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511A -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511A
KR20200116511A KR1020207025878A KR20207025878A KR20200116511A KR 20200116511 A KR20200116511 A KR 20200116511A KR 1020207025878 A KR1020207025878 A KR 1020207025878A KR 20207025878 A KR20207025878 A KR 20207025878A KR 20200116511 A KR20200116511 A KR 20200116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user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477B1 (ko
Inventor
빙 쑨
쥔런 창
쥔 천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하는 단계-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응답 메시지는 제1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됨 -; 및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2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는 단계- 제2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와 제2 셀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8년 2월 11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143194.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중 등록 기능을 갖는 단말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중 등록 기능을 갖는 단말기들 중에서, 단말기의 타입은 이중-수신 단일-송신 능력(dual-receive single-transmit capability)을 갖는다. 단말기는 동시에 2개의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지만, 한 번에 단 하나의 네트워크에서만 데이터 송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2개의 네트워크로 동시에 데이터 송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다.
이중-수신 단일-송신 능력을 갖는 단말기가 동시에 2개의 네트워크에 등록한 후에, 단말기가 제1 네트워크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제1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고 있다면, 제2 네트워크가 단말기를 페이징할 때, 단말기가 동시에 제2 네트워크의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고 제1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기존 표준에는 대응하는 사양이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이중-수신 단일-송신 능력을 갖고 동시에 2개의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말기가 2개의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없다. 이것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송신 실패를 야기하고 자원 낭비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측 사이의 데이터 송신 실패에 대한 문제 및 자원 낭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모듈;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프 온(camp on)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모듈;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및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응답 메시지는 제1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됨 -을 포함하고;
전송 모듈은 추가로 제2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제2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와 제2 셀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장치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사용자와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유지하고,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프 온(camp on)할 수 있게 할 때, 제2 사용자와 제2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기 전에,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은 제1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셀은 제1 사용자에 대한 무선 접속의 상태를 결정하고, 제1 셀은 더 이상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실패를 회피하고 자원 활용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장치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사용자와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유지하고,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프 온할 수 있게 할 때, 제2 사용자와 제2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기 전에,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은 제1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셀은 제1 사용자에 대한 무선 접속의 상태를 결정하고, 제1 셀은 더 이상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실패를 회피하고 자원 활용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응답 메시지는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스위칭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하고; 및
제1 통신 모듈은 추가로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응답 메시지가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셀에서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직접 결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태 스위칭 지연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제1 요청 메시지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진입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가 제1 셀에서 유지할 필요가 있는 상태를 표시하여, 네트워크 측이 제1 셀에서 무선 통신 장치의 상태를 비교적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수신 모듈이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1 통신 모듈은 추가로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서 미리 설정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미리 설정된 상태는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이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무선 통신 장치와 제1 셀 사이에서 교환되는 시그널링은 몇 개의 자원을 점유하고,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여, 제2 셀과의 무선 접속을 신속하게 확립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제2 셀에서 서비스를 확립하는 지연을 감소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을 포함하고;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서 다음의 서비스들:
응급 호출,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 모바일 착신-액세스(mobile terminate-access), 모바일 발신 시그널링, 모바일 발신 데이터, 지연 허용 액세스, 및 모바일 발신 음성 호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무선 통신 장치의 업링크 무선 주파수가 점유된다는 것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로 타이밍 모듈을 포함하고;
전송 모듈이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타이밍 모듈을 시작하고,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은 전송 모듈이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최소 간격 지속기간이다.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파수는 타이밍 모듈을 시작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시그널링 스톰(signaling storm)을 회피하고 시스템 자원 활용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로 카운팅 모듈을 포함하고, 카운팅 모듈은:
전송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들의 수량을 카운트하도록 구성되고;
전송 모듈은 카운팅 모듈에 의해 카운트된 값이 N보다 클 때 제1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N은 전송 모듈이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횟수의 최대값이고,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 보조 정보(UE Assistance Information) 시그널링이고, 제1 요청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접속 변경 요청 메시지(connection change request message)이고, 접속 변경 요청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 선호도(ConnectionPreference)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ConnectionAssistance)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RRC 접속 선호도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 정보 요소는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접속 해제 요청 메시지(connection release request message)이고, 접속 해제 요청 메시지는 RRC 접속 선호도(ConnectionPreference)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ConnectionAssistance)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RRC 접속 선호도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 정보 요소는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상태 변경 요청 메시지(state change request message)이고, 상태 변경 요청 메시지는 RRC 접속 선호도(ConnectionPreference)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ConnectionAssistance)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RRC 접속 선호도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 정보 요소는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응답 메시지는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해 구성된 업링크 송신 자원을 포함하고, 업링크 송신 자원은 제1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 또는 광 접속 상태로부터 제1 네트워크와의 송신을 복원할 때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다음 단계:
제1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진입할 수 있게 한 후에, 제1 통신 모듈이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를 계속 유지하고,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의 업링크 타이밍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다음 단계:
제1 통신 모듈이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복원하기 전에,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게 할 때,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사용자에 대해 저장된 업링크 타이밍 값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현재 업링크 타이밍 값 및 구성된 업링크 송신 자원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수신 모듈은 추가로: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전용 시그널링을 청취하도록 구성되고, 전용 시그널링은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사용자의 서비스 확립 요청, 페이징 요청, 또는 새로운 데이터 무선 베어러 확립 요청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전용 시그널링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전용 시그널링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전송 모듈이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하기 전에, 수신 모듈은 추가로: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페이징 메시지는 서비스 타입 표시 정보 또는 서비스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정보를 포함하고, 서비스 타입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저-레이턴시 서비스, 고-신뢰성 서비스, 또는 저-레이턴시와 고-신뢰성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이고, 서비스 QoS 정보는 서비스 서비스 품질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 QCI) 표시 정보, 서비스 레이턴시 요건 표시 정보, 및 서비스 신뢰성 요건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기가 제1 네트워크에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접속하고,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가 제2 네트워크에 제2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접속하고,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프 온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를 포함하고;
송수신기는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응답 메시지는 제1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되고;
송수신기는 추가로 제2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제2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와 제2 셀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장치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유지하고,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제2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캠프 온할 때, 제2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이 제2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확립되기 전에,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셀은 제1 사용자에 대한 무선 접속의 상태를 결정하고, 제1 셀은 더 이상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 실패를 회피하고 자원 활용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에서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접속 상태에 있고;
응답 메시지는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스위칭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하고;
프로세서는 추가로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응답 메시지는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셀에서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직접 결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태 스위칭 지연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에서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접속 상태에 있고;
제1 요청 메시지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진입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가 제1 셀에서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상태를 표시하여, 네트워크 측이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제1 셀 내에 있는 상태를 비교적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에서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접속 상태에 있고;
송수신기가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1 통신 모듈은 추가로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미리 설정된 상태는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을 포함하고;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서 다음의 서비스들:
응급 호출,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 모바일 착신-액세스(mobile terminate-access), 모바일 발신 시그널링, 모바일 발신 데이터, 지연 허용 액세스, 및 모바일 발신 음성 호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무선 통신 장치의 업링크 무선 주파수가 점유된다는 것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로 타이밍 모듈을 포함하고, 송수신기(503)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한 후에, 프로세서(501)는:
타이밍 모듈을 시작하고,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은 전송 모듈이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최소 간격 지속기간이다.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파수는 타이밍 모듈을 시작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시그널링 스톰(signaling storm)을 회피하고 시스템 자원 활용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카운팅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추가로:
카운팅 모듈의 카운트 값을 1만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고; 카운팅 모듈은 전송된 제1 요청 메시지들의 수량을 카운트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통신 장치는 카운팅 모듈에 의해 카운트된 값이 N보다 클 때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고, 여기서 N은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횟수의 최대값이고,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 보조 정보 시그널링이고, 제1 요청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접속 변경 요청 메시지(connection change request message)를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접속 변경 요청 메시지는 RRC 접속 선호도(ConnectionPreference)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ConnectionAssistance)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RRC 접속 선호도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 정보 요소는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및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응답 메시지는 접속 변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됨 -을 포함하고;
전송 모듈은 접속 확립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접속 확립 요청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접속 해제 요청 메시지(connection release request message)를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접속 해제 요청 메시지는 RRC 접속 선호도(ConnectionPreference)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ConnectionAssistance)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RRC 접속 선호도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 정보 요소는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및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응답 메시지는 접속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됨 -을 포함하고;
전송 모듈은 접속 확립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접속 확립 요청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상태 변경 요청 메시지(state change request message)를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상태 변경 요청 메시지는 RRC 접속 선호도(ConnectionPreference)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ConnectionAssistance) 정보 요소를 포함하고, RRC 접속 선호도 정보 요소 또는 RRC 접속 지원 정보 요소는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및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응답 메시지는 상태 변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됨 -을 포함하고;
전송 모듈은 접속 확립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접속 확립 요청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무선 통신 장치가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프 온할 수 있게 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셀에 전송하는 단계-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응답 메시지는 제1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됨 -; 및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2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는 단계- 제2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와 제2 셀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응답 메시지는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스위칭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하고;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제1 요청 메시지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진입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서 미리 설정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상태는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을 포함하고;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서 다음의 서비스들:
응급 호출,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 모바일 착신-액세스(mobile terminate-access), 모바일 발신 시그널링, 모바일 발신 데이터, 지연 허용 액세스, 및 모바일 발신 음성 호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무선 통신 장치의 업링크 무선 주파수가 점유된다는 것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타이밍 모듈을 시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은 전송 모듈이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최소 간격 지속기간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카운팅 모듈을 통해, 전송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들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카운팅 모듈에 의해 카운트된 값이 N보다 클 때 제1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 N은 전송 모듈이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횟수의 최대값이고, N은 0보다 큰 정수임 -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 보조 정보(UE Assistance Information) 시그널링이고, 제1 요청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응답 메시지는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해 구성된 업링크 송신 자원을 포함하고, 업링크 송신 자원은 제1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 또는 광 접속 상태로부터 제1 네트워크와의 송신을 복원할 때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방법은:
제1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진입할 수 있게 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가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를 계속 유지하고,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의 업링크 타이밍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복원하기 전에,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경우, 제1 사용자는 저장된 업링크 타이밍 값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거나, 현재 업링크 타이밍 값 및 구성된 업링크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전용 시그널링을 계속 청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전용 시그널링은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사용자의 서비스 확립 요청, 페이징 요청, 또는 새로운 데이터 무선 베어러 확립 요청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전용 시그널링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전용 시그널링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방법은: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페이징 메시지는 서비스 타입 표시 정보 또는 서비스 QoS 정보를 포함하고, 서비스 타입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저-레이턴시 서비스, 고-신뢰성 서비스, 또는 저-레이턴시와 고-신뢰성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이고, 서비스 QoS 정보는 서비스 QCI 표시 정보, 서비스 레이턴시 요건 표시 정보, 및 서비스 신뢰성 요건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에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고, 전술한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3 양태 또는 상기 제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를 저장한다. 컴퓨터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할 때, 컴퓨터는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판독하고 실행할 때, 컴퓨터는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한다. 칩은 메모리에 접속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한다. 칩은 메모리에 접속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 또는 구성 데이터를 판독 및 실행하여,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이 적용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다음은 본 명세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이동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진화된 롱 텀 에볼루션(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 및 미래의 통신 시스템, 및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이 적용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먼저 사용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이 적용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2)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103)는 2명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의 셀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의 셀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게 하고, 한명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의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다른 사용자가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의 셀에 캠프 온(camp on)할 수 있게 한다. 무선 통신 장치(103)는 이중-수신 단일-송신 능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3)는 동시에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101)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2)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논리적 개념이고, "사용자"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가입자 정보, 가상 SIM 카드, 또는 가입자 아이덴티티(예를 들어, 국제 이동 가입자 아이덴티티(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임시 이동 가입자 아이덴티티(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TMSI))에 대응할 수 있지만, 자연인 사용자, 물리적 단말기(모바일 폰)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측의 관점에서, 상이한 "사용자들"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서빙되는 상이한 통신 엔티티들에 논리적으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이중 등록 기능을 갖는 단말기는 네트워크 측에 대한 2개의 통신 엔티티들과 동등하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SIM 카드 또는 가입자 정보에 대응할 때, 네트워크 측은 상이한 SIM 카드 또는 상이한 가입자 정보를 갖는 2개의 단말기를 2개의 상이한 통신 엔티티로서 식별하거나, 또는 복수의 상이한 SIM 카드 또는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동일한 단말 디바이스를 복수의 상이한 통신 엔티티로서 식별하는데, 실제로 그렇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상이한 SIM 카드 또는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기는 단지 하나의 물리적 엔티티일 뿐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기일 수 있거나, 또는 칩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가 칩일 때, 무선 통신 장치는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 마스터 칩 또는 기저대역 모뎀(modem) 칩일 수 있고, 칩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가 단말기일 때,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 원격국(remote station), 원격 단말기, 이동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200)는 처리 모듈(201), 기저대역 모듈(202), 송수신기 모듈(203), 저장 모듈(204) 등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201)은: 주로 전체 무선 통신 장치(200)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기저대역 모듈(202)은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채널 코딩, 멀티플렉싱, 변조, 및 스펙트럼 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동시에 상이한 네트워크들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대응하여, 기저대역 모듈(202)은 제1 통신 모듈(2021) 및 제2 통신 모듈(20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모듈(2021)은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사용자와 연관된 프로토콜 스택 정보를 확립하며, 기타 등등을 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2021)은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즉, 단말기(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제1 네트워크에 제1 사용자의 식별로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통신 모듈(2022)은 제2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사용자와 연관된 프로토콜 스택 정보를 확립하며, 기타 등등을 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2022)은 단말기(또는 UE)가 제2 네트워크에 제2 사용자의 식별로서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 NR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제2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 NR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 모듈(201) 및 기저대역 모듈(202)은 개별적으로 독립적인 모듈들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모듈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처리 모듈(201) 및 기저대역 모듈(202)이 하나의 모듈로 결합될 때, 모듈은 처리 모듈(201) 및 기저대역 모듈(202)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기능을 갖고, 모듈은 독립적인 단말기, 독립적인 칩 등일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203)에 있고 전송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모듈은 전송 모듈(2031)로서 고려되고, 송수신기 모듈(203)에 있고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모듈은 수신 모듈(2032)로서 고려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기 모듈(203)은 송신 모듈(2031) 및 수신 모듈(2032)을 포함하고, 수신 모듈(2032)은 또한 수신기, 입력 인터페이스, 수신기 회로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고, 전송 모듈(2031)은 송신기 머신, 송신기, 출력 인터페이스, 송신기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코드를 통해 구현되는 기능 모듈들일 수 있거나, 또는 하드웨어 회로를 통해 구현되는 기능 모듈들,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함으로써 구현되는 기능 모듈들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 내의 제1 통신 모듈(2021)은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한 이후에 제1 사용자와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무선 접속은 제1 사용자가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는 것일 수 있고, 접속 상태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 상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 내의 제2 통신 모듈(2022)은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한 이후에 재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프 온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으므로, 제1 셀과 데이터 송신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고; 제2 네트워크에서 제2 셀에 캠프 온하고, 제2 셀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200)에 전송되는 페이징 시그널링과 같은 시그널링을 청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00)가 제2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도 3에 도시된 통신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01: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하고,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단계 301에서의 의미 또는 기능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는 대안적으로 제1 셀에서 무선 통신 장치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는 대안적으로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 302: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응답 메시지는 제1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303: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고, 제2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와 제2 셀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301 이전에, 가능한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셀에 의해 전송된 페이징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고, 페이징 시그널링은 제2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된다. 제2 셀의 페이징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단계 301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시그널링은 제2 네트워크에서 다음의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응급 호출(emergency);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highPriorityAccess);
모바일 착신-액세스(mobile terminate-Access, mt-Access);
모바일 발신 시그널링(mobile originatingSignaling, mo-Signaling);
모바일 발신 데이터(mobile originatingData, mo-Data)
지연 허용 액세스(delayTolerantAccess); 및
모바일 발신 음성 호출(mobile originatingVoiceCall, mo-VoiceCall).
