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989A -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989A
KR20200119989A KR1020190042283A KR20190042283A KR20200119989A KR 20200119989 A KR20200119989 A KR 20200119989A KR 1020190042283 A KR1020190042283 A KR 1020190042283A KR 20190042283 A KR20190042283 A KR 20190042283A KR 20200119989 A KR20200119989 A KR 20200119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display device
column
fixing
patter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585B1 (ko
Inventor
한시연
Original Assignee
(주)센서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서토피아 filed Critical (주)센서토피아
Priority to KR102019004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5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패턴코일이 형성된 점자표시장치는 제1가이드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가이드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제1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점자기둥,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자석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패턴코일이 형성된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Braille Display Device using Pattered Coil}
본 발명은 점자를 표시하기 위한 점자기둥을 자석 및 패턴코일을 이용하여 구동시키는 점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자는 시각장애인용 문자로 지면에 돌출된 점을 일정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손가락으로 만져서 시각장애인이 스스로 읽고 쓸 수 있도록 만든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점자기둥을 구비하여 다양한 조합의 점자를 구현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점자블록을 선택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점자기둥의 개수에 대응하는 구동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전체 점자표시장치의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제작되어 시각장애인이 휴대를 하거나 손목에 차는 방식의 소형 점자표시장치도 제공이 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점자기둥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의 소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896088호에는 자력부재 및 코일부재를 이용하여 개개의 점자기둥을 이동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소형 점자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점자기둥마다 코일 및 자석부재를 결합시켜야 해서, 양산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0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에 한 번의 공정으로 다수의 코일을 패터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개개의 점자기둥을 제어할 수 있는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는 제1가이드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가이드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제1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점자기둥,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자석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패턴코일이 형성된 기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점자기둥의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점자표시장치는 점자기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점자기둥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패턴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턴코일은 상기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이동부 및 고정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편, 상기 점자기둥의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점자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점자기둥과 같이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 및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점자기둥의 구동을 위한 자석에 자력을 인가하는 코일을 기판에 패터닝하여 전체 제품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하나의 공정에 의하여 다수의 코일패턴을 기판에 배치하여 전체 제조공정이 간단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부분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사시도;
도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부분사시도;
도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하부에 있을 때는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진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상승하고,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진입을 완료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제1고정홈에 고정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제2고정홈에 고정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부분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자표시장치는 다수의 점자기둥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을 하고, 이동에 따라 장애인을 위한 점자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점자표시장치는 상부플레이트(10), 하우징(20), 점자기둥(30), 고정모듈(40), 기판(50), 하부플레이트(70)을 포함한다.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70)는 전체적으로 점자표시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특히 상부플레이트(10)는 본 발명의 점자표시장치가 사용자에 노출되는 면을 제공한다. 즉, 상부 플레이트(10)에는 다수 개의 홀(11)이 형성되고, 각 홀(11)을 통하여 후술하는 점자기둥(30)이 상, 하 이동을 하면서 노출이 되게 된다.
선택된 점자기둥(30)이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되면, 홀(11)을 통하여 노출이 되고, 노출되는 점자기둥(30)의 수 및 위치에 따라 점자패턴이 구현되게 된다. 한편,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70)의 소재에는 제한이 없을 것이다.
하우징(20)은 후술하는 점자기둥(30), 고정유닛(40)이 배치되는 공간 또는 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20)은 점자기둥(3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관통홀(21)에 형성된다. 제1관통홀(21)이 형성되는 방향은 하우징(20)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하우징(20)에는 제1관통홀(21)과 연통되며, 후술하는 고정부(41)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관통홀(22)이 형성된다. 제2관통홀(22)는 제1관통홀(21)의 측면과 연통되어 고정부(41)가 좌, 우 방향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관통홀(21)의 내부에는 점자기둥(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21a)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20)에은 후술하는 회전체(43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23)가 구비된다. 고정부(23)는 다양한 구조로 회전체(43a)를 결합시킬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43a)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 형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23)의 고정을 위하여 원통 형상의 고정부(23)의 외주면에는 돌기(23a)가 원통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우징(20)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홈(24a)가 형성된 돌출부(24)가 구비된다.
