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491A -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491A
KR20200117491A KR1020190039650A KR20190039650A KR20200117491A KR 20200117491 A KR20200117491 A KR 20200117491A KR 1020190039650 A KR1020190039650 A KR 1020190039650A KR 20190039650 A KR20190039650 A KR 20190039650A KR 20200117491 A KR20200117491 A KR 20200117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rrent
pixel
signal processing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825B1 (ko
Inventor
양정휴
김한수
박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825B1/ko
Priority to US16/840,259 priority patent/US11217164B2/en
Priority to EP20168000.6A priority patent/EP3719787A1/en
Priority to CN202010264101.5A priority patent/CN111798777B/zh
Publication of KR2020011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8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using evaluation of the usage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전류 연산부와,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누적 전류 연산부와,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제2 휘도 레벨을 출력하는 잔상 저감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 처리 장치는, 영상표시장치 내에 구비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송 영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패널을 구비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영상표시장치에, 응답 속도가 빠르며, 화질이 선명한 유기발광패널을 채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은, 소자 특성상, 번인(burn in)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영상 내의 특정 영역이 반복되어 표시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일부가 열화되는 번인 현상이 나타나기 쉽다.
예를 들어, 방송 영상 표시시, 채널의 방송국명이나, 프로그램명 등의 위치에 번인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번인 현상을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2178호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자체에서 입력 이미지 자체에 기반하여, 잔상 발생 지점을 검출하기 때문에 검출 정확도가 떨어지며, 투명 로고가 아닌 반투명 로고의 검출이 용이하지 않아, 반투명 로고 영역 등에서의 번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전류 연산부와,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누적 전류 연산부와,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제2 휘도 레벨을 출력하는 잔상 저감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연산부는, 서브픽셀 단위로, 서브픽셀 전류를 연산하며, 서브픽셀 전류를 합산하여, 픽셀 단위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전류 연산부는, 전류 연산부로부터의 픽셀 단위 전류를 누적하여,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의 주변부와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컨트라스트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는, 누적 전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게인을 포함하는 게인 맵을 생성하는 게인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게인 맵 내의 게인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 및 컨트라스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게인 맵 내의 게인에 반비례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 및 컨트라스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연산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계조 변환부와, 계조 변환부로부터의 서브픽셀 데이터에 대한 서브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복수의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와,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로부터의 각 서브픽셀 전류를 합산하여, 픽셀 전류를 출력하는 합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전류 연산부는, 전류 연산부로부터의 픽셀 전류에 기초하여,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영역별 누적부와, 영역별 누적 전류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 맵 생성부는,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해,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로 업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 맵 생성부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을 설정하는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게인 맵은, 설정된 게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는, 픽셀 단위 시의 검출 영역과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 사이의 전류 차이가, 영역 단위 시의 차이 보다 작아지도록, 업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에 기초하여, 검출 영역의 휘도를 저감하는 휘도 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에 기초하여,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과, 검출 영역 사이의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하는 컨트라스트 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검출 영역은 반투명 로고 영역 또는 텍스트 영역을 포함하며,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의 휘도가, 입력 영상 대비하여,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의 휘도가, 입력 영상 대비하여,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작을수록,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과 제2 휘도 레벨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며,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클수록,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과 제2 휘도 레벨의 차이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대비 제2 휘도 레벨의 곡선에서, 입력 휘도 레벨이 작을수록, 기울기가 커지고, 입력 휘도 레벨이 커질수록,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입력 영상의 서브픽셀 별 게인과, 프레임 게인을 이용하여, 검출 영역 내의 휘도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전류 연산부와,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누적 전류 연산부와,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컨트라스트를 가변하는 잔상 저감부를 포함하며,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 중 검출 영역의 주변 영역 보다 밝은 제1 영역에 대해, 휘도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며, 검출 영역 중 검출 영역의 주변 영역 보다 어두운 제2 영역에 대해, 휘도가 더 커지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전류 연산부와,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누적 전류 연산부와,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제2 휘도 레벨을 출력하는 잔상 저감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검출 영역 내의 픽셀 단위로 휘도 레벨을 낮춤으로써, 화면 전체 밝기를 기존 대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연산부는, 서브픽셀 단위로, 서브픽셀 전류를 연산하며, 서브픽셀 전류를 합산하여, 픽셀 단위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셀 단위 전류 연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전류 연산부는, 전류 연산부로부터의 픽셀 단위 전류를 누적하여,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역 단위 누적 전류 연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의 주변부와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컨트라스트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누적 전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게인을 포함하는 