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390A -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 - Google Patents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390A
KR20200120390A KR1020190043244A KR20190043244A KR20200120390A KR 20200120390 A KR20200120390 A KR 20200120390A KR 1020190043244 A KR1020190043244 A KR 1020190043244A KR 20190043244 A KR20190043244 A KR 20190043244A KR 20200120390 A KR20200120390 A KR 2020012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unch
brass
brass pad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영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이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희 filed Critical 이재희
Priority to KR102019004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0390A/ko
Publication of KR2020012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문건은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으로서, 소재가 펀치로 매끄럽게 빨려들어가도록 구성된 드로잉 금형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은,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으로서, 상부다이를 갖는 상부금형; 중앙에 펀치가 구비되고, 상기 펀치의 둘레에 유압실린더를 통해 탄력적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하부다이가 설치된 하부금형; 상기 상부다이에 구비되는 제1 황동패드; 및, 상기 하부다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황동패드와 마주하는 제2 황동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황동패드와 상기 제2 황동패드의 접촉면은, 상기 펀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DRAWING MOLD FOR CASE MAKING OF IRON DONUT TYPE FLUID STORAGE CONTAINER}
본 문건이 개시(Disclosure)하는 기술은, 드로잉 금형과 관련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6922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4199호에는, 도넛형 유체(LPG 등)저장 용기의 일례가 게재되어 있다.
계속해서, 전술한 공보에 게재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는, 도넛의 상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어퍼케이스; 도넛의 하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로어케이스; 및, 노즐 설치홀을 구비하고, 상단이 어퍼케이스의 내측 가장자리와 결합되고, 하단이 로어케이스의 내측 가장자리와 결합되는 드럼하우징;을 포함한다.
전술한 케이스들[어퍼케이스, 로어케이스]은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소재(철 또는 알루미늄 등)를 드로잉 금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0214924호 참조]으로 드로잉 가공하여 제작한다.
한편, 종래에는 전술한 케이스들을 제조할 시, 드로잉 가공과정에서, 원형 플레이트(소재)의 가장자리가 상부다이와 하부다이에 의하여 지나치게 견고하게 물려져, 소재가 펀치로 매끄럽게 빨려들어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 소재가 펀치로 매끄럽게 빨려들어가지 않을 경우, 드로잉 과정에서 소재가 깨지거나, 완성품의 표면에 주름이나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음.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으로서, 소재가 펀치로 매끄럽게 빨려들어가도록 구성된 드로잉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은,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으로서, 상부다이를 갖는 상부금형; 중앙에 펀치가 구비되고, 상기 펀치의 둘레에 유압실린더를 통해 탄력적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하부다이가 설치된 하부금형; 상기 상부다이에 구비되는 제1 황동패드; 및, 상기 하부다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황동패드와 마주하는 제2 황동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황동패드와 상기 제2 황동패드의 접촉면은, 상기 펀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면의 경사도는, 9도 이상 12도 이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치의 둘레와 이웃하고, 상기 하부다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 황동패드의 일측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고, 그 곡률반경(R) 값은, 22mm 이상 28mm 이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제1 황동패드와 제2 황동패드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으로, 철제(또는 알루미늄) 원형 플레이트(소재)를 가공할 경우, 황동과 이종 재질인 소재가 금형(황동패드)에 눌러 붙지 않을 뿐 아니라, 소재가 펀치로 매끄럽게 빨려들어가, 가공과정에서 소재가 깨지고나, 완성품의 표면에 주름이나 크랙 등이 발생할 우려가 현저히 줄어든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원형 플레이트 소재(AA)와, 드로잉 가공이 완료된 완성품(AB)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100)은, 철제(또는 알루미늄) 원형 플레이트(소재)를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도넛의 상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어퍼케이스 또는 도넛의 하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를 갖는 로어케이스)로 드로잉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금형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10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원형 플레이트 소재(AA)와, 드로잉 가공이 완료된 완성품(AB)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100)은 상부금형(110), 하부금형(120), 제1 황동패드(130) 및, 제2 황동패드(140)를 포함한다.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한다. 상부금형(110)은 하부금형(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금형(110)의 하면에는 상부다이(112)가 구비된다. 상부다이(112)는 상부금형(110)이 하부금형(120) 방향으로 가압될 때, 후술되는 펀치(122)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상부다이(112)는 원통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펀치(122)의 전단 둘레는 라운드 처리되며, 그 곡률반경(R) 값은 25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철제(또는 알루미늄) 원형 플레이트(소재)를 드로잉 가공할 시, 소재의 터짐 현상이 감소된다.
상부다이(112)의 하부 내측에는, 제1 황동패드(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제1 황동패드(130)는 상부다이(112)에 설치된다.
하부금형(120)의 중앙에는 펀치(122)가 구비된다. 또한, 펀치(122)의 둘에에는 유압실린더(124a)를 통해 탄력적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하부다이(124)가 구비된다. 유압실린더(124a)는 상부금형(110)의 압력에 1/4 가량의 힘에 압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부금형(110)이 하부금형(120)을 가압하는 압력이 100bar일 때, 유압실린더(124a)는 25bar의 압력에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다이(124)의 상부 내측에는, 제2 황동패드(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제2 황동패드(140)는 하부다이(124)에 설치되고, 제1 황동패드(130)와 마주한다.
제1 황동패드(130)와 제2 황동패드(140)는 황동 재질로 구성된다. 상부금형(110)이 하부금형(120) 방향으로 가압될 때, 제1 황동패드(130)와 제2 황동패드(140)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소재(철 또는 알루미늄)의 가장자리를 무는(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계속해서, 제1 황동패드(130)와 제2 황동패드(140)의 접촉면은, 펀치(12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며, 전술한 접촉면의 경사도는, 9도 이상 12도 이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황동패드(130)와 제2 황동패드(140)의 마찰계수는 0.05 미크론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마찰계수로 구성된 제1 황동패드(130)와 제2 황동패드(140)는 소재가 펀치(122)로 매끄럽게 빨려들어가도록 한다.
또한, 펀치(122)의 둘레와 이웃하고, 하부다이(124)와 마주하는 제2 황동패드(140)의 일측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고, 그 곡률반경(R) 값은, 20mm 이상 25mm 이하 범위일 경우, 철제(또는 알루미늄) 원형 플레이트(소재)의 터짐 현상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황동패드(130)와 제2 황동패드(140)는, 기존의 드로잉 금형에 사용되지 않은 신규한 구성요소이다. 그 접촉면이 경사지게 구성된 제1 황동패드(130)와 제2 황동패드(14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금형(100)로, 철제(또는 알루미늄) 원형 플레이트(소재)를 가공할 경우, 황동과 이종 재질인 소재가 금형(황동)에 눌러 붙지 않을 뿐 아니라, 소재가 펀치(122)로 매끄럽게 빨려들어가, 가공과정에서 소재가 깨지고나, 완성품의 표면에 주름이나 크랙 등이 발생할 우려가 현저히 줄어든다.
본 개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드로잉 금형
110 : 상부금형
112 : 상부다이
120 : 하부금형
122 : 펀치
124 : 하부다이
124a : 유압실린더
130 : 제1 황동패드
140 : 제2 황동패드

