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255A -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 Google Patents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255A
KR20200117255A KR1020190039115A KR20190039115A KR20200117255A KR 20200117255 A KR20200117255 A KR 20200117255A KR 1020190039115 A KR1020190039115 A KR 1020190039115A KR 20190039115 A KR20190039115 A KR 20190039115A KR 20200117255 A KR20200117255 A KR 20200117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face mask
chin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720B1 (ko
Inventor
채훈
안서현
Original Assignee
채훈
안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훈, 안서현 filed Critical 채훈
Priority to KR102019003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72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61C7/065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with a chin c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3Assessment of subject's compliance to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어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상악 또는 하악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장력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외부의 리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에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본체와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아가 페이스 마스크를 착용하면, 연결부재가 치아에 장착된 장치에 연결되고, 연결부재의 장력에 의해 제1 감지부에서 착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페이스 마스크의 착용 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FACE MASK FOR CORRECTION OF MALOCCLUSION}
본 발명은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정교합을 교정할 때, 사용자의 안면에 장착하여,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는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대인관계가 중요시되는 사회생활에서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주는 요소 중 하나이다. 정상적인 치열은 저작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음식물을 잘 소화시키고,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치열이 덧니, 공간, 과잉치, 결손치, 치아의 형태 이상, 치아의 위치 이상 등이나 상악이 하악에 비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정교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정교합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정교합이 있는 경우, 치열을 교정할 필요가 있으며,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정교합이 우리나라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편이다. 이러한 형태의 부정교합의 교정은 성장하는 소아에게만 치료가 가능하고, 부정교합의 교정을 위한 장치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진 상태에 있다.
이런 장치는, 주로 페이스 마스크를 상악 또는 하악에 고정시킨 프레임에 고무줄 등을 걸어 교정을 수행하며, 하루에 12시간 내지 18시간 동안 착용한 상태에서, 대략 1년 이상을 지속해야 효과가 있다.
그렇지만, 소아에게만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아가 하루에 12시간 내지 18시간 동안 착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소아가 착용하였는지 지속적으로 관찰이 필요하지만, 이 역시 장시간 동안 관찰하는 것 또한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64765호 (2013.01.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7753호 (2016.10.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아가 부정교합의 교정을 위해 페이스 마스크를 착용상태 및 착용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어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상악 또는 하악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장력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외부의 리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에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본체와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어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상기 얼굴의 턱에 접촉되는 턱 지지부; 상기 턱 지지부와 이격되며, 상기 얼굴의 이마에 접촉되는 이마 지지부; 상기 턱 지지부와 이마 지지부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 및 상기 턱 지지부와 이마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걸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악 또는 하악에 고정된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에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한 범위가 설정되어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본체와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리시버에는, 상기 본체와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시간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걸이부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수직하게 배치된 걸이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이지지대와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걸이지지대가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대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턱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턱 지지부와 상기 사용자 턱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이마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마 지지부와 상기 사용자 이마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에는, 상기 제2 및 제3 감지부에서 접촉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걸이부와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부 및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걸이부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1 감지부 및 통신부에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아가 페이스 마스크를 착용하면, 연결부재가 치아에 장착된 장치에 연결되고, 연결부재의 장력에 의해 제1 감지부에서 착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페이스 마스크의 착용 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감지부에서 페이스 마스크의 착용 상태에 대한 신호를 리시버로 전송하여, 리시버를 통해 페이스 마스크의 착용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소아의 부정교합 교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제1 감지부에서 연결부재에 걸린 장력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리시버로 전송하여, 소아가 실제로 페이스 마스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페이스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및 제3 감지부를 통해 페이스 마스크가 사용자의 턱 및 이마에 각각 턱 지지부 및 이마 지지부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하고, 제2 및 제3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태에서, 제1 감지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리시버에서 확인할 수 있어, 소아가 실제로 페이스 마스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의 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의 턱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의 이마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에서 감지된 연결부재의 장력의 세기를 통해 사용자가 페이스 마스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에서 감지된 착용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100)는, 턱 지지부(110), 이마 지지부(120), 걸이부(130), 수직지지대(140), 연결부재(150), 제1 감지부(162), 제2 감지부(164), 제3 감지부(166), 통신부(170), 배터리(180), 스위치(19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페이스 마스크(100)의 본체는, 턱 지지부(110), 이마 지지부(120), 걸이부(130), 수직지지대(140) 및 연결부재(150)를 포함한다.
