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797A -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 Google Patents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797A
KR20200120797A KR1020190042614A KR20190042614A KR20200120797A KR 20200120797 A KR20200120797 A KR 20200120797A KR 1020190042614 A KR1020190042614 A KR 1020190042614A KR 20190042614 A KR20190042614 A KR 20190042614A KR 20200120797 A KR20200120797 A KR 20200120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ansport cart
table function
top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909B1 (ko
Inventor
송홍전
Original Assignee
송홍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홍전 filed Critical 송홍전
Priority to KR102019004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90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having a prop or stand for maintain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6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spiders or adapt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47B2003/0835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being superimposed, hinged and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테이블로 전환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는 상부에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핸들부(200); 상기 핸들부(200)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300); 및 상기 핸들부(200)의 상부 일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Carrying cart with table function}
본 발명은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테이블로 전환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는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끌거나 밀어서 물품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러한 카트는 시장, 마트, 백화점 및 대형 편의점 등에서 구매한 물품을 직접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또는 공항, 터미널 등에서 각종 소화물을 직접 원하는 장소까지 간편하게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또는 방송국, 산업현장, 물류센터 등에서 근거리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용도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카트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판이 설치되고,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는 이동수단인 한 쌍의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적재판의 상부 끝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각종 물품을 안치하는 메인프레임(110a)을 형성시킨 안치프레임(110)과, 상기 안치프레임(110)의 후단 하측에 좌우로 샤프트(121)를 설치하고 샤프트(121)의 양단에 결합시키는 바퀴(120)와, 상기 안치프레임(110)의 후단에서 상향으로 3단 접철되는 세로프레임(130)으로 구성된 카트(100)에 있어서, 상기 안치프레임(110)은 메인프레임(110a)의 내부에서 좌우로 연결하는 지지대(110b)를 결합하고 메인프레임(110a)의 좌, 우측에 외향으로 가이드프레임(111)을 각각 형성하며 메인프레임(110a)의 앞측 좌우에 받침대(112)의 양단을 결합시켜 회전되게 하고 받침대(112)의 중앙에 연결홈(113)을 형성하되, 메인프레임(110a)의 후단 좌우에는 브래킷(118)을 각각 결합하여 세로프레임(130)과 연결하도록 하고 브래킷(118)의 상면에 지지편(119)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물건을 적재하는 적재판과, 상기 적재판의 뒤쪽에 수직 설치되어 물건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바퀴를 포함하는 카트본체와,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양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일정 길이로 연장된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측면부가 상기 수직프레임 측에 힌지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정 및 고정할 수 있는 각도조절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카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물품을 운반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 다른 기능이 없어서 그 이용에 제약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0395호(2002.09.1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9226호(2013.09.1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편한 조작만으로 접철 가능한 카트 프레임을 제공하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며, 각종 물품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카트를 테이블로 전환하여 소정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는 상부에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핸들부(200); 상기 핸들부(200)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300); 및 상기 핸들부(200)의 상부 일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핸들부(200)의 하부 내면에 힌지핀(121)으로 결합되되 하부 일측에 "∩"자 형태의 걸림홈(122)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힌지브라켓(1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부(100)의 하부에는 받침다리(500)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받침다리(500)의 상부 내측에는 적재부(100)의 프레임(110) 하부 양측의 폭방향을 향해 서로 평행하도록 힌지핀(131)을 통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힌지브라켓(1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힌지브라켓(130)의 일측에는 둔각의 각도를 갖는 지지대(140)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140)의 일단은 핸들부(200)의 하부에 설치된 제2 수평연결대(220)에 관통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힌지브라켓(130)에 힌지핀(14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부(200)의 외측 하부에는 3개의 암이 서로 등각을 이루는 복수개의 고정암(230)이 축설되며, 상기 고정암(230)의 원주상 등각 위치로 3개의 바퀴(30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400)은 지지수단(600)을 통해 접힘과 펼침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상판(400)의 프레임(410)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지지대(610)와, 상기 