물론, 전술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다. 페이징 시그널링은 대안적으로 제2 네트워크에서 다른 타입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를 페이징할 수 있다.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하나씩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페이징 시그널링은 서비스 타입 표시 정보 및 서비스 Qo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타입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메시지는 음성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저-레이턴시 서비스, 고-신뢰성 서비스, 또는 저-레이턴시와 고-신뢰성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이고, 서비스 QoS 정보는 서비스 QCI 표시 정보, 서비스 레이턴시 요건 표시 정보, 및 서비스 신뢰성 요건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페이징 시그널링이 무선 통신 장치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하도록 페이징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제1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 서비스의 것보다 더 높을 때, 단계 301 내지 303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301 내지 303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301 이전에, 다른 가능한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셀에 대한 서비스 확립 프로세스를 능동적으로 개시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단계 301 내지 303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제2 셀에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능동적으로 개시되는 서비스 확립 프로세스에서 확립될 서비스의 우선순위는 제1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 서비스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선택적으로, 단계 301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보조 정보(UE Assistance Information) 시그널링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계 302에서, 제1 셀에 의해 전송된 응답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 메시지, RRC 접속 해제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기존의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고,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는 제1 요청 메시지에 추가될 수 있고, 추가된 IE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네트워크에서 선호하는 상태를 표시하거나,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청 메시지는 기존의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36331 프로토콜에서의 UE 보조 정보 시그널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요청 메시지는 새롭게 추가된 IE: rrcConnectionPreference -r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UEAssistanceInformation-v1500-IEs ::= SEQUENCE {
...
rrcConnectionPreference -r15 SEQUENCE {
state-Preference-r15 State-Preference-r15 OPTIONAL,
} OPTIONAL
...
rlm-Report-r14 SEQUENCE {
rlm-Event-r14 ENUMERATED {earlyOutOfSync, earlyInSync},
excessRep-MPDCCH-r14 ENUMERATED
{excessRep1, excessRep2} OPTIONAL
} OPTIONAL,delayBudgetReport-r14 DelayBudgetReport-r14 OPTIONAL,
nonCriticalExtension SEQUENCE {} OPTIONAL
}
BW-Preference-r14 ::= SEQUENCE {
dl-Preference-r14 ENUMERATED {mhz1dot4, mhz5, mhz20 } OPTIONAL,
ul-Preference-r14 ENUMERATED {mhz1dot4, mhz5} OPTIONAL
}
...
}
rrcConnectionPreference -r15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네트워크에서 선호하는 상태(또는 RRC 상태라고 지칭됨)를 표시한다. 상이한 상태들과 연관된 값들은 상이하고, rrcConnectionPreference -r15의 값은 무선 통신 장치가 선호하는 상태와 연관된 값이다. 예를 들어, 비활성 상태와 연관된 값은 A이고, 광 접속 상태와 연관된 값은 B이고, 유휴 상태와 연관된 값은 C이고, 접속된 상태와 연관된 값은 D이다. 무선 통신 장치가 광 접속 상태를 선호할 때, 제1 요청 메시지에서 rrcConnectionPreference -r15의 값은 B이다.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UEAssistanceInformation-v1500-IEs ::= SEQUENCE {
...
rrcConnectionPreference -r15 SEQUENCE {
B
}
...
