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885A -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탱크 - Google Patents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885A
KR20200117885A KR1020200039643A KR20200039643A KR20200117885A KR 20200117885 A KR20200117885 A KR 20200117885A KR 1020200039643 A KR1020200039643 A KR 1020200039643A KR 20200039643 A KR20200039643 A KR 20200039643A KR 20200117885 A KR20200117885 A KR 20200117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k tank
flow path
tank
recor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718B1 (ko
Inventor
유타 아라키
고스케 우메하라
고키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7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36Protection of cartridges or parts thereof, e.g. tape
    • B41J2/1754Protection of cartridges or parts thereof, e.g. tape with means attached to the cartridge, e.g. protectiv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기록 장치는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탱크를 포함하고, 잉크는 잉크 보틀로부터 주입된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주입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1 유로는 잉크 탱크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상단부 및 잉크 탱크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1 하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유로는 잉크 탱크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제1 상단부 미만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 상단부 및 잉크 탱크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고 잉크 탱크의 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관해서 제1 하단부보다 큰 제2 하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탱크{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TANK}
본 발명은 잉크를 토출해서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8-161887호는, 잉크 탱크의 개구를 통해서 탱크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유로가 잉크 유로 및 공기 유로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잉크 공급 용기와 잉크 탱크 사이에서 기-액 교환이 행해지면서 잉크가 공급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잉크 공급 용기를 압착하지 않고 잉크 탱크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8-161887호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잉크가 흐르는 유로의 개구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 잉크 주입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유용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잉크 탱크로 잉크를 주입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는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잉크 탱크로서, 상기 잉크는 잉크 보틀로부터 주입되는, 잉크 탱크를 포함한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주입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입 보조 부재는, 제1 상단부 및 제1 하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유로로서, 상기 제1 상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 하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유로, 및 제2 상단부 및 제2 하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유로로서, 상기 제2 상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상기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 상단부 미만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하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상기 내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잉크 탱크의 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관해서 상기 제1 하단부보다 큰, 제2 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탱크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니들의 상세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잉크 주입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니들의 특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니들의 상단부에 경사면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를 도시한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니들의 상단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니들의 상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니들의 테이퍼 형상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니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요소의 상대 위치, 형상 등은 단지 예로서 제시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장치 구성
도 1a는 본 실시예에서의 잉크젯 기록 장치(이하, 기록 장치라 칭함)(1)의 외관 사시도이다. 기록 장치(1)는, 하우징(5), 기록 매체에 대해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헤드(3)(도 2 참조), 및 기록 헤드(3)에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잉크 수용 용기로서의 잉크 탱크(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 탱크(11)는 하우징(5)의 전방에 배치되며 장치의 본체에 고정된다. 하우징(5)의 전방에는, 유저가 기록 장치(1)에 대하여 명령 입력 등의 조작을 할 수 있게 하는 조작 유닛(4)도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조작 유닛(4)은 예를 들어 기록 장치(1)의 에러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패널도 포함한다.
하우징(5)의 전방에는, 유저에 의해 하우징(5)에 대하여 삽입 및 인발 가능한 급지 카세트(6)가 배치된다. 급지 카세트(6)는, 급지 카세트(6) 내부에 적재된 기록 매체를 유저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창부(6a)를 포함한다. 창부(6a)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투명한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5)의 상부에는, 원고의 판독 동작을 행하는 스캐너 유닛(2)이 하우징(5)에 대하여 개방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b는, 하우징(5)에 대하여 스캐너 유닛(2)이 개방된 상태에 있는 기록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스캐너 유닛(2)이 개방되면, 잉크 탱크(1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탱크 커버(12)가 노출된다. 도 1b에서, 탱크 커버(12)는 폐쇄되어 있다. 탱크 커버(12)의 상세는 후술한다. 혹은, 스캐너 유닛(2)이 탑재되지 않은 본체 커버가 하우징(5)에 대하여 개방 가능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기록 장치(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기록 장치(1)는, 하우징(5)의 전방의 급지 카세트(6) 또는 그 후방의 급지 트레이(7)에 적재된 기록 매체를 급송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급송한다. 급송기에 의해 급송된 기록 매체는, 반송 롤러(반송 수단)(40)에 의해, 기록 헤드(3)와 대향하는 위치의 플래튼(42) 위로 반송된다. 플래튼(42)은, 기록 헤드(3)에 의해 기록이 행해지는 기록 매체를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기록 헤드(3)에 의한 기록이 완료된 기록 매체는 배출 롤러(배출 유닛)(41)에 의해 배출 트레이(배출부)(43) 상으로 배출된다. 배출 트레이(43)는 급지 카세트(6)의 상방에 배치된다.