수평지지대(6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되 수평지지대(610)와 직각을 이루는 복수개의 연결지지대(620)와, 상기 연결지지대(6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200)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3 수평연결대(240)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631)이 형성되는 지지유니트(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400)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경첩(430)에 의해 보조상판(440)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상판(440)의 저면 둘레에는 프레임(4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상판(440)은 고정수단(700)을 통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700)은 핸들부(200)의 상부 일측에 힌지핀(71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개방된 걸림홈(712)이 형성된 고정대(710)와, 상기 보조상판(440)의 프레임(450)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710)의 걸림홈(712)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는, 간편한 조작만으로 카트 프레임 및 상판이 접철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사용시에는 각종 물품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카트를 테이블로 전환하여 소정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판과 보조상판을 펼쳐 테이블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간 확장에 따른 작업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의 상판 및 보조상판이 접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의 상판, 보조상판 및 적재부가 접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의 상판, 보조상판 및 적재부가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를 도시한 저부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5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는 상부에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핸들부(200); 상기 핸들부(200)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300); 및 상기 핸들부(200)의 상부 일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40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운반용 카트는 간편한 조작만으로 카트 프레임 및 상판이 접철 가능하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며, 각종 물품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카트를 테이블로 전환하여 소정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운반용 카트는 적재부(100), 핸들부(200), 복수의 바퀴(300) 및 상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재부(100)는 평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평판 저면 둘레를 따라 프레임(110)이 구비된다.
상기 적재부(100)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각종 물품들을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평판의 저면 둘레에 결합되어 평판의 무게를 지지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핸들부(200)의 하부 내면에 힌지핀(121)으로 결합되되 하부 일측에 "∩"자 형태의 걸림홈(122)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힌지브라켓(120)이 설치된다.
상기 제1 힌지브라켓(120)의 걸림홈(122)은 상기 핸들부(200)의 하부에 설치된 제1 수평연결대(210)에 걸리도록 제1 수평연결대(2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다.
즉, 상기 적재부(100)는 제1 힌지브라켓(120)을 통해 접철 가능하므로 카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적재부(100)를 펼쳐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이를 접을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브라켓(120)은 적재부(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100)에 대해 직각을 이룬다.
특히, 적재부(100)를 펼쳐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1 힌지브라켓(120)의 걸림홈(122)이 제1 수평연결대(210)에 면접하여 적재부(100)의 수평상태를 지지한다.
상기 적재부(100)의 하부에는 받침다리(500)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받침다리(500)의 상부 내측에는 적재부(100)의 프레임(110) 하부 양측의 폭방향을 향해 서로 평행하도록 힌지핀(131)을 통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힌지브라켓(130)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다리(500)는 상기 적재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적재부(10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적재부(100)를 펼쳐 사용하는 경우 적재부(100)의 후측 하중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다리(500)는 "??"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힌지브라켓(130)의 일측에는 둔각의 각도를 갖는 지지대(140)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140)의 일단은 상기 핸들부(200)의 하부에 설치된 제2 수평연결대(220)에 관통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힌지브라켓(130)에 힌지핀(14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수평연결대(220)에는 상기 지지대(1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핀(221)이 지지대(14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받침다리(500)를 펼쳐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대(140)에 의해 받침다리(500)의 펼침상태를 지지함으로써 받침다리(500)를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지지대(140)를 둔각의 각도로 형성한 이유는 적재부(100)를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 적재부(100)가 접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핸들부(200)의 외측 하부에는 3개의 암이 서로 등각을 이루는 복수개의 고정암(230)이 축설되며, 상기 고정암(230)의 원주상 등각 위치로 3개의 바퀴(30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바퀴(300)가 자전 및 공전하면서 평지는 물론 계단과 같은 장애물에서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작은 힘을 들여 계단을 용이하게 오를 수 있고, 카트를 소정 각도만큼 기울인 상태에서도 카트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400)은 평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평판 저면 둘레를 따라 프레임(410)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410) 외측에 형성된 제3 힌지브라켓(420)은 상기 핸들부(200)의 상부에 힌지핀(421)으로 결합된다.
