고, 화소들(PXL)은 원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제2 주기(PR2)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제2 펄스 폭(PW2)은 가변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2 프레임 구간(FRAME2)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의 펄스들 사이의 제2 간격(PG2)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의 펄스들 사이의 제1 간격(PG1)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또는, 재생률)은 변화하지 않으므로, 표시 구간이 감소될수록 포치 구간은 증가할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 구간(FRAME2)의 제4 구간(P4)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의 제2 구간(P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간(P2)은 제1 주기(PR1)의 약 8배 이고, 제4 구간(P4)은 제2 주기(PR2)의 약 248배 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이동 속도(MV_S2)가 제1 기준 속도(MVTH1)를 초과하는 경우),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가 감소되고, 프레임 구간 내 표시 구간의 감소되며, 프레임 구간 내 포치 구간이 증가될 수 있다. 프레임 구간 내 표시 구간이 감소됨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 구간 동안 데이터 신호가 보다 빠르게 업데이트되거나 전환되며,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 영상이 보다 빠르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이 개선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재생률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소비 전력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률이 10% 증가되는 경우 표시 장치(100)의 소비 전력의 증가 비율은 약 10% 내지 15% 이내이며, 재생률은 고정한 채 표시 구간만을 감소시키는 경우 표시 장치(100)의 소비 전력의 증가 비율은 5% 이하일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측정된 신호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신호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에서, 표시 장치(100)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표시 장치(100)는 특정 기간 동안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에서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의 크기(또는, 폭)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의 크기(또는, 폭)보다 작아지고,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에 대응하는 프레임 영상의 재생률(또는, 제2 주파수(FREQ2), 예를 들어, 70Hz)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 대응하는 프레임 영상의 재생률(또는, 제1 주파수(FREQ1), 예를 들어, 60Hz)보다 커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에서의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제2 주기(PR2)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의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제1 주기(PR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및 데이터 신호(DATA)가 제공되는 총 시간, 즉, 제3 구간(P3)(또는, 표시 구간, 액티브 구간)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및 데이터 신호(DATA)가 제공되는 총 시간, 즉, 제1 구간(P1)보다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에서, 데이터 신호(DATA)가 보다 빠르게 업데이트되고,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 영상이 보다 빠르게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의 제4 구간(P4_1)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의 제2 구간(P2)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제4 구간(P4_1)이 작아질수록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에 대응하는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이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영상들 간의 전환 폭(또는, 이동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이 개선되거나 완화되고, 또한, 보다 자연스러운 화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측정된 신호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1에는 도 9에 도시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신호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 구간(FRAME2_2)에서, 표시 장치(100)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표시 장치(100)는 특정 기간 동안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간(FRAME2_2)에서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 구간(FRAME2_2)의 크기(또는, 폭)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의 크기(또는, 폭)보다 작아지고,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에 대응하는 프레임 영상의 재생률(또는, 제3 주파수(FREQ3), 예를 들어, 70Hz)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 대응하는 프레임 영상의 재생률(또는, 제1 주파수(FREQ1), 예를 들어, 60Hz)보다 커질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간(FRAME2_2)에서의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제2 주기(PR2_1)는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의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제1 주기(PR1_1)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 구간(FRAME2_2)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및 데이터 신호(DATA)가 제공되는 총 시간, 즉, 제3 구간(P3_1)(또는, 표시 구간, 액티브 구간)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및 데이터 신호(DATA)가 제공되는 총 시간, 즉, 제1 구간(P1)과 같을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 구간(FRAME2_2)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각각의 제2 펄스 폭(PW2_1)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 각각의 제1 펄스 폭(PW1)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 구간(FRAME2_2)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의 펄스들 사이의 제2 간격(PG2_1)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에서 주사 신호들(SCAN1 내지 SCANn)의 펄스들 사이의 제1 간격(PG1)과 같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2 프레임 구간(FRAME2_2)의 제4 구간(P4_2)은 제1 프레임 구간(FRAME1)의 제2 구간(P2)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제4 구간(P4_2)이 작아질수록 제2 프레임 구간(FRAME2_1)에 대응하는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이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영상들 간의 전환 폭(또는, 이동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이 개선되거나 완화되고, 또한, 보다 자연스러운 화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도 3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는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프레임 영상들 간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면 이상(예를 들어, 화면 끌림)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도 5,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주사선들(SL1 내지 SLn)이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됨에 따라, 제1 방향(DR1)을 따라 주사 신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부(DISP)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영상(IMAGE1)은 터치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나타낸다.
