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900A -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900A
KR20200116900A KR1020207013937A KR20207013937A KR20200116900A KR 20200116900 A KR20200116900 A KR 20200116900A KR 1020207013937 A KR1020207013937 A KR 1020207013937A KR 20207013937 A KR20207013937 A KR 20207013937A KR 20200116900 A KR20200116900 A KR 2020011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transmission information
transmitted
processing circu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이링 쭈오
나 리
하오웨이 왕
타오 추이
위쉬앤 시에
쏭 왕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1278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장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현재 사용자 장비가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송신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를 수행하게 구성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현재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이다. 처리 회로는 또한 표시 정보가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도록 제어를 수행하게 구성되고, 표시 정보는 현재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를 중계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기지국 측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은 더 많은 기지국을 조밀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지국들의 배치는 높은 비용을 초래한다. 더욱이, 멀티-홉 중계(multi-hop relay)가 고려될 수 있다.
도 7은 중계기의 시나리오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1은 기지국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있는 반면, UE2는 기지국의 신호 커버리지 밖에 있다. 이 경우, UE2는 UE1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기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UE1은 중계 UE라고 지칭될 수 있고, UE2는 리소스 UE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소정 양태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간략한 요약이 후술된다. 이 요약은 본 개시내용에 대한 빠짐없이 철저한 요약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요약은 본 개시내용의 핵심 부분 또는 중요한 부분을 결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요약의 목적은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의 서문으로서, 간소화된 형태로 본 개시내용의 일부 개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송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현재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이다. 처리 회로는 다른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표시 정보는 현재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 측의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현재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이다. 본 방법은 다른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표시 정보는 현재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 정보를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다른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이다. 처리 회로는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표시 정보는 다른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 측의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 정보를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다른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이다. 본 방법은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표시 정보는 다른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측의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제1 사용자 장비를 통해 중계되는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정보는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측의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를 통해 중계되는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 정보는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매체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의해, 중계 송신의 지연이 감소된다.
본 개시내용은 이하의 도면들과 연계하여 주어지는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를 표시하기 위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도면들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며,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 예시하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이점을 예에 의해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의 무선 통신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의 무선 통신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의 무선 통신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중계기가 적용되는 시나리오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리소스 UE 및 중계 UE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9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의 시그널링 절차를 나타내고;
도 10은 리소스 UE 및 중계 UE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의 시그널링 절차를 나타내고;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gNB(5G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한 도면이나 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요소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도면들이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요소들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과 관련이 없거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컴포넌트 및 처리의 표시 및 설명은 명료성을 위해 도면 및 예시에서 생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처리 회로(110)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110)는 예를 들어, 특정 칩, 칩 그룹, 중앙 처리 장치(CPU)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처리 회로(110)는 수신 제어 유닛(111) 및 전송 제어 유닛(113)을 포함한다. 수신 제어 유닛(111) 및 전송 제어 유닛(113)이 도면에서 기능 블록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유닛들의 기능들은 전체로서 처리 회로(1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처리 회로(110) 내의 개별적인 실제 컴포넌트들에 의해 반드시 구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처리 회로(110)가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제어 유닛(111) 및 전송 제어 유닛(113)의 기능들은 다수의 처리 회로에 배포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처리 회로는 협력하여 기능들을 수행한다.
수신 제어 유닛(111)은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송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현재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이다. 송신 정보는 일부 나중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데이터로서 표현되고 있지만, 송신 정보는 제어 정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 장비는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현재 사용자 장비"는 상기 중계 UE에 대응하고, "다른 사용자 장비"는 상기 리소스 UE에 대응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중계 UE 측에 사용된다.
다음으로, 수신 제어 유닛(111)에 의해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가 도 7에 따른 시나리오의 예와 연계하여 예시된다. UE1이 UE2를 위한 중계기로서 선택된다고 가정하면, UE2는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의 일부 서브채널들 또는 캐리어들(또는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LBT(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고, 유휴 서브채널을 선택하여 선택된 유휴 서브채널에서 UE2의 업링크 송신 정보를 UE1에 전송할 수 있다.