상기 핸들부(200)의 상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상판(400)은 물품 운반용 카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접어서 보관하고, 필요시 테이블로 전환하여 소정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400)을 테이블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상판(400)은 지지수단(600)을 통해 접힘과 펼침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상판(400)의 프레임(410)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지지대(610)와, 상기 수평지지대(6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되 수평지지대(610)와 직각을 이루는 복수개의 연결지지대(620)와, 상기 연결지지대(6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200)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3 수평연결대(240)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631)이 형성되는 지지유니트(630)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400)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상판(400)을 펼친 상태에서 수평지지대(610)에 의해 회동되는 연결지지대(620)를 회동시키고, 연결지지대(620)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유니트(630)를 제3 수평연결대(240)에 삽입시킴으로써 상판(400)이 지지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상판(400)을 펼쳐 테이블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수단(600)에 의해 상판(400)의 중심부가 내려앉는 현상이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판(400)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경첩(430)에 의해 보조상판(440)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상판(440)의 저면 둘레에는 프레임(450)이 구비된다.
상기 상판(400)은 금속, 합성수지 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각종 물품들을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450)은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판(400)의 저면 둘레에 결합되어 상판의 무게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경첩(430)은 상기 상판(400)의 일측 상면과 이와 이웃하는 보조상판의 상면 사이에 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상판(400)의 타측 저면과 이와 이웃하는 보조상판의 저면 사이에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상판(400)은 물론 상판(400)의 양측에 결합된 보조상판(440)을 펼치는 동작에 의해 쉽게 테이블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공간 확장에 따른 작업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상판(440)을 펼쳐 사용하는 경우,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크게 확장됨으로써 복수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는 방송장비를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상기 상판(400)과 보조상판(440)을 이용하여 방송장비와 함께 다른 장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보조상판(440)은 고정수단(700)을 통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700)은 핸들부(200)의 상부 일측에 힌지핀(71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개방된 걸림홈(712)이 형성된 고정대(710)와, 상기 보조상판(440)의 프레임(450)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710)의 걸림홈(712)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72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상판(440)을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테이블 확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지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상판(440)을 펼친 상태에서 고정대(710)를 회동시켜 걸림홈(712)이 걸림돌기(720)에 걸려 지지되게 함으로써 보조상판(440)이 지지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적재부 110 : 프레임
120 : 제1 힌지브라켓 121 : 힌지핀
122 : 걸림홈 130 : 제2 힌지브라켓
131 : 힌지핀 140 : 지지대
141 : 힌지핀 200 : 핸들부
210 : 제1 수평연결대 220 : 제2 수평연결대
221 : 이탈방지핀 230 : 고정암
240 : 제3 수평연결대 300 : 바퀴
400 : 상판 410 : 프레임
420 : 제3 힌지브라켓 421 : 힌지핀
430 : 경첩 440 : 보조상판
450 : 프레임 500 : 받침다리
600 : 지지수단 610 : 수평지지대
620 : 연결지지대 630 : 지지유니트
631 : 삽입홈 700 : 고정수단
710 : 고정대 711 : 힌지핀
712 : 걸림홈 720 : 걸림돌기

Claims (8)

  1. 상부에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핸들부(200);
    상기 핸들부(200)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300); 및
    상기 핸들부(200)의 상부 일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핸들부(200)의 하부 내면에 힌지핀(121)으로 결합되되 하부 일측에 "∩"자 형태의 걸림홈(122)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힌지브라켓(1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0)의 하부에는 받침다리(500)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받침다리(500)의 상부 내측에는 적재부(100)의 프레임(110) 하부 양측의 폭방향을 향해 서로 평행하도록 힌지핀(131)을 통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힌지브라켓(1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브라켓(130)의 일측에는 둔각의 각도를 갖는 지지대(140)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140)의 일단은 핸들부(200)의 하부에 설치된 제2 수평연결대(220)에 관통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힌지브라켓(130)에 