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799A - 수축 가능한 열원을 갖춘 에어로졸 발생 물품 - Google Patents

수축 가능한 열원을 갖춘 에어로졸 발생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799A
KR20200119799A KR1020207022871A KR20207022871A KR20200119799A KR 20200119799 A KR20200119799 A KR 20200119799A KR 1020207022871 A KR1020207022871 A KR 1020207022871A KR 20207022871 A KR20207022871 A KR 20207022871A KR 20200119799 A KR20200119799 A KR 2020011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tubular element
inner tubular
wrapping sheet
generat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빗 쿠첸
알레산드라 프리모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0011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10Devices with chem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2Feeding arrangements for individual paper wrapp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1Making cigarettes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2Cigarettes with integrated combustible heat sources, e.g. with carbonaceous hea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8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7/04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smoke filter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근위 단부(102) 및 원위 단부(104)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마우스피스 단부(107)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대향 열원 단부를 갖는 내부 관형 요소(105),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로부터 그의 원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외부 관형 요소(130)를 포함한다. 내부 관형 요소는 동축 배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를 향해 위치된 가연성 열원(115), 가연성 열원의 하류에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 및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마우스피스 단부 사이의 공극 공간(125)을 둘러싸는 내부 래핑 시트(109)를 포함한다. 외부 관형 요소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내부 관형 요소의 마우스피스 단부 및 공극 공간을 둘러싸고 열원의 하류에서 종결된다. 내부 래핑 시트는 적어도 공극 공간을 둘러싸는 영역에 사전-비틀린 부분(109b)을 포함한다. 상기 배열은 가연성 열원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가 제1 물품 길이(L1)를 갖는 연장 위치로부터 제1 물품 길이보다 더 작은 제2 물품 길이(L2)를 갖고 공극 공간이 축 방향으로 수축된 구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히는 수축 위치로 외부 관형 요소에 대해 쉽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축 가능한 열원을 갖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본 개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수축 가능한 열원을 갖춘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담배가 연소되기보다는 가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당업계에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목표는 종래의 궐련에서 담배의 연소와 열분해 열화로 인해 생성된 유형의 특정 연기 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하나의 공지된 유형의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에어로졸은, 예를 들어 담배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열을 전달하는 가연성 열원에 의해 발생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연성 열원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 래핑 시트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가연성 열원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 동안, 휘발성 화합물은 가연성 열원으로부터의 열 전달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방출되고 열원이 마우피스 단부에 위치되는 선단부로부터 가열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해 흡인되는 공기에 동반된다. 방출된 화합물이 냉각되면서 화합물은 응축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가연성 열원은 소화되는 것이 어렵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고갈되는 시간보다 더 오랫동안 연소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처리하기 위해 가연성 열원을 덮을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연성 열원이 내부로 흡인될 수 있는 내부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외부 래핑 시트를 배열하는 것은 이를 달성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일련의 홀을 포함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취약부를 생성함으로써 그의 접힘을 보조하는 것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에어로졸 전달에 해로울 수 있는 추가 공기 경로를 도입한다.
WO 2017/115196호는 열원을 내부 ‘공극 공간(void space)’으로 수축하기 위해 접힘 가능한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개시한다. 개시된 구조물은 원위 선단부로부터 근위 마우스피스 단부를 향하는 순서로, 열원, 에어로졸 발생 기재, 제1 확산기 요소, 공극 공간, 제2 확산기 요소, 및 에어로졸 냉각 요소를 포함하는 내부 관형 부재를 포함한다. 내부 관형 부재는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관형 본체 내에 보유된다. 외부 래핑 시트는 관형 본체와 내부 관형 부재의 접합부에 부착되어 관형 본체에 내부 관형 요소를 보유할 수 있다. 내부 관형 부재는 취약부 구역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선단부는 관형 본체 내에서 공극 공간 내로 접힐 수 있다.
취약부 구역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에어로졸 전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안적인 공기 경로의 생성을 피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제작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기존의 제작 속도로 제조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제공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가연성 열원을 둘러싸는 내부 래핑 시트를 포함하는 내부 관형 요소가 제공된다. 내부 래핑 시트는 가연성 열원의 하류에 위치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추가로 둘러싼다. 가연성 열원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동축 배열로 제공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내부 관형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외부 관형 요소를 더 포함한다. 내부 래핑 시트는 내부 관형 요소의 원위 단부가 외부 관형 요소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내부 관형 요소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사전-비틀린 부분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사전-비틀린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접히게 하는 데 편리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변형이 거의 없고 라인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기존 제조 라인에 통합될 수 있다. 사전-비틀린 부분의 추가 장점은 접힘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취약부 구역이 추가 공기 경로를 도입함이 없이 생성된다는 점이다.