UE1은 유휴 모드 동안 다양한 방식들로 다른 UE들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로서, UE1은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서 유휴 상태로부터 데이터 수신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고, UE2는 특정 타이밍에서 스케줄링 요청 또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로서, DRX(discontinuous reception)과 유사한 방법이 상기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은 본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제어 유닛(111)은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서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스케줄링 요청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E2는 웨이크업 신호를 UE1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이크업 신호는 UE2로부터의 스케줄링 요청과 등가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제어 유닛(111)은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UE2는 다양한 리소스 구성 방식으로 송신 정보를 UE1에 전송할 수 있다.
예로서, UE2는 무승인 송신 방법(grant-free transmission method)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2는 리소스 풀(resource pool)로부터 리소스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리소스 풀은 예를 들어, 미리 구성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제어 유닛(111)은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송신 정보를 리소스 풀로부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소스 풀은 미리 구성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UE2에 의해 사용되는 리소스는 UE1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UE2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승인(SL 승인) 시그널링을 통해 결정된 리소스를 통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회로(110)는 또한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통신 리소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결정된 리소스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승인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 장비는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표시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전송 제어 유닛(113)은 다른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표시 정보는 현재 사용자 장비가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예로서, 표시 정보는 1 비트(0/1)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은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 장비가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하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고, 이 경우, 다른 사용자 장비는 다른 중계 디바이스들을 선택할 필요가 있으며; 0은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 장비가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하도록 표시할 수 있고, 이 경우, 다른 사용자 장비는 중계 디바이스를 재선택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정보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표시 정보의 전송 프로세스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 시나리오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 장비는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다른 사용자 장비의 최대 점유 시간(MCOT)을 공유함으로써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2는 다양한 리소스 구성 방식으로 송신 정보를 UE1에 전송할 수 있다. UE1이 UE2로부터 송신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2에 의해 취득된 통신 리소스에 대한 UE2의 MCOT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UE1은 통신 리소스를 사용하여 MCOT에 상기 표시 정보를 UE2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UE1은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표시 정보, 예를 들어, 25us LBT(Type 2 LBT)를 전송하기 전에 통신 리소스에 대한 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예에서의 UE1에 대응하는) 현재 사용자 장비가 (상기 예에서의 UE2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 장비는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전송 제어 유닛(113)은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조건은 현재 사용자 장비의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 현재 사용자 장비 자체가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갖는다는 조건;
b) 현재 사용자 장비의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다는 조건; 및
c)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의 가용 버퍼 용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는 조건.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가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중계에 대해 더 큰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에, 다른 사용자 장비는 다른 중계 디바이스들을 선택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고, 그에 의해 중계 프로세스의 총 지연을 감소시킨다.
상기 결정 프로세스는 UE1이 UE2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검출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UE1이 UE2에 중계기를 공급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UE2가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2는 송신 정보의 UE1에의 전송을 중단하고 다른 중계 디바이스를 선택(경로 재선택)할 수 있다.
한편, UE1이 UE2에 중계기를 공급하는 경우, 예시적인 중계 송신의 프로세스는 특정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아래에 예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의 수신 시에 현재 사용자 장비가 현재 사용자 장비의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한 경우에, 다른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정보는 현재 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완료시에 전송된다.
도 8은 UE1이 UE2 로부터 송신 정보를 검출할 때 UE1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한 경우의 데이터 송신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UE1 자체는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갖고, UE2로부터의 송신 정보는 UE1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완료시에 전송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그 자신의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UE2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는 UE1의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완료시에 전송될 것이다.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의 수신 시에 현재 사용자 장비가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다른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Msg3에서 전송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중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UE2로부터의 송신 정보의 수신 시에 UE1이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즉, UE1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UE1은 UE2로부터 기지국에 즉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연을 더욱 줄이고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UE1은 조기에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Msg3에서 UE2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는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간략히 설명된다.