}
선택적으로, 제1 요청 메시지에서의 정보 요소 rrcConnectionPreference -r15는 대안적으로 다음의 정보 요소들 중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rrcConnectionPreference -r15 SEQUENCE {
state-Preference-r15 State-Preference-r15 OPTIONAL,
ul-Rf-Preference-r15 UL-RF-Preference-r15 OPTIONAL,
} OPTIONAL
또는 rrcConnectionPreference -r15 SEQUENCE {
ul-Rf-Preference-r15 UL-RF-Preference-r15 OPTIONAL,
} OPTIONAL
또는 rrcConnectionAssistance -r15 SEQUENCE {
state-Preference-r15 State-Preference-r15 OPTIONAL,
} OPTIONAL
또는 rrcConnectionAssistance -r15 SEQUENCE {
state-Preference-r15 State-Preference-r15 OPTIONAL,
ul-Rf-Preference-r15 UL-RF-Preference-r15 OPTIONAL,
} OPTIONAL,
}
또는 rrcConnectionAssistance -r15 SEQUENCE {
ul-Rf-Preference-r15 UL-RF-Preference-r15 OPTIONAL,
} OPTIONAL
또는 rrcConnectionReleaseRequest -r15 SEQUENCE {
state-Preference-r15 State-Preference-r15 OPTIONAL,
} OPTIONAL
또는 rrcConnectionReleaseRequest -r15 SEQUENCE {
state-Preference-r15 State-Preference-r15 OPTIONAL,
ul-Rf-Preference-r15 UL-RF-Preference-r15 OPTIONAL,
} OPTIONAL
또는 rrcConnectionReleaseRequest -r15 SEQUENCE {
ul-Rf-Preference-r15 UL-RF-Preference-r15 OPTIONAL,
} OPTIONAL
또는 State-Preference-r15 ::= SEQUENCE {
state ENUMERATED {idle, inactive, light, maintenance/connected } OPTIONAL
}
또는 UL-RF-Preference-r15::= SEQUENCE {
ul-Rf ENUMERATED {single, dual, triple, four } OPTIONAL
물론, 전술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다. 제1 요청 메시지는 대안적으로 다른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rrcConnectionPreference -r15는 대안적으로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하나씩 설명된다.
선택적으로, 제1 요청 메시지는 대안적으로 접속 해제 요청 메시지(connection release request message), 접속 변경 요청 메시지(connection change request message), 상태 변경 요청 메시지(state change request message)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요청 메시지의 특정 구조에 대해서는, 제1 요청 메시지가 UE 보조 정보 시그널링일 때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물론, 제1 요청 메시지는 대안적으로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계들 301 및 302는 상이한 시나리오들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은 상세한 설명들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제1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서 미리 설정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하고, 여기서 미리 설정된 상태는 비활성(inactive) 상태, 광 접속(light connection) 상태, 또는 유휴(idle) 상태이다. 비활성 상태는 RRC 비활성 상태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상태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측에 의해 미리 동의되고, 미리 설정된 상태에 특별히 동의하는 방법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접속 해제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접속 해제 표시 정보는 또한 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rrcConnectionReleaseRequest, rrcConnRelRequest, 또는 rrcConnRelReq)로서 지칭될 수 있거나, RRC 접속 지원 표시 정보(rrcConnectionAssistance, rrcConnAssistance, 또는 rrcConnAssis)로서 지칭될 수 있다.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접속 해제 표시 정보는 K 비트를 포함하고, K는 0보다 큰 정수이다.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이 제1 값일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해제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이 제2 값일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유지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또는 "해제되지 않았다"라고 지칭됨). 제2 값은 제1 값 이외의 값이다. 예를 들어, 접속 해제 표시 정보는 1 비트를 포함하고, 제1 값은 1이고, 제2 값은 0이다.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이 1일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해제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이 0일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유지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 타입은 대안적으로 불(BOOLEAN) 타입일 수 있고,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이 1일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해제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이 0일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간의 무선 접속이 유지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대안적으로,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이 1일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유지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이 0일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해제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가 접속 해제 표시 정보를 포함할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해제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1 요청 메시지가 접속 해제 표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유지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가 접속 해제 표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이 해제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1 요청 메시지가 접속 해제 표시 정보를 포함할 때, 이것은 제1 사용자와 제1 셀 간의 무선 접속이 유지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무선 통신 장치와 제1 셀 사이에서 교환되는 시그널링은 몇 개의 자원을 점유하고,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여, 제2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신속하게 확립함으로써, 제2 셀에서 서비스를 확립하는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제2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는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한다. 제1 상태 표시 정보는 또한 RRC 접속 선호도 표시 정보(rrcConnectionPreference, rrcConnPreference, 또는 rrcConnPref)로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제1 셀은 실제 상황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를 대응하는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고, 따라서 구현이 더욱 유연하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제3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진입할 것을 표시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현재 자원의 점유와 같은 인자에 기초하여 선호되는 상태를 결정하여,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선호되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1 셀은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셀에서의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제2 상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셀에서의 제1 사용자의 상태를 다른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계 301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서 다음의 서비스들:
응급 호출,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 모바일 착신-액세스(mobile terminate-access), 모바일 발신 시그널링, 모바일 발신 데이터, 지연 허용 액세스, 및 모바일 발신 음성 호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무선 통신 장치의 업링크 무선 주파수가 점유된다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것은 단지 예일 뿐이며,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다른 원인일 수 있다.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하나씩 설명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타이밍 모듈을 추가로 시작할 수 있다.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은 전송 모듈이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최소 간격 지속기간이다. 이 경우, 타이밍 모듈이 만료되기 전에, 무선 통신 장치는 더 이상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요청 메시지를 한번만 전송할 수 있다면, 무선 통신 장치는 타이밍 모듈이 만료된 후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더 이상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카운팅 모듈의 카운트 값을 1만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카운팅 모듈은 전송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들의 수량을 카운트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카운팅 모듈에 의해 카운트되는 값이 N보다 클 때 제1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여기서 N은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횟수의 최대값이고,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이에 대응하여, 타이밍 모듈이 만료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카운팅 모듈에 의해 카운트되는 값이 N보다 클 때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더 이상 전송하지 않는다. 타이밍 모듈이 만료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카운팅 모듈에 의해 카운트되는 값이 N 이하일 때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다시 전송할 수 있다.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 및 N의 값은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해 제1 셀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 및 N의 값은 무선 통신 장치에 브로드캐스트되거나,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 및 N의 값은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계 301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유지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업링크 데이터를 제1 셀에 전송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는,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확립될 새로운 서비스가 있는지를 제1 사용자에게 여전히 통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서비스 확립 효율을 향상시킨다.
