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880A - 플렉서블 버스바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버스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6880A KR20200116880A KR1020200126072A KR20200126072A KR20200116880A KR 20200116880 A KR20200116880 A KR 20200116880A KR 1020200126072 A KR1020200126072 A KR 1020200126072A KR 20200126072 A KR20200126072 A KR 20200126072A KR 20200116880 A KR20200116880 A KR 202001168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ctor
- terminal portion
- plate
- bus bar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이 적합하지 않은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이 편리하며, 충분한 허용 전류 확보가 용이하고, 발열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서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이 적합하지 않은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이 편리하며, 충분한 허용 전류 확보가 용이하고, 발열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등의 전장공간은 구조가 복잡하고 협소하다. 전기자동차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일반 자동차에 사용되는 케이블에 비해 큰 통전 능력이 요구된다.
충분한 통전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직경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케이블의 두께가 증가되는 경우 전기자동차 전장공간(예컨대, 배터리 팩(Battery Pack)) 내의 협소하고 복잡한 공간 내에서 필요한 굴곡성 또는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 내부의 전자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도시한다.
도 7(a)와 같이, 케이블의 길이가 어느 정도 확보되는 경우에는 케이블을 변형시켜 절곡부(C)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절곡부(C)를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소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은 케이블 자체가 전기자동차를 구성하는 전자 기기에 접속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체결부 역할을 수행하는 접속단자(2)와 압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고, 접속단자(2)가 양 전자 기기의 단자부에 체결되어 양 전자 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의 두께 문제를 논외로 하여도 일반적인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양단에 유닛측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해야 하며, 별도의 접속단자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압착지그를 필요로 하고, 접속단자 개발을 위한 별도의 프레스 금형 등의 제조설비를 요하므로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전장공간 내에서 전기적 연결을 요하는 구성요소 사이의 길이는 통상적인 케이블의 양산 적합 길이보다 작으므로, 별도의 케이블을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은 비용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이 적합하지 않은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이 편리하며, 충분한 허용 전류 확보가 용이하고, 발열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석 도금된 동재질의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 양단 영역이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을 감싸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버스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도체부 중 상기 튜브부재에 의하여 피복된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부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체결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체결홀 형성 후 연마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재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에서는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판형 도체 간에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석 코팅된 동재질의 판형 도체를 적층하는 판형 도체 적층단계, 상기 판형 도체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판형 도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단자부를 용접하는 제1 단자부 용접단계, 상기 판형 도체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판형 도체의 양단 영역의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를 제외한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튜브부재로 피복하는 도체부 피복단계 및, 상기 판형 도체의 길이방향제2 단자부에 구비되는 제2 단자부를 용접하는 제2 단자부 용접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부 피복단계에서 피복된 도체부를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절곡시키는 도체부 절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 용접단계 후 용접된 적층된 판형 도체의 일단에 적어도 1개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제1 단자부 타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부 타공단계 후 타공된 적층된 판형 도체의 일단을 연마하는 제1 단자부 연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부 용접단계 후 용접된 제2 단자부에 적어도 1개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제2 단자부 타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부 타공단계 후 타공된 제2 단자부를 연마하는 제2 단자부 연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케이블 연결이 적합하지 않은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플렉서블 버스바의 양단 용접 부위가 