게인 맵을 생성하는 게인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인에 기초한 잔상 저감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게인 맵 내의 게인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 및 컨트라스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게인 맵 내의 게인에 반비례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 및 컨트라스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연산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계조 변환부와, 계조 변환부로부터의 서브픽셀 데이터에 대한 서브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복수의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와,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로부터의 각 서브픽셀 전류를 합산하여, 픽셀 전류를 출력하는 합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셀 단위의 전류 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전류 연산부는, 전류 연산부로부터의 픽셀 전류에 기초하여,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영역별 누적부와, 영역별 누적 전류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 노이즈와 시간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 맵 생성부는,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해,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로 업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과 검출 영역 주변부 사이의 연산 전류의 차이가 부드럽게 변경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 맵 생성부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을 설정하는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게인 맵은, 설정된 게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인 맵에 기초한 잔상 저감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는, 픽셀 단위 시의 검출 영역과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 사이의 전류 차이가, 영역 단위 시의 차이 보다 작아지도록, 업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과 검출 영역 주변부 사이의 연산 전류의 차이가 부드럽게 변경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에 기초하여, 검출 영역의 휘도를 저감하는 휘도 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에 기초하여,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과, 검출 영역 사이의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하는 컨트라스트 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검출 영역은 반투명 로고 영역 또는 텍스트 영역을 포함하며,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의 휘도가, 입력 영상 대비하여,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의 휘도가, 입력 영상 대비하여,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작을수록,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과 제2 휘도 레벨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며,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클수록,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과 제2 휘도 레벨의 차이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대비 제2 휘도 레벨의 곡선에서, 입력 휘도 레벨이 작을수록, 기울기가 커지고, 입력 휘도 레벨이 커질수록,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는, 입력 영상의 서브픽셀 별 게인과, 프레임 게인을 이용하여, 검출 영역 내의 휘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전류 연산부와,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누적 전류 연산부와,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컨트라스트를 가변하는 잔상 저감부를 포함하며, 잔상 저감부는, 검출 영역 중 검출 영역의 주변 영역 보다 밝은 제1 영역에 대해, 휘도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며, 검출 영역 중 검출 영역의 주변 영역 보다 어두운 제2 영역에 대해, 휘도가 더 커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8b는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번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11 내지 도 20c는 도 9 또는 도 10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80)가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은, 액정표시패널 보다 패널 응답 속도가 빠르며, 색재현 효과가 뛰어나며, 색재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80)가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을 구비하며,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번인(burn in) 현상을 저감하여,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전류 연산부(1010)와,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누적 전류 연산부(1020)와,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제2 휘도 레벨을 출력하는 잔상 저감부(10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검출 영역 내의 픽셀 단위로 휘도 레벨을 낮춤으로써, 화면 전체 밝기를 기존 대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 저감부(1040)는, 검출 영역의 주변부와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컨트라스트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전류 연산부(1010)와,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누적 전류 연산부(1020)와,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컨트라스트를 가변하는 잔상 저감부(1040)를 포함하며, 잔상 저감부(1040)는, 검출 영역 중 검출 영역의 주변 영역 보다 밝은 제1 영역에 대해, 휘도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며, 검출 영역 중 검출 영역의 주변 영역 보다 어두운 제2 영역에 대해, 휘도가 더 커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다양한 동작방법에 대해서는,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신호 처리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신호 처리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5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신호 처리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 수신부(105)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170)는,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신호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부(3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스케일러(3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처리부(34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3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3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OSD 처리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처리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처리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처리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포맷터(Formatter)(3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신호 처리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영상 처리부(3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70)로 전송된다. 