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654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654A
KR20200119654A KR1020190042144A KR20190042144A KR20200119654A KR 20200119654 A KR20200119654 A KR 20200119654A KR 1020190042144 A KR1020190042144 A KR 1020190042144A KR 20190042144 A KR20190042144 A KR 20190042144A KR 20200119654 A KR20200119654 A KR 2020011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exible display
sound output
output device
various embodi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우
박순
박형순
백인철
손동일
이해권
임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654A/ko
Priority to PCT/KR2020/004920 priority patent/WO2020209677A1/ko
Publication of KR2020011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고,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내부에 제1 타입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내부면을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 부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타입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증폭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The sound outputting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와 관련된다.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다양한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에 적용되고 있고,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에도 적용이 논의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아닌 일반 디스플레이를 통해 미디어 아트를 출력한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고, 음향 출력 장치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는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고,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내부에 제1 타입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내부면을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 부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타입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증폭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관에서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내부 공간을 우퍼 스피커의 인클로져(enclosure)로 활용하여 공간 효율성 및 음향 출력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변압부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제공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결합을 나타낸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제1 하우징의 결합을 나타낸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 내부의 메인 기판 및 통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1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하우징에서 제1 하우징으로 전력 신호의 전달을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기판에서 제2 하우징 또는 제3 하우징의 내부 구성으로 전력 신호의 전달을 나타낸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에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비대칭 형태를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를 나타낸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음향 출력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및 본체부(또는 하우징)(10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또는 하우징)(106)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및 제3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및 제3 하우징(130)을 구분하여 논의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및 제3 하우징(130) 중 적어도 2개의 구성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둘러싸는 외부 케이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가지는 구부러진 형태로 음향 출력 장치(101)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원통형으로 구부러져 음향 출력 장치(10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가 원통형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타원 또는 사각 기둥형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같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active area)이 외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본체부(105)의 내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에 대응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재생되는 음원 파일에 대응하는 미디어 아트 또는 뮤직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AI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상의 AI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내부 공간(원통 내부 공간)은 제2 하우징(120)이 연장되는 인클로져(enclosure)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져(enclosure)는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된 제1 타입 스피커(예: 우퍼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증폭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제1 하우징(1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1 단부(또는, 제1 곡선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가 구부러진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가 원통형으로 구부러진 경우, 제1 하우징(110)은 원통형일 수 있다. 제3 하우징(130)이 바닥을 향하도록 음향 출력 장치(101)가 세워지는 경우, 제1 하우징(110)은 음향 출력 장치(10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외부 케이스(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외부 케이스(140)의 상단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프로세서, 메모리,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음향 출력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음향 출력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주변의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통신 모듈(또는 통신 회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은 WiFi 통신 또는 BT 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통신 칩, 또는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3)은 5G 통신, mmWave 통신 또는 LTE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칩 또는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1)는 지정된 통신을 이용하여, 음향 신호의 출력에 필요한 신호를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은 센서(예: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버튼부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도 8 또는 도 9 참조).
