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646A -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7646A KR20200117646A KR1020190040057A KR20190040057A KR20200117646A KR 20200117646 A KR20200117646 A KR 20200117646A KR 1020190040057 A KR1020190040057 A KR 1020190040057A KR 20190040057 A KR20190040057 A KR 20190040057A KR 20200117646 A KR20200117646 A KR 202001176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ncrete
- concrete piles
- piles
- pi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링 형태의 제1,2 연결판(110,120)과; 상기 제1,2 연결판(110,120)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2 연결구(130,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연결판(110,120)은 각각 콘크리트 파일의 지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112,12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구(130)는, 전체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으로서, 볼트 체결공(131)이 형성된 연결부(132) 및 상기 연결부(132)의 양측에 연결부(132)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134)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구(140)는, 상기 제1 연결구(130)에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으로서, 볼트 체결공(141)이 형성된 연결부(142) 및 상기 연결부(142)의 양측에 연결부(142)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144)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연결구(130)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도록 제1 연결구(130)와 비교하여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목 공사나 건축 공사에서 지반 보강 시 지반에 타공되는 콘크리트 파일들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 시에 지반 보강을 위하여 일정 깊이로 파일을 박게 되며, 재료에 따라 강관 또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이용된다.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은 내측에 스트레스가 인가된 강선을 삽입한 후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틀에 넣고 돌려 제작하여 강도를 높인 파일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은 건축물의 규모나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그 파일을 일정 깊이 이상 박게 되며 이때,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한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들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해서는 파일을 구분 즉, 하부파일, 중부파일, 상부파일로 분류하여 생산한 후 지반깊이에 따라 파일의 각 단부에 생산시 금속 재질의 조인트캡을 부착 조립 생산 후에 조인트캡을 용접함으로써 콘트리트 파일의 이음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용 조인트캡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콘크리트 파일용 조인트캡(10)은 원통 형상의 금속 몸체부(11)의 하단 중앙에 홀(13)이 형성된 원지지판(12)이 일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인트캡(10)은 다른 조인트캡과 용접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콘크리트 파일의 하단에 고정되며, 먼저 지반에 타공된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조인트캡과 맞대기한 후에 두 조인트캡을 용접함으로써 이음 작업이 종료된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조인트캡의 이음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지반(G)에 타공된 제1 콘크리트 하부파일(20)의 상단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제1 콘크리트 하부파일(20) 위에 제2 콘크리트 파일(30)을 들어 올려서 제1,2 콘크리트 하부파일(20,30)에 기 고정되어 있는 제1 조인트캡(21)과 제2 조인트캡(31)을 서로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인트캡(21)과 제2 조인트캡(31)의 이음부위를 용접(W)하여 제1 콘크리트 파일(20)과 제2콘크리트 파일(30)을 연결한다. 제1 콘크리트 파일(20)과 제2 콘크리트 파일(30)의 연결 작업이 끝난 후에는 계속 타공 작업을 또는 파일을 들어올려 천공된 훌에 삽입하여 목적하는 깊이까지 콘크리트 파일을 관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용 조인트캡을 용접하여 콘트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이음하고자 하는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에 각각의 금속성 조인트캡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크레인이 와이어로 상부파일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짐으로 용접이음시 상,하 말뚝의 정확한 직선도 유지가 어려워 말뚝 타입시 횡력으로 말뚝의 손상이 발생되고 용접부위의 과도한 응력으로 크랙 또는 파단이 일어나는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둘째로는 현장용접작업으로 비, 눈, 바람 발생시 작업불가와 시공위치마다 용접 장비를 이동하여 작업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며 유해가스의 발생, 감전위험 용접불꽃에 작업자 노출 등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었고,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로는 여러 종류의 말뚝을 구분하여 있어 좁은 야적장에 하부파일, 중부파일, 상부파일 등과 같이 여러 종류의 말뚝을 쌓아두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가 제안되어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콘크리트 파일(30)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통공(51)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50) 및 각각 플랜지 형상이면서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61),(71)을 갖고 상기 몸체부(50)의 상하 양측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플랜지부(60),(70)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50)의 외주연에는 상,하부 플랜지부(60),(70)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편(52)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50)의 하측단에는 하부 콘크리트 파일(20)과의 결합시 하부 콘크리트 파일(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링(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50)의 양측단의 외주연 및 상,하부 플랜지부(60),(70)의 내주연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몸체부(50) 및 상,하부 플랜지부(60),(70)가 각각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하부 플랜지부(70)의 볼트 결합공(71)은 하부 콘크리트 파일(20)에 체결구의 결합시 볼트 결합공(71)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20)의 조인트캡(21)의 볼트 결합공(22)에 볼트(80)를 끼워 볼트 조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부 플랜지부(70)의 원주방향으로 구멍이 확장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특허문헌 1 참조).