한편, 회전체(43a), 고정부(23), 하우징(2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고정부재(43c)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체결부재(25)가 고정부재(43c)의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20)에는 제3관통홀(26)이 형성된다. 제3관통홀(26)은 구동유닛(40)의 이동부(42)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기판(50)에 형성된 제2코일패턴(5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자석부재(42a)가 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른 이동부(42)의 이동경로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패턴코일(51) 및 제2패턴코일(52)이 하나의 기판(50)에 전면 상에 배치가 되므로 제3관통홀(26)는 제1관통홀(21)가 동일하게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하우징(20)은 본 발명의 점자표시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7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20)에는 상부플레이트(10)와 나사 등으로 체결이 될 수 있는 체결홀(27) 및 하부플레이트(70)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28)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점자기둥(30)은 상, 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점자기둥(30)의 상부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직접 접촉을 하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점자기둥(30)은 다수 개가 구비되고, 선택된 점자기둥(30)이 상, 하 이동을 하여 특정 점자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점자기둥(30)은 제1자석부재(31)을 포함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1패턴코일(51)에 전류가 인가되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제1자석부재(31)가 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점자기둥(30)이 이동을 하게 된다.
점자기둥(30)은 하우징(20)의 제1관통홀(21)에 삽입되어, 제1관통홀(21)의 방향을 따라 상, 하 이동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인 동력전달을 통하여 점자기둥(30)이 이동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1관통홀(21)을 구비하여 점자기둥의 이동의 방향을 설정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자석부(3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점자기둥(30)의 하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러나 제1패턴코일(51)에 인가되는 자력이 미칠 수 있으면 형태 및 배치에는 제한이 없을 것이다.
점자기둥(30)의 측면에는 고정홈(32)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홈(32)에는 후술하는 고정모듈(40)의 고정부(41)가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41)가 삽입되는 경우 점자기둥(30)의 상부 또는 하부로의 이동은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돌출된 점자기둥(30)을 통한 점자패턴의 확인을 위하여 점자기둥(30)을 가압하더라도 점자기둥(30)이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고정모듈(40)은 점자기둥(30)이 이동한 후, 점자기둥(3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모듈(40)은 고정홈(32)에 삽입되는 고정부(41)를 포함한다. 고정부(41)는 고정홈(32)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동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고정부(41)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전체 점자표시장치의 크기 및 제작용이성을 고려하여 고정부(41)의 구동수단으로 상기 설명한 점자기둥(30)과 같은 자석 및 코일 또는 패턴코일의 방식을 채택한다.
이 경우 고정부(41) 자체가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자력을 인가하기 위한 코일 또는 패턴코일이 패터닝된 별도의 기판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체 점자표시장치의 크기 및 제작용이성을 고려하여 고정부(41) 구동을 위한 제2패턴코일(52)를 기판(50)에 패터닝한다.
이 경우 기판(50)에 다수 개의 제1패턴코일(51) 및 제2패턴코일(52)를 하나의 공정을 통하여 패터닝하여, 전체적으로 구조의 소형화 및 제작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부(41)는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자기둥(30)을 고정하기 위하여 좌, 우 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반면, 제2패턴코일(52)을 통한 자석의 이동은 점자기둥과 같은 상, 하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고정모듈(40)은 제2패턴유닛(52)에 의하여 상, 하 이동하는 이동부(42) 및 이동부(42)의 이동에 따라 고정부(41)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43)을 더 포함한다.
이동부(42)는 자체가 자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부(42)는 제2자석부재(42a) 및 이동부재(42b)를 더 포함한다. 이동부재(42b)는 하우징(20)의 제3관통홀(26)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자석부재(42a)는 제1자석부재(31)과 유사한 형태로 이동부재(42b)에 고정된다.
