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771A -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771A
KR20200118771A KR1020200085348A KR20200085348A KR20200118771A KR 20200118771 A KR20200118771 A KR 20200118771A KR 1020200085348 A KR1020200085348 A KR 1020200085348A KR 20200085348 A KR20200085348 A KR 20200085348A KR 20200118771 A KR20200118771 A KR 20200118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ption
user
application
hou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949B1 (ko
Inventor
방종철
이월무
신동인
김영미
정주은
Original Assignee
(주)미드미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드미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미드미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0008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9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에 대해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청약 자격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청약 자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관심있는 주택 청약에 대하여 설문 형식의 체크문항에 답변하고 이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미리 자격요건에 충족하는지, 가점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청약 당첨 후에 부적격으로 인한 당첨 취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partment appl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분양을 위해 분양사가 신문,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분양을 공지하면, 분양전 일정기간 동안 분양을 받기 원하는 신청자들로부터 청약신청을 받는다. 그리고 청약 신청에 따라 추첨방식이나 가점제 방식으로 청약 신청자들 중에서 청약 당첨자를 채택한다.
그런데 청약 가점제에서는 그 평가 기준이 빈번하게 바뀌기 때문에 분양받기 원하는 신청자들이 바뀌는 주택청약제도에 대한 이해를 정확히 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평가 기준이 바뀌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청약 기준을 파악하는 데에는 많은 노력을 필요로한다.
실제로 주택청약시에 청약 기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탓에 단순 실수로 인한 부적격자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에 이해 부족으로 인한 실수에 따른 불이익은 청약 신청자가 감당해야한다.
따라서 청약 신청자는 실제 주택 청약을 신청하기 이전에 주택 청약 방식이나 평가 기준에 대해 정확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주택 청약 유형도 다양하고 평가 기준이 복잡해서 이를 완벽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청약 신청자가 청약 규정을 잘 모르더라도, 직접 기간이나 인원수를 산정하는 것이 아닌 객관적인 설문 문항을 체크하면 청약 자격이나 가점을 자동으로 산출해주어 실수로 부적격자가 되는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부동산 분양에 관심이 있는 경우에는 능동적으로 주택공사 홈페이지나 분양사 홈페이지에 공고가 업로드되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특별 분양 유형 중 기관추천의 경우에는 각 기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공고가 업로드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KR 10-0454808 B KR 10-2006-0024943 A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관심있는 주택 청약에 대하여 설문 형식의 체크문항에 답변하고 이를 자동으로 분석함으로써, 미리 자격요건에 충족하는지, 가점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여 실수로 청약 부적격이 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에 대해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청약 자격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청약 자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를 입력받는 관심 청약 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에 대해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하는 체크문항 출력부, 상기 출력된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답변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청약 자격 유무 정보를 결정하는 자격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청약 자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관심있는 주택 청약에 대하여 설문 형식의 체크문항에 답변하고 이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미리 자격요건에 충족하는지, 가점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여 실수로 청약 부적격이 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청약 당첨
후에 부적격으로 인한 당첨 취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예시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청약 자격 유무 확인 화면의 예시도,
도 8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청약 가점 확인을 위한 화면의 예시도,
도 15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부(100), 관심 청약 정보 입력부(110), 체크문항 출력부(120), 답변 입력부(125), 자격 결정부(130), 정보 출력부(140), 가점 산출부(150), 청약 신청부(160), 당첨 여부 예상부(170), 유형 추천부(180), 및 공고 알림부(185)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장치는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다.
사용자 단말은 IP 할당된 단말기로서 인터넷등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통신부(100)는 인터넷등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 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관심 청약 정보 입력부(110), 체크문항 출력부(120), 자격 결정부(130), 정보 출력부(140), 가점 산출부(150), 청약 신청부(160), 당첨 여부 예상부(170), 유형 추천부(180), 및 공고 알림부(185)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프로세서의 프로그램 및 논리회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관심 청약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으로 출력되는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는 공고 예정인 주택에 대한 청약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는 특정 단일 주택에 대한 청약 정보이거나, 임의의 지역 내의 공고 예정인 주택에 대한 청약 정보일 수 있다. 또는 분양, 임대, 공공분양 등의 다양한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체크문항 출력부(120)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에 대해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한다.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 청약 자격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체크문항을 설문식으로 출력한다.