도 9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사용자 장비 UE와 기지국 BS 사이의 시그널링 상호작용의 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먼저, UE는 제1 메시지 Msg1을 BS에 전송하고, Msg1은 예를 들어,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Msg1은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의 애플리케이션에서 NPRACH(narrow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BS는 제2 메시지 Msg2를 UE에 전송하고, Msg2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UE는 제3 메시지 Msg2를 BS에 전송하고, 제3 메시지는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요청, RRC 접속 재확립 요청, RRC 접속 복구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BS는 제4 메시지 Msg4를 UE에 전송하고, Msg4는 예를 들어, 조기 경합 해결, RRC 접속 셋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UE와 BS 사이에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Msg1보다는) Msg3을 통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은 주로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들에 기초한다: PRACH 리소스의 제한은 작고; 업링크 동기화가 잘 보장될 수 있고; UE 식별, 제어 정보 및 페이로드 데이터가 잘 수용될 수 있고; 충돌 확률이 실질적으로 증가되지 않으며; 리소스들의 사용 효율은 실질적으로 감소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업링크 데이터가 Msg3에서 전송될 것이라는 것을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프리앰블에 표시된다.
또한, Msg3 내의 송신 블록의 크기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Msg2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UE1이 UE2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검출할 때, UE1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시작하지 않는 경우의 데이터 송신의 예를 도시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Msg1에서 전송되는 NPRACH 프리앰블은 Msg3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지를 표시하기 위해 2가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Msg1이 전송되기 전에, UE1은 Msg3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지에 기초하여 NPRACH 프리앰블의 대응하는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Msg3 내의 상이한 송신 블록 크기(TBS)가 허용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편리한 TBS(예를 들어, 88 비트) 및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TBS(예를 들어, 88 비트보다 큰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검출된 NPRACH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TBS 값을 설정하고 UE에게, 예를 들어, Msg2에서의 설정된 TBS 값을 통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이 UE2의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완료하기 전에 UE1의 업링크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UE1은 UE2의 업링크 데이터가 송신된 후에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에서 UE1의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프로세스의 전체 흐름이 예시된다.
단계 S1102에서, UE2는 송신 정보를 UE1에 전송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기지국 BS이다.
단계 S1104에서, UE1은 UE1이 UE2의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공급할 것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정보를 UE2에 전송한다.
UE1이 중계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 UE2는 중계 프로세스(도 10에 도시되지 않음)를 재선택할 수 있다.
UE1이 중계를 공급하는 경우에, 단계 S1106에서, UE1 및 BS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업링크 데이터 송신은 단계 S1108에서 수행된다.
상기 예시적인 프로세스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 장비(UE2)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장비 또는 커버리지의 에지에 위치하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나리오에서, UE2는 기지국의 신호 커버리지 밖에 있고, 이것은 UE2가 기지국에 직접 접속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도 7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나리오에서, UE2는 기지국의 신호 커버리지의 에지에 있으며, 이것은 UE2가 기지국에 직접 접속할 수 있더라도 접속 품질이 낮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SINR(Signal Interference Noise Ratio)이 낮고, 접속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없다.
상기 2개의 경우에서, UE2는 UE1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UE1 및 UE2)는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을 위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협대역 사물 인터넷이 UE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드문 메시지 및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설계되어, UE는 높은 비용 효율 및 낮은 전력 소비를 달성할 수 있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의 하나의 목적은 실내 신호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것이다(예를 들어, 20dB만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2.4GHz 주파수 대역과 같은 채택된 주파수 대역의 송신 특성들로 인해 강한 커버리지 성능이 달성될 수 없다. 또한, 최소 신뢰성 서비스의 추가는 커버리지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의 커버리지 영역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은 더 많은 기지국을 배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높은 비용을 초래하고, 그에 의해 협대역 사물 인터넷의 경제적 경쟁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에서 협대역 사물 인터넷에 대한 멀티-홉 중계가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의해, 중계 송신의 지연이 감소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기 설명들에서, 일부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이 또한 개시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다음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전술된 세부사항들을 반복하지 않고 예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210에서,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송신 정보는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현재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이다.
단계 S220에서, 표시 정보는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표시 정보는 현재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예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이 미리 결정된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현재 사용자 장비 자체는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갖는다는 조건;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의 데이터량은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다는 조건; 및
현재 사용자 장비의 가용 버퍼 용량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는 조건.