반송 롤러(40)에 의해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도 2에 도시되는 Y 방향)을 반송 방향이라 칭한다. 즉, 반송 방향의 상류측은 하우징(5)의 후방측에 대응하고, 반송 방향의 하류측은 하우징(5)의 전방측에 대응한다.
기록 헤드(3)는,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주주사 방향(도 2에 도시되는 X 방향)에서 왕복운동하는 캐리지(31)에 탑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반송 방향과 주주사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기록 헤드(3)는, 캐리지(31)와 함께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 방울을 토출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대하여 1 밴드 분의 화상을 기록한다(기록 동작). 1 밴드 분의 화상이 기록되면, 기록 매체는 반송 롤러(40)에 의해 미리결정된 양만큼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간헐 반송 동작). 1 밴드 분의 기록 동작과 간헐 반송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의 전체에 화상이 기록된다.
기록 장치(1)는, 캐리지(31)의 주사 영역 내부에 그리고 기록 헤드(3)에 의해 기록 동작이 행해지는 기록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메인터넌스 유닛을 포함한다. 메인터넌스 유닛은, 기록 헤드(3)의 토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처리를 행하는 유닛이다. 메인터넌스 유닛은 잉크의 토출구가 배열된 토출구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되는 기록 헤드(3)는, 메인터넌스 유닛의 메인터넌스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위치(홈 포지션)에 위치된다. 메인터넌스 유닛은, 예를 들어 토출구면을 캐핑할 수 있는 캡 및 캐핑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잉크를 강제적으로 잉크를 흡인해서 토출구 내의 잔류 기포 및 증점된 잉크를 제거하기 위한 흡인 동작을 행하는 흡인-기반 회복 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헤드(3)가 캐리지(31)에 탑재된 시리얼 헤드의 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 매체의 폭에 대응하는 폭의 영역에 복수의 토출구가 배열되는 라인 헤드에도 적용가능하다.
잉크 탱크(11)는, 기록 헤드(3)에 의해 토출되는 잉크의 각 색마다 기록 장치(1)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랙용 잉크 탱크(11K), 시안용 잉크 탱크(11C), 마젠타용 잉크 탱크(11M), 옐로우용 잉크 탱크(11Y)를 포함하는 4개의 잉크 탱크가 제공된다. 이들 잉크 탱크를 통합해서 잉크 탱크(11)라 칭한다.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는 단지 잉크 색의 예이며, 잉크 색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용 잉크 탱크(11K)는 기록 장치(1)의 전방으로부터 볼 때 배출 트레이(43) 및 급지 카세트(6)의 좌측에 배치된다. 시안용 잉크 탱크(11C), 마젠타용 잉크 탱크(11M), 및 옐로우용 잉크 탱크(11Y)는, 기록 장치(1)의 전방으로부터 볼 때 배출 트레이(43) 및 급지 카세트(6)의 우측에 배치된다. 즉, 배출 트레이(43) 및 급지 카세트(6)는 블랙용 잉크 탱크(11K)와 컬러용 잉크 탱크 사이에 배치된다. 각 잉크 탱크(11)는, 기록 헤드(3)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로를 구성하는 가요성 튜브(8)에 의해 기록 헤드(3)에 접속된다.
또한, 기록 장치(1)는 블랙용 탱크 커버(12Bk)와 컬러용 탱크 커버(12Cl)를 포함한다. 블랙용 탱크 커버(12Bk)는 블랙용 잉크 탱크(11K)의 상면을 덮는다. 컬러용 탱크 커버(12Cl)는, 시안용 잉크 탱크(11C), 마젠타용 잉크 탱크(11M), 및 옐로우용 잉크 탱크(11Y)의 상면을 일체적으로 덮는다. 이후, 블랙용 탱크 커버(12Bk)와 컬러용 탱크 커버(12Cl)를 통합해서 탱크 커버(12)라고 칭한다.
