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618A -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618A
KR20200118618A KR1020190040748A KR20190040748A KR20200118618A KR 20200118618 A KR20200118618 A KR 20200118618A KR 1020190040748 A KR1020190040748 A KR 1020190040748A KR 20190040748 A KR20190040748 A KR 20190040748A KR 20200118618 A KR20200118618 A KR 20200118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tal nanoparticles
pegylated
nanoparticles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훈성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8618A/ko
Publication of KR2020011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16Remelting metals
    • C22B9/22Remelting metals with heat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22B9/221Remelting metals with heat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electromagnetic waves, e.g. by gas discharge lamps
    • C22B3/0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방사선 동위원소 및 중금속 이온은 채집 및 분리에 용이한 제조방법으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속원소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Method for Separating Metallic elements Using PEGylated Metal Nanoparticles}
본 발명은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금속 이온은 생체 내에 축적되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중금속 이온으로 인한 환경 오염은 점점 심해지고 있다. 따라서, 중·저준위 방사선 폐기물이나 치료용 방사선 폐기물 또는 일상적인 과정에서 나오는 방사선 중금속이온을 농축 및 분리 시키기 위한 연구가 병원, 연구소 및 산업체에서 진행되고 있다.
중금속 이온을 검출하기 위해 여러 유도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초상자성 입자와 자성분리기를 이용한 금속이온 검출 및 포집 기술이 연구되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1mCi의 22Na+가 유출된 50L의 유출수가 있다고 가정하면, 1g의 SFSP와 자성분리기를 이용하여 그램 단위의 22Na+ -SFSP를 만든 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해 농축 없이 유출수를 보관한다면 50L의 보관 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나노입자는 방사선 동위원소를 포획할 수 있는 능력이 낮으며, 동윈원소를 붙잡고 있을 수 있는 물리적화학적 결합력이 부족해 포획되는 동윈원소를 효과적으로 분리 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이온 포집물질인 킬레이트를 나노입자에 접합시켜 방사선 동위원소 포집 할 수 있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위해 기존보다 뛰어난 금속원소 포집방법을 연구 및 개발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2014-013193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빠르고 효과적으로 금속원소를 분리하기 위해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금속원소 응집능력이 뛰어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에 PEG쉘을 코팅시켜 제작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금속원소가 유출된 시료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해 상기 금속원소를 응집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원소가 응집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외부자장에 의해 채집 및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제작하는 단계는, 초상자성의 금속나노입자 및 NH2를 분산용매에 분산시켜 금속나노입자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속나노입자 현탁액에 석신산무수물(C4H4O3)를 첨가하여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에 카복실산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기 카복실산이 표면에 형성된 금속나노입자가 포함된 현탁액에 amine-PEG를 추가하는 단계를 통해 초상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PEG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원소는 중금속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원소를 응집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의 PEG쉘의 응집능력으로 인해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와 금속원소가 충돌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원소가 유출된 시료의 pH 농도는 3.5 내지 12.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G쉘은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에서 친수성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의 지름은 10㎚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G쉘의 두께가 10㎚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자장은 자성분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선 금속원소 및 중금속 이온을 검출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에 PEG를 코팅하여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합성 및 비용 절감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지 않으며,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병원, 연구소 및 산업체에서 손쉽고 안전하며,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금속원소 제거방법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폐기물 보관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적인 분리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금속원소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초상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PEG를 코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금속원소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은 금속원소가 유출된 시료에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해 상기 금속원소를 응집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원소가 응집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채집 및 분리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에 PEG쉘을 코팅시켜 제작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금속원소가 유출된 시료에 투입하는 단계를 우선 진행한다.