신호 처리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신호 처리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신호 처리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유기발광패널(210), 제1 인터페이스부(230), 제2 인터페이스부(231),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구동부(234), 데이터 구동부(236), 메모리(240), 신호 처리부(270), 전원 공급부(290), 전류 검출부(1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하고,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 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170)로부터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전원(V1)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전원 공급부(290), 및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인터페이스부(23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직류 전원(V2)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데이터 구동부(236)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30)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Vd)를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va1)를 출력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변환된 영상 신호(va1)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의 동작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부(236)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Sda)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제어 신호(Cs)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의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 신호(Sda)에 따라, 각각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유기발광패널(21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210)은 소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36)는, 제2 인터페이스부(231)로부터의 제2 직류 전원(V2)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각종 전원을,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전류 검출부(111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되는 전류는, 누적 전류 연산을 위해, 신호 처리부(270) 등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70)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각 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전류 검출부(1110)로부터,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2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되는 누적 전류는,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허용치 이상인 경우, 번인(burn in)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300000 A 이상인 경우, 번인된 서브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 중 일부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허용치에 근접하는 경우, 해당 서브픽셀을, 번인이 예측되는 서브픽셀로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전류 검출부(1110)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가장 누적 전류가 큰 서브픽셀을, 번인 예측 서브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전류 검출부(1110)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번인 서브픽셀 또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을 연산하고,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 또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할당된 전류 보다 낮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번인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의 번인(burn in)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에, 할당된 전류 보다 높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 주변에 낮은 전류가 흘러, 휘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에, 번인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번인 예측되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할당된 전류 보다 낮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함으로써,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의 번인(burn in)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 또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할당된 데이터 전압 보다 낮은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에, 번인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번인 예측되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에도, 할당된 전류 보다 낮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함으로써, 번인 예측 서브픽셀의 번인(burn in)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 또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 중 제1 서브픽셀 보다 더 먼 제2 서브픽셀에, 제1 레벨 보다 높은 제2 레벨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면, 수명이 더 길계 예측되는 제2 서브픽셀에, 더 높은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휘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전류 검출부(1110)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 중 누적 전류량이 가장 큰 서브픽셀을 연산하고, 누적 전류량이 가장 큰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할당된 전류 보다 낮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부(270)는, 누적 전류량이 가장 큰 서브픽셀에, 가까울수록, 누적 전류량이 가장 큰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더 낮은 레벨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함으로써,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신호 처리부(270)의 동작 등에 대해서는,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픽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210)은, 복수의 스캔 라인(Scan 1 ~ Scan n)과, 이에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R1,G1,B1,W1 ~ Rm,Gm,Bm,Wm)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픽셀(subpixel)이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RGBW의 서브픽셀(SR1,SG1,SB1,SW1)을 구비하는 픽셀(Pixel)을 도시한다.
도 6b은, 도 6a의 유기발광패널의 픽셀(Pixel)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sub pixel)의 회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서브픽셀(sub pixell) 회로(CRT)는, 능동형으로서, 스위칭 트랜지스터(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트랜지스터(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d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트랜지스터(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트랜지스터(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적색,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1)와 구동 트랜지스터(SW2)로서, p타입의 MOSFET인 경우를 예시하나, n타입의 MOSFET이거나, 그 외, JFET, IGBT, 또는 SIC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픽셀(Pixel)은, 단위 표시 기간 동안, 구체적으로 단위 프레임 동안, 스캔 신호가 인가된 이후, 유기발광층(OLED)에서 계속 발광하는 홀드 타입의 소자이다.
한편, 도 6b에 도시되는 각 서브필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OLED)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광을 하나, 누적 전류에 따라, 번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번인 현상에 대해서는, 도 7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7a 내지 도 8b는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번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의 제1 지점(Px1)에 흐르는 누적 전류가 허용치 이상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층(OLED)의 소모로 인하여, 번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점(Px1) 주변의 제2 영역(Oy1), 제3 영역(Pz1)도, 번인의 가능성이 높게 된다.
도 7b는, 제1 지점(Px1), 제2 영역(Oy1), 제3 영역(Pz1) 별 누적 전류 그래프(GPx1, GPy1, GPz1)를 예시한다.
한편, 도 8a은, Pk의 번인 지점을 포함하는 Ara 영역에 대해, 가우시안(gussian) 분포의 번인 확률을 가지는 것을 도시한다.