허용 전류를 만족한다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지 않은 중간 부위는 전류 표면효과 등에 의하여 전류량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복수 개의 판형 도체의 양단만 용접되므로, 절곡부에서 판형 도체 간의 유격이 발생하여 전류량 증가에 따른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요구되는 굴곡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부품간의 간섭에 따른 별도의 부품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요구되는 굴곡성을 확보하면서도 버스바의 두께를 케이블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향상 및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케이블 접속의 경우와 달리 별도의 접속단자 등을 요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른 설비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접속 거리가 짧아 통상의 케이블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나 다양한 용량 또는 규격의 케이블을 필요로 하는 경우 최소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 과정 중 판형 도체 적층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1 단자부가 용접된 상태 및 용접된 제1 단자부가 타공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도체부가 피복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도체부 절곡단계가 수행된 본 발명에 따른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2 단자부가 용접된 상태 및 제2 단자부가 타공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조방법의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1 단자부가 용접된 상태 및 용접된 제1 단자부가 타공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도체부가 피복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도체부 절곡단계가 수행된 본 발명에 따른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2 단자부가 용접된 상태 및 제2 단자부가 타공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조방법의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버스바는 하나의 도체를 절곡시켜 구성될 수 있으나, 일반 케이블에 비해 통전 전류의 크기가 작다는 점 또는 발열이 크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일반적인 케이블의 경우 절곡이 어렵고 커넥터 등의 접속수단이 필요하다는 점은 이미 검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두꺼운 도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복수 개의 판형 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표면적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주석 도금된 동재질의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 양단 영역이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을 감싸는 튜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 과정 중 판형 도체 적층과정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를 적층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며, 도 1(b)는 적층된 판형 도체(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가 적층되어 제조된다.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판재 형태의 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얇고 긴 판형 도체(10)를 복수 개를 적층시켜 하나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구성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판형 도체(10)가 적층되어 사용되지만 판형 도체(10)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금속 도체에 교류 전류를 통전하는 경우, 표면 효과(Skin effect) 등에 따라 주파수가 높을 수록 표면 전류가 증가하게 되므로 금속 도체의 표면적이 클수록 최대 허용 전류도 함께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도체로 버스바를 구성하는 경우보다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를 사용하여 플렉서블 버스바를 구성하는 경우, 판형 도체의 개수에 따라 표면적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허용 가능한 통전 전류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판형 도체를 적층하여 플렉서블 버스바를 구성하는 경우, 적층되는 각각의 판형 도체의 두께 또는 폭을 변화시키면 다양한 용량 또는 규격의 버스바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1 단자부(130)가 용접된 상태 및 용접된 제1 단자부(130)가 타공된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제1 단자부(130)가 용접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b)는 제1 단자부가 타공된 상태를 도시한다.
적층된 판형 도체(100)는 그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제1 단자부(130) 및 제2 단자부(150)로 사용되고 양 단자부(130, 150) 사이에 도체부(110)로 구획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로 구성되지만 커넥터 역할을 수행하는 양단은 용접으로 일체화하여 단자부(130, 150) 형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를 구성하는 적층된 판형 도체(100)의 제1 단자부(130) 형성을 위하여 적층된 판형 도체(100)의 일단을 용접하는 제1 단자부 용접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의 양단이 각각 용접되어 제1 단자부(130) 및 제2 단자부(150)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양 단자부 사이의 도체부 영역은 접합되지 않은 상태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복되며, 절곡 여부와 무관하게 그 내부에 어느 정도의 유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유격은 도체부를 흐르는 전류에 의한 발열시 냉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절곡된 부분(절곡부 등)에서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 사이의 유격이 더 확보될 수 있으므로 발열 문제 해결에 더 효과적이다.