청약자격에는 일반공급과 특별공급이 있으며, 특별공급에는 신혼부부 특별공급, 다자녀 특별공급, 노부모부양 특별공급 등이 있다. 일반공급과 특별공급은 부동산 규제지역(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등)과 비규제지역 별로 자격이 상이할 수 있는데, 부동산 규제지역은 여러 상황(시대, 정치, 법영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반공급과 특별공급의 자격 요건도 역시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청약 신청자가 직접 기간, 인원수 등을 직접 입력하여 청약 자격 및 가점을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청약 신청자가 청약 규정을 잘 모르더라도 객관적인 설문 문항을 체크하면 청약 자격이나 가점을 자동으로 산출해주어 실수로 부적격자가 되는 리스크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크문항 출력부(120)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에 대해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생년월일, 규제지역 체크를 위한 청약 단지위치, 청양통장 가입기간과 예치금액, 세대원 주택 보유 여부 및 보유주택수, 등본상 거주지역과 거주기간, 세대주 여부, 혼인신고일, 소득기준, 미성년 자녀수, 65세 이상 노부모 부양 여부, 청약제한사항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물론 상기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은 청약자격 요건의 시대적 변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된다.
답변 입력부(125)는 체크문항 출력부(120)에서 출력된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다.
자격 결정부(130)는 답변 입력부(125)로 입력받은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청약 자격 유무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정보 출력부(140)는 자격 결정부(130)에서 결정된 청약 자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체크문항 출력부(120)는 사용자의 청약 자격 유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에서의 결정 결과에 따라 청약 자격이 있는 사용자의 청약 가점 파악을 위한 설문체크문항을 더 출력한다.
즉, 청약 자격에 부합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거주기간, 부양가족 수와 같은 정보에 따라 청약 가점이 상이해진다. 또한 동일한 조건의 사용자라 하더라도 어떤 유형의 주택 청약에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가점이 상이해진다. 청약 평가 기준이 주택 청약 유형별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크문항 출력부(120)는 청약 자격이 있는 사용자의 청약 가점 파악을 위한 가점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생년월일, 청약 단지위치, 혼인 여부와 혼인신고일, 세대주 여부, 세대원의 주택소유 여부, 배우자와의 세대 분리 여부, 부양가족수, 3년 이상 신청자 등본에 등재된 직계존속 수, 3년 이상 신청자 등본에 등재된 배우자 직계존속 수, 3년 이상 배우자 등본에 등재된 배우자 직계존속 수, 30세 이하 미혼자녀 수, 1년 이상 등본에 등재된 30세 이상 미혼자녀 수, 부모가 사망한 (증)손자녀, 청약통장 가입기간, 당해시도 거주기간, 주택소유 여부, 무주택기간, 미성년 자녀수, 영유아 자녀수, 세대구성(3세대 이상 또는 한부모가족), 과거주택소유 여부, 현재 보유주택 위치 및 개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물론 상기 가점 설문체크문항은 청약자격과 가점의 시대적 변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된다.
