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196A -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 Google Patents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196A
KR20200117196A KR1020190038980A KR20190038980A KR20200117196A KR 20200117196 A KR20200117196 A KR 20200117196A KR 1020190038980 A KR1020190038980 A KR 1020190038980A KR 20190038980 A KR20190038980 A KR 20190038980A KR 20200117196 A KR20200117196 A KR 20200117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n
towing
linear structure
point
s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혁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196A/ko
Publication of KR20200117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로 개선되는 선미 선형에 의해 예인력 향상과 더불어 좌우동요(sway), 선수동요(yaw motion) 저감으로 인한 예인 비용 절감과 예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선미쳐올림 구간에서 수직한 선미면과 수평한 선저면을 이어주는 선미경사면이 포함되어 형성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로서, 수직한 선미면과 수평한 선저면이 만나는 선미부 중심선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향해 거리를 갖는 L1 지점과; 상기 L1 지점에서 선미경사면의 측면 선단 및 선미부 선측면과 만나는 형태의 선미측경사면이 이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stern linear structure with towing stability improved floating 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로 개선되는 선미 선형구조에 의해 예인력 감소와 더불어 좌우동요(sway), 선수동요(yaw motion) 저감으로 인한 예인 비용 절감과 예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부유된 채 작업을 수행하는 부유체로는 예를 들면, FPSO(Oil-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SRU(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U(Floating Proating Unit) 등을 비롯한 다양한 부유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해상 구조물 및 부유체들은 자체 추진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정된 작업 해역으로 이동시키는 예인선에 의해 지정된 작업 해역으로 예인된다.
위와 같이 예인선을 이용하여 해상구조물이 예인될 경우,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에 따라 좌우동요(sway), 선수동요(yaw motion)가 발생하면서 예인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예인 안정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측에 판 부착, 선저/선측에 스케그(skeg) 부착, 선미에 추진기 장착 등의 부가물을 구비시키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부가물의 부착 및 장착으로 인해 추가적인 작업 수행은 물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앞서 소개된 부가물의 부착이나 추진기의 장착은 모두 해상구조물이 예인 완료된 후 이를 운영하는 동안 환경 하중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부가물의 제거에 따른 많은 추가 비용 발생과 별도의 작업 수행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부가물의 제거 시에는 해상구조물의 도장 면에 대한 손상이 불가피하여 부식 방지를 위한 도장처리 작업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 및 작업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91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256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2847호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로 개선되는 선미 선형구조에 의해 예인력 감소와 더불어 좌우동요(sway), 선수동요(yaw motion) 저감으로 인한 예인 비용 절감과 예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미쳐올림 구간에서 수직한 선미면과 수평한 선저면을 이어주는 선미경사면이 포함되어 형성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로서, 수직한 선미면과 수평한 선저면이 만나는 선미부 중심선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을 향해 거리를 갖는 L1 지점과; 상기 L1 지점에서 선미경사면의 측면 선단 및 선미부 선측면과 만나는 형태의 선미측경사면이 형성되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미측경사면이 시작되는 L1 지점과 중심 간에 거리는 폭을 기준으로 30% ~ 50% 범위에 포함되는 길이를 L1 지점과 중심 간 거리로 설정하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미경사면은 수직한 선미면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는 수직한 선미 가상선과 수평한 선저면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는 수평한 선저 가상선이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 거리를 갖는 L2 지점에서 시작되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꼭지점과 L2 지점 간에 거리는 해상구조물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5% 미만에 포함되는 길이를 L2 지점과 꼭지점 간 거리로 설정하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를 적용하게 되면, 개선된 선미 선형에 의해 예인력 감소와 더불어 좌우동요(sway), 선수동요(yaw motion) 저감으로 인한 예인 비용 절감과 예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배경기술에서 제기된 제반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이하, 선미 선형구조로 칭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부(10)는 기본적으로 수직한 선미면(12)과 수평한 선저면(14) 및 이를 이어주는 선미경사면(16)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선형 구조로 설계된다.
또한, 수직한 선미면(12)과 수평한 선저면(14)을 이어주는 선미쳐올림 구간(18)은 선미부 중심선(20)의 중심(W)에서 앞서 언급한 선미경사면(16)과 선미부 선측면(22)으로 향하는 선미측부경사면(24)을 가지는 선형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미측부경사면(24)은 선미경사면(16)과 수평한 선저면(14)이 만나는 선미부 중심선(20)의 중심(W)으로부터 폭(S1) 방향으로 이격된 L1 지점에서 선미경사면(16)의 측면 선단 및 선미부 선측면(22)과 경사를 이루며 만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선미측부경사면(24)이 시작되는 L1 지점과 중심(W) 간에 거리(d1)는 폭(S1)을 기준으로 30% ~ 50% 범위에 포함되는 길이를 L1 지점과 중심(W) 간에 거리(d1)로 설정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미쳐올림 구간(18)에서 선미경사면(16)은 수직한 선미면(12)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는 수직한 선미 가상선(C1)과, 수평한 선저면(14)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는 수평한 선저 가상선(C2)이 만나는 꼭지점(P)에서 수평한 선저 가상선(C2)과 수평한 선저면(14)이 만나는 L2 지점으로부터 선미경사면(16)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꼭지점(P)과 L2 지점 간에 거리(d2)는 해상구조물의 전체길이(S2)를 기준으로 5% 미만에 포함되는 길이를 L2 지점과 꼭지점(P) 간에 거리(d2)로 설정된다 (도 1 참조).
참고로, 앞서 설정된 바와 같이 선미측부경사면(24)이 시작되는 L1 지점에 대한 설정과, 선미경사면(16)이 시작되는 L2 지점에 대한 설정이 벗어나는 경우, 예인 안정성 대한 모의 시험을 해본 결과, 좌우동요(sway), 선수동요(yaw motion)에 대해 예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앞서 설명한 설정보다 크게 발생하여 예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를 만족할 경우, 배경기술에 제기된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예인력 향상과 더불어 좌우동요(sway), 선수동요(yaw motion) 저감으로 인한 예인 비용 절감과 예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선미부
12 : 수직한 선미면
14 : 수평한 선저면
16 : 선미경사면
18 : 선미쳐올림 구간
20 : 선미부 중심선
22 : 선미부 선측면
24 : 선미측부경사면
W : 중심
S1 : 폭
d1, d2 : 거리
C1 : 수직한 선미 가상선
C2 : 수평한 선저 가상선
P : 꼭지점
S1 : 폭
S2 : 전체길이

