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462A -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462A
KR20200117462A KR1020190039596A KR20190039596A KR20200117462A KR 20200117462 A KR20200117462 A KR 20200117462A KR 1020190039596 A KR1020190039596 A KR 1020190039596A KR 20190039596 A KR20190039596 A KR 20190039596A KR 20200117462 A KR20200117462 A KR 20200117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r
filter unit
ji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열
허진영
Original Assignee
한국미세먼지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세먼지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세먼지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462A/ko
Publication of KR2020011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필터박스의 내부공간(12)에는 필터유닛(20), 상기 필터유닛(20)과 면접촉이 가능한 지그(48), 레버(43)의 조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상기 지그(48)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바(45)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48)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이며, 상기 바(45)가 관통하는 제1판(49a)과 상기 바(45)의 끝단이 닿는 제2판(49b)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45)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바(45)가 전진하면 바(45)의 끝단이 제2판(49b)을 밀고 제2판(49b)이 필터유닛(20)에 압력을 가해 필터유닛(20)의 틈새가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유닛(20)의 틈새를 줄여 공기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필터박스의 교체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Filter box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흡입 경로에 설치되고 공기 여과를 위한 필터를 수납하기 위한 필터박스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란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환기, 청정도를 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가장 알맞는 상태로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실험실이나 수술실 등 공기중의 불순물을 피해야 하는 공간에서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되 여러 단계의 필터로 충분히 여과시키고 있다.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는 덕트와 필터박스로 이루어지며, 필터박스 내부에 여러 필터가 장착된다. 이러한 필터박스는 주로 천정에 설치된다.
최근에 대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가 인체에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일반 사무공간이나 가정에서도 필터박스가 있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며 초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필터박스에 의하면 다수개의 필터들이 설치될 때 필터들 사이의 기밀성이 떨어져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여과되지 않은 채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필터박스 내부에 있는 필터들의 교체가 주기적으로 요구되는데 필터 교체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1621(필터박스의 필터지지 구조, 2005.08.0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527(디오피 헤파필터박스, 2012.9.1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필터들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필터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필터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과 면접촉이 가능한 지그, 레버의 조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상기 지그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바를 포함한다.
지그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과 하면중 전부 또는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가 관통하는 제1판과 상기 바의 끝단이 닿는 제2판을 가지며, 상기 바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바가 전진하면 바의 끝단이 제2판을 밀고 제2판이 필터유닛에 압력을 가해 필터유닛 둘레의 틈새가 제거된다.
상기 지그는 상기 바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레버 및 바가 상기 지그의 양쪽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부를 개방시켜 상기 필터유닛과 레버에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의 하단은 상기 본체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상단은 상기 본체에 도어체결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푸쉬클램프와 지그로 필터유닛을 밀착시켜주므로 필터유닛 사이의 틈새 발생을 줄여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필터박스를 통과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이고 제품의 신뢰성이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푸쉬클램프의 레버를 뒤로 젖히는 간단한 동작으로 필터유닛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필터유닛의 교체나 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박스의 설치 및 교체 작업에서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필터박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필터고정장치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필터고정장치의 조임 해제상태를 보인 확대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필터박스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필터박스의 내부에 있는 필터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조임이 해제된 상태의 필터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10)의 외관을 본체(11)가 구성한다. 본체(11)의 내부 공간(12)에는 필터유닛(20)이 설치된다. 필터유닛(20)의 좌측에는 필터유닛(20)을 고정시켜주고 필터들 사이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한 필터고정장치(40)가 구비된다. 필터유닛(20)의 우측에는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본체(11)의 좌측에는 흡입구(13)가 형성되고 본체(11)의 우측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된다. 흡입구(13)와 배출구(14)에는 각각 덕트(미도시)가 연결된다. 흡입구(13)를 통해 외부 공기가 필터박스(10)의 내부로 유입되며, 필터박스(10)의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필터유닛(20)을 차례로 통과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배출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본체(11)의 측면에는 상기 내부공간(12)의 일부를 개방 또는 차폐하기 위한 도어(16)가 구비된다. 도어(16)의 하부는 본체(11)와 힌지로 연결되어 회동하여 열리며, 도어(16)의 상부는 도어체결구(18)에 의해 본체(11)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도어(16)를 열면 필터유닛(20)과 필터고정장치(40)가 노출되므로 필터유닛(20)의 교체작업이 수월해진다.