동력전달부(43)는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42)의 동력을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부(4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동력전달구조가 채택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동력전달부(43)은 회전체(43a), 제1연결부재(43b), 고정부재(43c) 및 제2연결부재(43d)를 포함한다.
회전체(43a)는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의 고정부(23)에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3c)가 회전체(43a), 고정부(23), 하우징(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부재(25)에 의하여 고정이 된다.
제1연결부재(43b)는 양단이 동일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양단은 이동부(42) 및 회전체(4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43d) 역시 양단이 동일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양단은 회전체(43c) 및 고정부(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부(42)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체(43c)가 회전을 하고, 회전체(43c)의 회전에 따라 고정부(41)가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기판(50)에는 제1패턴코일(51) 및 제2패턴코일(52)이 형성된다. 코일이 패터닝되는 공정은 기판을 식각을 하고, 식각된 부분에 구리를 채워 넣는 등의 공지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점자기둥(30) 및 고정부(41)의 이동에 충분한 자속밀도가 나오도록 기판(50)의 전면 및 후면에 패터닝되거나, 복수 개의 기판(50)이 적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패턴코일(51) 및 제2패턴코일(52)의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홀(51a, 5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자석부재(31) 및 제2자석부재(42a)는 관통홀(51a, 52a)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패턴코일(51) 및 제2패턴코일(52)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한 자속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움직임의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제1자석부재(31) 및 제2자석부재(42a)는 관통홀(51a, 52a)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 하 이동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는 기판(50) 및 하부플레이트(70)의 사이에는 제1자석부재(31) 및 제2자석부재(42a)의 이동공간의 확보를 위한 스페이서(6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60)에도 관통홀(51a, 52a)와 연통되는 관통홀(60a)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하부플레이트(70)의 상면에는 기판(50) 및 스페이서(60)의 관통홀(51a, 52a, 60a)를 통하여 노출되는 탄성부(71)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71)는 제1자석부재(31) 및 제2자석부재(42a)의 저면에 위치하여 제1자석부재(31) 및 제2자석부재(42a)가 하부로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패드 형태로 구비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점자기둥 및 고정부가 구동과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4에서와 같이 점자기둥(30)이 하부에 있는 상태에서 제1패턴코일(51)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자석부재(31)에 자력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점자기둥(30)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도5참조). 이 때 고정홈(32)은 제2관통홀(22)의 일단과 마주보게 된다.
도6에서와 같이 점자기둥(30)이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패턴코일(5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자석부재(42a)에 자력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42)가 상부로 이동한다. 이동부(42)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제1연결부재(43b)가 회전을 하면서 회전체(43a)를 회전시킨다.
회전체(43a)가 회전을 하게 되면, 이에 따라 제2연결부재(43d) 역시 회전을 g게 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43d)의 회전에 따라 고정부(41) 고정홈(32)로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점자기둥(30)의 이동이 제한되고, 사용자가 상부플레이트(10)의 홀(11) 상부로 노출된 점자기둥을 누르더라도 점자기둥(3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부분사시도이고, 도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를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 2개의 패턴코일을 이용하여 점자기둥(30) 및 고정부(41)를 이동시킨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패턴코일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점자기둥(130)의 전체적인 형태는 상기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고정홈(132)은 상면 및 일측면이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점자기둥(130)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기판(150)의 제1패턴코일(151)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제1자석부재(131)가 상부로 이동을 함에 따라 상, 하 이동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1패턴코일(151)만이 구비되게 때문에 점자기둥(130)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고정부(141)가 고정홈(132)가 끼워지거나 빠져나오면서 점자기둥(130)를 고정하거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구동유닛(140)은 고정부(141), 이동부(142), 제1연결부재(143)을 포함한다.