잉크 주입 동작
도 3a 내지 도 3d는 잉크 탱크(11)와 그 주변 구성을 포함하는 탱크 유닛(10)의 외관 사시도이다. 탱크 유닛(10)의 기본 구성은 잉크 색 간에 공통이기 때문에, 블랙용 탱크 유닛을 일례로서 설명한다.
도 3a는 탱크 커버(12)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b는 탱크 커버(12)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유저는 탱크 커버(12)를 S1 방향으로 개방함으로써 탱크 캡(13)에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잉크 탱크(11)의 상면은 잉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4)를 포함한다. 주입구(14)는 탱크 캡(13)에 의해 밀봉가능하다. 탱크 캡(13)은, 주입구(14)를 밀봉하기 위한 캡부(13a), 및 캡부(13a)를 지지하며 유저에 의해 조작가능한 레버부(13b)에 의해 구성된다. 레버부(13b)는 회전가능하도록 기록 장치(1)의 본체에 대하여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저는, 레버부(13b)를 도 3b에 도시된 S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캡부(13a)를 주입구(14)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잉크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도 3c 참조). 레버부(13b)는, 회전가능하도록 잉크 탱크(11) 또는 탱크 커버(12)에 대하여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탱크 캡(13)의 캡부(13a)는 고무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며, 레버부(13b)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레버부(13b)는 잉크 탱크(11)에 수용되는 잉크의 색에 대응하는 색으로 색-코드화(color-coded)된다. 구체적으로는, 블랙용의 레버부(13b)는 블랙 또는 그레이로 색-코드화되고, 시안용의 레버부(13b)는 시안으로 색-코드화되고, 마젠타용의 레버부(13b)는 마젠타로 색-코드화되며, 옐로우용의 레버부(13b)는 옐로우로 색-코드화된다. 이에 의해, 유저가 잉크 탱크(11)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잘못된 색의 잉크를 주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레버부(13b)뿐만 아니라 캡부(13a)도 색-코드화되는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도 3d는, 탱크 캡(13)을 분리한 상태에서, 잉크 보충 용기인 잉크 보틀(15)을 주입구(14)에 삽입해서 잉크를 주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보틀(15)의 잉크와 잉크 탱크(11) 내의 공기 사이에서 기-액 교환이 행해진 결과, 잉크가 잉크 탱크(11) 내로 주입된다.
잉크 탱크의 구성
도 4는 잉크 탱크(11)의 사시도이다. 잉크 탱크(11)는,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잉크 수용실(16), 잉크 수용실(16)의 잉크를 기록 헤드(3)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구(17), 공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수용실(18), 및 공기 수용실(18)이 대기와 연통하게 하는 공기 연통구(19)를 포함한다. 잉크 수용실(16)은 제1 측면 측에서 개방되도록 잉크 탱크(11)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4a는 제1 측면 측에서 본 잉크 탱크(11)의 사시도이다. 잉크 공급구(17)는 일단부가 잉크 수용실(16)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튜브(8)(도 2 참조)에 접속된다. 잉크 수용실(16)은 제1 측면 측의 개구가 가요성 필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폐쇄되는 결과로서 잉크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공기 수용실(18)은,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 측에서 개방되도록 잉크 수용실(16) 아래에 배치된다. 도 4b는 잉크 탱크(11)를 제2 측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공기 수용실(18)의 제2 측면 측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공간은 제1 측면 측에 배치되는 연통 유로(18a)를 통해 서로 연통한다. 공기 수용실(18)이 개방되는 제2 측면 측도 가요성 필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폐쇄된다. 공기 수용실(18)의 공간들은, 제2 측면 측에서는 서로 연통하지 않고, 제1 측면 측에 배치된 연통 유로(18a)를 통해서 연통한다.