몇몇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근위 단부에 마우스피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 관형 요소의 마우스피스 단부는 마우스피스 필터에 장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가연성 열원은 탄소계 열원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마우스피스 단부 사이에 공극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 요소는 연장된 위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공극 공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또한, 연장된 위치에서 공극 공간에 의해 제1 전달 요소로부터 분리되는 제2 전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달 요소가 제공되는 경우, 공극 공간이 축 방향으로 수축된 구성으로 접힐 때 이들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외부 관형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로부터 그의 원위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적어도 내부 관형 요소의 마우스피스 단부 및 공극 공간을 둘러싸고 열원의 하류에서 종결될 수 있다. 사전-비틀린 부분은 적어도 공극 공간을 둘러싸는 영역에 있을 수 있다. 공극 공간이 포함되는 특정 구현예에서, 내부 관형 요소는 제1 물품 길이를 갖는 연장된 위치로부터 제1 물품 길이보다 더 작은 제2 물품 길이를 가지고 공극 공간이 축 방향으로 수축된 구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히는 수축된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제2 물품 길이는 제1 물품 길이의 약 80% 이하일 수 있다.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제2 물품 길이는 제1 물품 길이의 약 70% 이하일 수 있다.
외부 관형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또는 그의 하류에서 종결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외부 관형 요소는 외부 래핑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래핑 시트는 그의 마우스피스 단부에서만 내부 관형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래핑 시트는 제1 원주 방향 랩을 위해 그의 마우스피스 단부에서 내부 관형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래핑 시트는 제2 랩을 위해 그 자체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래핑 시트는 실질적으로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그 자체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래핑 시트는 내부 래핑 시트에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래핑 시트는 그 자체에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사전-비틀린 부분의 하류에 있는 내부 관형 요소의 부분은 사전-비틀린 부분의 상류에 있는 내부 관형 요소의 부분에 대하여 회전 오프셋될 수 있다. 회전 오프셋은 5도 이상일 수 있다. 회전 오프셋은 15도 이상일 수 있다. 회전 오프셋은 45도 이상일 수 있다.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제2 물품 길이는 제1 물품 길이의 약 9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작에 사용하기 위한 외부 래핑 시트가 개시된다. 외부 래핑 시트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및 제2 대향 에지를 포함한다. 시트의 폭은 내부 관형 요소의 원주의 적어도 2배와 동일한 제1 및 제2 대향 에지에 의해 정의된다. 외부 래핑 시트는 제1 에지로부터 제2 에지를 향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접착제 밴드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접착제 패턴으로 그 위에 증착된다. 접착제 밴드는 적어도 내부 관형 요소의 원주와 동일한 거리만큼 제1 에지로부터 제2 에지를 향하여 연장된다. 접착제 밴드는 제1 에지로부터 시작하여 그 주위에 래핑될 때, 그의 마우스피스 단부 내에서만 외부 래핑 시트와 내부 관형 요소 사이에 접착 결합을 형성한다. 접착제 패턴은 밴드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제2 에지까지, 외부 래핑 시트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접착제의 구역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더 포함한다. 제2 영역의 접착제 패턴은 실질적으로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제1 랩과 외부 래핑 시트의 임의의 후속 랩 사이에 접착 결합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외부 래핑 시트 상의 특정 접착 패턴은 외부 관형 요소에 대한 내부 관형 요소의 단단한 연결 및 내부 관형 요소가 접힐 수 있게 하는 접착되지 않은 내부 영역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접착되지 않은 부분을 둘러싸는 구조적 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 가연성 열원을 둘러싸는 내부 래핑 시트를 포함하는 내부 관형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내부 래핑 시트는 가연성 열원의 하류에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추가로 둘러싼다. 가연성 열원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동축 배열로 제공된다. 내부 래핑 시트는 사전-비틀린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내부 관형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 래핑 시트로 오버래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결과, 내부 관형 요소의 원위 단부는 외부 관형 요소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특정 구현예에서, 내부 래핑 시트는 그와 동축 배열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마우스피스 단부 사이의 공극 공간을 추가로 둘러싼다.