중계기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UE1) 측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또한, 소스 사용자 장비(예를 들어, UE2) 측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추가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소스 사용자 장비 측에 대한 실시예들은 대응하는 세부사항들을 반복하지 않고 예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300)는 처리 회로(310)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310)는 전송 제어 유닛(311) 및 수신 제어 유닛(313)을 포함한다.
전송 제어 유닛(311)은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 정보를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다른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이다.
수신 제어 유닛(313)은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표시 정보는 다른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제어 유닛(313)은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제어 유닛(311)은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서 스케줄링 요청 및/또는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제어 유닛(311)은 웨이크업 신호를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제어 유닛(311)은 리소스 풀로부터 선택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 정보를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제어 유닛(311)은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시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소스 사용자 장비 측)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방법은 단계 S410 및 단계 S420을 포함한다.
단계 S410에서, 송신 정보는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다른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이다.
단계 S420에서,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표시 정보가 수신되고, 표시 정보는 다른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또한, 기지국 측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공된다. 다음으로, 기지국 측에 대한 실시예들은 대응하는 세부사항들을 반복하지 않고 예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의 전자 디바이스(500)는 처리 회로(510)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510)는 수신 제어 유닛(511)을 포함한다.
수신 제어 유닛(511)은 제1 사용자 장비를 통해 중계되는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정보는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회로(510)는 제1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Msg3에서 송신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회로(510)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Msg2에서, Msg3 내의 송신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의 무선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방법은 단계 S610을 포함한다. 단계 S610에서, 제1 사용자 장비를 통해 중계되는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가 수신된다. 송신 정보는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제1 사용자 장비는 표시 정보를 제2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추가로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 측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기지국 측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추가로 제공된다.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트랜시버 디바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 예로서, 상기 방법들의 다양한 단계들 및 상기 장치들의 다양한 모듈들 및/또는 유닛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의해 구현하는 경우에, 상기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들이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전용 하드웨어 구조(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범용 컴퓨터(1200))를 갖는 컴퓨터에 설치된다. 컴퓨터는 다양한 타입의 프로그램과 함께 설치될 때 다양한 타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 중앙 처리 장치(CPU)(1201)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202)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들 또는 저장 섹션(1208)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203)로 로드된 프로그램들에 따라 다양한 타입들의 처리를 수행한다. CPU(1201)가 다양한 타입들의 처리를 수행할 때 요구되는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RAM(1203) 내에 또한 저장된다. CPU(1201), ROM(1202) 및 RAM(1203)은 버스(1204)를 통해 서로 링크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05)는 또한 버스(1204)에 링크된다.
다음의 컴포넌트들이 입출력 인터페이스(1205)에 링크된다: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입력 섹션(1206), (음극선관(CRT) 및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및 라우드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 섹션(1207),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저장 섹션(120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예를 들어, LAN 카드, 및 모뎀 등을 포함하는) 통신 섹션(1209). 통신 섹션(1209)은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통신 처리를 수행한다. 드라이버(1210)는 또한 필요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205)에 링크될 수 있다. 착탈식 매체(1211)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자기-광 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가 필요에 따라 드라이버(121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착탈식 매체(1211)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필요에 따라 저장 섹션(1208)에 설치된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위에 설명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들은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저장 매체 예를 들어, 착탈식 매체(1211)로부터 설치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도 12에 도시한 착탈식 매체(1211)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와 떨어져 분산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착탈식 매체(1211)의 예들로서는: (플로피 디스크(등록 상표)를 포함한) 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및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 광 디스크, (MD(mini disc)(등록 상표)를 포함한) 광자기 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가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ROM(1202) 내에 포함된 하드 디스크 및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저장 섹션(1208)일 수 있다. 저장 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함께 사용자에게 배포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머신 판독가능한 명령어 코드를 저장한 프로그램 제품이 추가로 제공된다. 머신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때, 명령어 코드는 머신으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머신 판독가능한 명령어 코드를 저장한 프로그램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저장 매체가 본 개시내용에 따라 추가로 제공된다. 