제2 하우징(12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2 단부(또는 제2 곡선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가 구부러진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가 원통형으로 구부러진 경우, 제2 하우징(120)은 원통형일 수 있다. 제3 하우징(130)이 바닥을 향하도록 음향 출력 장치(101)가 세워지는 경우, 제2 하우징(110)은 음향 출력 장치(101)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외부 케이스(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외부 케이스(140)와 제3 하우징(130)이 결합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내부에 제1 타입 스피커(예: 우퍼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내부면으로 연장되는 인클로져(enclosur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져(enclosure)는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된 제1 타입 스피커(예: 우퍼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증폭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외관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일체의 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내부에서 별도의 구조물(예: 브라켓)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30)은 제2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30)은 제2 하우징(210)를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반대 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30)은 외부 케이스(140)의 일 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외부 케이스(140)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부 방향(A 방향)에서 볼 때, 제3 하우징(130)의 단면적은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12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부 방향(A 방향)에서 볼 때, 제3 하우징(130)의 단면적은 외부 케이스(140)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하우징(130)은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예: 트위터 스피커), 제스쳐 센서(133),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부(134), 및 버튼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3 하우징(130)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예: 트위터 스피커)은 제2 하우징(120)에 포함된 제1 타입 스피커(예: 우퍼 스피커)와 다른 대역(예: 고대역)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케이스(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커버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0)는 투명한 소재(예: 글래스)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에서 출력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0)의 일면에 형성된 단부는 제3 하우징(130)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0)과 제3 하우징(130) 사이에는 별도의 완충 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음향 출력에 따른 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0)는 제1 하우징(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제2 하우징(120)의 곡면과 지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3 하우징(130) 및 외부 케이스(140)이 사각통 형태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부 방향(A 방향)에서 볼 때, 제3 하우징(130) 및 외부 케이스(140)는 제1 하우징(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제2 하우징(120)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20) 및 제3 하우징(130)은 외관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120) 및 제3 하우징(130)은 일체의 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하우징(120) 및 제3 하우징(130)은 내부에서 별도의 구조물(예: 브라켓)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결합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표시 영역(105a)이 외부를 향하도록 구부러진 상태로, 제1 브라켓(210) 및 제2 브라켓(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1 단부(또는, 제1 곡선 단부)(105b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10)은 제1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2 단부(또는, 제2 곡선 단부)(105b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20)은 제2 하우징(1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3 단부(105c1) 및 제4 단부(105c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단부(105c1) 및 제4 단부(105c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동작을 위한 배선(또는 FPCB)이 연결되는 BM(black matrix)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단부(105c1) 및 제4 단부(105c2)는 별도의 데코부(230)에 의해 외부로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코부(230)는 검은색의 메탈 소재일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 부분(121)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부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21)은 내부에 제1 타입 스피커(예: 우퍼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 스피커(예: 우퍼 스피커)는 저대역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제2 부분(12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부분(122)은 제1 타입 스피커(예: 우퍼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증폭을 위한 인클로져(enclosur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12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곡면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부 방향(A방향)에서 볼 때, 제2 부분(122)의 단면적은 제1 부분(121)의 단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2 부분(122)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원통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부분(1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방향(A방향)에서 볼 때, 제2 부분(122)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가 결합한 부분의 단면적은 제1 부분(121)의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제1 하우징의 결합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제2 하우징(220)에 결합(도 2 참조)된 이후,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1 단부(또는 제1 곡면 단부)를 고정하는 제1 브라켓(210)은 적어도 일부가 제1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내부의 기판 또는 통신 회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원통 내부(제2 하우징(120)의 제2 부분(122)의 내부)에 형성된 배선부(미도시, 도 7 참조)를 통해 제2 하우징(120) 또는 제3 하우징(130)의 내부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커버하도록 제3 하우징(130)과 결합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0)는 일 단부(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단부를 통해 제1 하우징(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및 제2 하우징(120)이 순차적으로 외부 케이스(14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일 단부는 제3 하우징(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 단부와 제3 하우징(130) 사이에는 별도의 완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음향 출력에 따른 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0)는 제1 하우징(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제2 하우징(120)의 곡면과 지정된 거리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140)의 각 측면에서, 제1 하우징(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제2 하우징(120)의 최단 거리(L1)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케이스(140)는 제1 하우징(110)의 평면(예: 상단면)과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0)와 제1 하우징(110)의 평면(예: 상단면) 사이에는 별도의 완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1 단부(또는 제1 곡면 단부)를 고정하는 제1 브라켓(210)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210)은 적어도 일부가 제1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하우징(110) 내부의 다른 구성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외부 케이스(1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제1 브라켓(210)의 상부에 거치되는 메인 기판(112)(예: PBA) 및 통신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112)은 음향 출력 장치(101)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소자를 장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3)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자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 내부의 메인 기판 및 통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메인 기판(112), 통신 모듈(113), 전원 연결부(510), 디스플레이 연결부(520), 제1 안테나(530), 제4 안테나(540), 조도 센서(5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112)은 음향 출력 장치(101)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소자를 장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기판(112)은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같은 다양한 소자를 장착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3)은 무선 통신을 위한 소자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3)은 WiFi 통신 또는 BT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칩 또는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3)은 5G 통신, mmWave 통신 또는 LTE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칩 또는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510)는 제3 하우징(130)에서 전달되는 전력을 메인 기판(112)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연결부(5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안테나(530)는 제1 방식의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530)는 WiFi 통신용 안테나일 수 있다.