내부 관형 요소의 오버래핑은 외부 래핑 시트의 제1 에지로부터 시작하여, 제1 원주 방향 랩을 위한 그의 마우스피스 단부에서만 외부 래핑 시트를 내부 관형 요소에 접착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래핑은 외부 래핑 시트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서 외부 래핑 시트의 제2 랩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외부 관형 요소를 형성한다. 외부 관형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로부터 그의 원위 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내부 관형 부재가 공극 공간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관형 요소는 적어도 내부 관형 요소의 마우스피스 단부 및 공극 공간을 둘러쌀 수 있다. 외부 관형 요소는 열원의 하류에서 종결될 수 있다. 가연성 열원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는 제1 물품 길이를 갖는 연장된 위치로부터 제2 물품 길이를 갖는 수축된 위치로 외부 관형 요소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제2 물품 길이는 제1 물품 길이보다 더 작다. 연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원위 단부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은 공극 공간을 축 방향으로 수축된 구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는다.
상기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에 마우스피스 필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관형 요소의 마우스피스 단부는 마우스피스 필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오버래핑 절차 동안 내부 관형 요소에 사전-비틀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래핑은 외부 래핑 시트가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회전 드럼과 고정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핀치를 통해 내부 관형 요소를 감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회전 드럼을 사용하여 외부 래핑 시트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외부 래핑 시트는 내부 관형 요소 주위에 래핑되고 핀치를 통과하는 동안 그에 부착된다. 오버래핑되지 않은 내부 관형 요소의 원위 단부는 외부 래핑 시트에 의해 둘러싸인 그의 더 근위 단부에 대해 상이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내부 관형 요소의 내부 래핑 시트에 비틀림을 유도할 수 있다. 사전-비틀림은 오버래핑 절차 이전에 비틀림 스테이션에서 내부 관형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초기에 함께 결합된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필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단일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한 쌍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연속적으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단일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의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내부 관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부 관형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내부 관형 요소의 오버래핑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오버래핑은 단일 외부 래핑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래핑 시트는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의 중심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외부 래핑 시트는 초기에 함께 결합된 제1 및 제2 외부 관형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함께 결합된 외부 관형 요소와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를 절단하여 함께 결합된 물품을 제1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과학 기술 용어는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제공된 정의는 본원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정 용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예를 들어, 가열, 연소 또는 화학 반응에 의해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가시적 또는 비가시적일 수 있고 증기(예를 들어, 실온에서 보통 액체 또는 고체인, 가스 상태에 있는 물질의 미립자)뿐만 아니라, 가스 및 응축된 증기의 액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시트”는 폭과 길이가 그의 두께보다 더 큰 적층 요소를 나타낸다.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본체를 통해 원위 선단부로부터 마우스피스 단부로 흡인됨에 따라서 흡입 기류의 방향에 대해 설명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요소의 상대 위치를 지칭한다. 즉,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류"는 흡연 물품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사용 동안 기류에 대해 정의된 것이며, 물품의 마우스 단부는 공기와 에어로졸이 흡인되는 하류 단부이다. 마우스피스 단부의 대향 단부가 상류 단부이다.
단어 “바람직한” 및 “바람직하게는”는 특정한 상태 하에서 특정한 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지칭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 또한 동일하거나 다른 상황 하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설명은 다른 구현예가 유용하지 않음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을 포함하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다른 구현예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서, 단어 "포함하다" 및 "함유하다" 그리고 그들의 파생어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포함하는”을 의미하고, 이들은 다른 모이어티, 첨가제, 구성요소, 정수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그리고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서, 단수는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특히, 부정 관사가 사용되는 경우, 본 명세서는 문맥상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복수뿐만 아니라 단수를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연장 및 수축 위치에서 도 1의 예시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외부 래핑 시트에 의한 오버래핑 전의 함께 결합된 제1 및 제2 내부 관형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제1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 분리 전의 함께 결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오버래핑 스테이션에서 외부 래핑 시트에 의한 내부 관형 요소의 오버래핑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6은 부분적으로 래핑된 내부 관형 요소의 개략도이다.
개략도는 반드시 축적대로일 필요는 없고 제한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도면은 본 개시에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근위 단부(102)과 원위 단부(104) 사이에서 연장되는 예시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개략도이다. 마우스피스 단부(107)를 갖는 내부 관형 요소(105)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 내에 제공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원위 단부(104)에 위치된 대향된 열원이 또한 제공된다. 내부 관형 요소(105)는 내부 래핑 시트(109)를 포함한다. 내부 래핑 시트(109)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원위 단부를 향해 위치된 가연성 열원(115)을 둘러싼다. 내부 래핑 시트(109)는 가연성 열원(115)의 하류에 위치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를 추가로 둘러싼다. 내부 래핑 시트(109)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와 마우스피스 단부(107) 사이에 위치된 공극 공간(125)을 추가로 둘러싼다. 가연성 열원(115),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 및 공극 공간(125)은 동축 배열로 제공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근위 단부(102)로부터 그의 원위 단부(104)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부 관형 요소(130)를 더 포함한다. 외부 관형 요소(130)는 적어도 내부 관형 요소(105)의 마우스피스 단부(107) 및 공극 공간(125)을 둘러싼다. 외부 관형 요소(130)는 열원(115)의 하류에서 종결된다. 내부 래핑 시트(109)는 적어도 공극 공간(125)을 둘러싸는 영역에서 사전-비틀린 부분(109b)을 포함한다(도 6 참조). 가연성 열원(115)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104)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는 제1 물품 길이(L1, 도 2a 참조)를 갖는 연장 위치로부터 제1 물품 길이보다 더 작은 제2 물품 길이(L2, 도 2b 참조)를 갖는 수축 위치로 외부 관형 요소(1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까지 원위 단부(104)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은 공극 공간(125)을 축 방향으로 수축된 구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는다.