한편, 도 8b는 로고(logo)가 표시되는 Pt의 번인 지점을 포함하는 Ara 영역에 대해, 가우시안(gussian) 분포의 번인 확률을 가지는 것을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인 지점을 중심으로, 번인 확률이, 가우시안 분포를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번인 지점 주변의, 번인 가능성을 낮추어, 유기발광패널의 수명이 증대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등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부(1000)는,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S910).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000) 내의 전류 연산부(1010)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픽셀 단위로, 서브픽셀 전류를 예측하고 연산하며, 서브픽셀 전류를 합산하여, 픽셀 단위의 예측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셀 단위의 예측 전류 연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부(1000)는,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S920).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000) 내의 누적 전류 연산부(1020)는, 전류 연산부(1010)로부터의 픽셀 단위 예측 전류를 누적하여,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를 예측하고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 예측 및 연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픽셀 단위의 전류 연산시 보다,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 연산시의 연산량이 더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하게,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 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부(1000)는,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930), 해당하는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제2 휘도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S940).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000) 내의 잔상 저감부(1040)는,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영역을 검출 영역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검출 영역에 대해, 픽셀 단위로 잔상 저감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000) 내의 잔상 저감부(1040)는,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픽셀 단위로,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제2 휘도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셀 단위의 잔상 저감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기준치는 다양한 설명이 가능하나, 예를 들어, 300000 A 일 수 있다. 즉, 300000 A 인 경우, 번인 영역으로 판단하고, 해당 영역 내의 픽셀을 번인 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부(1000)는, 검출 영역의 주변부와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컨트라스트를 가변할 수 있다(S950).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000) 내의 잔상 저감부(1040)는, 검출 영역의 주변부와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컨트라스트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000) 내의 잔상 저감부(1040)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에 기초하여,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과, 검출 영역 사이의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출 영역 부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멍든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고, 도 11 내지 도 20c는 도 9 또는 도 10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000)는, 도 2의 신호 처리부(170)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1000)는, 전류 연산부(1010)와, 누적 전류 연산부(1020)와, 게인 맵 생성부(1030)와, 잔상 저감부(1040)를 구비할 수 있다.
전류 연산부(1010)는,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연산부(1010)는, 서브픽셀 단위로, 서브픽셀 전류를 연산하며, 서브픽셀 전류를 합산하여, 픽셀 단위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셀 단위 전류 연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1은 전류 연산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류 연산부(1010)는, 계조 변환부(1110)와, 복수의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1112,1114,1116,1118)와, 합산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셀 단위의 전류 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계조 변환부(1110)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계조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조 변환부(1110)는, 입력 영상의 RGB 데이터를 복수의 서브픽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가 RGBW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계조 변환부(1110)는, 입력 영상의 RGB 데이터를 RGBW의 서브픽셀 데이터로 게조 변환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1112,1114,1116,1118)는, 계조 변환부(1110)로부터의 서브픽셀 데이터에 대한 서브픽셀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제1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1112)는, 계조 변환부(1110)로부터의 R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R 서브픽셀의 소모 전류를 예측하고 연산할 수 있다.
제2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1114)는, 계조 변환부(1110)로부터의 G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G 서브픽셀의 소모 전류를 예측하고 연산할 수 있다.
제3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1116)는, 계조 변환부(1110)로부터의 B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B 서브픽셀의 소모 전류를 예측하고 연산할 수 있다.
제4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1118)는, 계조 변환부(1110)로부터의 W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W 서브픽셀의 소모 전류를 예측하고 연산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1112,1114,1116,1118)는, 각 서브픽셀 데이터 또는 각 서브픽셀의 계조 데이터에, 각각의 게인(gain)을 곱함으로써, 각 서브픽셀이 소모하는 소모 전류를 예측하고 연산할 수 있다.
합산부(1120)는, 복수의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1112,1114,1116,1118)부터의 각 서브픽셀 전류를 합산하여, 픽셀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누적 전류 연산부(1020)는,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적 전류 연산부(1020)는, 입력 영상 내의 영역 단위로 누적 전류를 에측하고,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적 전류 연산부(1020)는, 전류 연산부(1010)로부터의 픽셀 단위 전류를 누적하여,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역 단위 누적 전류 연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2는 누적 전류 연산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누적 전류 연산부(1020)는, 전류 연산부(1010)로부터의 픽셀 전류에 기초하여,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영역별 누적부(1210)와, 영역별 누적 전류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 노이즈와 시간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픽셀 단위의 소모 전류는 시간적,공간적으로 노이즈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런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강인(robust)한 고전류 소모 영역을 연산하는 것으로 한다.
즉, 누적 전류 연산부(1020) 내의 영역별 누적부(1210)는, 공간적인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 전체 영상을 몇 개의 영역(region)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region) 내의 모든 픽셀(pixel)의 소모 전류를 누적하여 영역 단위 소모 전류를 연할 수 있다.