한편, 콘크리트 파일은 제조사마다 볼트 결합공의 위치(PCD(Pitch Circle Diameter)가 상이하게 제조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연결되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제조사가 상이하여 볼트 결합공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 상,하부 플랜지부의 볼트 결합공의 위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술한 파일 연결용 체결구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상술한 파일 연결용 체결구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 시 상하 방향에서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제1,2 콘크리트 파일의 제조사가 상이하여 볼트 결합공의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제1,2 콘크리트 파일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하여 시공성을 크게 개선한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는, 제1,2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 콘크리트 파일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링 형태의 제1,2 연결판과; 상기 제1,2 연결판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2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연결판은 각각 콘크리트 파일의 지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전체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으로서,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연결부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구에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으로서,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연결부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2 콘크리트 파일 연결시 상기 제1 연결구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도록 제1 연결구와 비교하여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연결구의 볼트 체결공은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볼트 체결공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연결구의 사이 사이에는 콘크리트 파일 시공시 페이스트의 유입 방지를 위한 방지편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 콘크리트 파일의 제조사가 상이하여 볼트 결합공의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의 볼트 결합공을 형성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콘크리트 파일 연결 시 측면 방향에서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1,2 콘크리트 파일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하여 시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의 사이 사이에 방지편을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 시공시 페이스트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파일용 조인트캡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종래 조인트캡을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의 연결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종래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용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연결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3은 종래 조인트캡을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의 연결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종래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용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연결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는, 설령 2개의 제1,2 콘크리트 파일의 제조사가 상이하여 볼트 결합공의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제1,2 콘크리트 파일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하여 시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100)는,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크게 제1,2 연결판(110,120)과 복수개의 제1,2 연결구(130,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1,2 연결판(110,120)과 제1,2 연결구(130,140)는 주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연결구(130,140)가 상기 제1,2 연결판(110,120)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2 연결판(110,120)은 링 형태로서 상기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의 단부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2 연결판(110,120)은 각각 콘크리트 파일의 지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112,12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설령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의 제조사가 상이하여 볼트 결합공의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콘크리트 파일의 지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112,122)을 구비하여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의 볼트 결합공과 제1,2 연결판(110,120)의 장공(112,122)을 이용하여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에 제1,2 연결판(110,120)의 장착 시의 호환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1,2 연결판(110,120)은 내주연에 턱부(116)를 구비하여 시공 시 시멘트가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제1,2 연결구(130,140)는 상기 제1,2 연결판(110,120)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1 연결구(130)는, 전체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볼트 체결공(131)이 형성된 연결부(132) 및 상기 연결부(132)의 양측에 연결부(132)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134)를 구비한다. 즉,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 연결 시 측면 방향에서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부(132)에는 중앙에 소정의 수평볼트 체결공(131)이 형성되고, 연결부(132)의 양측에는 제2 연결구(140)를 가이드 역할을 하여 제1,2 연결구(130,140)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34)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연결구(140)는, 상기 제1 연결구(130)에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인데, 상기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 연결시에 상기 제1 연결구(130)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도록 제1 연결구(13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연결구(130)와 마찬가지로 제1 연결구(130)의 볼트 체결공(131)에 대응되도록 볼트 체결공(141)이 형성된 연결부(142) 및 상기 연결부(142)의 양측에 연결부(142)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144)를 구비한다. 