이는 용접된 단자부가 허용전류를 만족하게 된다면 용접되지 않은 도체부는 표면적 증대 및 냉각을 위한 유격을 구비하는 것이 되어 단일 도체로 구성된 버스바에 비해 피복된 도체부 영역에서의 과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양 단자부(130, 150)만 용접되고 양 단자부를 연결하는 도체부(110)는 용접 등으로 접합되지 않고 피복되는 영역이므로, 양 단자부(130, 15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가 양 단자부(130, 150)의 허용전류의 크기 이하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양 단자부(130, 150)를 연결하며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도체부는 내부에 유격도 존재하고 표면적도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허용 전류가 단자부에 비해 커서 발열에 의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단자부(130) 형성을 위한 제1 단자부 용접단계가 수행된 후 제1 단자부(130)의 체결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체결공(130h)을 형성하는 제1 단자부 타공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130)에 체결공(130h)를 형성하는 제1 단자부 타공단계가 수행된 뒤 거친 제1 단자부(130) 또는 타공부위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硏磨)하는 제1 단자부 연마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연마(硏磨)란 단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일련의 과정 이외에도 모따기, 길이 절단 등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마단계가 완료된 도 2(b)의 제1 단자부는 표면이 매끄러워지고, 모서리의 라운드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주변 부품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도체부가 피복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플렉서블 버스바의 적층된 판형 도체의 제1 단자부(130) 및 제2 단자부(150)는 용접, 타공 및 연마되어 커넥터 또는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될 것이므로 피복되지 않지만, 제1 단자부(130) 및 제2 단자부(150)를 연결하는 용접되지 않은 도체부(110)는 절연을 위하여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된 플렉서블 버스바는 물론 양 단자부(130, 150)가 용접되지만 양 단자부(130, 150) 중 어느 하나의 단자부를 용접하기 전에 용접되지 않은 단자부 방향에서 튜브부재(200)가 끼워져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복용 튜브부재(200)는 용접되지 않은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2 단자부(150) 방향에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만일 용접 및 타공된 판형 도체의 제1 단자부(130) 방향에서 튜브부재를 삽입한다면, 용접된 판형 도체의 제1 단자부의 타공 과정에서 발생된 날카로운 부분 등에 의하여 튜브부재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용접 등에 의하여 단자부의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튜브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용접 또는 타공되지 않은 제2 단자부(150) 방향에서 삽입된다.
상기 피복용 튜브부재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일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체는 고온에서 유연하게 되는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탄성체(elastomer)의 성질을 내는 고분자 재료이다.
열가소성 탄성체(TPE)는 보통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가공에 사용되는 여러 방법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가공 중에 생기는 찌꺼기를 다시 쓸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며, 가소제의 사용도 필요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열경화성(Thermoset) 고무에 비하여 비중이 낮으며,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사출성형(중공성형) 등의 생산성이 높은 가공기기 사용이 가능하여 딱딱한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의 부분적인 변화를 통해 제품생산의 다양화가 가능해서 부품설계가 용이하다. 열가소성 탄성체는 사용 조건하에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며, 성형조건하에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이 성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열경화성 탄성체를 사용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체부(110)를 절곡시켜 복수 개의 절곡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파손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튜브부재(200)는 열가소성 탄성체 이외의 연성 플라스틱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부재(200)는 판형 도체의 양단을 제외한 영역, 즉 단자부(130, 150)를 제외한 도체부(110)의 필요한 구간을 피복할 수 있다. 상기 구간은 제품 사양 또는 용도에 맞게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도체부 절곡단계가 수행된 본 발명에 따른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0)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1000)는 길이가 짧은 실시예와 길이가 긴 실시예 두 가지가 도시된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는 절곡 부위인 절곡부(c1, c2, c3)가 3개이며,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절곡부(c1 내지 c8)가 8개 존재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버스바(1000)를 설치하는 차량 전장부 내에서 높은 자유도를 가지며 절곡되어 전기적으로 모터, 베터리 또는 인버터 등의 전장부품 또는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플렉서블 버스바(1000)의 길이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게 구성하여 인접한 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구성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양 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부는 도체부 중 상기 튜브부재(200)에 의하여 피복된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판형 도체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나, 절곡부가 튜브부재(200)로 피복되면 벌어짐이 완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절곡부의 형상 및 절곡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이 다양한 형상과 방향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a)의 경우, 길이가 짧지만 별도의 커넥터 또는 접속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길이가 짧아도 밴딩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도 4(b)의 경우, 길이가 긴 경우 필요에 따라 절곡부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절곡 방향도 자유자재로 결정할 수 있다.
종래는 전장부 내의 양 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허용 전류에 따른 케이블 최소 직경이 존재하므로, 전장부 내부의 공간에 맞도록 최적화하여 케이블을 밴딩하는 것이 쉽지 않고, 연결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별도의 커넥터 연결을 위한 압착도 쉽지 않고 연결 길이 대비하여 접속부 구성방법이 비효율적이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버스바는 판형 도체를 적층시켜 이를 절곡하여 전장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연결이 가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회피하며 전장부 내부의 복잡한 경로로 배치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0)의 제2 단자부(150)가 용접된 상태 및 제2 단자부(150)가 타공된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제2 단자부(150)가 용접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5(b)는 용접된 제2 단자부(150)가 타공된 상태를 도시한다.