이동부(142)는 점자기둥(130)에 결합되어 점자기둥(130)의 상, 하 방향 이동과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하우징(120)에는 점자기둥(130)의 상, 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관통홀(121) 및 이동부(142)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관통홀(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부(142)에는 후술하는 제1연결부재(14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돌기(142a)가 구비되고, 제3관통홀(123)은 결합돌기(142a)의 상, 하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고정부(14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부(141)에는 고정부(141)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하면서 고정홈(132)의 개구된 측면으로 진입하거나 빠져나오는 고정돌기(141a)가 형성된다.
제1연결부재(143)는 양단이 고정부(141) 및 이동부(142)에 결합되어 이동부(142)의 이동에 따라 고정부(141)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양단이 절곡되게 형성되고, 일단은 고정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부(142)의 결합돌기(14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하우징(120)에는 고정돌기(141a)가 고정홈(132)에 삽입되거나 빠져나오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관통홀(122)이 형성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하부에 있을 때는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진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점자기둥이 상승하고,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진입을 완료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 및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점자표시장치가 구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10에서와 같이 점자기둥(130)이 하부에 있는 경우, 고정부(141)의 고정돌기(141a)는 하우징(120)의 제2관통홀(122)에 위치한다. 제1패턴코일(151)에 전류가 인가되면 점자기둥(130)은 상승이동을 시작한다. 점자기둥(130)의 상승과 함께 점자기둥(130)에 고정된 이동부(142)가 이동을 한다. 이 때 이동부(142)의 결합돌기(142a)는 제3관통홀(123)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이동부(142)의 이동에 따라 제1연결부재(143)이 회전을 하면서 고정부(141)을 회전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141)의 회전을 따라 고정돌기(141a)는 제2관통홀(122)에서 고정홈(132)의 개구된 측면을 통하여 고정홈(132)의 내부로 진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점자기둥(130)이 상승을 완료하게 되면 고정돌기(141a)는 고정홈(132)의 개구된 측면 반대편 끝단에 위치를 하고, 고정돌기(141a)에 의하여 상승된 점자기둥(130)의 이동을 제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점자기둥(130)의 상승에 따라 고정홈(132) 역시 상승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141)가 회전을 하면서 상승 경사지도록 형성된 고정홈(132)으로 진입을 하게 된다.
제1패턴코일(151)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거나, 점자기둥의 상승시와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점자기둥(130)은 하강이동을 시작한다.
점자기둥(130)의 하강과 함께 이동부(142) 역시 하강을 진행을 하고, 이에 따라 고정부(141)는 상승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돌기(141a)는 점자기둥의 하강과 함께 고정홈(132)의 하향 경사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빠져 나오게 된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제1고정홈에 고정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점자표시장치의 제2고정홈에 고정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고정홈(32)이 하나 형성되는 것과 달리 제1고정홈(32a) 및 제2고정홈(32b)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것과 같이 점자기둥(30)이 하향 이동한 경우 제1고정홈(32a)에 고정부(41)가 삽입되어 점자기둥(30)을 고정하고, 점자기둥(30)이 상향 이동한 경우 제1고정홈(32b)에 고정부(41)가 삽입되어 점자기둥(30)이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점자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점자기둥(3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상부플레이트(10)의 홀(11)을 차폐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가 점자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점자기둥(30)이 홀(11)을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경우 역시 상부플레이트(10)의 홀을 차폐하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거나, 하우징(120)에 형성된 제2관통홀(122)에 고정돌기(141a)가 삽입되어 어느 정도의 구속력은 발생을 하므로 사용자가 점자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점자기둥(30)이 홀(11) 바깥으로 노출되는 현상은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상부플레이트 20: 하우징
21: 제1관통홀 22: 제2관통홀
26: 제3관통홀 30: 점자기둥
31 : 제1자석부재 32: 고정홈
40: 고정모듈 41 : 고정부
42: 이동부 43: 동력전달부
50: 기판 51: 제1패턴코일
52: 제2패턴코일 60: 스패이서
70: 하부플레이트

Claims (7)

  1. 제1가이드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가이드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제1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점자기둥;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자석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패턴코일이 형성된 기판;
    을 포함하는 패턴코일이 형성된 점자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기둥의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점자표시장치는 점자기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점자기둥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를 포함하는 패턴코일이 형성된 점자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자석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패턴코일을 포함하는 패턴코일이 형성된 점자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코일은 상기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이동부 및 고정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패턴코일이 형성된 점자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패턴코일이 형성된 점자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기둥의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점자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점자기둥과 같이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 및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턴코일이 형성된 점자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기둥의 측면에는 제1고정홈 및 제2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점자표시장치는 점자기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점자기둥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를 포함하는 패턴코일이 형성된 점자표시장치.