또한, 내부 관형 요소(105) 내에 위치된 제1(121a) 및 제2(121b) 전달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이 도시된다(도 2a 참조). 제1(121a) 및 제2(121b) 전달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121a) 및 제2(121b) 전달 요소는 각각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와 마우스피스 필터(127) 사이에서, 공극 공간(125)의 단부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또한, 가연성 열원(115)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 사이에 위치된 전달 요소(117)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전달 요소(117)는 내부 래핑 시트(109) 내에 둘러싸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래핑 시트(109)의 사전-비틀린 부분(109b)은 각각의 제1(121a) 및 제2(121b) 전달 요소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가연성 열원(115)을 소화하기 위해서, 가연성 열원(115)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104)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는 외부 관형 요소(1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원위 단부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물품 길이(도 2a의 L1)를 갖는 연장 위치로부터 제1 물품 길이보다 더 작은 제2 물품 길이(도 2b의 L2)를 갖는 수축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수축 위치에서, 공극 공간(125)은 축 방향으로 수축된 구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힌다. 축 방향으로 수축된 구성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이 “비벼 꺼질(stubbed out)” 때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원위 단부에 압력이나 힘의 인가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공극 공간(125)이 완전히 접히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전달 요소(121a, 121b)가 연장 위치에서 분리되지만, 몇몇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전달 요소(121a, 121b)를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공극 공간(125)이 축 방향으로 수축된 구성(도시되지 않음)으로 접힐 때, 제1(121a) 및 제2(121b) 전달 요소가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121a) 및 제2(121b) 전달 요소는 필수 특징이 아니고, 예를 들어 공극 공간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에 의해 원위가, 그리고 마우스피스 필터(127)에 의해 근위가 경계를 이룰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제로, 공극 공간(125) 자체는 필수적이지 않다. 내부 관형 요소 내부의 임의의 축 방향으로 압축 가능한 구조물은 내부 관형 요소의 원위 단부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을 "비벼 끄기" 위해 외부 관형 요소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사전-비틀린 부분(109b)은 사전-비틀린 부분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 내에 추가적인 공기 경로를 도입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 관형 요소의 원위 단부가 외부 관형 요소에 대해, 특히 천공 또는 절단 슬릿을 통해 내부 래핑 시트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취약부 구역을 생성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기반으로 제작된다. 즉, 2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 100’)은 함께 결합된 물품을 통해 중심에서 절단됨으로써 분리되기 전에 일체로 그리고 동시에 생성된다. 도 3은 외부 래핑 시트(135)에 의해 오버래핑되기 전에 제1(105) 및 제2(105’) 내부 관형 요소를 예시한다. 연속 구성에서, 단일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129)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단부는 제1(105) 및 제2(105’) 내부 관형 요소의 각각의 근위 단부(102, 102’)에 장착되는, 초기에 함께 결합된 제1(127) 및 제2(127’) 마우스피스 필터에 대응한다. 제1(127) 및 제2(127’) 마우스피스 필터는 각각의 관련 공극 공간(125, 125’)의 하류에 위치된다. 이는 유리하게는,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129)의 중심선(200)에 대해 대칭인, 초기에 함께 결합된 외부 래핑 시트(135, 135’)를 포함하는 단일 외부 래핑 시트를 이용하여 제1(105) 및 제2(105’) 내부 관형 요소의 동시 오버래핑을 허용하여 초기에 함께 결합된 제1(130) 및 제2(130’) 외부 관형 요소를 형성한다. 일단 형성되면, 함께 결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 100’)은 함께 결합된 외부 관형 요소(130, 130’) 및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129)를 절단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내부 관형 요소(105)의 동축 배열은 도 1에 가장 잘 도시된다. 내부 관형 요소(105)는 마우스피스 단부(107) 및 열원 단부를 가지며 동축 배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원위 단부(104)를 향해 위치된 가연성 열원(115), 가연성 열원(115)의 하류에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와 마우스피스 단부(107) 사이의 공극 공간(125)을 둘러싸는 내부 래핑 시트(109)를 포함한다. 