턱 지지부(110)는, 페이스 마스크(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턱을 지지한다. 턱 지지부(110)의 형상은 볼록한 턱의 형상에 따라 오목한 부분을 갖는 3차원의 타원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턱 지지부(110)의 오목한 내측면은 턱과 접촉되며, 턱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기 위해 스펀지나 우레탄 등의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겠지만, 턱 지지부(110)의 오목한 내측에 제2 감지부(16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마 지지부(120)는, 페이스 마스크(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이마를 지지한다. 이마 지지부(120)의 형상은 볼록한 이마의 형상에 따라 오목한 부분을 갖는 3차원의 타원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마 지지부(120)의 오목한 내측면은 이마와 접촉되고, 이마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기 위한 스펀지나 우레탄 등의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마 지지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턱 지지부(110)보다 3차원의 오목한 형상이 상대적으로 완만할 수 있으며, 이마 지지부(120)의 크기가 턱 지지부(11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그리고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겠지만, 이마 지지부(120)의 오목한 내측에 제3 감지부(16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마 지지부(120)의 외측면에는 간격 조정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조정부(122)는 걸이부(130)가 관통할 수 있으며, 걸이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 조정부(122)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간격 조정부(122)는 걸이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 조정부(12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이마 지지부(120)와 턱 지지부(110) 간의 이격된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걸이부(130)는, 턱 지지부(110) 및 이마 지지부(1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얼굴에서 일정 간격이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수직지지대(140)에 결합된다. 걸이부(130)는 수직지지대(140)에서 수직지지대(1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지지대(140)에 결합된다. 또한, 걸이부(130)에는 수직지지대(140)가 배치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걸이지지대(132)가 결합된다.
즉, 수직지지대(140)는 후술하겠지만, 얼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걸이지지대(132)는, 얼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걸이지지대(132)는 걸이부(130)를 관통하여 걸이부(130)에 결합되며, 걸이부(130)를 사이에 두고 걸이지지대(132)의 양측에 각각 두 개의 연결부재(150)가 걸릴 수 있다.
수직지지대(140)는, 얼굴상의 이마부터 코와 입을 지나 턱까지 이르는 구간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대략 아치 형상을 가지는 바(bar) 형상을 가진다. 즉, 수직지지대(140)의 양단에 각각 턱 지지부(110) 및 이마 지지부(120)가 배치되고, 수직지지대(140)의 일단에 턱 지지부(110)가 결합되고, 타단에 이마 지지부(120)의 간격 조정부(122)가 결합된다.
연결부재(150)는, 걸이지지대(132)에 일단이 걸리고, 타단이 상악(upper jaw) 또는 하악(lower jaw)에 설치된 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은 상악궁 또는 하악궁에 고정되고, 연결부재(150)가 걸리는 걸이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150)는 탄성이 있는 고무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해 프레임을 수직지지대(140)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악궁 또는 하악궁에 고정된 프레임에 수직지지대(140)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됨에 따라 상악궁 또는 하악궁이 수직지지대(140) 방향으로 복원력이 가해져 서서히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지지대(132)에 일단이 연결되는데, 걸이부(130)를 사이에 두고 걸이지지대(132)의 양측에 각각 걸리도록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연결부재(150)는 각각 타단이 프레임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연결부재(150)의 복원력으로 인해 걸이지지대(132)는 인체의 얼굴을 향한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고, 걸이지지대(132)에 작용되는 복원력은 수직지지대(140)를 통해 턱 지지부(110) 및 이마 지지부(120)에도 작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의 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130)는 걸이지지대(132)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1 감지부(162)가 배치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에 통신부(170), 배터리(180) 및 제어부(2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에 스위치(1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감지부(162)는 본 실시예에서, 얼굴 방향으로 걸이지지대(132)에 연결부재(150)의 복원력이 가해질 때, 걸이지지대(132)와 접촉하여 걸이지지대(132)에 가해진 복원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감지부(162)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부(162)는 걸이지지대(132)에 가해진 복원력의 크기를 측정한다.
제1 감지부(162)는 걸이지지대(132)에 가해진 복원력이 클수록 제1 감지부(162)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짐에 따라 큰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제1 감지부(162)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아짐에 따라 작은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제1 감지부(162)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는 통신부(170)로 전송된다.
통신부(170)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으며, 제1 감지부(162)에서 수신된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신호를 리시버(300)로 전송한다. 즉, 통신부(170)는 리시버(300)와 통신을 통해 리시버(300) 측으로 제1 감지부(162)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70)는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여 리시버(300) 측으로 전송한다.
배터리(180)는 제1 감지부(162), 제2 감지부(164), 제3 감지부(166), 통신부(170), 스위치(190) 및 제어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배터리(180)는 1차 전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2차 전지가 이용될 수도 있다.