상기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의 지름은 10㎚내지 100㎚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PEG쉘의 두께가 10㎚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의 지름은 10 ㎚내지 100㎚으로 그 종류는 코발트 및 그 합금 또는 철산화물로 할 수 있으나, 코어에 해당하는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의 개수와 종류를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PEG쉘의 두께가 1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일 PEG쉘의 두께가 10㎚ 이하인 경우 금속원소를 포집하는 능력이 다소 떨어질 수 있으며, PEG쉘의 두께가 100㎚ 이상인 경우 외부 자기장인 자성분리기에 대한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의 주요 기술인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초상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PEG를 코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아민기(NH2)가 표면에 결합된 초상자성의 금속나노입자 또는 카복실기(COOH)가 표면에 결합된 초상자성나노입자를 분산용매에 분산시켜 금속나노입자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를 우선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나노입자가 포함된 현탁액에 amine-PEG또는 carboxyl-PEG를 추가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아민기(NH2)가 표면에 결합된 금속나노입자 현탁액에 커플링제(coupling agents)를 첨가하여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에 반응기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통해 초상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PEG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커플링제의 예로는 EDC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NHS (N-hydroxysulfosuccinimide) 가 있다.
PEG는 입자의 분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나, 강력한 금속이온 응집능력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이때, 금속원소 포집 능력은 pH농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지 않으므로 상기 금속원소가 유출된 시료의 pH 농도는 3.5 내지 12.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원소가 유출된 시료에 투입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넣고 교반하는 과정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원소는 중금속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금속 이온은 Hg+, Mn2+, Co2+, Cr2+, 및 Pb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해 상기 금속원소를 응집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금속원소를 응집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의 PEG쉘의 응집능력으로 인해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와 금속원소가 충돌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쉘은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에서 친수성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PEG쉘은 수상이성분계의 폴리머 성분계의 성질을 나타내고 유출수는 상대적으로 염의 성질을 보이면서 금속원소들이 폴리머 성분계인 PEG쉘에 응집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금속원소가 응집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외부자장에 의해 채집 및 분리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자장은 자성분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자성분리기는 전자석(electromagnet)일 수 있으며,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가 자성의 성질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 결과적으로는 금속원소가 유출된 시료 내의 금속원소를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제조예>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은 우선, 카복실기(COOH)가 표면에 결합된 초상자성나노입자(250nmole/500ug)를 자성분리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400mM의EDC와 200mM의 NHS를 각각500uL씩 첨가한다. 그 후에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을 시키고 다시 자성분리기를 통해 커플링제를 제거하고 MES-T 용액을 이용하여 세정한다. 세정된 나노입자에 2.5umole 분량의 amine-PEG7500를 500uL의 버퍼용액과 함께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교반을 통해 반응시킨다. 그 후에 자성분리기를 이용하여 반응되지 않은 PEG를 제거하고 MES-T 버퍼용액을 이용하여 3번 세척하고 500uL의 버퍼용액에 보관한다.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방사성 금속원소의 분리실험은 다음과 같이 실행하였다. 버퍼로 0.05M의 아세트산 나트륨을 원하는 pH로 맞추고, 40mCi/mL이상의 갈륨67을 준비한다. 12X55크기의 플라스틱 튜브에 PEG화된 금속나노입자(10ug/100uL) 200uL에 2uCi 방사성 농도의 Ga67을 첨가하고 그 현탁액의 부피를 500uL로 맞춘다. 그 후 1시간 동안 반응을 시키고 다시 자성분리기를 이용하여 포집되지 않은 Ga67를 제거하고 3번 금속나노입자를 세척한다. 세척된 금속나노입자를 방사성 분석기(gamma counter)를 이용하여 방사성물질의 포집량을 측정한다. 정확한 방사성 포집량을 측정하기 위해 1:10 시리즈로 희석시킨 Ga67 용액을 같이 측정하여 표준농도를 만든다.