제2 안테나(540)는 제2 방식의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안테나(540)는 BT 통신용 안테나일 수 있다.
조도 센서(550)는 주변의 밝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1)는 수집된 밝기 정보를 기반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하우징(130)은 제2 하우징(120)의 제1 부분(121)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방향(A 방향)에서 볼 때, 제3 하우징(130)의 단면적은 제2 하우징(12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3 하우징(130)은 제2 하우징(12)과 결합되는 면의 가장 자리를 통해 외부 케이스(14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방향(A 방향)에서 볼 때, 제3 하우징(130)의 단면적은 외부 케이스(140)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하우징(130)은 내부에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예: 트위터 스피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하우징(130)은 3개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을 포함할 수 있고, 3개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 각각은 전원부(134)가 배치되는 측면을 제외한 다른 3개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은 제2 하우징(120)에 포함된 제1 타입 스피커(예: 우퍼 스피커)와 다른 대역(예: 고대역)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134)는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134)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제1 하우징(110)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음향 출력 장치(101)의 다양한 구성으로 전달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1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 부분(121)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부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의 제1 부분(121)은 내부에 제1 타입 스피커(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 스피커(125)는 저대역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타입 스피커(125)는 제2 하우징(120)의 제2 부분(122)의 내부 공간을 통해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의 제2 부분(122)은 내부에, 도선부(126) 및 변압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선부(126)는 제1 하우징(110)의 내부 구성과 제2 하우징(120) 또는 제3 하우징(1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선부(126)는 제3 하우징(130)의 전원부(134)에서 공급되는 제1 전압(예: 220V)의 전력 신호를 변압부(127)로 전달할 수 있다.
변압부(127)는 전원부(134)에서 공급되는 제1 전압(예: 220V)의 전력 신호를 제2 전압(예: 5V)의 전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변압부(127)는 변환한 전력 신호를 제1 하우징(110)의 메인 기판(112)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변압부(127)는 제2 하우징(120)의 제2 부분(122)(예: 인클로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변압부(127)는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압부(127)는 제2 부분(122)의 내벽과는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들을 나타낸다. 도 8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은 조도 센서(5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550)는 주변의 밝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1)는 수집된 밝기 정보를 기반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하우징(130)은 제스쳐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센서(133)는 주변 객체(예: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쳐 센서(133)는 사용자의 손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음향 출력 장치(101) 내부의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1)는 인식된 손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조도 센서(550)가 제1 하우징(110)에, 제스쳐 센서(133)가 제3 하우징(130)에 포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도 센서(550) 또는 제스쳐 센서(13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하우징에서 제1 하우징으로 전력 신호의 전달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음향 출력 장치(101)는 전원부(134)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부(134)를 통해 유입된 제1 전압(예: 220V)의 전력 신호는 도선부(126)를 통해 변압부(127)로 전달될 수 있다. 변압부(127)는 전원부(134)에서 공급되는 제1 전압(예: 220V)의 전력 신호를 제2 전압(예: 5V)의 전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변압부(127)는 변환한 전력 신호를 제1 하우징(110)의 메인 기판(112)에 전달할 수 있다. 변압부(127)는 제2 하우징(120)의 제2 부분(122)(예: 인클로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변압부(127)는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압부(127)는 제2 부분(122)의 곡면의 내벽과는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메인 기판(112)은 전원 연결부(510)(예: 커넥터)를 통해 변압부(127)로부터 제2 전압(예: 5V)의 전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기판(112)은 디스플레이 연결부(520)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에 제2 전압(예: 5V)의 전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메인 기판(112)은 수신한 전력 제1 하우징(110) 내부의 다양한 구성에 전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기판(112)은 제1 하우징(110)에 포함된 통신 모듈(113), 제1 안테나(530), 제2 안테나(540), 조도 센서(550)에 각각 제2 전압(예: 5V)의 전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기판에서 제2 하우징 또는 제3 하우징의 내부 구성으로 전력 신호의 전달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 기판(112)은 서브 보드(예: 엠프 보드)(128) 및 도선부(126)를 통해, 제1 타입 스피커(125) 및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 각각에 제2 전압(예: 5V)의 전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타입 스피커(125)는 제2 하우징(120)의 제1 부분(121)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타입 스피커(125)는 우퍼 스피커일 수 있고, 저대역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타입 스피커(125)에서 출력되는 저대역의 음향 신호는 도선부(126) 및 변압부(127) 주변의 빈공간을 통해 증폭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은 제3 하우징(130)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트위터 스피커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131)은 제1 타입 스피커(125)보다 높은 대역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메인 기판(112)은 도선부(126)를 통해, 제스쳐 센서(133) 및 버튼부(135)에 각각 제2 전압(예: 5V)의 전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스쳐 센서(133) 및 버튼부(135)는 제공되는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에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1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은 외부에 멀티 동작 버튼(1110), 다이얼 패드(1120) 및 상태 표시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동작 버튼(1110)은 사용자의 누르는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 실행 중, 사용자가 멀티 동작 버튼(1110)을 짧게(예: 1초 이내) 누르는 경우, 음향 출력 장치(101)는 음악을 재생하거나 일시정지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멀티 동작 버튼(1110)을 짧게(예: 1초 이내) 두 번 누르는 경우, 음향 출력 장치(101)는 다음 곡을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멀티 동작 버튼(1110)을 짧게(예: 1초 이내) 세 번 누르는 경우, 음향 출력 장치(101)는 이전 곡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악 재생 중, 사용자가 멀티 동작 버튼(1110)을 길게(예: 1초 이상) 누르는 경우, 음향 출력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를 통해 출력되는 미디어 아트를 변경할 수 있다. 