스위치(190)는 걸이부(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감지부(162),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감지된 정보가 통신부(170) 측으로 전송되고, 통신부(170)에서 리시버(3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스위치(190)를 on하면, 제1 감지부(162),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감지된 신호가 통신부(170)를 거쳐 리시버(3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스위치(190)를 off하면, 제1 감지부(162),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며, 또한, 배터리(18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감지부(162), 제2 감지부(164), 제3 감지부(166), 통신부(170), 배터리(180) 및 스위치(190)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배터리(180)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고, 통신부(170)에서 리시버(300)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리시버(30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이나 PC 등일 수 있으며, 통신부(170)와 통신을 통해 제1 감지부(162),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장치가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리시버(300)는 통신부(170)에서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가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의 턱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의 이마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턱 지지부(110)의 오목한 내측면에 제2 감지부(164)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감지부(164)는, 턱 지지부(110)가 얼굴의 턱에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예컨대, 제2 감지부(164)는 압력 센서나 적외선 센서 또는 접촉 센서일 수 있으며, 턱 지지부(110)의 오목한 내측면이 턱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2 감지부(164)는 턱 지지부(110)가 턱에 접촉되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신호를 통신부(170)를 통해 리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마 지지부(120)의 오목한 내측면에 제3 감지부(166)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감지부(166)는, 이마 지지부(120)가 얼굴의 이마에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예컨대, 제3 감지부(166)는 압력 센서나 적외선 센서 또는 접촉 센서일 수 있고, 이마 지지부(120)의 오목한 내측면이 이마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3 감지부(166)는 이마 지지부(120)가 이마에 접촉되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신호를 통신부(170)를 통해 리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각각 턱 지지부(110) 및 이마 지지부(120)가 턱 및 이마에 접촉된 것을 감지하고, 제1 감지부(162)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통신부(170)를 통해 리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감지부(162),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발생된 신호가 리시버(300)로 그대로 전송되고, 리시버(300)에서 제1 감지부(162),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에서 감지된 연결부재의 장력의 세기를 통해 사용자가 페이스 마스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50)의 장력의 세기를 제1 감지부(162)를 통해 측정하고, 측정된 장력의 크기를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표시하여, 페이스 마스크(100)가 정상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되고, 연결부재(150)가 정상적으로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50)의 일 측이 걸이지지대(132)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악에 고정된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감지부(16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50)의 복원력인 장력에 의해 걸이지지대(132)가 제1 감지부(162)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여 통신부(170)를 통해 리시버(300)로 전송된다. 따라서 리시버(300)에서 제1 감지부(162)에서 출력된 압력을 시간에 따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부(162)에서 감지된 압력에 대해 정상적으로 페이스 마스크(100)가 얼굴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범위(T1 ~ T2)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감지부(162)에서 감지되는 최저 압력 값(T1)과 최대 압력 값(T2)을 설정하고, 해당 범위 내에 제1 감지부(162)에서 감지된 신호가 리시버(300)로 전송되는지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부(162)에서 감지된 신호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페이스 마스크(1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한 안내가 리시버(3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감지부(162)에서 감지된 신호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이 지속되는 경우, 사용자가 페이스 마스크(1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1 감지부(162)에서 감지된 신호가 설정된 범위 내의 신호가 수신되면, 페이스 마스크(100)가 정상적으로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제1 감지부(162)에서 감지된 신호가 설정된 범위 내의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되더라도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페이스 마스크(100)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은 것을 판단될 수 있다.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은, 턱 지지부(110) 및 이마 지지부(120)가 사용자의 턱 및 이마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렇게 턱 지지부(110) 및 이마 지지부(120)가 사용자의 턱 및 이마에 정상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면, 페이스 마스크(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페이스 마스크(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정상적으로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리시버(300)는 사용자가 페이스 마스크(1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리시버(300)는 사용자가 페이스 마스크(100)를 착용한 시간을 산정할 때, 제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감지부(162)에서 감지된 압력에 대한 신호를 범위를 설정하고, 시간에 따라 범위 내의 신호가 리시버(300)로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가 소아이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100)를 얼굴에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걸이지지대(132)에 인위적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연결부재(150)를 당겨 제1 감지부(162)에서 압력이 감지되도록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제2 감지부(164) 및 제3 감지부(166)에서 신호를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감지부(162)에서 감지된 압력에 대한 신호가 범위 내의 신호가 수신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제1 감지부(162)에 압력이 감지되도록 조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페이스 마스크(100)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인위적으로 데이터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마스크에서 감지된 착용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리시버(300)는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하루에 사용자가 페이스 마스크(100)를 착용한 시간을 합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시버(300)는, 최소 사용시간(W)을 넘는 시간 동안 착용한 일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일자에 페이스 마스크(100)를 착용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나 부모 등의 관리자는 사용자인 소아가 페이스 마스크(100)를 얼마나 정상적으로 착용하고 있는지를 관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페이스 마스크
110: 턱 지지부
120: 이마 지지부
122: 간격 조정부
130: 걸이부
132: 걸이지지대
140: 수직지지대
150: 연결부재
162: 제1 감지부
164: 제2 감지부
166: 제3 감지부
170: 통신부
180: 배터리
190: 스위치
200: 제어부
300: 리시버

Claims (8)

  1.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어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상악 또는 하악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장력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외부의 리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에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본체와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나타나는 페이스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어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상기 얼굴의 턱에 접촉되는 턱 지지부;
    상기 턱 지지부와 이격되며, 상기 얼굴의 이마에 접촉되는 이마 지지부;
    상기 턱 지지부와 이마 지지부를 연결하는 수직지지대; 및
    상기 턱 지지부와 이마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걸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상악 또는 하악에 고정된 프레임을 연결하는 페이스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에는,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한 범위가 설정되어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본체와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페이스 마스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에는, 상기 본체와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시간이 나타나는 페이스 마스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수직하게 배치된 걸이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걸이지지대와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걸이지지대가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페이스 마스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턱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턱 지지부와 상기 사용자 턱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이마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마 지지부와 상기 사용자 이마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제3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페이스 마스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에는, 상기 제2 및 제3 감지부에서 접촉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걸이부와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 나타나는 페이스 마스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부 및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걸이부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1 감지부 및 통신부에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페이스 마스크.