저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저장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또한, 다음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가 기지국 측을 위한 것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대형 eNB 및 소형 eNB 등의, 임의의 타입의 진화된 노드 B(eNB)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형 eNB는 피코 eNB, 마이크로 eNB 및 홈(펨토) eNB 등의, 대형 셀보다 작은 셀을 담당하는 eNB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NodeB 및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등의, 임의의 다른 타입의 기지국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바이스는 5Gsystem에서 gNB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기지국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되는)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바디; 및 바디와 상이한 위치들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원격 무선 헤드(RR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타입의 단말기들 각각은 기지국의 기능들을 일시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으로 수행함으로써 동작하는 기지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 장비 측을 위한 것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PC),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 모바일 라우터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자동차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등의) 차량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칩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모듈 등의) 상기 단말기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응용 예]
도 1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 폰(25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 폰(2500)은: 프로세서(2501), 메모리(2502), 스토리지(25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2504), 카메라(2506), 센서(2507), 마이크로폰(2508), 입력 장치(2509), 디스플레이 장치(2510), 스피커(25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2515), 하나 이상의 안테나(2516), 버스(2517), 배터리(2518), 및 보조 제어기(251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5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a chip)(SoC)일 수 있으며, 스마트 폰(2500)의 응용 계층 및 다른 계층의 기능들을 제어한다. 메모리(25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25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2503)는 반도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2504)는 메모리 카드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장치 등의 외부 장치를 스마트 폰(25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2506)는 전하 결합 디바이스(charge coupled device)(CCD) 및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CMOS)와 같은 영상 센서를 포함하고, 캡처된 영상을 발생한다. 센서(2507)는 측정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508)은 스마트 폰(2500)에 입력되는 사운드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장치(250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510)의 스크린 상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5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스크린을 포함하고, 스마트 폰(2500)의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2511)는 스마트 폰(25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기저 대역(BB) 프로세서(2513) 및 무선 주파수(RF) 회로(2514)를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2513)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를 수행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타입들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RF 회로(2514)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2516)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BB 프로세서(2513) 및 RF 회로(2514)가 통합된 칩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BB 프로세서(2513) 및 다수의 RF 회로(25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가 다수의 BB 프로세서(2513) 및 다수의 RF 회로(251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단일 BB 프로세서(2513) 또는 단일 RF 회로(25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셀룰러 통신 방식 외에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장 통신 방식,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방식과 같은 다른 타입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는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BB 프로세서(2513) 및 RF 회로(25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들(2515)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에 포함되는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들에 대한 회로들과 같은) 복수의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들(2516)의 접속 목적지들을 스위칭한다.
안테나(2516)들 각각은 단일의 또는 (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 등의)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스마트 폰(25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안테나들(25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스마트 폰(2500)이 복수의 안테나(2516)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스마트 폰(2500)은 단일의 안테나(25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2500)은 각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안테나(25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스위치(2515)는 스마트 폰(25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버스(2517)는 프로세서(2501), 메모리(2502), 스토리지(25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2504), 카메라(2506), 센서(2507), 마이크로폰(2508), 입력 장치(2509), 디스플레이 장치(2510), 스피커(25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 및 보조 제어기(25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2518)는 도면에서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된 공급 라인을 통해 도 13에 나타낸 스마트 폰(2500)의 블록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제어기(2519)는 예를 들어, 수면 모드(sleep mode)에서, 스마트 폰(2500)의 최소한의 필요한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스마트 폰(2500)에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트랜시버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51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 또는 처리 회로의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의 유닛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2501) 또는 보조 제어기(2519)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518)의 전력 소비는 보조 제어기(2519)에 의해 프로세서(2501)의 기능들 중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1) 또는 보조 제어기(2519)는 메모리(2502) 또는 스토리지(2503)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 측 또는 처리 회로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의 유닛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의 응용 예]
도 14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g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gNB(2300)는 다수의 안테나(2310) 및 기지국 디바이스(2320)를 포함한다. 기지국 디바이스(2320) 및 각각의 안테나(2310)는 무선 주파수(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안테나(2310)들 각각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안테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 요소 등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기지국 디바이스(2320)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NB(2300)는 다수의 안테나(2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2310)는 gNB(23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될 수 있다.
기지국 디바이스(2320)는 제어기(2321), 메모리(23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를 포함한다.