공기 수용실(18)과 잉크 수용실(16)은, 잉크 수용실(16)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로(20)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접속로(20)의 하단부는 잉크와 공기 사이에서 기-액 교환이 행해지는 기-액 교환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접속로(20)는 잉크 탱크(11)의 제1 측면 측에 배치된다. 접속로(20)의 기-액 교환부는 잉크의 메니스커스가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단면적을 갖는다. 공기 수용실(18)의 상부에는 대기와 연통하는 공기 연통구(19)가 배치된다. 공기 연통구(19)와 접속로(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통상 사용 동안에는, 기록 헤드(3)로부터의 잉크 토출에 응답하여 잉크 수용실(16)로부터 기록 헤드(3)에 잉크가 공급되고, 공급된 잉크와 동일한 체적의 공기가 기-액 교환부를 통해서 공기 수용실(18)로부터 잉크 수용실(16)에 공급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기온 또는 기압의 변동에 의해 잉크 수용실(16)의 공기가 팽창한 결과로서 기-액 교환부의 메니스커스가 파괴되는 경우에는, 잉크 수용실(16)의 잉크가 수두차에 의해 공기 수용실(18) 내로 낙하한다. 그로 인해, 공기 수용실(18)은 잉크 수용실(16)에 수용되어 완전히 충전되는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다. 이와 같이, 공기 수용실(18)은 잉크가 공기 연통구(19)를 통해 장치 내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버퍼실로서의 기능도 한다.
공기 수용실(18)에 잉크가 수용된 상태에서 기록 장치(1)가 통상 사용 동안의 자세와는 다른 자세에 있는 경우에도, 공기 연통구(19)와 접속로(2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잉크가 공기 연통구(19)를 통해 누설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공기 수용실(18)은 접속로(20)와 공기 연통구(19)의 사이에 존재하며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잉크의 누설을 더 억제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구획된 공기 수용실(18)이 개방되는 측면과 연통 유로(18a)가 배치되는 측면이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므로, 잉크가 서로 구획된 인접하는 공간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되지 않는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 연통구(19)를 통한 잉크의 누설이 회피된다.
니들의 구성
잉크 탱크(11)는 잉크 주입을 보조하는 주입 보조 부재로서의 니들(22)을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니들(22)의 상세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니들(22)은, 제1 유로(24a)와 제1 유로(24a)보다 짧은 제2 유로(24b)에 의해 구성되며, 잉크 탱크(11)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연통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유로(24a)의 단면적은 제2 유로(24b)의 단면적보다 크다.
제1 유로(24a)는, 주입구(14)의 상단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되어 노출되고 잉크 탱크(11)의 외부를 향해서 개방되는 제1 상단부(23a)와, 잉크 탱크(11)(잉크 수용실(16))의 내부를 향해서 개방되는 제1 하단부(25a)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유로(24b)는, 주입구(14)로부터 노출되고 잉크 탱크(11)의 외부를 향해서 개방되는 제2 상단부(23b)와, 잉크 탱크(11)(잉크 수용실(16))의 내부를 향해서 개방되는 제2 하단부(25b)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유로(24a)의 제1 상단부(23a)는, 제2 유로(24b)의 제2 상단부(23b)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중력 방향에서 높게 형성된다. 제1 상단부(23a) 및 제2 상단부(23b)는,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각각 비스듬히 개방되며, 제1 상단부(23a) 및 제2 상단부(23b)가 서로 접촉하는 중심부를 향해서 높아지는 경사면을 각각 갖는다. 제1 하단부(25a)는, 제2 하단부(25b)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중력 방향에서 낮게 형성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액 교환을 이용하는 잉크 주입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잉크 탱크(11)가 빈 상태를 도시한다. 잉크 주입 동작에서, 니들(22)을 형성하는 제1 유로(24a)와 제2 유로(24b) 중 하나는 잉크 유로로서 기능하며, 다른 하나는 공기 유로로서 기능한다. 잉크 보틀(15)의 개구는, 밀봉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폐쇄되며,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가 하방으로 지향되는 경우에도 잉크가 낙하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보틀(15)이 잉크 탱크(11) 내로 삽입되면, 니들(22)은 잉크 보틀(15)의 밀봉 부재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잉크 보틀(15)의 잉크가 제1 유로(24a)를 통해서 잉크 탱크(11)로 유입하고, 잉크 탱크(11) 내의 공기가 제2 유로(24b)를 통해서 잉크 보틀(15)로 유입한다. 즉, 제1 유로(24a)는 잉크 유로로서 기능하며, 제2 유로(24b)는 공기 유로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잉크 탱크(11)와 잉크 보틀(15) 사이에서 잉크와 공기가 교환되는 기-액 교환을 이용하여, 잉크 탱크(11)에 잉크가 주입된다.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유로로서 기능하는 제2 유로(24b)의 제2 하단부(25b)에 잉크 액면(L)이 도달하면, 제2 하단부(25b)로부터 잉크 보틀(15)로 공기가 유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기-액 교환이 정지된다. 즉, 잉크 보틀(15)을 잉크 탱크(11)에 삽입했을 때의 제2 하단부(25b)의 위치에 기초하여, 잉크 보틀(15)로부터 잉크 탱크(11)로의 잉크 주입이 정지된다. 이상이 기-액 교환을 이용한 잉크 주입 동작의 원리이다.