도어(16)가 개방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필터유닛(20)은 프리필터(21), 미듐필터(23), 헤파필터(25)로 이루어진다.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필터유닛(20)을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다.
내부공간(12)에 있는 필터고정장치(40)는 필터유닛(20)을 고정시켜주는데, 동시에 프리필터(21), 미듐필터(23), 헤파필터(25)를 서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터유닛(20)이 서로 밀착되면 이들 사이의 틈새를 없앨 수 있다. 필터유닛(20)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여과되지 않은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공기 오염도를 높이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 것이다.
도 3과 4를 중심으로 필터고정장치(4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필터고정장치(40)는 푸쉬클램프(41)와 지그(48)를 포함한다. 푸쉬클램프(41)는 회전축(42)을 중심으로 레버(43)를 회전시킴에 따라 바(45)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푸쉬클램프(41)가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공간(12)의 저면에 2개, 상면에 2개 설치되어 있다.
지그(48)는 푸쉬클램프(41)의 바(45)가 밀어주는 힘을 필터유닛(20)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그(48)는 필터유닛(20)의 진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횡단면이 'ㄷ' 자 모양이다. 상기 지그(48)는 상기 바(45)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필터유닛(20)과 면접촉이 가능하다. 또한 지그(48)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판(49a)과 제2판(49b)을 가지고 있다.
도 3과 같이 푸쉬클램프(41)의 바(45)는 상기 지그(48)의 제1판(49a)을 관통함으로써 위치가 고정된다. 제1판(49a)을 관통한 바(45)의 끝단에는 고무재질의 푸쉬탭(46)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푸쉬탭(46)이 상기 지그(48)의 제2판(49b)에 압박을 가한다. 지그(48)의 제2판(49b)은 프리필터(21)의 상단과 하단에 면접촉함으로써 프리필터(21)를 미듐필터(23) 쪽으로 밀착시켜준다.
본 실시예에서 지그(48)는 내부공간(12)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푸쉬클램프(41)가 지그(48)의 양 단부를 밀어주도록 되어 있는데 푸쉬클램프(41)를 더 많이 설치해도 무방하다.
한편, 푸쉬클램프(41)의 레버(43)를 도 3과 같이 세우면, 레버(43)가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레버(43)의 일측이 바(45)를 밀어줌으로써 바(45)가 필터유닛(20) 방향으로 전진하며, 푸쉬탭(46)이 지그(48)의 제2판(49b)에 압력을 가하여 필터유닛(20) 사이의 밀착을 견고하게 유지해준다.
필터유닛(20)의 교체나 수리가 필요할 때에는 푸쉬클램프(41)의 레버(43)를 도 4와 같이 눕혀준다. 그러면 바(45)가 후퇴하여 푸쉬탭(46)의 압박이 제거된다. 푸쉬탭(46)이 더이상 지그(48)의 제2판(49b)을 압박하지 않으므로 제2판(49b)이 필터유닛(20)으로부터 분리되어 필터유닛(20)을 꺼낼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 이와 같이 푸쉬클램프(41)의 레버(43)를 뒤로 젖히기만 하면 필터유닛(20)을 바로 꺼낼 수 있으므로 필터유닛(20)의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유닛(20)의 교체가 완료되면 다시 푸쉬클램프(41)를 도 3과 같은 상태로 만들어 필터(21, 23, 25)들을 서로 밀착시켜주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해 필터유닛(20)의 둘레 또는 필터(21, 23, 25)들 사이 틈새로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필터유닛(20)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만들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그(48)의 제2판(49b)과 필터유닛(20) 사이 즉, 서로 밀착되는 부근에 완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서, 필터유닛(20)을 구성하는 필터가 1개있고, 이러한 필터가 본체(11) 내부의 플랜지와 맞닿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는 필터고정장치(40)를 조작하여 필터를 본체(11)의 내부 플랜지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필터와 플랜지 사이의 틈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필터유닛(20)의 구성 즉 프리필터(21), 미듐필터(23), 헤파필터(25)는 그 종류와 갯수에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0: 필터박스 11: 본체
12: 내부공간 13: 흡입구
14: 배출구 16: 도어
18: 도어 체결구 20: 필터유닛
21: 프리필터 23: 미듐필터
25: 헤파필터 40: 필터고정장치
41: 푸쉬클램프 42: 회전축
43: 레버 45: 바
46: 푸쉬탭 48: 지그
49a: 제1판 49b: 제2판

Claims (5)

  1. 내부공간(12)을 가지며 흡입구(13)와 배출구(14)가 형성되는 본체(11);
    상기 내부공간(12)에 설치되는 필터유닛(20);
    상기 필터유닛(20)과 면접촉이 가능한 지그(48);