제2 영상(IMAGE2)은 제2 방향(DR2)으로의 스크롤 입력(즉, 제2 방향(DR2)으로 화면 이동을 명령하는 터치 입력)에 따라, N번째(단, N은 양의 정수) 프레임 영상으로부터 N+1번째 프레임 영상으로 전환(또는, 업데이트)되는 시점에서의 영상을 나타낸다.
표시 장치(100)가 순차 구동 방식으로 동작함에 따라, 주사 방향(즉, 제1 방향(DR1))을 따라 프레임 영상이 순차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상(IMAGE2)의 좌측 일부 영역에는 N번째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고, 제2 영상(IMAGE2)의 우측 일부 영역에는 N+1번재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며, 홀드된 N번째 프레임 영상과 리프레시되는 N+1번째 프레임 영상 사이의 경계가 불연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제2 영상(IMAGE2)의 제2 방향(DR2)으로의 길이가 좁은 경우, 제2 방향(DR2)으로의 스크롤 입력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영상(예를 들어, N번째 프레임 영상 및 N+1번째 프레임 영상간의 불연속적인 부분)이 적으므로, 사용자가 화면 끌림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주사 신호를 생성하는 제2 구동부(130)가 표시 장치(100)은 단변(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단변들(SS1, SS2, 도 1 참조))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제2 영상(IMAGE2)의 제2 방향(DR2)으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제2 방향(DR2)으로의 스크롤 입력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영상(예를 들어, N번째 프레임 영상 및 N+1번째 프레임 영상간의 불연속적인 부분)이 많아지며, 사용자에게 화면 끌림이 시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제2 방향(DR2)으로의 스크롤 입력이 발생한 경우, 프레임 구간 내 포치 구간을 증가시키고 표시 구간을 감소시킴으로써, 프레임 영상을 보다 빠르게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이 개선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방법은 도 3의 표시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의 방법은 터치 구동부(210)를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1310).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도 13의 방법은 터치 구동부(210)를 통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20).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3의 방법은 주사 방향인 제1 방향(DR1)에 수직하는 제2 방향(DR2)으로의 이동 속도(즉, 제2 이동 속도(MV_S2, 도 8 참조))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도 13의 방법은 프로세서(300)를 통해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포치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S1330).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포치 구간은 표시 구간의 종료 시점과, 다음 표시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구간일 수 있다.
프레임 구간의 폭(또는,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고정되고, 또한, 포치 구간이 증가되므로, 표시 구간이 감소될 수 있다. 즉, 도 13의 방법은, 프레임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3의 방법은 증가된 포치 구간에 기초하여 표시부(DISP)에 프레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340).
한편,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작은 경우, 도 13의 방법은 프로세서(300)를 통해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포치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S1350).
예를 들어, 도 13의 방법은, 포치 구간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구간(P2)보다 증가되거나 제4 구간(P4)과 같은 경우, 포치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의 방법은, 포치 구간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구간(P2)과 같은 경우, 포치 구간의 폭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3의 방법은 제2 구동부(130)를 통해 보다 짧아진 주기(예를 들어, 제2 주기(PR2))를 가지고 주사 신호들을 표시부(DISP)에 제공하고, 제1 구동부(120)를 통해 보다 짧아진 주기를 가지고 데이터 신호를 전환하여 표시부(DISP)에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 구간 내 표시 구간이 감소됨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 구간 동안 데이터 신호가 보다 빠르게 업데이트되거나 전환되며,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 영상이 보다 빠르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이 개선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구간의 폭 또는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고정되므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방법은 도 3의 표시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4의 방법은 터치 구동부(210)를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1410).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도 14의 방법은 터치 구동부(210)를 통해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20).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4의 방법은 주사 방향인 제1 방향(DR1)에 수직하는 제2 방향(DR2)으로의 이동 속도(즉, 제2 이동 속도(MV_S2, 도 8 참조))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도 14의 방법은 프로세서(300)를 통해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Refresh Rate)을 증가시킬 수 있다(S1430).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4의 방법은 표시 구간을 감소시키고, 포치 구간의 폭을 유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4의 방법은 표시 구간의 폭을 유지하고, 포치 구간의 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후, 도 14의 방법은 증가된 재생률에 기초하여 표시부(DISP)에 프레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440).