KR1020190039115A 2019-04-03 2019-04-03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KR10217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15A KR102172720B1 (ko) 2019-04-03 2019-04-03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15A KR102172720B1 (ko) 2019-04-03 2019-04-03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55A true KR20200117255A (ko) 2020-10-14
KR102172720B1 KR102172720B1 (ko) 2020-11-02

Family

ID=7284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115A KR102172720B1 (ko) 2019-04-03 2019-04-03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7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206U (ko) * 1996-08-29 1998-06-05 김한술 치열교정용 마스크
US20120148970A1 (en) * 2010-12-08 2012-06-14 Karen Kassap Cushion Comfort Cushion System for use with Orthodontic Protraction Face Masks: The Naomi Pillow
KR200464765Y1 (ko) 2010-05-28 2013-01-21 차순규 구외교정장치
KR101667753B1 (ko) 2015-11-16 2016-10-20 김은지 치아 교정장치
JP2017524504A (ja) * 2014-07-25 2017-08-31 ミリョラーティ,マルコ 歯列矯正用の顎外牽引装置
KR101864311B1 (ko) * 2016-11-16 2018-06-05 김병국 Iii 급 부정교합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206U (ko) * 1996-08-29 1998-06-05 김한술 치열교정용 마스크
KR200464765Y1 (ko) 2010-05-28 2013-01-21 차순규 구외교정장치
US20120148970A1 (en) * 2010-12-08 2012-06-14 Karen Kassap Cushion Comfort Cushion System for use with Orthodontic Protraction Face Masks: The Naomi Pillow
JP2017524504A (ja) * 2014-07-25 2017-08-31 ミリョラーティ,マルコ 歯列矯正用の顎外牽引装置
KR101667753B1 (ko) 2015-11-16 2016-10-20 김은지 치아 교정장치
KR101864311B1 (ko) * 2016-11-16 2018-06-05 김병국 Iii 급 부정교합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720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92865A (ja) マウス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装置
NZ604214A (en) Headgear assembly for a respiratory mask assembly
US20170215993A1 (en) Orthodontic extraoral traction appliance
US20170035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ruxism
CA3132235A1 (en) Adaptation system for oral appliance
US20230210687A1 (en) Oral appliance
US11399919B2 (en) Sensor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wearing duration of orthodontic elastics
KR102172720B1 (ko) 부정교합 교정을 위한 페이스 마스크
WO2022158673A1 (ko) 투명교정장치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JP7145371B2 (ja) マウスピース固定用ヘッドギア、及びマウスピース固定用ヘッドギアの製造方法
US20170345274A1 (en) Neck posture recording and warning device
CN208388850U (zh) 眼罩
WO2018076088A1 (pt) Dispositivo intrabucal para geração de percepção de contato, método de aplicação de dispositivo intrabucal, e método de determinação de espessura de um dispositivo intrabucal
CN219332135U (zh) 一种尺寸可调式正畸头帽
EP3370660A1 (en) Oral appliance
CN212659314U (zh) 一种智能矫形器的压力监测仪
CA2958238A1 (en) Oral appliance
CN103810816A (zh) 一种婴儿呕奶监测器
CN209899621U (zh) 用于前牙反颌矫正的前方牵引器
KR102250162B1 (ko)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CN214966899U (zh) 一种方便穿带的精神科患者防咬舌装置
CN105266908A (zh) 一种颈后牵引式口腔矫正器具
CN210443277U (zh) 一种健康状况监测管理装置
CN219089299U (zh) 一种脊柱侧弯矫正智能支具
CN219462443U (zh) 口面肌功能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