답변 입력부(125)는 체크문항 출력부(120)에서 출력된 청약 가점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가점 산출부(150)는 답변 입력부(125)에서 입력받은 청약 가점 설문체크문항 답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청약 가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답변 입력부(125)는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한 청약 가점 설문체크문항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인증 서류를 더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양가족 수를 입력하는 설문체크문항의 답변에는 주민등록등본을 첨부하도록 구현되고, 당해 거주기간을 입력하는 설문체크문항의 답변에는 주민등록 초본을 첨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출력부(140)는 가점 산출부(150)에서 산출되는 청약 가점 정보를 더 출력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청약 신청부(160)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에 대한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 및 가점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관심있는 주택 청약을 실행하는 청약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실제 청약을 신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들어 직접 주택공사 서버의 실제 청약 시스템에 연동되어 청약 신청서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번거롭게 청약 신청할 경우마다 주택공사 서버와 같은 실제 청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청약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해야하는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그인과 같은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자신의 청약 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 및 가점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저장해놓고, 청약 공고가 나올때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저장해뒀던 자신의 청약 정보들을 호출하여 바로 청약 공고에 맞는 청약서를 작성하여 실제 청약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장치는 당첨 여부 예상부(170)를 포함한다. 당첨 여부 예상부(170)는 다른 사용자들의 청약 가점 정보 및 기존의 청약 가점 당첨 커트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사용자의 청약 가점에 따라 사용자의 청약 당첨 여부를 예상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서버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청약 가점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다른 이용자들의 청약 가점 통계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청약 당첨 여부를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서버는 이전에 동일한 유형에 대한 기존의 청약 가점 당첨 커트라인 통계 정보를 더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약 당첨 여부를 예상함으로써 당첨 여부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형 추천부(180)는 사용자의 당첨 확률이 높은 유형을 추천해준다. 예를들어 특별 공급의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한 스펙으로 신혼부부 특별공급에 넣을 경우에 당첨확률이 높은지, 생애최초 특별공급에 넣을 경우에 당첨 확률이 높은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당첨 확률을 산출하고 당첨 확률이 더 높은 청약 유형을 추천해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관심 지역으로 설정한 지역 내에서 동일날짜에 복수의 단지, 복수의 평형에 대한 주택 청약 공고가 나오는 경우 사용자에게 당첨 확률이 더 높은 주택 청약 공고를 선택하여 알려줄 수 있다.
공고 알림부(185)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주택 청약에 대해 사용자가 기관추천 대상자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기관, 예를 들면 중소벤처기업청 홈페이지에관심 있는 주택 청약에 대한 기관 추천 공고가 업로드되면, 공고 업로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 청약에 대한 공고가 나왔는지 기관별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여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사용자가 관심 있는 주택 청약으로 등록해놓은 경우에, 해당 주택 청약에 대한 기관추천 공고가 나오면 바로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된다.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프로세서에서 구동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를 입력받는다(S200). 이때 사용자 단말의 화면으로 출력되는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를 입력받는다.
관심있는 주택 청약 정보는 공고 예정인 주택에 대한 청약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는 특정 단일 주택에 대한 청약 정보이거나, 임의의 지역 내의 공고 예정인 주택에 대한 청약 정보일 수 있다. 또는 분양, 임대, 공공분양 등의 다양한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약 상품 목록이 개략적인 주택 정보와 함께 출력되고 그 중 사용자가 관심 있는 청약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관심있는 주택 단지에 대한 단지명, 위치, 세대수, 청약 일정과 같은 정보들이 노출될 수 있다.
도 4 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 청약 정보에 대한 일정 및 해당 주택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출력해줄 수도 있다. 이때 주변에 청약 예정이거나 유사한 유형의 주택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해준다.
그리고 사용자는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심있는 주택 청약 정보에 대해 청약 자격을 체크하거나, 청약 가점을 체크하거나, 특별공급에 대한 선정방법에 대한 체크를 하거나 추가적으로 청약 자격 및 선정방법을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청약 자격 및 방법을 체크할 경우에 해당 청약 모집 공고로 링크될 수 있다. 모집 공고가 업로드된 웹사이트로 링크되거나 PDF 형식등의 공고문 파일이 다운로드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청약 자격 유무 확인 화면의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 청약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주택 청약에 대해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한다(S210).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관심있는 주택 청약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자격 여부 판단을 위해 보다 세밀한 정보들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일반공급인지, 신혼부부 특별공급인지, 다자녀 특별 공급인지, 등 사용자가 청약하고자하는 공급 유형에 대한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한다. 선택 문항에 대한 부가 설명이나 기준이 팝업 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된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다(S21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있는 주택의 청약 자격 유무 확인을 위해서 보다 상세한 정보들을 입력받기 위한 청약 자격 설문체크문항을 더 출력한다.
그리고 입력받은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청약 자격 유무를 결정한다(S220). 청약을 시행하는 분양사 혹은 주택 공사로부터 해당 청약 자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청약 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청약 자격 유무를 판단한다.