한편,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작은 경우, 도 14의 방법은 프로세서(300)를 통해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S1450).
예를 들어, 도 14의 방법은, 재생률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주파수(FREQ1)보다 증가되거나 제2 주파수(FREQ2)와 같은 경우, 재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4의 방법은, 재생률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주파수(FREQ1)와 같은 경우, 재생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이 높아짐에 따라 프레임 영상들 간의 전환 폭(또는, 이동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이 개선되거나 완화되고, 또한, 보다 자연스러운 화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의 방법은 도 3의 표시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5의 방법은 자이로 센서(또는, 센서부(400))를 통해 표시 장치(100)의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510).
도 15의 방법은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S15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 방향은 표시 장치(100)를 기준으로 영상이 출력되는 방향 또는, 영상(예를 들어, 글자)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의 방향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1 화면 방향(또는, 제2 방향(DR2))인 경우 표시 장치(100)는 제1 보기 모드(또는, 세로 방향 보기 모드)에서 동작하며,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2 화면 방향(또는, 제1 방향(DR1))인 경우, 표시 장치(100)는 제2 보기 모드(또는, 가로 방향 보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5의 방법은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1 화면 방향(또는, 제2 화면 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530), 화면 방향이 제1 화면 방향인 경우, 프로세서(300)를 통해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포치 구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S1540).
포치 구간을 증가시키는 구성은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포치 구간을 증가시키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1 화면 방향인 경우, 표시 장치(100)는 세로 방향 보기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2 방향(DR2)으로 전화되거나 스크롤되는 화면(즉, 스크롤 화면)이 표시 장치(100)를 통해 빈번하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면 방향이 제1 화면 방향인 경우, 도 15의 방법은 포치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화면 전환 과정에서(즉, 스크롤 화면의 표시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을 개선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5의 방법은 증가된 포치 구간에 기초하여 표시부(DISP)에 프레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550).
한편,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1 화면 방향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2 화면 방향인 경우), 도 15의 방법은 프로세서(300)를 통해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에 포함된 포치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S1560).
예를 들어, 도 15의 방법은, 포치 구간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구간(P2)보다 증가되거나 제4 구간(P4)과 같은 경우, 포치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의 방법은, 포치 구간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구간(P2)과 같은 경우, 포치 구간의 폭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0)의 화면 방향이 제2 화면 방향인 경우, 표시 장치(100)는 가로 방향 보기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2 방향(DR2)으로의 스크롤 화면을 표시하는 상황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화면 방향이 제2 화면 방향인 경우, 도 15의 방법은 포치 구간을 감소시키거나 가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전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면 이상이 개선되거나 완화되고, 또한, 표시 장치(100)의 소비 전력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또한,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표시패널
120: 제1 구동부 121: 데이터 구동부
122: 타이밍 제어부 130: 제2 구동부
131: 제1 서브 구동부 132: 제2 서브 구동부
210: 터치 구동부 211: 입력 감지부
212: 감지신호 생성부 DISP: 표시부
SUB: 기판 TSP: 터치 감지부

Claims (23)

  1. 데이터선들, 주사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에 연결되는 화소들을 구비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표시 구동부;
    감지 전극들을 구비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터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 내에서 상기 주사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제1 구간이 감소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화되며,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가 감소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는 하나의 프레임 영상에 대응하는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행들 각각의 시작을 정의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프로세서에 감지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감소시키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영상의 재생률(refresh rate)은 고정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구간은 기준 시간의 약 80% 내지 90%범위 이내이며,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주사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시간인,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프레임 구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간은 상기 제1 구간 및 인접 프레임 구간의 제1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프레임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간이며,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구간은 증가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간은 상기 제1 구간 및 인접 프레임 구간의 제1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프레임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고정되거나 감소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발광제어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발광제어선들에 발광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화소들은 상기 발광제어선들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순차 발광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주사선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신호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주사선들에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화소들은 상기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이동 속도를 산출하되,
    상기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속도인, 표시 장치.
  13. 데이터선들, 주사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에 연결되는 화소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들을 통해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표시 구동부;
    감지 전극들을 구비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구동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 영상의 재생률(refresh rate)을 가변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은 상기 주사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 및 인접 프레임 구간의 제1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프레임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간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구간을 감소시키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구간을 감소시키는, 표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구간은 상기 주사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 및 인접 프레임 구간의 제1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 프레임 구간은 상기 프레임 구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간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구간을 감소시키는, 표시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신호는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표시 장치.