힌지핀(14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00)의 외측 하부에는 3개의 암이 서로 등각을 이루는 복수개의 고정암(230)이 축설되며, 상기 고정암(230)의 원주상 등각 위치로 3개의 바퀴(30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400)은 지지수단(600)을 통해 접힘과 펼침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상판(400)의 프레임(410)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지지대(610)와, 상기 수평지지대(6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되 수평지지대(610)와 직각을 이루는 복수개의 연결지지대(620)와, 상기 연결지지대(6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200)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3 수평연결대(240)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631)이 형성되는 지지유니트(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400)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경첩(430)에 의해 보조상판(440)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상판(440)의 저면 둘레에는 프레임(4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상판(440)은 고정수단(700)을 통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700)은 핸들부(200)의 상부 일측에 힌지핀(71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개방된 걸림홈(712)이 형성된 고정대(710)와, 상기 보조상판(440)의 프레임(450)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710)의 걸림홈(712)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KR1020190042614A 2019-04-11 2019-04-11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KR102209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14A KR102209909B1 (ko) 2019-04-11 2019-04-11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14A KR102209909B1 (ko) 2019-04-11 2019-04-11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797A true KR20200120797A (ko) 2020-10-22
KR102209909B1 KR102209909B1 (ko) 2021-02-01

Family

ID=7303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614A KR102209909B1 (ko) 2019-04-11 2019-04-11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90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204A (ja) * 1992-02-06 1993-08-24 Tootex Kk 手荷物用カート
JP2000335423A (ja) * 1999-05-25 2000-12-05 Pajiero Seizo Kk カート
KR200290395Y1 (ko) 2002-01-31 2002-09-27 하중선 카트
KR20110001255U (ko) * 2009-07-29 2011-02-09 (주) 아이마스트 의자겸용 캐리어
KR101309226B1 (ko) 2012-05-15 2013-09-16 주식회사 에스엔씨케어 핸드 카트
KR200486235Y1 (ko) * 2017-03-17 2018-04-19 박용호 등짐분무기 이송용 다용도 수레
JP2019026078A (ja) * 2017-07-31 2019-02-2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キャリーカー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204A (ja) * 1992-02-06 1993-08-24 Tootex Kk 手荷物用カート
JP2000335423A (ja) * 1999-05-25 2000-12-05 Pajiero Seizo Kk カート
KR200290395Y1 (ko) 2002-01-31 2002-09-27 하중선 카트
KR20110001255U (ko) * 2009-07-29 2011-02-09 (주) 아이마스트 의자겸용 캐리어
KR101309226B1 (ko) 2012-05-15 2013-09-16 주식회사 에스엔씨케어 핸드 카트
KR200486235Y1 (ko) * 2017-03-17 2018-04-19 박용호 등짐분무기 이송용 다용도 수레
JP2019026078A (ja) * 2017-07-31 2019-02-2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キャリーカ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909B1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581B1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device
US11370467B1 (en) Folding wagon having a height adjustable frame and collapsible handles
US9321471B1 (en) Adjustable and collapsible hand truck with lifting apparatus
US9126610B1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apparatus
US6752301B1 (en) Collapsible rack for use in truck beds
US20160257327A1 (en) Collapsible Utility Cart
US8210312B1 (en) Mobile work platform
US2013016893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 of Objects
US6250655B1 (en) Leveraging transport system for tables plasterboard sheets and the like
US20040150177A1 (en) Riser cart
GB2397758A (en) Portable expandable table with folding telescopic legs
US11478075B2 (en) Foldable shelving
KR20140120515A (ko) 차량용 접이식 쇼핑카트
KR20170137009A (ko) 사다리, 작업대 겸용 상하차 운반기구
KR20130055197A (ko) 접이식 테이블
KR102153108B1 (ko) 접이식 운반카트
US20100164338A1 (en) Folding workstation
CN113925275A (zh) 一种伸缩折叠桌
CN113892754A (zh) 伸缩折叠桌
KR102209909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US3367676A (en) Folding carts
US20120047650A1 (en) Bed that is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US8820774B2 (en) Construction cart
MX2014009197A (es) Carro plegable para estantes.
KR101161855B1 (ko) 절첩식 쇼핑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