한편, 누적 전류 연산부(1020) 내의 필터부(1220)는, 시간적인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 영역별 누적부(1210)에서 출력되는 영역 단위 소모 전류를, IIR 필터로 필터링을 수행하여, 전류값을 누적하고, 영역 단위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게인 맵 생성부(1030)는, 누적 전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게인을 포함하는 게인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인에 기초한 잔상 저감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게인 맵 생성부(1030)는,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에 기초하여 게인을 설정하고, 설정된 게인에 기초하여 게인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3은 게인 맵 생성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한편, 게인 맵 생성부(1030)는, 스케일러(1310)와, 룩업 테이블(LUT)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가 많이 소모하는 영역에 대해, 잔상 저감 처리를 하는 경우, 잔상 처리를 위해 검출된 검출 영역과,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 사이에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스케일러(1310)는,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해,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로 업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케일러(1310)는, 영역 단위 고전류 소모 맵을 전체 영상 해상도로 업스케일링하여, 검출 영역 주변의 경계boundary) 근처에서 전류값이 부드럽게 변경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케일러(1310)는, 픽셀 단위 시의 검출 영역과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 사이의 전류 차이가, 영역 단위 시의 차이 보다 작아지도록, 업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과 검출 영역 주변부 사이의 연산 전류의 차이가 부드럽게 변경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룩업 테이블(LUT)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여, 잔상 처리를 위한, 게인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인 맵 생성부(1030)는, 설정된 게인에 기초하여, 각 픽셀에 대한 게인 맵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픽셀 단위의 연산 전류 맵(1410)에서, 영역 단위 누적 전류 연산 맵(1420)으로 변환되고, 영역 단위 누적 전류 연산 맵(1420)이, 스케일러(1310)에 의해, 업스케일링되어, 전체 영상 해상도에 대응하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 연산 맵(1430)이 생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 의하면, 연산 전류 맵(1410) 내의 일부 영역(Ara1,Ara2)이, 변환되어 영역 단위 누적 전류 연산 맵(1420) 내에서 일부 영역(Arb1,Arb2)으로 선명하게 나타나게 되어, 주변 영역 사이에 위화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일러(1310)에 의한, 업스케일링에 의해, 도 14의 (c)와 같이,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 연산 맵(1430) 내의 영역(Arc1,Arc2)의 경계가 부드럽게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주변 영역 사이의 위화감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잔상 저감부(1040)는,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영역을 검출 영역 또는 잔상 처리 영역으로 검출하고,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제2 휘도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로고 검출 방식에 의해, 검출되기 힘든, 반투명 로고 영역 등이 검출 영역으로 검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폭 넓고, 정확하게,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결국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출 영역 내의 픽셀 단위로 휘도 레벨을 낮춤으로써, 화면 전체 밝기를 기존 대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5는 잔상 저감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잔상 저감부(1040)는, 휘도 저감부(1520)와 컨트라스트 저감부(151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잔상 저감부(1040)는, 게인 맵 내의 게인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중 검출 영역의 휘도, 및 컨트라스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잔상 저감부(1040)는, 게인 맵 내의 게인에 반비례하여, 입력 영상 중 검출 영역의 휘도, 및 컨트라스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휘도 저감부(1520)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에 기초하여, 검출 영역의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저감부(1520)는, 게인 맵 내의 게인에 반비례하여, 입력 영상 중 검출 영역의 휘도를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휘도 저감부(1520)는, 게인 맵 내의 게인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중 검출 영역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제2 레벨의 휘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트라스트 저감부(1510)는, 검출 영역의 주변부와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컨트라스트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컨트라스트 저감부(1510)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에 기초하여,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과, 검출 영역 사이의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7은, 입력 휘도 곡선(CVb1)과 출력 휘도 곡선(CVb1)을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컨트라스트 저감부(1510)는, 검출 영역 내의 휘도 레벨이 주변 영역 휘도 레벨 보다 낮은 경우,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하기 위해, 도면과 같이, 검출 영역 내의 휘도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증가된 휘도 레벨은, 주변 영역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주변부 보다 어두운 검출 영역은 더 밝아지게 된다.