계속해서,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고해서 본 실시예의 니들(22)의 특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잉크 주입 동작이 유저에 의해 개시될 때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잉크 보틀(15)이 주입구(14) 내로 삽입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니들(22)이 잉크 보틀(15) 내로 삽입될 때, 제1 유로(24a)의 제1 상단부(23a)가 제2 유로(24b)의 제2 상단부(23b)에 비하여 상방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제1 유로(24a)가 먼저 잉크 보틀(15)에 수용된 잉크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니들(22)은 제1 유로(24a)가 잉크 유로로서 용이하게 결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7b는, 잉크 보틀(15)로부터 잉크 탱크(11)(잉크 수용실(16))로의 잉크 주입이 개시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기-액 교환을 이용한 잉크 주입에서는, 잉크는 잉크 탱크(11)로부터 잉크 보틀(15)로 유입한 공기의 양에 대응하는 양만큼 잉크 보틀(15)로부터 잉크 탱크(11)로 유입한다. 따라서, 공기가 기포가 되어서 니들(22)로부터 이격되기 쉬운 구성은 잉크의 유입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상단부(23a) 및 제2 상단부(23b)는 경사면을 가지며, 경사면은 공기가 니들(22)로부터 이격되기 쉽게 하여, 공기의 유입을 촉진한다. 상세를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와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제1 상단부(23a) 및 제2 상단부(23b)에 경사면을 갖지 않는 비교예를 도시한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본 실시예와 같이 경사면을 갖는 제1 상단부(23a) 및 제2 상단부(23b)의 개략도이다. 공기가 제2 상단부(23b)로부터 잉크 보틀(15)의 잉크 내로 유입할 때는, 도 8a 내지 도 8d 및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의 기포가 형성되어서 제2 상단부(23b)로부터 이격될 필요가 있다.
이때,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비교예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기포는 도 8b의 상태로부터 도 8c의 상태로 천이할 때에 제2 상단부(23b)의 개구면의 전체로부터 이격될 필요가 있고, 이는 시간이 걸린다. 즉, 기포가 제2 상단부(23b)에 대하여 면 접촉하고, 따라서 기포는 큰 접촉 면적으로 인해 제2 상단부(23b)로부터 이격되기가 용이하지 않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기포는 도 9b의 상태로부터 도 9c의 상태로 천이할 때에 제2 상단부(23b)의 정상부(23bb)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기포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즉, 기포가 정상부(23bb)에 선 접촉하고,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의 경우와 비교해서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기포는 정상부(23bb)로부터 이격되기가 쉽다. 따라서, 잉크 탱크(11)로부터 잉크 보틀(15)로의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잉크 보틀(15)로부터 잉크 탱크(11)의 잉크의 유입 속도도 증가된다. 또한, 경사면은 제1 상단부(23a)와 제2 상단부(23b)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향해서 높아지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기포는 제1 상단부(23a)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정상부(23bb)로부터 더 용이하게 이격된다(도 9c 참조).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유로(24a)가 잉크의 유로로서 기능하기 쉬운 구성을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잉크는 제1 유로(24a)를 통해 흐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기포는 제1 상단부(23a)로부터 유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상단부(23a) 또한 경사면을 갖는다.