내부 래핑 시트(109)는 적어도 공극 공간(125)을 둘러싸는 영역에 사전-비틀린 부분(109b)을 포함한다. 내부 관형 요소(105)는 또한, 가연성 열원(115)의 상류에 있는 캡(110)을 원위 단부(104)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캡(110)은 가연성 열원(115)과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내부 래핑 시트(109)의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거 가능한 캡(110)은 습기를 흡수하기 위해서 글리세린과 같은 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내부 관형 요소(105) 내의 구성요소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제거 가능한 캡(110)은 제거 가능한 캡(110)을 비틀어 제거함으로써 캡에 인접한 내부 래핑 시트(109)의 일부를 파괴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캡(110)의 제거는 가연성 열원(115)의 전방 부분을 노출시켜 가연성 열원(115)을 점화를 가능하게 한다. 가연성 열원(115)은 탄소질 열원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는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래핑 시트(135)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종축(15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에지(155a) 및 제2 대향 에지(155b)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종축(15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근위 단부(102)와 원위 단부(104)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155a) 및 제2(155b) 대향 에지는 외부 래핑 시트(135)의 폭을 그 사이에 한정한다. 외부 래핑 시트(135)의 폭은 적어도 두 번 주위에 래핑될 수 있도록 둘러싸이는 내부 관형 요소(105)의 원주의 적어도 2배와 동일하다. 제1(155a)과 제2(155b) 에지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은 외부 래핑 시트(135)의 근위(102) 및 원위(103) 단부이다. 한 쌍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이 초기에 함께 결합된 외부 래핑 시트와 함께 연속 제조될 때, 각각의 근위 단부(102, 102’)가 중심선(200)에서 함께 결합될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간명함을 위해서, 나머지 설명은 단지 외부 래핑 시트(135)와 관련될 것이다. 외부 래핑 시트(135’)는 동일한 미러 이미지이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참조되지만, 프라임(’)이 뒤에 붙는다.
외부 래핑 시트(135)는 예시적인 접착제 패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접착제 패턴은 내부 관형 요소(105)의 원주와 적어도 동일한 거리만큼 제1 에지(155a)로부터 제2 에지(155b)를 향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145a) 및 제2(145b) 접착제 스트립 형태로 접착제 밴드를 포함한다. 접착제(145a)의 제1 스트립은 제2 전달 요소(121b)의 영역에서 그리고 그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외부 래핑 시트(135)와 내부 관형 요소(105) 사이에 접착 결합을 형성한다. 따라서, 접착 결합은 제1 에지(155a)로부터 시작하여 그 주위에 래핑될 때 그의 마우스피스 단부(107)에서만 형성된다. 제1 스트립(145a)과 유사한 제2 접착제 스트립(145b)은 외부 래핑 시트(135)를 마우스피스 필터(127)에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제1(145a) 및 제2(145b) 스트립은 외부 래핑 시트(135)가 마우스피스 단부(107)에서만 내부 관형 요소(105) 및 마우스피스 필터(127)에 접합될 수 있게 하는 접착제 밴드를 형성한다. 2개의 개별 스트립(145a, 145b)이 도시되지만, 단일 스트립 및 비-연속적인 액적 또는 라인들과 같은 다른 접착제 배열이 이러한 설명에 의해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접착제 패턴은 밴드(145a, 145b)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제2 에지(155b)까지, 외부 래핑 시트(135)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즉, 근위 단부(102)로부터 원위 단부(103)까지)를 따라서 연장되는 접착제(140)의 구역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접착제(140)의 구역은 실질적으로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외부 래핑 시트(135)의 제1 랩과 임의의 후속 랩 사이에 접착 결합을 형성한다. 접착제가 설명되지만, 외부 관형 요소(130)를 내부 관형 요소(105)에 또는 그 자체에 결합하는 당업계의 다른 방법이 이러한 설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시트들 사이의 천공 또는 조임 밴드의 사용은 유사하게 효과적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 관형 요소(130)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의 하류에서 종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러한 배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외부 관형 요소(130)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120)에서 종결되는 이러한 배열은 이러한 설명에 의해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종래의 궐련과 유사한 길이 및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물품 길이(L2)는 제1 물품 길이의 약 90% 이하일 수 있다. 제2 물품 길이는 제1 물품 길이의 약 80% 이하일 수 있다. 제2 물품 길이는 제1 물품 길이의 약 70% 이하일 수 있다.