  18. 터치 감지부를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이동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큰 경우, 포치(porch) 구간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표시부에서 상기 포치 구간에 기초하여 프레임 영상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영상들 중 제1 프레임 영상의 표시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포치 구간만큼 경과된 시점에서 상기 프레임 영상들 중 제2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기 시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영상들의 재생률은 고정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치 구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프레임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1. 데이터선들, 주사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에 연결되는 화소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들을 통해 프레임 영상들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선들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표시 구동부;
    상기 표시부의 자세 또는 회전을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 영상들의 포치 구간을 가변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포치 구간은 상기 프레임 영상들 중 제1 프레임 영상의 표시가 종료된 시점 및 상기 프레임 영상들 중 상기 제1 프레임 영상에 인접한 제2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기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기간인, 표시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화면 방향이 제1 화면 방향인 경우 상기 포치 구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화면 방향은 상기 표시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 영상들 각각의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이 위치하는 방향인, 표시 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들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이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화면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같은, 표시 장치.
KR1020190043923A 2019-04-15 2019-04-1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121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923A KR20200121440A (ko) 2019-04-15 2019-04-1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6/746,100 US10996809B2 (en) 2019-04-15 2020-01-17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20164364.0A EP3726350A1 (en) 2019-04-15 2020-03-19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2010288481.6A CN111831148A (zh) 2019-04-15 2020-04-14 显示装置
US17/246,934 US11586334B2 (en) 2019-04-15 2021-05-03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923A KR20200121440A (ko) 2019-04-15 2019-04-1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40A true KR20200121440A (ko) 2020-10-26

Family

ID=6990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923A KR20200121440A (ko) 2019-04-15 2019-04-1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996809B2 (ko)
EP (1) EP3726350A1 (ko)
KR (1) KR20200121440A (ko)
CN (1) CN1118311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75A1 (ko) * 2022-05-04 2023-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25355A (ja) * 2022-02-28 2023-09-07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42B1 (ko) * 2005-11-09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JP4745317B2 (ja) * 2007-11-07 2011-08-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および指示位置の検出方法
KR20120065137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30045549A (ko) 2011-10-26 2013-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55585B2 (en) * 2012-04-03 2016-05-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ive frame rate displays
US9407964B2 (en) * 2013-10-25 2016-08-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ng video to an instant time
KR102338362B1 (ko) 2014-09-16 2021-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의 구동 주파수 변환 방법
KR102270183B1 (ko) 2015-02-03 2021-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영상 보상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2421579B1 (ko)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0133403B2 (en) 2016-06-29 2018-11-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frame duration control in an electronic display
KR20180028087A (ko) * 2016-09-07 2018-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547776B2 (en) * 2016-09-23 2020-01-2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recording media in multiple modes
JP2018060007A (ja) 2016-10-04 2018-04-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08254987B (zh) * 2018-02-02 2021-03-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以及显示装置
KR101891763B1 (ko) * 2018-04-09 2018-08-27 주식회사 에이코닉 터치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75A1 (ko) * 2022-05-04 2023-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86334B2 (en) 2023-02-21
EP3726350A1 (en) 2020-10-21
US10996809B2 (en) 2021-05-04
US20200326800A1 (en) 2020-10-15
CN111831148A (zh) 2020-10-27
US20210255721A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6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10916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8628501B (zh) 适配于触摸感测的电流驱动的显示面板以及面板显示装置
KR20200140152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US20190196619A1 (en) Display device
KR2014009268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190579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38046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KR102584643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14360421B (zh) 显示面板及使用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US20190179461A1 (en) Touch sensor and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58633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106295B2 (en) Touch-control pixel-dr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 touch-control display apparatus
KR2021010078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871858B2 (en) Display panel including photosensor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KR102369672B1 (ko) 터치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CN109102769B (zh) 用于操作显示装置的方法
CN108958533B (zh) 触摸传感器和包括该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US11809652B2 (en) Touch display device, gate driving circuit and touch driving method
US20230367419A1 (en) Display device
US20230137365A1 (en) Display Device
US20240177645A1 (en) Display device
KR20240029669A (ko) 표시 장치
KR20240079290A (ko) 표시 장치
KR2024000301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