도 7c는, 잉크 탱크(11)의 잉크 액면(L)이 제1 유로(24a)의 제1 하단부(25a)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한다. 제1 하단부(25a)와 잉크 수용실(16)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제2 하단부(25b)와 잉크 수용실(16)의 저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잉크 액면(L)이 제1 하단부(25a)에 도달하면, 제1 하단부(25a)는 잉크에 의해 폐쇄되어, 제1 하단부(25a)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은 불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공기가 제1 유로(24a)에서 흐르고 잉크가 제2 유로(24b)에서 흐르는 경우에도, 제1 유로(24a)는 잉크 유로로서 기능하도록 결정되며 제2 유로(24b)는 공기 유로로서 기능하도록 결정된다. 잉크 유로로서 기능하는 제1 유로(24a)의 제1 하단부(25a)와 잉크 수용실(16)의 저면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함으로써, 제1 유로(24a)와 제2 유로(24b) 중 어느 것을 통해 잉크가 흐를지가 신속하게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잉크 주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1 하단부(25a)가 제2 하단부(25b)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경우, 잉크 액면(L)은 제1 하단부(25a)에 도달하는 것이 늦다. 따라서, 제1 유로(24a)를 잉크 유로로서 결정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또한, 유로의 결정 전에 제1 유로(24a) 및 제2 유로(24b)에서 잉크와 공기가 혼합되는 것에 의해 압력 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잉크가 잉크 수용실(16)에 주입되어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 잉크의 유입이 정지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하단부(25a)를 잉크 수용실(16)의 저면 근방까지 연장시킴으로써, 유로를 신속하게 결정함으로써, 잉크는 잉크 수용실(16)을 완전히 충전할 때까지 주입될 수 있다.
여기서, 잉크의 흐름 저항은 공기의 흐름 저항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유로(24a)의 단면적을 제2 유로(24b)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단위 시간당의 잉크의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로(24a)의 단면적은 9.6mm2이며, 제2 유로(24b)의 단면적은 5.4mm2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니들(22)은, 높이가 상이한 상단부를 갖는 2개의 유로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잉크 보틀(15)로부터 유출하는 잉크의 유로의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단부가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잉크 보틀(15)로의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제1 유로(24a)의 하단부와 잉크 수용실(16)의 저면 사이의 작은 거리는 잉크 유로의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잉크 유로로서 결정되는 제1 유로(24a)는, 공기 유로로서 결정되는 제2 유로(24b)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므로, 단위 시간당의 잉크 주입량을 증가시킨다. 이들 구성은, 잉크 주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켜, 유저의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탱크(11)가 기록 장치(1)에 고정되고, 튜브(8)를 통해 잉크가 공급되는 형태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 탱크가 기록 헤드(3)와 함께 캐리지(31)에 탑재되는 온-캐리지(on-carriage)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캐리지(31)에 탑재되는 잉크 탱크가 주입구 및 니들을 포함하고 잉크가 유저에 의해 잉크 보틀로부터 주입되는 형태도 채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기본적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징을 갖는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2 실시예에서의 니들(22)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제2 실시예의 니들(22)을 사용해서 잉크 보틀(15)로부터 잉크가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b는 제2 실시예의 니들(22)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니들(22)은 제1 유로(24a)의 단면적이 제1 하단부(25a)를 향해서 커지도록 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제1 유로(24a)의 내부는 요철이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구성된다. 제1 상단부(23a)로부터 제1 하단부(25a)를 향해서 단면적이 증가되는 이러한 매끄러운 유로 형상에 의해, 제1 실시예보다 더 잉크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테이퍼 형상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a는, 제2 실시예의 제1 유로(24a)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유로의 단면적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비교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잉크는 S3 방향으로 흐른다.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적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경우, 단면적이 증가된 부분에서 소용돌이(V)가 발생하여, 압력 손실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잉크의 주입 속도가 저하된다. 대조적으로,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적이 완만하게 증가되는 경우에는, 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잉크의 유속이 저하되지 않는다. 제1 유로(24a)를 그 단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잉크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잉크 주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니들(22)의 개략도이다. 잉크는 제1 유로(24a)에서 S4 방향으로 흐른다. 제1 유로(24a)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는 나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도, 테이퍼 형상의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잉크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을 제1 하단부(25a)를 향해서 원활하게 증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잉크 주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 탱크로의 잉크 주입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잉크젯 기록 장치이며,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잉크 탱크로서, 상기 잉크는 잉크 보틀로부터 주입되는, 잉크 탱크; 및
    주입 보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 보조 부재는,
    제1 상단부 및 제1 하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유로로서, 상기 제1 상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 하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유로, 및
    제2 상단부 및 제2 하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유로로서, 상기 제2 상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상기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 상단부 미만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하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상기 내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잉크 탱크의 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관해서 상기 제1 하단부보다 큰,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단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상단부의 단면적보다 큰 잉크젯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하단부를 향해서 증가하는 단면적을 갖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잉크젯 기록 장치.