내부 관형 요소(105)의 사전-비틀린 부분(109b)은 사전-비틀린 부분(109b)의 상류(이후 “상류 부분”으로 지칭됨)에 있는 내부 관형 요소의 부분과 사전-비틀린 부분의 하류(이후 “하류 부분”으로 지칭됨)에 있는 내부 관형 요소의 부분 사이에 회전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관형 요소의 상류 및 하류 부분 사이의 회전 오프셋은 약 5도 이상일 수 있다. 내부 관형 요소의 상류 및 하류 부분 사이의 회전 오프셋은 약 15도 이상일 수 있다. 내부 관형 요소의 상류 및 하류 부분 사이의 회전 오프셋은 약 45도 이상일 수 있다. 사전-비틀린 부분은 내부 관형 부재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내부 래핑 시트에 형성된 일련의 나선형 홈 및 함몰부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래핑되지 않을 때, 일련의 나선형 홈 및 함몰부는 내부 래핑 시트에 대응하는 일련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대각선을 포함할 것이다.
도 5는 사전-비틀린 부분(109b)을 적용하는 데 사용되는 제작 스테이션의 측면도이다. 예시된 오버래핑 스테이션은 도포된 접착제 패턴을 갖는 일련의 외부 래핑 시트(135)가, 예를 들어 각각의 시트(135)의 접착되지 않은 측면을 제1 회전 드럼(220)의 외부 표면에 유지하는 진공의 인가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제1 회전 드럼(220)을 포함한다. 각각의 외부 래핑 시트(135)는 그의 제1 에지(155a)에서, 내부 관형 요소(105)에 부착된다. 제1 회전 드럼(220)이 회전함에 따라서, 각각의 내부 관형 요소(105)는 외부 래핑 시트(135)가 부착된 상태에서 차례로 고정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향하게 된다. 제1 회전 드럼(220) 및 고정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핀치(210)로서 작용하고, 래핑되지 않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고정 가이드 플레이트(230) 및 제1 회전 드럼(220) 사이의 마찰은 외부 래핑 시트(135)가 내부 관형 요소(105)를 래핑하게 하여 래핑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접착제 패턴은 외부 래핑 시트(135)가 제1 원주방향 랩에서 내부 관형 요소(105) 및 마우스피스 필터(127)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외부 래핑 시트(135)가 내부 관형 요소(105) 주위에 래핑됨에 따라서, 접착제의 제1 스트립(145a) 및 제2 스트립(145b)을 포함하는 접착제 밴드는 마우스피스 단부(107)에서 외부 래핑 시트(135)를 마우스피스 필터(127) 및 내부 관형 요소(105)에 접합한다. 내부 관형 요소(105)의 상류 부분이 오버래핑되지 않기 때문에 - 외부 래핑 시트(135)의 원위 단부(103)가 더 근위에서 종결되기 때문에 - 이는 내부 관형 요소(105)의 내부 래핑 시트(109)에 비틀림을 유도하는 내부 관형 요소(105)의 하류 부분에 대해 상이한 속도로 회전한다. 외부 래핑 시트(135)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관형 요소(105)의 부분들 사이의 두께 차이는 상이한 양의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마찰의 차이는 주위에 래핑된 임의의 외부 래핑 시트(135) 없이 내부 관형 요소의 일부분이 외부 래핑 시트(135)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보다 덜 회전하도록 유발하여, 쉽게 접힐 수 있는 사전-비틀린 부분(109b)을 생성한다.
일단 원하는 양의 비틀림이 달성되면, 외부 래핑 시트(135)는 제2 원주 방향 랩에 대해 내부 관형 요소(105) 주위를 래핑한다. 제2 원주 방향 랩 중에서도, 외부 래핑 시트(135)는 내부 관형 요소(105)의 접착되지 않은 부분 주위에 래핑된다. 접착제의 제2 영역(140)은 외부 래핑 시트(135)의 제2 원주방향 랩을 초래하여 강성이지만 쉽게 접힐 수 있는 외부 관형 요소(130)를 형성한다.
외부 래핑 시트(135)가 그 자체를 두 번째로 둘러싼 후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이 형성되고 제2 회전 드럼(240)에 의해 핀치(2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내부 관형 요소(105)를 오버래핑할 때 내부 관형 요소(105)에 동시에 사전-비틀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사전-비틀림은 오버래핑 스테이션 전의 비틀림 스테이션에서 적용될 수 있다.