음악 재생 중이 아닌 상태에서, 사용자가 멀티 동작 버튼(1110)을 길게(예: 1초 이상) 누르는 경우, 음향 출력 장치(101)는 음소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이얼 패드(1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중 다이얼 패드(1120)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음향 출력 장치(101)는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볼륨을 높일 수 있다. 음악 재생 중 다이얼 패드(1120)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음향 출력 장치(101)는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볼륨을 낮출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 패드(1120)는 멀티 동작 버튼(1110)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중 사용자가 멀티 동작 버튼(1110)을 누른 상태로 다이얼 패드(1120)에 터치 입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음향 출력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에 화면 보호기를 실행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130)는 음향 출력 장치(101)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태 표시부(1130)는 다양한 색을 표시하는 LED 일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연결 모드 진입시 또는 컨트롤러 작동시, 상태 표시부(1130)는 하얀색으로 깜빡일 수 있다. 제품 연결 해제시, 상태 표시부(1130)는 빨간색으로 깜빡일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비대칭 형태를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음향 출력 장치(1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05) 및 본체부(또는 하우징)(120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또는 하우징)(1206)는 제1 하우징(1210), 제2 하우징(1220) 및 제3 하우징(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하우징(1210), 제2 하우징(1220) 및 제3 하우징(1230)을 구분하여 논의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210), 제2 하우징(1220) 및 제3 하우징(1230) 중 적어도 2개의 구성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05), 및 제3 하우징(1230)의 형태 또는 기능은 도 1의 대응하는 구성의 형태 또는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1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05), 제1 하우징(1210) 및 제2 하우징(1220)을 둘러싸는 외부 케이스(1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01)과 달리, 음향 출력 장치(1201)는 제1 하우징(1210) 및 제2 하우징(1220)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제1 하우징(1210)의 높이(H1)는 제2 하우징(1220)의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에서 음향 출력 장치(101)의 제1 하우징(110)에 포함된 구성(예: 메인 기판, 프로세서, 메모리)은 음향 출력 장치(1201)의 제2 하우징(120) 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하우징(122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05)의 원통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인클로져에는 별도의 변압부 또는 도선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1201)는 제1 하우징(1210)을 포함하지 않거나, 제1 하우징(121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05)에 의해 가려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05)는 음향 출력 장치(1201)의 상단 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300) 내의 전자 장치(1301)의 블록도 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랩탑 PC(데스크톱 PC,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예: 전자 책 리더기 또는 MP3 플레이어), 휴대용 의료 기기(예: 심박, 혈당, 혈압, 또는 체온 측정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 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장치, 오디오 액세서리 장치(예: 스피커, 헤드폰, 또는 헤드 셋),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메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예: 차량/선박/비행기 용 블랙박스(black box)),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예: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OS(point of sales) 기기,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또는 가스 계측 기기),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예: 전구,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 조절기, 또는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예를 들면, 개인의 생체 정보(예: 심박 또는 혈당)의 측정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의 경우처럼, 복수의 장치들의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300) 내의 전자 장치(1301)(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300)에서 전자 장치(1301)는 제 1 네트워크(13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3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3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304) 또는 서버(13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301)는 서버(13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3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301)는 프로세서(1320), 메모리(1330), 입력 장치(1350), 음향 출력 장치(1355), 표시 장치(1360), 오디오 모듈(1370), 센서 모듈(1376), 인터페이스(1377), 햅틱 모듈(1379), 카메라 모듈(1380), 전력 관리 모듈(1388), 배터리(1389), 통신 모듈(1390), 가입자 식별 모듈(1396), 또는 안테나 모듈(13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3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360) 또는 카메라 모듈(13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3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3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3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3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3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3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376) 또는 통신 모듈(13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20)는 메인 프로세서(13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3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323)는 메인 프로세서(13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323)는 메인 프로세서(13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3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3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3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3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321)와 함께, 전자 장치(13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360), 센서 모듈(1376), 또는 통신 모듈(13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3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380) 또는 통신 모듈(13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30)는, 전자 