  4. 잉크젯 기록 장치이며,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잉크 탱크로서, 상기 잉크는 잉크 보틀로부터 주입되는, 잉크 탱크; 및
    주입 보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 보조 부재는,
    제1 상단부 및 제1 하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유로로서, 상기 제1 상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 하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유로, 및
    제2 상단부 및 제2 하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유로로서, 상기 제2 상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상기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2 하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상기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단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상단부의 단면적보다 큰 잉크젯 기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하단부를 향해서 증가하는 단면적을 갖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잉크젯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잉크젯 기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단부는 비스듬히 개방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부는 비스듬히 개방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부 및 상기 제2 상단부를 포함하는 주입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탱크 캡을 더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캡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잉크 탱크 또는 상기 장치의 본체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부에 의해 지지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잉크 탱크에 수용되는 잉크의 색에 대응하는 색으로 색-코드화되어 있는 잉크젯 기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 탱크는,
    블랙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블랙용 잉크 탱크, 및
    컬러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컬러용 잉크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블랙용 잉크 탱크와 상기 컬러용 잉크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14. 잉크 탱크이며,
    잉크 보틀로부터 잉크가 주입되는 주입구; 및
    상기 주입구를 통한 잉크 주입을 보조하는 주입 보조 부재로서, 상기 잉크 탱크는 잉크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주입 보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보조 부재는,
    제1 상단부 및 제1 하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유로로서, 상기 제1 상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 하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유로, 및
    제2 상단부 및 제2 하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유로로서, 상기 제2 상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상기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 상단부 미만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하단부는 상기 잉크 탱크의 상기 내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잉크 탱크의 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관해서 상기 제1 하단부보다 큰,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잉크 탱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단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상단부의 단면적보다 큰 잉크 탱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하단부를 향해서 증가하는 단면적을 갖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잉크 탱크.