제조 공정이 단일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맥락에서 설명되지만, 이러한 설명이 연속 구성으로 제작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필요한 부분만 수정하여 적용될 수 있고, 이는 2개의 물품(100, 100')을 단일 제조 라인 내에서 동시에 제조할 수 있는, 공정 효율에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연속 구성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작할 때, 제2 회전 드럼(240)에 의해 핀치(210)로부터 제거되는 감겨진 물품은 함께 결합된 외부 관형 요소(130, 130’)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감겨진 물품은 함께 결합된 외부 관형 요소(130, 130’) 및 함께 결합된 마우스피스 필터 부재(129)를 절단함으로써 중심선(200)을 따라 분할되어 제1(100) 및 제2(100’)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 절차는 오버래핑 공정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의 절단 스테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 필터(127) 및 마우스피스 필터 부재(129)가 이러한 설명에 포함되지만, 이들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는, 제거 가능한 캡(110)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보존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지만, 제거 가능한 캡(110)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는, 전달 요소(117)가 설명되지만,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사전-비틀린 부분(109b)이 내부 관형 요소(105)의 오버래핑 동안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내부 래핑 시트(109)의 사전-비틀린 부분(109b)은 별도의 비틀림 스테이션에서 적용될 수 있고 후속하여 오버래핑될 수 있다. 접착제가 내부 관형 요소(105) 및 그 자체에 외부 래핑 시트(135)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설명되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천공 또는 표면 특징부와 같은 기계적 고정 방법을 포함하는 다른 고정 방법이 이러한 설명에 포함된다. 외부 래핑 시트(135)가 외부 래핑 시트(135)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서 그 자체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외부 래핑 시트(135)의 전체 길이보다 더 작은 접착력은 여전히 본 발명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 구현예 또는 예와 함께 설명된 특징, 정수, 특성, 화합물, 화학적 모이어티 또는 그룹은 이와 호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양태, 구현예 또는 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임의의 첨부된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함)에 개시된 모든 특징 및/또는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모든 단계는 이러한 특징 및/또는 단계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한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전술한 구현예의 세부사항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임의의 첨부된 청구범위, 추상적 및 도면을 포함함)의 임의의 신규한 하나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으로, 또는 이에 따라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단계들의 임의의 신규한 조합으로 연장된다.

Claims (15)

  1.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동축 배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를 향해 위치된 가연성 열원; 및
    가연성 열원의 하류에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둘러싸는 내부 래핑 시트를 포함하는 내부 관형 요소; 및
    내부 관형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외부 관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래핑 시트가 사전-비틀린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이에 의해 사전-비틀린 부분은 내부 관형 요소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내부 관형 요소의 원위 단부가 외부 관형 요소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근위 단부에 마우스피스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관형 요소의 마우스피스 단부는 마우스피스 필터에 장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마우스피스 단부 사이에 공극 공간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관형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로부터 그의 원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며, 적어도 내부 관형 요소의 마우스피스 단부 및 공극 공간을 둘러싸고 열원의 하류에서 종결되며, 상기 사전-비틀린 부분은 적어도 공극 공간을 둘러싸는 영역에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형 요소는 제1 물품 길이를 갖는 연장 위치로부터 제1 물품 길이보다 더 작은 제2 물품 길이를 가지고 공극 공간이 축 방향으로 수축된 구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히는 수축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품 길이는 제1 물품 길이의 약 90% 이하, 또는 제1 물품 길이의 약 80% 이하, 또는 제1 물품 길이의 약 70% 이하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관형 요소는, 제1 원주방향 랩에 대해 그의 마우스피스 단부에서만 내부 관형 요소에 결합되고 제2 랩에 대해 그 자체에 결합되는 외부 래핑 시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래핑 시트는 제2 랩에 대해 실질적으로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그 자체에 결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비틀린 부분의 하류에 있는 내부 관형 요소의 부분은 약 5도 이상, 또는 약 15도 이상, 또는 약 45도 이상만큼 사전-비틀린 부분의 상류에 있는 내부 관형 요소의 부분에 대해 회전 오프셋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0.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작 방법으로서:
    동축 배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를 향해 위치된 가연성 열원; 및
    가연성 열원의 하류에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둘러싸는 내부 래핑 시트를 포함하는 내부 관형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내부 래핑 시트가 사전-비틀린 부분을 포함하는 단계; 및