장치(1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320) 또는 센서모듈(13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3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30)는, 휘발성 메모리(13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340)은 메모리(13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342), 미들 웨어(1344) 또는 어플리케이션(13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350)는, 전자 장치(13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3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3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3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3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3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3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360)는 전자 장치(13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3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3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3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370)은, 입력 장치(13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355), 또는 전자 장치(13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3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376)은 전자 장치(13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3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377)는 전자 장치(13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3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3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3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3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3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3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3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3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3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388)은 전자 장치(13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389)는 전자 장치(1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3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90)은 전자 장치(13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302), 전자 장치(1304), 또는 서버(13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90)은 프로세서(13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390)은 무선 통신 모듈(13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3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3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3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3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3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398) 또는 제 2 네트워크(13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3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3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3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3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398) 또는 제 2 네트워크(13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3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3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3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399)에 연결된 서버(13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3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3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302, 1304) 각각은 전자 장치(13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3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302, 1304, 또는 13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3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3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3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3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01))는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2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에 결합되고,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제3 하우징(예: 도 1의 제3 하우징(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내부에 제1 타입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내부면을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 부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타입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증폭되고, 상기 제3 하우징(예: 도 1의 제3 하우징(130))은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을 포함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상기 제1 단부는 제1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의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의 상기 제2 단부는 제2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의 상기 제1 부분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메인 보드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의 제2 부분은 내부에 상기 메인 보드에 전력 신호를 전달하는 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압부는 상기 제2 부분의 곡면 내벽에 접하지 않는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변압부는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의 제1 부분 보다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예: 도 1의 제3 하우징(130))은 제1 전압의 전력 신호를 공급 받고, 상기 변압부는 상기 제1 전압의 전력 신호를 제2 전압의 전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보드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는 상기 메인 보드에서 제공되는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스피커 및 상기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은 상기 메인 보드에서 제공되는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하우징(예: 도 1의 제3 하우징(130))은 제스쳐 센서 및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쳐 센서 및 상기 버튼부는 상기 메인 보드에서 제공되는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0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을 커버하는 외부케이스(예: 도 1의 외부 케이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케이스(예: 도 1의 외부 케이스(1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5)),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의 곡면과 지정된 거리 이상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하우징(예: 도 1의 제3 하우징(130))은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과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제1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의 상기 제1 부분은 제1 방향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20))은 내부에 메인 보드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3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36) 또는 외장 메모리(13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3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3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3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고,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내부에 제1 타입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내부면을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 부분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타입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증폭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단부는