    레버(43)의 조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상기 지그(48)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바(45)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지그(48)는 상기 내부공간(12)의 상면과 하면중 전부 또는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45)가 관통하는 제1판(49a)과 상기 바(45)의 끝단이 닿는 제2판(49b)을 가지며,
    상기 바(45)가 전진하면 바(45)의 끝단이 제2판(49b)을 밀고 제2판(49b)이 필터유닛(20)에 압력을 가해 필터유닛(20)의 틈새가 제거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48)는 상기 바(45)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레버(43)와 바(45)가 상기 지그(48)의 양쪽 단부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2)의 일부를 개방시켜 상기 필터유닛(20)과 레버(43)에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16)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6)의 하단은 상기 본체(11)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도어(16)의 상단은 상기 본체(11)에 도어체결구(18)에 의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KR1020190039596A 2019-04-04 2019-04-04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KR20200117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96A KR20200117462A (ko) 2019-04-04 2019-04-04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96A KR20200117462A (ko) 2019-04-04 2019-04-04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462A true KR20200117462A (ko) 2020-10-14

Family

ID=7284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96A KR20200117462A (ko) 2019-04-04 2019-04-04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4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34B1 (ko) 2020-11-25 2021-05-03 이강휘 압력손실을 최소화한 공조기용 필터
KR102442471B1 (ko) * 2021-04-26 2022-09-13 주식회사 지아이 필터 밀착식 공기청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621Y1 (ko) 2005-05-12 2005-08-05 박병덕 필터박스의 필터지지 구조
KR200462527Y1 (ko) 2012-02-28 2012-09-14 주식회사 코리스에어 디오피 헤파필터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621Y1 (ko) 2005-05-12 2005-08-05 박병덕 필터박스의 필터지지 구조
KR200462527Y1 (ko) 2012-02-28 2012-09-14 주식회사 코리스에어 디오피 헤파필터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34B1 (ko) 2020-11-25 2021-05-03 이강휘 압력손실을 최소화한 공조기용 필터
KR102442471B1 (ko) * 2021-04-26 2022-09-13 주식회사 지아이 필터 밀착식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9284B1 (en) Filter housing
US8062402B2 (en) Filter holding frame with clamping mechanism
KR102147597B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KR20200117462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박스
US7332012B2 (en) Multi-stage filtering apparatus
BR102016004591B1 (pt) peneira de poeira giratória para uma unidade de resfriamento de um veículo, unidade de resfriamento e veículo agrícola
DE112014004862T5 (de) Durch Überdruckluftstromgebläse betriebene Filtrationsvorrichtung
KR102234146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기 순환 장치
KR102200729B1 (ko)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2318416B1 (ko) 공기정화장치 창문설치방법
JP2013155909A (ja) 空気調和装置用フィルタボックス
KR20060119368A (ko) 필터부가 구비된 공조장치용 공기 통과장치
JP2010038389A (ja) 換気装置
KR200326892Y1 (ko) 공기 정화장치
KR101186846B1 (ko)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DE202019106106U1 (de) Absauganlage für verunreinigte Luft
JP7365473B1 (ja) 空気清浄機および空気清浄機の設置構造
DE102020123101B4 (de) Absauganlage für verunreinigte Luft
CN220287655U (zh) 一种洁净厂房通风装置
KR100527357B1 (ko) 흡입구를 개폐하는 공기청정기
JPH06277429A (ja) 空気清浄用フィルタ装置
JP2003047817A (ja) フィルタユニット
JPH04113141A (ja) クリーンルーム
JP2006263652A (ja) 空調フィルタユニット
KR20160043311A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