제어기(2321)는 CPU 또는 DSP일 수 있고, 기지국 디바이스(2320)의 상위 계층들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23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를 통해 전달한다. 제어기(2321)는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바인딩(bind)하여 바인딩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바인딩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기(2321)는 다음과 같은 제어: 무선 리소스 제어, 무선 캐링 제어, 이동성 관리, 수락 제어 및 스케줄을 수행하기 위한 논리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어는 인접한 g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연계하여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23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제어기(23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단말기 목록,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 등의) 다양한 타입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는 기지국 디바이스(2320)를 코어 네트워크(2324)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23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gNB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gNB(2300)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gNB는 (S1 인터페이스 및 X2 인터페이스 등의) 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백홀 라인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라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비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에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 등의) 임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안테나(2310)를 통해 gNB(2300)의 셀에 위치한 단말기로의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2326) 및 RF 회로(2327)를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BB 프로세서(2326)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및 (L1, 매체 액세스 제어(MAC), 무선 링크 제어(RLC),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등의) 계층들의 다양한 타입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2321) 대신에, BB 프로세서(2326)는 상기 논리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BB 프로세서(23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이거나, 프로그램 및 관련된 회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BB 프로세서(2326)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모듈은 기지국 디바이스(2320)의 슬롯에 삽입된 카드 또는 블레이드(blade)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듈은 카드 또는 블레이드 상에 설치된 칩일 수도 있다. RF 회로(2327)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또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231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다수의 BB 프로세서(23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BB 프로세서(2326)는 gNB(23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과 호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다수의 RF 회로(23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RF 회로(2327)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와 호환될 수 있다. 도 14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가 다수의 BB 프로세서(2326) 및 다수의 RF 회로(2327)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는 단일 BB 프로세서(2326) 또는 단일 RF 회로(23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gNB(2300)에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트랜시버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32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 또는 처리 회로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의 유닛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기(23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321)는 메모리(232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 또는 처리 회로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의 유닛의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및/또는 예시된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결합되거나,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을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이란, 특징, 요소,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말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 또는 추가가 배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실시예들 및 예들에서, 숫자로 구성된 참조 번호는 다양한 단계 및/또는 유닛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설명 및 도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어떤 식으로든 순서나 제한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 따른 방법은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시간 순서대로 수행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시간 순서에 따라 병렬로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이 상기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의해 개시되었지만, 전술된 모든 실시예 및 예는 단지 개략적인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본 개시내용에 대한 다양한 변경, 개선 또는 균등물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경, 개선 또는 균등물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30)

  1.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송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임-;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함-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 자체가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갖는다는 조건;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의 데이터량은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다는 조건; 및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의 가용 버퍼 용량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최대 점유 시간을 공유함으로써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스케줄링 요청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송신 정보는 리소스 풀로부터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풀은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송신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표시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사이드링크 승인을 통해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표시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송신 정보의 수신시,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가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의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한 경우에,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의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완료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상기 송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송신 정보의 수신시,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가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송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Msg3에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상기 송신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Msg3에서 전송될 것이라는 것을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프리앰블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Msg2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Msg3 내의 송신 블록의 크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는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리지의 에지에 위치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을 위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7. 사용자 장비 측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함-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 자체가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갖는다는 조건;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의 데이터량은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다는 조건; 및