이 후에 도 7과 같이 결정된 청약 자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S225). 예를들어 노부모 특별 공급 유형에 대한 청약 자격 유무를 결정하여 신청가능한지 불가능한지 여부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8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청약 가점 확인을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의 청약 자격 유무 정보 결정 결과에 따라 청약 자격이 있는 사용자의 청약 가점 파악을 위한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한다(S230). 즉, 청약 자격에 부합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거주기간, 부양가족 수와 같은 정보에 따라 청약 가점이 상이해진다. 또한 동일한 조건의 사용자라 하더라도 어떤 유형의 주택 청약에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가점이 상이해진다. 청약 평가 기준이 주택 청약 유형별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출력된 청약 가점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다(S235).
먼저 사용자는 도 8 과 같이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청약 공급 유형을 선택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청약 가점을 산출하기 위한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청약 공급 유형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질문 내용도 상이하다.
이 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청약 가점 설문체크문항 답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청약 가점을 산출한다(S240). 그리고 산출된 청약 가점 정보를 출력한다(S245). 일 예로 도 14와 같이 사용자의 예상 청약 가점을 출력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입력된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에 대한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 및 상기 가점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상기 관심있는 부동산 청약을 실행하는 청약 서버로 전송하여 실제 청약을 신청할 수 있다(S250, S25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들어 직접 주택공사 서버의 실제 청약 시스템에 연동되어 청약 신청서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번거롭게 청약 신청할 경우마다 주택공사 서버와 같은 실제 청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청약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는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그인과 같은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자신의 청약 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 및 가점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저장해놓고, 청약 공고가 나올때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저장해뒀던 자신의 청약 정보들을 호출하여 바로 실제 청약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사용자들의 청약 가점 정보 및 기존의 청약 가점 당첨 커트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사용자의 청약 가점에 따라 사용자의 청약 당첨 여부를 예상할 수 있다(S260, S265).
다른 사용자들의 청약 가점 정보 및 기존의 청약 가점 당첨 커트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사용자의 청약 가점에 따라 사용자의 청약 당첨 여부를 예상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서버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청약 가점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다른 이용자들의 청약 가점 통계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청약 당첨 여부를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어 공공분양의 경우에 사용자의 청약 금액과 다른 사용자들의 청약 금액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청약 당첨권 이내인지 여부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는 이전에 동일한 유형에 대한 기존의 청약 가점 당첨 커트라인 통계 정보를 더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약 당첨 여부를 예상함으로써 당첨 여부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관심 있는 부동산 청약에 대해 공급 유형별로 사용자의 청약 당첨 가능성을 예상하고, 당첨 가능성이 높은 공급 유형을 추천해준다(S270, S275).
예를들어 특별 공급의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한 스펙으로 신혼부부 특별공급에 넣을 경우에 당첨확률이 높은지, 생애최초 특별공급에 넣을 경우에 당첨 확률이 높은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당첨 확률을 산출하고 당첨 확률이 더 높은 청약 유형을 추천해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관심 지역으로 설정한 지역 내에서 동일 날짜에 복수의 단지, 복수의 평형에 대한 주택 청약 공고가 나오는 경우 사용자에게 당첨 확률이 더 높은 주택 청약 공고를 선택하여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관심 있는 부동산 청약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기관추천 대상자인 경우(S280), 기관의 웹사이트에 상기 관심 있는 부동산 청약에 대한 기관 추천 공고가 업로드되면, 상기 공고 업로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S285).