    외부 래핑 시트에 의해 내부 관형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오버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사전-비틀린 부분은 내부 관형 요소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내부 관형 요소의 원위 단부가 외부 관형 요소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래핑 시트를 오버래핑하는 단계는 외부 래핑 시트의 제1 에지로부터 시작하여, 제1 원주 방향 랩에 대해 그의 마우스피스 단부에서만 외부 래핑 시트를 내부 관형 요소에 접착 결합시키고 외부 래핑 시트의 제1 랩 및 제2 랩을 외부 래핑 시트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서 접착 결합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로부터 그의 원위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외부 관형 요소를 형성하여, 적어도 내부 관형 요소의 마우스피스 단부를 둘러싸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비틀림은 오버래핑 절차 동안 내부 관형 요소에 적용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래핑 절차는 회전 드럼을 사용하여 외부 래핑 시트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래핑은 시트가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회전 드럼과 고정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핀치를 통해 내부 관형 요소를 감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내부 관형 요소 주위를 래핑하고, 핀치를 통과하는 동안 그에 부착하며, 상기 오버랩핑되지 않은 내부 요소의 원위 단부는 외부 랩핑 시트에 의해 둘러싸인 그의 더 근위 단부에 대해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여, 내부 관형 요소의 내부 랩핑 시트의 비틀림을 유도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에 함께 결합된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필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단일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한 쌍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연속 제작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관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은 단일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의 각각의 제1 및 제2 단부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내부 관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 관형 요소의 오버랩핑은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의 중심에 대해 대칭인 단일 외부 랩핑 시트를 사용하여 동시에 수행되어 초기에 함께 결합된 제1 및 제2 외부 관형 요소를 형성하며, 상기 방법은 함께 결합된 외부 관형 요소와 마우스피스 필터 요소를 절단하여 함께 결합된 물품을 제1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22871A 2018-02-16 2019-01-29 수축 가능한 열원을 갖춘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00119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7252 2018-02-16
EP18157252.0 2018-02-16
PCT/EP2019/052073 WO2019158353A1 (en) 2018-02-16 2019-01-29 Aerosol generating article with retractable heat sour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799A true KR20200119799A (ko) 2020-10-20

Family

ID=6123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871A KR20200119799A (ko) 2018-02-16 2019-01-29 수축 가능한 열원을 갖춘 에어로졸 발생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52011A1 (ko)
EP (1) EP3752015B1 (ko)
JP (1) JP7381473B2 (ko)
KR (1) KR20200119799A (ko)
CN (1) CN111629619A (ko)
BR (1) BR112020013396A2 (ko)
WO (1) WO20191583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675Y2 (ja) * 1979-06-01 1984-06-27 悟 尾関 煙草
CN101584497B (zh) * 2008-05-19 2011-05-04 宁田 阻燃防火卷烟
CN201467987U (zh) * 2009-08-27 2010-05-19 李智钊 便携式熄烟器
EP2570041A1 (en) * 2011-09-15 2013-03-2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Smoking article and manufacture thereof
RU2717926C2 (ru) * 2015-12-29 2020-03-26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Наконечник дл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изделия
WO2017115188A1 (en) * 2015-12-29 2017-07-06 Philip Morris Products S.A. Extinguisher for aerosol generating article
RU2713242C1 (ru) * 2015-12-30 2020-02-04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Выдвижной источник теплоты для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52011A1 (en) 2021-02-25
CN111629619A (zh) 2020-09-04
EP3752015A1 (en) 2020-12-23
JP7381473B2 (ja) 2023-11-15
JP2021514179A (ja) 2021-06-10
WO2019158353A1 (en) 2019-08-22
EP3752015B1 (en) 2022-03-09
BR112020013396A2 (pt) 2020-12-01
RU2020127220A (ru)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0878C2 (ru) Фильтр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RU2645653C2 (ru) Способ объединения сегментов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ъединения для объединения таких сегментов
EP2893822B2 (en) Smoking article
RU2571047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и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е
WO2010047389A1 (ja) 非燃焼タイプ香味吸引物品
CN112218548B (zh) 气溶胶生成制品和用于形成气溶胶生成制品的设备
JP5883291B2 (ja) 喫煙品用フィルター
RU2751709C1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JP7021079B2 (ja) 複数構成要素エアロゾル形成物品
JP2014532437A (ja) 可動蒸気放出要素を備えた喫煙物品
JP2010535467A (ja) フィルターおよび紙巻きタバコ用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KR20200119799A (ko) 수축 가능한 열원을 갖춘 에어로졸 발생 물품
RU2760898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имеющее прозрачную обертку
KR20200119252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래핑지 패턴
RU2783206C2 (ru) Изделие,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200092937A (ko) 변형된 구조를 갖춘 마우스피스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RU2781000C2 (ru) Изделие,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7341992B2 (ja) 改善された口側端くぼみ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RU2776500C1 (ru) Удлиненное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RU2798907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US20240122235A1 (en) Flavor inhalation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