gamma count per minute (평균)

표준편차

Ga67 (포집전 방사선량)

2.609.E+08

5.957.E+06

TB-PEG + Ga67 (포집된 방사선량)

1.252.E+08

2.033.E+07
위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값은 상기 표1과 같다. 한 번에 약47%의 방사성 금소원소를 포집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처리할 경우, 방사선 금속원소 및 중금속 이온을 검출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에 PEG를 코팅하여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보다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시간을 절약을 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은 PEG의 빠르고 효율적인 금속원소 응집으로 인해, 폐기물을 제거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탁월한 방법이다.
이를 통해, 병원, 연구소 및 산업체에서 손쉽고 안전하며, 저렴하게 폐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 보관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적인 분리배출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에 PEG쉘을 코팅시켜 제작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금속원소가 유출된 시료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해 상기 금속원소를 응집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원소가 응집된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외부자장에 의해 채집 및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제작하는 단계는,
    초상자성의 금속나노입자 및 NH2를 분산용매에 분산시켜 금속나노입자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속나노입자 현탁액에 석신산무수물(C4H4O3)를 첨가하여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에 카복실산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기 카복실산이 표면에 형성된 금속나노입자가 포함된 현탁액에 amine-PEG를 추가하는 단계;
    를 통해 초상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에 PEG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소는 중금속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소를 응집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의 PEG쉘의 응집능력으로 인해 상기 PEG화된 금속나노입자와 금속원소가 충돌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원소가 유출된 시료의 pH 농도는 3.5 내지 1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G쉘은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표면에서 친수성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상자성 금속나노입자의 지름은 10㎚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G쉘의 두께가 10㎚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장은 자성분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KR1020190040748A 2019-04-08 2019-04-08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KR20200118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48A KR20200118618A (ko) 2019-04-08 2019-04-08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48A KR20200118618A (ko) 2019-04-08 2019-04-08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18A true KR20200118618A (ko) 2020-10-16

Family

ID=7303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748A KR20200118618A (ko) 2019-04-08 2019-04-08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86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1938A (ko) 2012-03-02 2014-11-1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eg 치환된 알파-히드록시 포스포네이트 셸을 가지는 초상자성 나노입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1938A (ko) 2012-03-02 2014-11-1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eg 치환된 알파-히드록시 포스포네이트 셸을 가지는 초상자성 나노입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loag et al. Advances in the application of magnetic nanoparticles for sensing
Mahmoudi et al. Irreversible changes in protein conformation due to interaction with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Lu et al. Magnetic carboxylated cellulose nanocrystals as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Pb (II) from aqueous solution
US1108790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perparamagnetic nanocomposite and superparamagnetic nanocomposi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Shen et al. One-step synthesis of water-dispersible cysteine functionalized magnetic Fe3O4 nanoparticles for mercury (II)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CN100594186C (zh) 壳聚糖水凝胶诱导原位合成超顺磁性纳米四氧化三铁颗粒
Devi et al. Superparamagnetic properties and significant applications of iron oxide nanoparticles for astonishing efficacy—a review
US20060194887A1 (en) Method of controlling aggregation and dispersion of magnetic nano particles, method of capturing magnetic nano particles, and method of treating a magnetic nano particle-containing liquid
Tiwari et al. Magneto-separation of genomic deoxyribose nucleic acid using pH responsive Fe 3 O 4@ silica@ chitosan nanoparticles in biological samples
Chiu et al. Enhanced Raman sensitivity and magnetic separation for urolithiasis detection using phosphonic acid-terminated Fe 3 O 4 nanoclusters
US20230138790A1 (en) Multimodal pet/mri contrast agent and a process for the synthesis thereof
CN112300994B (zh) 用于捕获循环肿瘤细胞的纳米磁珠及其制备方法和应用
Wang et al. High‐efficiency Ni2+‐NTA/PAA magnetic beads with specific separation on His‐tagged protein
Abou Gabal et al. Cytotoxicity and hemostatic one step green synthesis of Iron nanoparticles coated with green tea for biomedical application
KR20200118618A (ko) Peg화된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금속원소 분리방법
JP5145526B2 (ja) 刺激応答性貴金属・磁性微粒子複合体
Thirumurugan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highly magnetic nanoparticles for water treatment to remove radioactive toxins
Yang et al. Design of magnetic-fluorescent based nanosensor for highly sensitive determination and removal of HG2+
CN111529721B (zh) 一种自聚型纳米诊疗系统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084392A (zh) 一种铁氰化锰钾结晶纳米及其核磁共振造影剂的制备方法
JP2018094551A (ja) 金属イオン吸着用磁性シリカ粒子及び金属イオンの分離方法
Trang et al. APTES functionalized iron oxide–silver magnetic hetero-nanocomposites for selective capture and rapid removal of salmonella enteritidis from aqueous solution
JP2007205911A (ja) 金酸化鉄複合磁性粒子、免疫測定用磁性粒子及び免疫測定法
Wang et al. Janus multi-responsive 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s functionalized with two on-demand and independently cleavable ligands for Actinide separation
US20120220048A1 (en) Magnetic marker p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