튜브부재(200)의 장착이 완료되고 필요한 부위를 절곡시킨 뒤 제2 단자부(150)를 용접하고, 용접된 제2 단자부(150)에 체결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체결공(150h)을 형성하는 제2 단자부 타공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거친 타공부위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는 제2 단자부 연마단계가 수행될 수 있음은 판형 도체의 제1 도체부(130)를 처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도 5에 도시된 제2 단자부 용접단계 및 제2 단자부 타공단계가 도 4에 도시된 도체부 절곡단계 후에 수행되는 이유는 판형 도체의 양단이 용접된 상태로 판형 도체를 절곡시키면, 절곡되는 방향에 따라 특정 판형 도체에 인가되는 장력의 편차가 커져 판형 도체 간의 마찰력이 증대되거나, 특정 판형 도체의 신장률의 편차에 따른 제품 불량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도체의 일단을 용접한 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로 도체부를 피복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된 도체부를 절곡시킨 뒤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2 단자부을 용접, 타공 및 연마하여 플렉서블 버스바를 완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조방법의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주석 코팅된 동재질의 판형 도체를 적층하는 판형 도체 적층단계(S100), 상기 판형 도체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판형 도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단자부를 용접하는 제1 단자부 용접단계(S200), 상기 판형 도체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판형 도체의 양단 영역의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를 제외한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튜브부재로 피복하는 도체부 피복단계(S500) 및, 상기 판형 도체의 길이방향 제2 단자부에 구비되는 제2 단자부를 용접하는 제2 단자부 용접단계(S70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버스바는 표면적이 증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은 상기 도체부 피복단계(S500)에서 피복된 도체부를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절곡시키는 도체부 절곡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용접된 판형 도체의 제1 단자부의 타공 과정에서 발생된 날카로운 부분 등에 의하여 튜브부재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용접 등에 의하여 단자부의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튜브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용접 또는 타공되지 않은 제2 단자부 방향에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2 단자부 용접단계(S700)는 도체부 절곡단계(S600)가 수행된 뒤에 수행될 수 있음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버스바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양단의 단자부를 모두 용접하지 않고, 하나의 단자부를 용접한 후 도체부를 자유롭게 요구되는 형상으로 절곡 성형한 후에 다른 하나의 단자부를 용접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유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부 용접단계(S200) 후 용접된 제1 단자부에 적어도 1개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제1 단자부 타공단계(S300)와 제1 단자부 타공단계(S300)가 수행된 뒤 타공된 제1 단자부를 연마하는 제1 단자부 연마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단자부 용접단계(S700) 후 용접된 제2 단자부에 적어도 1개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제2 단자부 타공단계(S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 타공단계(S800) 후 타공된 제2 단자부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2 단자부 연마단계(S9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0 : 플렉서블 버스바
100 : 적층된 판형 도체
110 : 도체부
130, 150 : 단자부
200 : 튜브부재
100 : 적층된 판형 도체
110 : 도체부
130, 150 : 단자부
200 : 튜브부재
Claims (13)
- 주석 도금된 동재질의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 양단 영역이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을 감싸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도체부 중 상기 튜브부재에 의하여 피복된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체결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체결홀 형성 후 연마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절곡부에서는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판형 도체 간에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 주석 코팅된 동재질의 판형 도체를 적층하는 판형 도체 적층단계;
상기 판형 도체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판형 도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단자부를 용접하는 제1 단자부 용접단계;
상기 판형 도체 적층단계에서 적층된 판형 도체의 양단 영역의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를 제외한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튜브부재로 피복하는 도체부 피복단계; 및,