단계 302에서, 응답 메시지는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해 구성된 업링크 송신 자원(UpLink grant resource)을 포함할 수 있고, 업링크 송신 자원은 제1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 또는 광 접속 상태로부터 제1 네트워크와의 송신을 복원할 때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본 방법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복원할 때,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업링크 동기화를 신속하게 복원하고 업링크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진입할 수 있게 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timing advance timer, TAT)를 계속 유지하고,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의 업링크 타이밍 값을 저장한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접속을 복원하기 전에,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때,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사용자에 대해 저장된 업링크 타이밍 값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현재 업링크 타이밍 값 및 구성된 업링크 송신 자원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가 제1 사용자가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진입할 수 있게 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전용 시그널링을 계속 청취한다.
전용 시그널링은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사용자의 서비스 확립 요청, 페이징 요청, 또는 새로운 데이터 무선 베어러 확립 요청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용 시그널링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전용 시그널링일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는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확립될 새로운 서비스가 있는지, 예를 들어, 새로운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esource bearer, DRB) 확립 요청을, 제1 사용자에게 여전히 통지할 수 있고, 이는 새로운 서비스를 확립하기 위해 제1 사용자를 페이징을 통해 표시하는 것과 등가이다.
단계 303에서, 무선 통신 장치가 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제2 사용자와 제2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은 RRC 접속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요청 메시지는 RRC 접속 확립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요청 메시지는 설정 원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원인 값은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서 다음의 서비스들:
응급 호출,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 모바일 착신-액세스(mobile terminate-access), 모바일 발신 시그널링, 모바일 발신 데이터, 지연 허용 액세스, 및 모바일 발신 음성 호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제2 사용자가 제2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게 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셀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에서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있다.
다음은 특정 실시예를 사용하여 전술한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동시에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현재,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대한 RRC 접속을 유지하고,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프 온한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셀에 의해 전송된 무선 시그널링을 청취할 수 있다.
단계 401: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셀과 제1 서비스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제1 서비스의 타입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고,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단계 402: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셀에서, 제2 셀에 의해 전송된 페이징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페이징 시그널링은 제2 네트워크에서 제2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된다.
제2 서비스의 우선순위는 제1 서비스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물론, 단계 402에서, 대안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셀에 대한 제2 서비스 확립 프로세스를 능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다.
단계 403: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한다.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제1 요청 메시지는 접속 해제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1인 접속 해제 표시 정보의 값은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이 해제되도록 요청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404: 제1 셀은 제1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응답 메시지를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에서 미리 설정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물론, 응답 메시지가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할 때,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에서,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제1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는 다른 콘텐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단계 405: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고, 제2 요청 메시지는 제2 셀에 대한 RRC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제2 셀에 대한 RRC 접속을 확립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서비스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회로의 구현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의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들에 적용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는 무선 통신 장치의 주요 컴포넌트들만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500)는 프로세서(501), 메모리(502), 송수신기(503), 안테나(504), 및 입출력 장치(5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1)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체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1)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액션, 예를 들어,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송신하는 것을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502)는 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503)는 주로: 기저대역 신호와 무선 주파수 신호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504)는 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출력 장치(505)는 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500)가 파워 온된 후, 프로세서(501)는 메모리(502)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다음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가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유지하는 절차; 및 단말기가 제2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핑 온하는 절차.
송수신기(503)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송수신기(503)는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제1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송수신기(503)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제2 셀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요청 메시지는 제2 사용자와 제2 셀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가 하나의 메모리 및 하나의 프로세서만을 도시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복수의 메모리가 존재할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저장 매체, 저장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에서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접속 상태에 있고;
응답 메시지는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스위칭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하고;
프로세서(501)는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응답 메시지는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셀에서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직접 결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태 스위칭 지연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에서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접속 상태에 있고;
제1 요청 메시지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상태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진입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가 제1 셀에서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상태를 표시하여, 네트워크 측이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제1 셀 내에 있는 상태를 비교적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셀에서 제1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로서 접속 상태에 있고;
송수신기(503)가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1 통신 모듈은 추가로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미리 설정된 상태는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을 포함하고;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서 다음의 서비스들:
응급 호출,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 모바일 착신-액세스(mobile terminate-access), 모바일 발신 시그널링, 모바일 발신 데이터, 지연 허용 액세스, 및 모바일 발신 음성 호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무선 통신 장치의 업링크 무선 주파수가 점유된다는 것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로 타이밍 모듈을 포함하고, 송수신기(503)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제1 셀에 전송한 후에, 프로세서(501)는:
타이밍 모듈을 시작하도록 구성되고,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은 전송 모듈이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최소 간격 지속기간이다.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파수는 타이밍 모듈을 시작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시그널링 스톰(signaling storm)을 회피하고 시스템 자원 활용을 향상시킨다.