Claims (3)

  1.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으로서,
    상부다이를 갖는 상부금형;
    중앙에 펀치가 구비되고, 상기 펀치의 둘레에 유압실린더를 통해 탄력적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하부다이가 설치된 하부금형;
    상기 상부다이에 구비되는 제1 황동패드; 및,
    상기 하부다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황동패드와 마주하는 제2 황동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황동패드와 상기 제2 황동패드의 접촉면은, 상기 펀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의 경사도는, 9도 이상 12도 이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의 둘레와 이웃하고, 상기 하부다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2 황동패드의 일측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고, 그 곡률반경(R) 값은, 22mm 이상 28mm 이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금형.
KR1020190043244A 2019-04-12 2019-04-12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 KR20200120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244A KR20200120390A (ko) 2019-04-12 2019-04-12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244A KR20200120390A (ko) 2019-04-12 2019-04-12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390A true KR20200120390A (ko) 2020-10-21

Family

ID=7303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244A KR20200120390A (ko) 2019-04-12 2019-04-12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03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618A (ko) * 2021-04-01 2022-10-11 이재희 도넛형 용기 제조용 드로잉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102575895B1 (ko) * 2023-06-21 2023-09-07 (주)이라이프 코너부를 갖는 금속 테두리의 벤딩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618A (ko) * 2021-04-01 2022-10-11 이재희 도넛형 용기 제조용 드로잉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102575895B1 (ko) * 2023-06-21 2023-09-07 (주)이라이프 코너부를 갖는 금속 테두리의 벤딩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0390A (ko) 철제 도넛형 유체저장 용기의 케이스 제조용 드로잉 금형
EP2933041A1 (en) A method of and a device for the compaction of a powder into a cutting insert green body
KR102526001B1 (ko) 도넛형 용기 제조용 드로잉 금형 및 그 제조방법
JP2008302426A (ja) プレス型及びプレス成形方法
KR101965392B1 (ko) 가변 그루브 핀이 적용된 펀치를 갖는 코이닝 장치
CA254857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stress deformations in a press
KR20100009994A (ko) 경사도를 가진 박판 절단용 프레스 금형, 박판 절단용절단칼 및 이를 이용한 박판 절단방법
JP2609483B2 (ja) 鉄芯の製造装置
JP2014213344A (ja) プレス加工方法及び成形装置
JPH0142770B2 (ko)
KR101555292B1 (ko) 다단 프레스 포밍 금형 및 다단 프레스 포밍 방법
CN105880942B (zh) 一种钢丝挡圈的冲切成型方法
JP2011110749A (ja) 表皮材成形型
CN203737859U (zh) 嵌有钢镶块的铝合金板材下冲模
CN209902053U (zh) 一种带整平工艺的连续冲压模具
CN107116505B (zh) 一种流体控制装置的锁紧装配方法
KR101682146B1 (ko) 황지금형다이
JP7215200B2 (ja) 環状部材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US20230328933A1 (en) Integrated heat spreader
CN109261938A (zh) 真空吸铸吸铸室压型气缸的浮动压紧结构
KR100906992B1 (ko) 디스크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댐핑 쉼
US1522149A (en) Apparatus for truing brake drums
JP2005334908A (ja) プレス用金型
KR20120122487A (ko) 타발용 프레스기
TWM330872U (en) Stamping die featuring compression deformation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