한편, 컨트라스트 저감부(1510)는, 검출 영역 내의 휘도 레벨이 주변 영역 휘도 레벨 보다 높은 경우,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하기 위해, 도면과 같이, 검출 영역 내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감소된 휘도 레벨은, 주변 영역의 휘도 레벨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주변부 보다 밝은 검출 영역은 더 어두워지게 된다. 결국, 검출 영역 부근의 휘도 저하로 인한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검출 영역은 반투명 로고 영역 또는 텍스트 영역을 포함하며, 잔상 저감부(1040)는, 검출 영역의 휘도가, 입력 영상 대비하여,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잔상 저감부(1040) 내의 휘도 저감부(1520)는,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의 휘도가, 입력 영상 대비하여,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과 같이, 잔상 저감부(1040)는, 컨트라스트 저감부(1510)의 출력과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함께 출력하는 제1 먹스(151)와, 휘도 저감부(1520)의 출력과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함께 출력하는 제2 먹스(15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잔상 저감부(1040) 내에서, 컨트라스트 저감부(1510)에서의 컨트라스트 저감이 먼저 수행되고, 그 이후, 컨트라스트 저감된 휘도 데이터와 입력 영상의 데이터, 및 게인 맵으로부터의 게인에 기초하여, 휘도 저감부(1520)가, 휘도 저감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잔상 저감부(1040) 내의 휘도 저감부(1520)는, 도 16과 같이,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대비 제2 휘도 레벨의 곡선(CVa)에서, 입력 휘도 레벨이 작을수록, 기울기가 커지고, 입력 휘도 레벨이 커질수록,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잔상 저감부(1040) 내의 휘도 저감부(1520)는,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작을수록,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과 제2 휘도 레벨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며,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클수록,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과 제2 휘도 레벨의 차이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잔상 저감부(1800)가 프레임 게인 변환부(1800)를 이용하여 RGB 데이터의 휘도 레벨을 저감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조하면, 잔상 저감부(1800)가 프레임 게인 변환부(1800)의 프레임 게인에 반비례하여, RGB 데이터의 동일한 휘도 저감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하면, 픽셀 별로 동일한 휘도 저감이 수행되므로, 서브픽셀 별 차이에 따른, 휘도 저감이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즉, 서브픽셀 별 번인 저감이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서브픽셀별 게인을 달리하여, 번인 저감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아여 기술한다.
도 19는, 잔상 저감부(1900)가 프레임 게인 변환부(1800), 복수의 색상 변환부(1905,1908), 복수의 색상별 게인 출력부(1907,1909)를 이용하여 RGB 데이터의 휘도 레벨을 저감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잔상 저감부(1900)는, 입력 영상의 서브픽셀 별 게인과, 프레임 게인을 이용하여, 검출 영역 내의 휘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반투명 로고 영역을 검출하여 잔상 저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색상 변환부(1905,1908)는, 입력되는 RGB 데이터를 HSV 데이터의 V,S데이터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복수의 색상별 게인 출력부(1907,1909)는, 복수의 색상 변환부(1905,1908)에서 출력되는 V,S데이터에 대응하는 각각의 게인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V,S데이터에 대응하는 각각의 게인과, 프레임 게인 변환부(1914)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게인의 반비례값에 기초하여, 휘도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즉, 잔상 저감부(1900)는, 프레임 게인의 반비례값에 기초하여, 입력 RGB 데이터의 휘도 레벨 대비, 서브픽셀 별로 휘도가 낮아진, 휘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픽셀 별 휘도 저감이 수행되며, 결국, 서브픽셀 별 번인 저감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9에서 기술한, 잔상 저감을 위한 방식은,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영역을 잔상 저감을 위한 검출 영역으로 추출하므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차이에 기초하여 로고를 찾는 방법 등과는 다르다.