사용자가 관심 있는 부동산 청약에 대해 사용자가 기관추천 대상자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기관, 예를 들면 중소벤처기업청 홈페이지에 관심 있는 부동산 청약에 대한 기관 추천 공고가 업로드되면, 공고 업로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관심있는 부동산 청약에 대한 공고가 나왔는지 기관별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여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사용자가 관심 있는 주택 청약으로 등록해놓은 경우에, 해당 주택 청약에 대한 기관추천 공고가 나오면 바로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찜한 청약 예정인 주택 단지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관심있는 주택단지에 대한 청약 진행 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심있는 유형의 주택 청약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도 17과 같이 관심 지역을 설정하여 해당 관심 지역에서 진행되는 주택 청약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관심 지역은 지도 상에서 선택하거나 지역명이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세밀하게 지역을 구분하고, 관심 지역을 하고, 해당 지역에서 진행되는 주택 청약 목록들 중에서 사용자가 필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자신에게 꼭 필요한 주택 청약 정보를 취사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통신부 110 : 관심 청약 정보 입력부
120 : 체크 문항 출력부 130 : 자격 결정부
140 : 정보 출력부 150 : 가점 산출부
160 : 청약 신청부 170 : 당첨 여부 예상부
180 : 유형 추천부 185 : 공고 알림부

Claims (1)

  1. 주택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청약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관심있는 주택청약 정보에 대해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청약자격 설문체크문항 답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청약 자격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청약 자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청약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00085348A 2020-07-10 2020-07-10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20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348A KR102202949B1 (ko) 2020-07-10 2020-07-10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348A KR102202949B1 (ko) 2020-07-10 2020-07-10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12 Division 2019-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771A true KR20200118771A (ko) 2020-10-16
KR102202949B1 KR102202949B1 (ko) 2021-01-14

Family

ID=7303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348A KR102202949B1 (ko) 2020-07-10 2020-07-10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268B1 (ko) * 2021-06-14 2022-02-24 주식회사 민앤지 청약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305B1 (ko) * 2021-04-14 2021-11-03 주식회사 끌림이노베이션 임대주택 청약 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495196B1 (ko) 2021-07-27 2023-02-06 빅테크플러스 주식회사 청약신청 예약 및 자동대행 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08B1 (ko) 2001-11-17 2004-11-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분양방법
KR20060024943A (ko) 2004-09-15 2006-03-20 (주) 내집마련정보사 인터넷을 이용한 미분양 아파트의 분양 방법
JP2007164751A (ja) * 2005-11-20 2007-06-28 Idu:Kk 賃貸用不動産オークションの落札確率表示システム
KR101713221B1 (ko) * 2016-01-27 2017-03-09 주식회사 넥스미디어 부동산 분양 콘텐츠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08B1 (ko) 2001-11-17 2004-11-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분양방법
KR20060024943A (ko) 2004-09-15 2006-03-20 (주) 내집마련정보사 인터넷을 이용한 미분양 아파트의 분양 방법
JP2007164751A (ja) * 2005-11-20 2007-06-28 Idu:Kk 賃貸用不動産オークションの落札確率表示システム
KR101713221B1 (ko) * 2016-01-27 2017-03-09 주식회사 넥스미디어 부동산 분양 콘텐츠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글, ‘아파트투유 청약방법[모바일버젼]’(네이버 블로그, 2018.05.30.) *
인터넷 게시글, ‘여전히 높은 서울 아파트 분양 '당첨 문턱' | 직방 빅데이터랩’(네이버 포스트, 2018.10.15.) *
인터넷 기사, ‘'가점이 없다면 작은 평수는 피하라'’(세종의 소리, 2016.06.2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268B1 (ko) * 2021-06-14 2022-02-24 주식회사 민앤지 청약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949B1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949B1 (ko) 주택 청약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Rotondi et al. Leveraging mobile phones to attain sustainable development
Handayani et al.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mobile health implementation in Indonesia
US9203795B2 (en) Mobile social interaction
CN101681484B (zh) 用于通过小数据速率通信系统的增强型通信的系统和方法
US9369422B1 (en) Event-based network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614794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687927B1 (ko) 이벤트 리뷰들을 획득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786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120095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urvey management
Singh et al. Creating online surveys: Some wisdom from the trenches tutorial
Chui et al. Older adults’ perceptions of age-friendliness in Hong Kong
US20160253311A1 (en) Most impactful experiments
US10349233B2 (en)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Kumar et al. A global overview of male escort websites
Miners et al. Assessing user preferences for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testing services: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US20150227949A1 (en) Active feedback management system in physical world
Valentine et al. Monitoring health determinants with an equity focus: a key role in addressing social determinants, universal health coverage, and advancing the 2030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Gao et al. Drivers of downloading and reasons for not downloading COVID-19 contact tracing and exposure notification apps: A n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Skibba The polling crisis: How to tell what people really think
Oluoch-Aridi et al. Understanding what women want: eliciting preference for delivery health facility in a rural subcounty in Kenya,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US20210357894A1 (en) Payment support system, payment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Haenssgen Manifestations, drivers, and frictions of mobile phone use in low-and middle-income settings: A mixed methods analysis of rural India and China
Maliwichi et al. Does mobile phone ownership matter? Insights on engagement in mHealth and e-government interventions from Southern Africa
US1088549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esentation,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