    상기 현재 사용자 장비의 가용 버퍼 용량은 제2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다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사용자 장비 측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송신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 정보의 목적지는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임-;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함-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서 스케줄링 요청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리소스 풀로부터 선택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정보를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표시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5. 사용자 장비 측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현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 정보를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른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 정보의 목적지는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기지국임-; 및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함-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기지국 측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제1 사용자 장비를 통해 중계되는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정보는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하는 전자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Msg3에서 상기 송신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Msg3 내의 송신 블록의 크기를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Msg2에 포함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9. 기지국 측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장비를 통해 중계되는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정보는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정보에 대한 중계를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제17항, 제18항, 제25항 또는 제29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07013937A 2018-02-08 2019-02-02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200116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27319.9 2018-02-08
CN201810127319.9A CN110139338A (zh) 2018-02-08 2018-02-08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PCT/CN2019/074547 WO2019154352A1 (zh) 2018-02-08 2019-02-02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900A true KR20200116900A (ko) 2020-10-13

Family

ID=6754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937A KR20200116900A (ko) 2018-02-08 2019-02-02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200296650A1 (ko)
EP (1) EP3716690A4 (ko)
KR (1) KR20200116900A (ko)
CN (2) CN110139338A (ko)
WO (1) WO2019154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449A (zh) * 2019-09-05 2019-10-25 智慧谷(厦门)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技术车联网的车辆通信管理平台及方法
US11877319B2 (en) * 2021-09-10 2024-01-16 Qualcomm Incorporated Repeater initiated channel occupancy time for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8183A1 (en) * 2004-12-28 2008-01-10 Keiichi Takagaki Communication Device, Storage Medium,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System
US8886113B2 (en) * 2008-12-30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ntrol of relay operation
JP5625998B2 (ja) * 2011-02-23 2014-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4030168A (ja) * 2012-06-27 2014-02-13 Murata Mach Ltd 中継通信システム、及び中継通信装置
CN103281695B (zh) * 2013-05-06 2015-11-25 西南交通大学 一种多跳中继网络频谱规划方法
WO2015005626A1 (ko) * 2013-07-09 201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기반의 릴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717714A (zh) * 2013-12-17 2015-06-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由信息发送、接收的方法、装置及路由信息处理系统
WO2015098667A1 (ja) * 2013-12-26 2015-07-02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端末装置の中継転送参加方法および端末装置の中継転送招待方法
WO2015160157A1 (ko) * 2014-04-13 2015-10-22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성 기반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10277A1 (ko) * 2014-07-18 2016-01-21 주식회사 케이티 비면허대역 셀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EP3253174B1 (en) * 2015-01-27 2019-02-20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and unlicensed frequency candidate determination method thereof
JP2018513632A (ja) * 2015-04-03 2018-05-24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ータ伝送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US10375722B2 (en) * 2015-05-14 2019-08-06 Intel Corporation Reduction of concurrent signaling in a relay user equipment (UE)
WO2017010767A1 (ko) * 2015-07-12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503945B2 (ja) * 2015-07-13 2019-04-2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並列計算機システム、ファイルサーバ通信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サーバ通信方法
DE112015006819T5 (de) * 2015-08-20 2018-05-03 Intel IP Corporation Maschinentypkommunikationsweiterleitung
WO2017078783A1 (en) * 2015-11-06 2017-05-11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via sidelink
CN106792610B (zh) * 2016-12-19 2019-08-23 中国人民解放军国防信息学院 一种短波无线协同方法
EP3549364B1 (en) * 2016-12-21 2021-02-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quality of service differentiation method for distributed network-assisted frame based equipment compliant user equipment cooperation in unlicensed spectrum
CN107018547B (zh) * 2017-03-16 2019-07-26 中南大学 一种基于带外d2d多跳中继的蜂窝下行吞吐量优化方法
US11219054B2 (en) * 2017-05-05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Relaying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1165488B2 (en) * 2017-11-08 2021-11-0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internet of things relay data re-transmission
BR112020015011A2 (pt) * 2018-01-24 2021-01-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s para transmitir dados do usuário em um uplink e para permitir que um equipamento de usuário transmita dados do usuário em um uplink, dispositivos sem fio para transmitir dados do usuário em um uplink, estações de base para permitir que um equipamento de usuário transmita dados do usuário em um uplink, programa de computador, e, portadora contendo o programa de computad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96650A1 (en) 2020-09-17
WO2019154352A1 (zh) 2019-08-15
CN111201812A (zh) 2020-05-26
EP3716690A1 (en) 2020-09-30
CN110139338A (zh) 2019-08-16
US20220295374A1 (en) 2022-09-15
EP3716690A4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84849B (zh)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1997716B2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2470505A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566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 및 무선 통신 방법
US2022004670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220295374A1 (en) Electronic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422139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radio communic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2335296A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02425B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65150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10547014A (zh)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RU27332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4175343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9756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512686B (zh)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15039424A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108370A1 (zh)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