KR1020190042283A 2019-04-11 2019-04-11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KR10225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83A KR102257585B1 (ko) 2019-04-11 2019-04-11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83A KR102257585B1 (ko) 2019-04-11 2019-04-11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989A true KR20200119989A (ko) 2020-10-21
KR102257585B1 KR102257585B1 (ko) 2021-05-31

Family

ID=7303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283A KR102257585B1 (ko) 2019-04-11 2019-04-11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5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086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CN115171485A (zh) * 2022-08-04 2022-10-11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电磁驱动式盲文显示装置
WO2024043633A1 (ko) * 2022-08-24 2024-02-29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088B1 (ko) 1996-11-25 1999-06-01 윤종용 고속인쇄형 프린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속인쇄방법
JP2002156898A (ja) * 2000-11-17 2002-05-31 Nec Access Technica Ltd 点字表示装置
US20170352291A1 (en) * 2014-10-30 2017-12-07 Ju Yoon KIM Brail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1911178B1 (ko) * 2017-06-05 2018-10-23 주식회사 티원 시각장애인용 점자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WO2020106855A1 (en) * 2018-11-20 2020-05-28 Alexander Moon Electro magnetic refreshable braille rea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088B1 (ko) 1996-11-25 1999-06-01 윤종용 고속인쇄형 프린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속인쇄방법
JP2002156898A (ja) * 2000-11-17 2002-05-31 Nec Access Technica Ltd 点字表示装置
US20170352291A1 (en) * 2014-10-30 2017-12-07 Ju Yoon KIM Brail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1911178B1 (ko) * 2017-06-05 2018-10-23 주식회사 티원 시각장애인용 점자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WO2020106855A1 (en) * 2018-11-20 2020-05-28 Alexander Moon Electro magnetic refreshable braille rea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086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CN115171485A (zh) * 2022-08-04 2022-10-11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电磁驱动式盲文显示装置
WO2024043633A1 (ko) * 2022-08-24 2024-02-29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585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585B1 (ko)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KR100568695B1 (ko) 점자 디스플레이장치
EP3454542A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0536939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JP6216428B2 (ja) ボタンメカニズム
JP5098944B2 (ja) 入力装置
CN106648177B (zh) 折射型精准光磁微动开关及鼠标
EP2889888A1 (en)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WO2021196971A1 (zh) 一种麦克风拾音组件及电子设备
CN205211633U (zh) 侧键、侧键组件及电子设备
JP6028172B2 (ja) 遊技機用押しボタン装置
JP2017148143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および遊技機
CN113259515B (zh) 电子设备
TWI476652B (zh) 多向鍵按壓觸發結構
CN214672295U (zh) 移动终端
CN115798845A (zh) 短距光学电位器模块
JP6731505B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US2009016068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croll wheel control module
CN105161341A (zh) 一种磁悬浮按键及键盘
US6190230B1 (en) Walking and rocking toy device
CN109782934B (zh) 一种可切换开关的鼠标
CN213958849U (zh) 一种汽车后视镜控制开关
KR100799620B1 (ko) 슬라이딩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KR101067639B1 (ko) 방향전환수단을 구비한 강성구현장치, 이를 이용한 햅틱장치, 이를 이용한 초소형 이동체 및 그 제어방법
SU873233A1 (ru) Бесконтактна клавиша (ее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