선택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카운팅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프로세서(501)는 추가로:
카운팅 모듈의 카운트 값을 1만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카운팅 모듈은 전송된 제1 요청 메시지들의 수량을 카운트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통신 장치는 카운팅 모듈에 의해 카운트되는 값이 N보다 클 때 제1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여기서 N은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횟수의 최대값이고,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 보조 정보 시그널링이고, 제1 요청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는 제1 사용자와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임의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임의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거나,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예를 들어, 회로),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때,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어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컴퓨터 상에 로딩되고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들은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들은 유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한 매체 세트들을 포함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또는 반도체 매체일 수 있다. 반도체 매체는 고체 상태 드라이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기술하고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 세 가지 경우를 표현할 수 있다: A만 존재하고, A와 B가 모두 존재하고, 및 B만 존재하는 것.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및/또는"의 단순화된 형태이다.
전술한 프로세스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실행 시퀀스들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스들의 실행 시퀀스들은 프로세스들의 기능들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구현 프로세스들에 대한 임의의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예들과 연계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적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적 해결책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좌우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해 설명되는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제공된 몇가지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들로의 분할은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되거나, 일부 피처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또는 논의되는 상호 결합들 또는 직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간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은 전기, 기계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도 있고, 한 위치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기능적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 내로 통합될 수 있거나, 유닛들 각각은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 내로 통합된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설명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라고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들은 본 출원의 단지 특정 실시예들일 뿐이지만,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종속될 것이다.

Claims (18)

  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모듈;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프 온(camp on)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모듈;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및
    상기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됨 -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모듈은 추가로 제2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제2 셀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스위칭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진입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제1 셀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미리 설정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는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인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state switching request cause)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다음의 서비스들:
    응급 호출,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 모바일 착신-액세스(mobile terminate-access), 모바일 발신 시그널링, 모바일 발신 데이터, 지연 허용 액세스, 및 모바일 발신 음성 호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업링크 무선 주파수가 점유된다는 것인 무선 통신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로 타이밍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셀에 전송한 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타이밍 모듈을 시작하고, 상기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은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최소 간격 지속기간인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로 카운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운팅 모듈은: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들의 수량을 카운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카운팅 모듈에 의해 카운트된 값이 N보다 클 때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N은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횟수의 최대값이고, N은 0보다 큰 정수인 무선 통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 보조 정보(UE Assistance Information) 시그널링이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
  9.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내의 제1 셀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사용자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내의 제2 셀에 캠프 온(camp on)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됨 -;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2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제2 셀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됨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제1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스위칭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 상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제2 상태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진입할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표시하는 통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제1 셀에서 접속 상태에 있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셀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미리 설정된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는 비활성 상태, 광 접속 상태, 또는 유휴 상태인 통신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다음의 서비스들:
    응급 호출,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 모바일 착신-액세스(mobile terminate-access), 모바일 발신 시그널링, 모바일 발신 데이터, 지연 허용 액세스, 및 모바일 발신 음성 호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상태 스위칭 요청 원인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업링크 무선 주파수가 점유된다는 것인 통신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셀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타이밍 모듈을 시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모듈의 타이밍 지속기간은 전송 모듈이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최소 간격 지속기간인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카운팅 모듈을 통해,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요청 메시지들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카운팅 모듈에 의해 카운트된 값이 N보다 클 때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 N은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횟수의 최대값이고, N은 0보다 큰 정수임 -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 보조 정보(UE Assistance Information) 시그널링이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RRC 접속 해제 요청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1 셀 사이의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방법.