즉, 도 9 내지 도 19에서 기술한, 잔상 저감을 위한 방식은, 입력 영상의 계조값으로부터 전류값을 예측하여 처리함으로써, 투명 로고 영역, 투명 텍스트 영역은 물론, 반투명 로고 영역, 반투명 텍스트 영역을, 검출 영역으로 추출가능하며, 따라서, 폭 넓으며, 정확하게, 잔상 방지 저감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9에서 기술한, 잔상 저감을 위한 방식은, 영역별 누적 전류를 구하고, 이를 픽셀 단위로 업스케일링함으로써, 시간적, 공간적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주변부와의 위화감이 없도록 잔상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9에서 기술한, 잔상 저감을 위한 방식은, 잔상 억제에 있어서 전류를 많이 소모할 것으로 예상하는 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 영역 근처에만 잔상 저감을 적용함으로써, 잔상이 발생하지 않는 주변의 움직이는 영역에 대한 밝기 유지가 가능하여, 유기발광패널의 밝기를 최대한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9에서 기술한, 잔상 저감을 위한 방식에 의하면,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변경 없이도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변경하여 잔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9에서 기술한, 잔상 저감을 위한 방식은, 도 2의 신호처리부(170) 내에서 구현 가능하며, 디스플레이(180)에 흐르는 전류 검출 없이, 입력 영상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픽셀에 흐르는 소모 전류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변경 없이도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변경하여 잔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0a는 텍스트 영역(2015)을 포함하는 영상(2010)을 예시한다.
도 9 내지 도 19에서 기술한, 잔상 저감을 위한 방식에 의하면, 도 20b와 같은 게인 맵(2020)이 생성될 수 있으며, 게인 맵(2020)의 픽셀 별 게인에 기초하여, 잔상 처리를 수행하여, 도 20c와 같이, 텍스트 영역(2035)을 포함하는 영상(203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0a와 비교하여, 도 20c의 영상(2030)은, 텍스트 영역(2035)의 휘도 저감 처리, 컨트라스트 저감 처리 등이 수행되어, 밝기 유지가 되면서, 컨트라스트가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잔상 저감 방지 처리에 의해, 해당 영역(2035)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전류 연산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누적 전류 연산부;
    상기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보다 낮은 제2 휘도 레벨을 출력하는 잔상 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연산부는,
    서브픽셀 단위로, 서브픽셀 전류를 연산하며,
    상기 서브픽셀 전류를 합산하여, 픽셀 단위의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전류 연산부는,
    상기 전류 연산부로부터의 상기 픽셀 단위 전류를 누적하여,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 단위의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저감부는,
    상기 검출 영역의 주변부와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컨트라스트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전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게인을 포함하는 게인 맵을 생성하는 게인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잔상 저감부는,
    상기 게인 맵 내의 게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및 컨트라스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저감부는,
    상기 게인 맵 내의 게인에 반비례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및 컨트라스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연산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계조 변환부;
    상기 계조 변환부로부터의 서브픽셀 데이터에 대한 서브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복수의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 전류 연산부로부터의 각 서브픽셀 전류를 합산하여, 픽셀 전류를 출력하는 합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전류 연산부는,
    상기 전류 연산부로부터의 상기 픽셀 전류에 기초하여, 영역 단위의 상기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영역별 누적부; 및
    상기 영역별 누적 전류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맵 생성부는,
    영역 단위의 상기 누적 전류에 대해,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로 업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맵 생성부는,
    상기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을 설정하는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인 맵은, 상기 설정된 게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 픽셀 단위 시의 상기 검출 영역과 상기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 사이의 전류 차이가, 상기 영역 단위 시의 차이 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업스케일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저감부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휘도를 저감하는 휘도 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저감부는,
    픽셀 단위의 누적 전류에 대응하는 게인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과, 상기 검출 영역 사이의 컨트라스트 차이를 저감하는 컨트라스트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은 반투명 로고 영역 또는 텍스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잔상 저감부는,
    상기 검출 영역의 휘도가, 상기 입력 영상 대비하여,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저감부는,
    상기 검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의 휘도가, 상기 입력 영상 대비하여,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저감부는,
    상기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작을수록, 상기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과 상기 제2 휘도 레벨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클수록, 상기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과 상기 제2 휘도 레벨의 차이가,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저감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 대비 상기 제2 휘도 레벨의 곡선에서, 입력 휘도 레벨이 작을수록, 기울기가 커지고, 상기 입력 휘도 레벨이 커질수록, 상기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저감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서브픽셀 별 게인과, 프레임 게인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 영역 내의 휘도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9. 입력 영상에 대한 픽셀 전류를 연산하는 전류 연산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누적 전류를 연산하는 누적 전류 연산부;
    상기 누적 전류의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출 영역에 대해, 컨트라스트를 가변하는 잔상 저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상 저감부는,