KR1020200039643A 2019-04-03 2020-04-01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탱크 KR102661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71351 2019-04-03
JP2019071351A JP7305404B2 (ja) 2019-04-03 2019-04-03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885A true KR20200117885A (ko) 2020-10-14
KR102661718B1 KR102661718B1 (ko) 2024-04-29

Family

ID=6984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643A KR102661718B1 (ko) 2019-04-03 2020-04-01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탱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1491796B2 (ko)
EP (2) EP4098450A1 (ko)
JP (2) JP7305404B2 (ko)
KR (1) KR102661718B1 (ko)
CN (2) CN114643781B (ko)
BR (1) BR102020006506A2 (ko)
WO (1) WO20202041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479B1 (ko) * 2023-03-20 2023-07-21 주식회사 이든넷 프린터의 무한잉크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5404B2 (ja) 2019-04-03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
WO2021085408A1 (ja) * 2019-10-31 2021-05-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注入筒、インクタンク、それらを搭載し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11776344B1 (en) 2022-11-14 2023-10-03 Mark Ogram Ballot drop bo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761A1 (en) * 2009-02-11 2010-08-12 Jetbest Corporation Uninterrupted ink suppl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643B2 (ja) * 1996-04-25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への液体補充方法、該補充方法を用いる液体吐出記録装置、液体補充容器、液体収容容器およびヘッドカートリッジ
JPH1178048A (ja) * 1997-09-03 1999-03-23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のインクタンク装置
JP2001187459A (ja) * 1999-12-28 2001-07-10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DE60118464T2 (de) * 2000-01-18 2006-12-07 Seiko Epson Corp. Tintenpatrone,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mit einer solchen tintenpatrone und reinigungssteuerungsverfahren für aufzeichnungskopf des aufzeichnungsgerätes
US6364473B1 (en) 2001-04-06 2002-04-02 Win-Yin Liu Refilling needle for refilling an ink cartridge
JP4027111B2 (ja) * 2002-02-15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記録ヘッド
JP4125206B2 (ja) * 2002-09-30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供給システム
CN1261304C (zh) 2002-09-30 2006-06-28 佳能株式会社 墨水供应系统及其容纳和补充容器、喷墨记录装置及墨盒
WO2004028817A1 (en) 2002-09-30 2004-04-0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upply system, fluid communicating structure, ink supply system, and inkjet recording head utilizing the fluid communicating structure
JP3754954B2 (ja) * 2002-11-27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234787B2 (en) * 2004-01-08 2007-06-26 Eastman Kodak Company Liquid leve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4321370B2 (ja) * 2004-06-14 2009-08-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充填方法
US20080158321A1 (en) * 2006-12-28 2008-07-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ink supplying mechanism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TW201119878A (en) * 2009-12-15 2011-06-16 Jetbest Corp Ink cartridge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ink for a long term.
JP6536125B2 (ja) * 2015-03-30 2019-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7107621B (zh) 2015-04-21 2019-04-02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墨水罐
JP6693076B2 (ja) * 2015-09-30 2020-05-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JP6705361B2 (ja) * 2016-06-10 2020-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補給容器
JP6794783B2 (ja) * 2016-11-04 2020-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6922258B2 (ja) * 2017-03-02 2021-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補給容器及びインク補給システム
CN208180537U (zh) 2017-03-27 2018-12-0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墨水补给辅助装置以及墨水补给装置
JP6584450B2 (ja) 2017-04-2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WO2019017884A1 (en) * 2017-07-17 2019-01-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INTERFACE DEVICE WITH SLIDING NEEDLE
JP6748617B2 (ja) 2017-08-31 2020-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593415B2 (ja) 2017-10-10 2019-10-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ウエハ加熱用ヒータユニット
CN108819489B (zh) * 2018-07-27 2024-03-22 上海汉图科技有限公司 连接结构、供墨系统和打印机
JP7305404B2 (ja) 2019-04-03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761A1 (en) * 2009-02-11 2010-08-12 Jetbest Corporation Uninterrupted ink suppl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479B1 (ko) * 2023-03-20 2023-07-21 주식회사 이든넷 프린터의 무한잉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718B1 (ko) 2024-04-29
JP2020168791A (ja) 2020-10-15
US20200316957A1 (en) 2020-10-08
JP2023115276A (ja) 2023-08-18
US20240083174A1 (en) 2024-03-14
EP3718772B1 (en) 2022-07-06
CN111791585B (zh) 2022-04-19
US20230114455A1 (en) 2023-04-13
EP4098450A1 (en) 2022-12-07
CN111791585A (zh) 2020-10-20
JP7305404B2 (ja) 2023-07-10
US11833829B2 (en) 2023-12-05
US11491796B2 (en) 2022-11-08
BR102020006506A2 (pt) 2021-02-23
WO2020204197A1 (en) 2020-10-08
CN114643781B (zh) 2024-05-03
EP3718772A1 (en) 2020-10-07
CN114643781A (zh)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321B1 (ko) 기록 장치
KR20200117885A (ko)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탱크
JP732797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
JP737471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
JP7030409B2 (ja) インクタンク、インクボトル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7483961B2 (ja) 記録装置
JP6983927B2 (ja) 記録装置
CN114055946B (zh) 记录装置和容器
JP2021014126A (ja) 記録装置
JP2019084833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