    제1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음향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단부는
    제2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부분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음향 출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내부에 메인 보드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부분은
    내부에 상기 메인 보드에 전력 신호를 전달하는 변압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부는
    상기 제2 부분의 곡면 내벽에 접하지 않는 상태로 거치되는 음향 출력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부분 보다 상기 제1 하우징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음향 출력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제1 전압의 전력 신호를 공급 받고,
    상기 변압부는 상기 제1 전압의 전력 신호를 제2 전압의 전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보드에 전달하는 음향 출력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인 보드에서 제공되는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음향 출력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스피커 및 상기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은
    상기 메인 보드에서 제공되는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음향 출력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제스쳐 센서 및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쳐 센서 및 상기 버튼부는
    상기 메인 보드에서 제공되는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음향 출력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타입 스피커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음향 출력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커버하는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곡면과 지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는 음향 출력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제1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부분은
    제1 방향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음향 출력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내부에 메인 보드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KR1020190042144A 2019-04-10 2019-04-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KR20200119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144A KR20200119654A (ko) 2019-04-10 2019-04-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PCT/KR2020/004920 WO2020209677A1 (ko) 2019-04-10 2020-04-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144A KR20200119654A (ko) 2019-04-10 2019-04-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654A true KR20200119654A (ko) 2020-10-20

Family

ID=7275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144A KR20200119654A (ko) 2019-04-10 2019-04-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19654A (ko)
WO (1) WO20202096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3483B2 (en) * 2001-02-09 2008-10-07 Thx Ltd. Narrow profile speaker configurations and systems
KR20070118414A (ko) * 2006-06-12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KR101529045B1 (ko) * 2013-10-23 2015-06-18 (주)씨티엘 차량 출입 경고 장치
KR101714872B1 (ko) * 2015-05-20 2017-03-09 김민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JP2018190623A (ja) * 2017-05-09 2018-11-29 Nti株式会社 光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677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020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11366584B2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r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KR102629346B1 (ko) 복수의 카메라 모듈들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600640B2 (en) Display including plurality of wiring layers in bending region
US1139222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ylus pen charging method using same
US11243566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ustproof structure
KR20210101671A (ko) 인쇄 회로 기판에 인터포저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1073871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hinge
US1099863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pparatus using photo-conductive material and antenna control method
KR102527564B1 (ko) 급전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5959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1278A (ko) 음성 입력과 관련된 비주얼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93703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KR20220039535A (ko) 카메라 모듈의 접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407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20011965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KR20210012320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33456A (ko) 포스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00095691A (ko) 밀리미터 웨이브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109483B2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20131013A (ko) 플렉서블 회로기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40037805A (ko)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56364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21923A (ko) 백 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099736A (ko) 듀얼 디바이스와, 상기 듀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