Claims (4)

  1. 선미쳐올림 구간(18)에서 수직한 선미면(12)과 수평한 선저면(14)을 이어주는 선미경사면(16)이 형성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로서,
    수직한 선미면(12)과 수평한 선저면(14)이 만나는 선미부 중심선(20)의 중심(W)으로부터 폭(S1) 방향을 향해 거리(d1)를 갖는 L1 지점과;
    상기 L1 지점에서 선미경사면(16)의 측면 선단 및 선미부 선측면(22)과 만나는 형태로 선미측부경사면(24)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미측부경사면(24)이 시작되는 L1 지점과 중심(W) 간에 거리(d1)는 폭(S1)을 기준으로 30% ~ 50% 범위에 포함되는 길이를 L1 지점과 중심(W) 간 거리(d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3.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있어서,
    선미경사면(16)은 수직한 선미면(12)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는 수직한 선미 가상선(C1))과, 수평한 선저면(14)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는 수평한 선저 가상선(C2)이 만나는 꼭지점(P)으로부터 거리(d2)를 갖는 L2 지점에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꼭지점(P)과 L2 지점 간에 거리(d2)는 해상구조물의 전체길이(S2)를 기준으로 5% 미만에 포함되는 길이를 L2 지점과 꼭지점(P) 간 거리(d2)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KR1020190038980A 2019-04-03 2019-04-03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KR20200117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980A KR20200117196A (ko) 2019-04-03 2019-04-03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980A KR20200117196A (ko) 2019-04-03 2019-04-03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96A true KR20200117196A (ko) 2020-10-14

Family

ID=7284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980A KR20200117196A (ko) 2019-04-03 2019-04-03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1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5912A (zh) * 2023-07-14 2023-08-15 中国海洋大学 海上浮式结构物远距离拖航的模拟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847A (ko) 2004-12-24 2006-06-28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선미 레이크부에 하이드로포일 스케그가 형성된 바지선 및그 하이드로포일 스케그구조
KR20110092564A (ko) 2010-02-09 2011-08-1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스케그의 최적화 형상
KR20160069112A (ko) 2014-12-08 2016-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부유체용 스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847A (ko) 2004-12-24 2006-06-28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선미 레이크부에 하이드로포일 스케그가 형성된 바지선 및그 하이드로포일 스케그구조
KR20110092564A (ko) 2010-02-09 2011-08-1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스케그의 최적화 형상
KR20160069112A (ko) 2014-12-08 2016-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부유체용 스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5912A (zh) * 2023-07-14 2023-08-15 中国海洋大学 海上浮式结构物远距离拖航的模拟方法
CN116595912B (zh) * 2023-07-14 2023-10-13 中国海洋大学 海上浮式结构物远距离拖航的模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9442A2 (en) Foreship and ship vessel therewith
CA3058041C (en) Vessel hull for use as a hu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and/or processing plant
KR102356489B1 (ko) 개선된 선체 형상을 갖는 선박
KR20200117196A (ko) 예인 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미 선형구조
NO309463B1 (no) Skrogform av et isbrytende skip
SG173942A1 (en) Marine structure having azimuth propulsion devices
US5575230A (en) Tug boat for escort towing and/or harbor use
US20200361569A1 (en) A mooring system
US20170361904A1 (en) Bionic high holding power anchor
US7063036B2 (en) System for connecting buoyant marine bodies
KR20160069112A (ko) 해양부유체용 스케그
CN205186470U (zh) 一种弧形海底格栅
KR101512692B1 (ko) 해양구조물의 터렛 지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150004186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CN203332347U (zh) 混合式趸船定位结构
US20180093741A1 (en) Articulating tug barge hull
KR102124700B1 (ko) 예인 안전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형구조
CN102963509A (zh) 30万干船坞并联建造船只出坞的牵引方法
US10710679B2 (en) Inflatable motor boat with motor mount
CN110228570A (zh) 海上浮式生产储油船
KR20150129530A (ko) 해상구조물의 병렬 계류 시스템 및 병렬 계류방법
CA2306945C (en) Passive stabilizer for floating petroleum-production systems
EP2647564B1 (en) Floating vessel
US20220306244A1 (en) Split mooring system and methods for vessels
CN100402373C (zh) 艏部具有升降式横向推进装置的可侧推拖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