즉,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 연결 시 측면 방향에서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부(142)에는 중앙에 수평볼트 체결공(141)이 형성되고, 연결부(142)의 양측에는 제1,2 연결구(130,140)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4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 연결 시 측면 방향에서 수평볼트 체결공(131,141)을 이용하여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하여 시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체결된 볼트 머리가 ㄷ자 형상인 제1,2 연결구(130,140)에 의해 내측으로 들어가고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외부 대상물에 간섭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 파일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구(130)의 볼트 체결공(131)은 소정의 나사산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구(140)의 볼트 체결공(141)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측면에서 상기 제1 연결구(130)의 볼트 체결공(131)과 제2 연결구(140)의 볼트 체결공(141)에 접시머리 볼트 등을 끼운 후 보다 편리하게 볼트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100)는 복수개의 제1 연결구(130)의 사이 사이에는 콘크리트 파일 시공시 페이스트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지편(114)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장치
110 : 제1 연결판 112 : 장공
114 : 방지편
120 : 제2 연결판 122 : 장공
130 : 제1 연결구 131 : 볼트 체결공
132 : 연결부 134 : 가이드부
140 : 제2 연결구 141 : 볼트 체결공
142 : 연결부 144 : 가이드부
110 : 제1 연결판 112 : 장공
114 : 방지편
120 : 제2 연결판 122 : 장공
130 : 제1 연결구 131 : 볼트 체결공
132 : 연결부 134 : 가이드부
140 : 제2 연결구 141 : 볼트 체결공
142 : 연결부 144 : 가이드부
Claims (3)
-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링 형태의 제1,2 연결판(110,120)과;
상기 제1,2 연결판(110,120)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각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2 연결구(130,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연결판(110,120)은 각각 콘크리트 파일의 지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112,12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구(130)는,
전체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으로서, 볼트 체결공(131)이 형성된 연결부(132) 및 상기 연결부(132)의 양측에 연결부(132)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134)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구(140)는,
상기 제1 연결구(130)에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으로서, 볼트 체결공(141)이 형성된 연결부(142) 및 상기 연결부(142)의 양측에 연결부(142)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144)를 구비하되, 상기 제1,2 콘크리트 파일(20,30) 연결시 상기 제1 연결구(130)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도록 제1 연결구(130)와 비교하여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130)의 볼트 체결공(131)은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구(140)의 볼트 체결공(141)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인 것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연결구(130)의 사이 사이에는 콘크리트 파일 시공시 페이스트의 유입 방지를 위한 방지편(114)이 장착된 것인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057A KR20200117646A (ko) | 2019-04-05 | 2019-04-05 |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057A KR20200117646A (ko) | 2019-04-05 | 2019-04-05 |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7646A true KR20200117646A (ko) | 2020-10-14 |
Family
ID=7284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0057A KR20200117646A (ko) | 2019-04-05 | 2019-04-05 |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764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563B1 (ko) | 2007-11-13 | 2010-08-18 |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
-
2019
- 2019-04-05 KR KR1020190040057A patent/KR2020011764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563B1 (ko) | 2007-11-13 | 2010-08-18 |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6563B1 (ko)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 |
US10294687B2 (en) | System for coupling together segments of a utility pole, and a utility pol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
US10132427B1 (en) | Multi-stiffener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 |
KR101215356B1 (ko) | 파일 인양용 기구 | |
JP5483912B2 (ja) | 杭係止装置および杭係止方法 | |
KR20150110336A (ko) |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 |
CN113089657B (zh) | 一种内置式管桩连接装置的使用方法 | |
KR20100125162A (ko) |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 |
KR101701123B1 (ko)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 |
JP5280228B2 (ja) | 鉄筋の組立構造 | |
KR101318937B1 (ko) | 말뚝연결구 | |
KR20150117791A (ko) | 강재절감형 phc말뚝의 무용접 이음장치 | |
KR101498480B1 (ko)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 |
KR20200117646A (ko) | 콘크리트 파일용 연결 장치 | |
CN210368944U (zh) | 一种灌注桩主筋与加强筋连接结构及灌注桩钢筋笼 | |
KR101773434B1 (ko) |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 |
KR20180007292A (ko) | Phc 말뚝 연결장치 | |
KR20170139186A (ko) | 강관기둥과 기초구조체의 연결구조 | |
KR101252027B1 (ko) | 말뚝 이음 장치 | |
JP4429784B2 (ja) | 水中構造物の据付方法 | |
KR20140131648A (ko) | Pc너트 일체형 연결구를 이용한 말뚝의 이음장치 | |
CN209873786U (zh) | 自楔紧式管桩连接器 | |
CN109898508B (zh) | 自楔紧式管桩连接器 | |
JP2009185582A (ja) | 杭頭補強筋取付ユニット及び杭頭補強筋の取り付け方法 | |
JP6677564B2 (ja) | 鉄筋籠及び鉄筋籠の接続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