    상기 검출 영역 중 상기 검출 영역의 주변 영역 보다 밝은 제1 영역에 대해, 휘도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검출 영역 중 상기 검출 영역의 주변 영역 보다 어두운 제2 영역에 대해, 휘도가 더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0.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90039650A 2019-04-04 2019-04-04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661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650A KR102661825B1 (ko) 2019-04-04 2019-04-04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6/840,259 US11217164B2 (en) 2019-04-04 2020-04-03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0168000.6A EP3719787A1 (en) 2019-04-04 2020-04-03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2010264101.5A CN111798777B (zh) 2019-04-04 2020-04-07 信号处理设备和包括信号处理设备的图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650A KR102661825B1 (ko) 2019-04-04 2019-04-04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491A true KR20200117491A (ko) 2020-10-14
KR102661825B1 KR102661825B1 (ko) 2024-04-26

Family

ID=7018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650A KR102661825B1 (ko) 2019-04-04 2019-04-04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17164B2 (ko)
EP (1) EP3719787A1 (ko)
KR (1) KR102661825B1 (ko)
CN (1) CN1117987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576A (ko) * 2019-08-05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픽셀 값을 보상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783771B2 (en) * 2019-10-30 2023-10-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21220854A1 (ja) * 2020-05-01 2021-11-0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表示装置
KR20210148474A (ko) * 2020-05-28 2021-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20049645A (ko) * 2020-10-14 2022-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보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85082A (ko) * 2020-12-14 2022-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30047673A1 (en) * 2021-08-13 2023-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cting stationary region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elevision (tv) luminance reduction
KR20230074355A (ko) * 2021-11-19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609A (ko) * 2008-10-23 2011-06-30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방출형 표시 번-인을 정정하는 방법
KR20140075061A (ko) * 2012-12-10 2014-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열화보상방법
KR20190017273A (ko) * 2017-08-10 201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EP3454323A1 (en) * 2017-09-08 2019-03-13 Apple Inc. Burn-in statistics and burn-in compens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5505B2 (ja) * 2002-03-25 2007-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2006178439A (ja) * 2004-11-25 2006-07-06 Sanyo Electric Co Ltd 表示モジュール
JP2008309895A (ja) * 2007-06-12 2008-12-25 Toshiba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パネル
JP2009031451A (ja) * 2007-07-25 2009-02-12 Eastman Kodak Co 表示装置
CN101399009B (zh) * 2007-09-30 2010-08-18 宇威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及其控制方法
JP5113940B2 (ja) * 2009-09-22 2013-01-09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
KR102093244B1 (ko) 2012-04-03 2020-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제거 대상 위치 설정 방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947125B1 (ko) * 2012-11-27 2019-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2014126698A (ja) * 2012-12-26 2014-07-07 Sony Corp 自発光表示装置
KR102139698B1 (ko) * 2013-11-14 2020-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영상 보정 방법
JP2015219307A (ja) * 2014-05-15 2015-12-07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と映像信号処理方法
CN104766561B (zh) * 2015-04-20 2016-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避免残像的方法和装置
KR102601853B1 (ko) * 2016-11-30 202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방법
KR102518740B1 (ko) * 2017-07-19 2023-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70442B1 (ko) * 2017-08-1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317876B1 (ko) * 2017-08-18 2021-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30014B1 (ko) * 2018-09-04 2023-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로고 제어부 및 로고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609A (ko) * 2008-10-23 2011-06-30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방출형 표시 번-인을 정정하는 방법
KR20140075061A (ko) * 2012-12-10 2014-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열화보상방법
KR20190017273A (ko) * 2017-08-10 201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EP3454323A1 (en) * 2017-09-08 2019-03-13 Apple Inc. Burn-in statistics and burn-in compensation
KR20190028286A (ko) * 2017-09-08 2019-03-18 애플 인크. 번-인 통계 및 번-인 보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98777A (zh) 2020-10-20
EP3719787A1 (en) 2020-10-07
US11217164B2 (en) 2022-01-04
CN111798777B (zh) 2023-11-03
US20200372860A1 (en) 2020-11-26
KR102661825B1 (ko)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825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370442B1 (ko) 영상표시장치
US11151935B2 (en) Image display device
US1153228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64261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39090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366403B1 (ko) 영상표시장치
CN111757078B (zh) 信号处理设备和包括信号处理设备的图像显示装置
KR102588780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60362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57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1335255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913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1881149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20220139310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125060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20088420A (ko) 신호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