  17.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8.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실행될 때,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25878A 2018-02-11 2019-01-24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346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43194.9A CN110149732B (zh) 2018-02-11 2018-02-11 一种通信方法及无线通信装置
CN201810143194.9 2018-02-11
PCT/CN2019/073014 WO2019154098A1 (zh) 2018-02-11 2019-01-24 一种通信方法及无线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511A true KR20200116511A (ko) 2020-10-12
KR102346477B1 KR102346477B1 (ko) 2022-01-03

Family

ID=6754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878A KR102346477B1 (ko) 2018-02-11 2019-01-24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74973A1 (ko)
EP (1) EP3749049A4 (ko)
JP (2) JP7106658B2 (ko)
KR (1) KR102346477B1 (ko)
CN (3) CN110149732B (ko)
AU (1) AU2019218060B2 (ko)
WO (1) WO2019154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5981A (zh) * 2019-12-17 2021-06-1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网络连接的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015260A (zh) * 2019-12-19 2021-06-2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网络连接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127981A1 (zh) * 2019-12-24 2021-07-0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和无线通信装置
US20210337481A1 (en) * 2020-04-23 2021-10-28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information aided fast dormancy
CN111343685B (zh) * 2020-05-21 2020-09-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信处理方法、通信处理装置及存储介质
CN114205919A (zh) * 2020-09-18 2022-03-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离开方式确定方法、装置和通信设备
CN114339905B (zh) * 2020-09-30 2023-10-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存储介质
CN114615753A (zh) * 2020-12-04 2022-06-10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的连接方法以及用户设备
US20220248494A1 (en) * 2021-01-22 2022-08-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ing a user equipment to an inactive state
CN115843125B (zh) * 2023-03-01 2023-08-08 荣耀终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7858031B (zh) * 2024-03-07 2024-05-28 深圳市汇杰芯科技有限公司 一种低延时无线对讲和tws无缝切换系统、方法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7236B (zh) * 2008-05-27 2012-09-26 德信无线通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双卡槽手机的连接方法及双卡槽手机
HUE057206T2 (hu) * 2009-06-16 2022-04-28 Blackberry Ltd Eljárás és berendezés áramkör-kapcsolt visszakapcsolásra
CN102045876A (zh) * 2009-10-12 2011-05-0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双待终端来电处理方法及双待终端
CN101801055A (zh) * 2010-02-05 2010-08-11 上海顶竹通讯技术有限公司 不同网络之间的通信切换方法及其终端设备
CN102348257B (zh) * 2011-06-30 2014-04-0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终端及其冲突处理方法和装置
CN102986261B (zh) * 2011-07-15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寻呼的方法、用户设备和系统
WO2012106896A1 (zh) * 2011-07-18 2012-08-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回落的方法及设备
WO2013124709A1 (en) * 2012-02-23 2013-08-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ulti subscription operation
CN103609151B (zh) * 2012-04-10 2018-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网络中节省信令的方法及装置
CN103517454A (zh) * 2012-06-27 2014-01-15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增强信令连接释放指示处理方法
US20150023258A1 (en) * 2013-07-19 2015-01-22 Qualcomm Incorporated Dual sim dual activ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with a single transmit chain and dual or single receive chain
US9402241B2 (en) 2014-03-27 2016-07-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tream registration switching
CN106465464B (zh) * 2014-05-30 2020-02-28 苹果公司 支持无线通信设备中多个用户身份并行通信的方法和设备
WO2015180126A1 (en) * 2014-05-30 2015-12-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multiple subscriber identit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338394B1 (ko) * 2015-05-29 202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5338178B (zh) * 2015-09-30 2019-06-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双卡双待单通终端的通信方法及装置
CN106922004B (zh) * 2015-12-28 2020-10-1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sim卡终端呼叫控制方法及装置
CN109076455B (zh) * 2016-05-12 2021-04-3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处理无线通信网络中的操作模式的通信装置及其中的方法
KR102550591B1 (ko) * 2016-06-14 202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3-1618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13175A (zh) 2020-09-25
CN110149732A (zh) 2019-08-20
CN116017767A (zh) 2023-04-25
CN110149732B (zh) 2021-12-31
JP7106658B2 (ja) 2022-07-26
JP2022145695A (ja) 2022-10-04
CN111713175B (zh) 2022-12-06
AU2019218060B2 (en) 2023-02-02
AU2019218060A1 (en) 2020-09-10
US20200374973A1 (en) 2020-11-26
EP3749049A1 (en) 2020-12-09
EP3749049A4 (en) 2021-04-07
WO2019154098A1 (zh) 2019-08-15
JP2021513294A (ja) 2021-05-20
KR102346477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477B1 (ko)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US20230354454A1 (en) Re-Establishment of Component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088542B (zh) 用于处置拒绝时的无线电接入网通知区域(rna)更新配置的方法和设备
KR102240644B1 (ko) 데이터 전송/수신 장치 및 방법, 및 통신 시스템
EP3335445B1 (en) Provisioning transmission pools for inter-carrier prose direct discovery
KR20140084109A (ko) 불연속 수신
AU2013322501A1 (en) Power preference indicator timer
WO2019084923A1 (zh) 寻呼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9029568A1 (zh)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8233709A1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16491218A (zh) 多sim用户装备的rrc状态与基站的同步
CN108430070B (zh) 一种无线资源控制连接方法及设备、计算机存储介质
BR102012018238A2 (pt) aparelhos e mÉtodos para gerenciamento de respostas Às interrogaÇÕes
US20220201648A1 (en) Paging and multi-identity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121282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 terminal device in inactive state and terminal device
CN115211221A (zh) 多连接管理方法及相关产品
WO2021259358A1 (zh) 一种部分带宽切换方法及装置
WO2023051366A1 (zh) 一种控制传输的方法及相关装置
WO2023013751A1 (ja) 通信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WO2023122976A1 (zh) 通信方法、装置、终端、芯片、存储介质、产品及程序
CN117178624A (zh) 用于非连接状态中的数据发射的方法及设备
CN118140574A (zh) 一种通信处理方法及装置、终端设备、接入网设备
GB2574016A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