상기 판형 도체의 길이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제2 단자부를 용접하는 제2 단자부 용접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 피복단계에서 피복된 도체부를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절곡시키는 도체부 절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 용접단계 후 용접된 적층된 판형 도체의 일단에 적어도 1개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제1 단자부 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 타공단계 후 타공된 적층된 판형 도체의 일단을 연마하는 제1 단자부 연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 용접단계 후 용접된 제2 단자부에 적어도 1개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제2 단자부 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 타공단계 후 타공된 제2 단자부를 연마하는 제2 단자부 연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072A KR20200116880A (ko) | 2020-09-28 | 2020-09-28 | 플렉서블 버스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072A KR20200116880A (ko) | 2020-09-28 | 2020-09-28 | 플렉서블 버스바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2483A Division KR20150101154A (ko) | 2014-02-26 | 2014-02-26 | 플렉서블 버스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6880A true KR20200116880A (ko) | 2020-10-13 |
Family
ID=7288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6072A KR20200116880A (ko) | 2020-09-28 | 2020-09-28 | 플렉서블 버스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6880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76654B2 (en) * | 2020-06-17 | 2022-10-18 | Yazaki Corporation | Single to multiple layer integral busbar structure |
KR20220151322A (ko) * | 2021-05-06 | 2022-11-15 | 오석환 | 방열절연튜브가 장착된 방열 버스바를 적용한 배전반 |
US11791597B2 (en) * | 2021-02-05 | 2023-10-17 | Aptiv Technologies (2) S.À R.L. | Flexible electrical bus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WO2023224233A1 (ko) | 2022-05-19 | 2023-11-2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부재가 구비된 플렉시블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WO2024090976A1 (ko) * | 2022-10-26 | 2024-05-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열폭주 전이를 지연시킬 수 있는 인터 모듈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
2020
- 2020-09-28 KR KR1020200126072A patent/KR202001168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76654B2 (en) * | 2020-06-17 | 2022-10-18 | Yazaki Corporation | Single to multiple layer integral busbar structure |
US11791597B2 (en) * | 2021-02-05 | 2023-10-17 | Aptiv Technologies (2) S.À R.L. | Flexible electrical bus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20151322A (ko) * | 2021-05-06 | 2022-11-15 | 오석환 | 방열절연튜브가 장착된 방열 버스바를 적용한 배전반 |
WO2023224233A1 (ko) | 2022-05-19 | 2023-11-2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부재가 구비된 플렉시블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KR20230161674A (ko) | 2022-05-19 | 2023-11-2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부재가 구비된 플렉시블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EP4300726A4 (en) * | 2022-05-19 | 2024-10-23 | Lg Energy Solution Ltd | FLEXIBLE BUS BAR COMPRISING A COVER ELEMENT CAPABLE OF PREVENTING CORROSION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
WO2024090976A1 (ko) * | 2022-10-26 | 2024-05-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열폭주 전이를 지연시킬 수 있는 인터 모듈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16880A (ko) | 플렉서블 버스바 | |
KR20150101154A (ko) | 플렉서블 버스바 | |
CN104885316B (zh) | 线束 | |
CN108496287B (zh) | 母线模块 | |
EP2683040A1 (en) | Bus-bar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US10236634B2 (en) | Electromagnetic shield member and electromagnetic shield member-equipped wiring device | |
JP5986812B2 (ja) | ワイヤハーネス | |
CN105655824B (zh) | 线束 | |
WO2012118047A1 (ja) | バスバー | |
JP6406023B2 (ja) | 電線、端子付電線及び端子付電線製造方法 | |
WO2015099070A1 (ja) | 電池配線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
CN104904084A (zh) | 线束 | |
JP2012080672A (ja) |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 |
JP2013135540A (ja) | ワイヤハーネス用中間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US20180075943A1 (en) | Exterior wiring harness and harness-equipped electrical device | |
US9888618B2 (en) | Shielded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EP2738775A1 (en) | High-voltage conduction path and wiring harness | |
CN110445280B (zh) | 定子端部连接组件及扁线电机 | |
WO2018166225A1 (zh) | 一种软母线及其制备方法 | |
KR101873066B1 (ko) | 퓨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JP2018185898A (ja) | 電線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 |
CN112334997A (zh) | 线束 | |
JP2012182051A (ja) | バスバー | |
US10395802B2 (en) |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 |
CN107408424B (zh) | 外装线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