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323A -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6323A KR20200116323A KR1020190037973A KR20190037973A KR20200116323A KR 20200116323 A KR20200116323 A KR 20200116323A KR 1020190037973 A KR1020190037973 A KR 1020190037973A KR 20190037973 A KR20190037973 A KR 20190037973A KR 20200116323 A KR20200116323 A KR 202001163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sound device
- sound
- state
- micropho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10000000613 ear cana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54 tympanic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60 vocal cord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4—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음향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노즐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스피커 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마이크 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홀과 연결된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 홀과 연결된 제1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제1 마이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은 막혔지만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는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하도록 설정된 음향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헤드셋과 같은 음향 장치는 사용자가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고, 혼자 음악 또는 동영상 등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장치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음향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음악 또는 동영상의 소리를 들을 수 있고, 음향 장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음향 장치는 착용 시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음을 방출하고 사용자의 성대에서 생성된 음성이 구강, 고막 등을 거쳐 외이도로 전달되면 이를 집음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인이어(in-ea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인이어 구조의 음향 장치는 내부의 스피커 또는 마이크와 같은 음향 모듈의 음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음향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됨과 동시에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전자 장치와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 장치는 착용 감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장치는 근접 센서를 통해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근접 및 밀착됨을 감지하여 음향 장치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근접 센서를 통해 음향 장치의 착용을 감지하는 방식에서, 음향 장치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부분을 손으로 쥐는 행위만으로도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음향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스피커 및 마이크를 이용한 신호의 응답 특성을 통해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음향 장치들의 상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노즐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스피커 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마이크 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홀과 연결된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 홀과 연결된 제1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제1 마이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은 막혔지만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는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음향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음향 장치의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는 막혔지만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는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향 장치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착용 오인식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향 장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었던 부품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서, 음향 장치의 디자인 및 회로 실장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에 포함된 노즐부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막힌 상태에서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막힌 상태에서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의 개폐 상태에 따른 신호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따른 신호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이어피스들의 상태에 따른 기능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따른 정보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에 포함된 노즐부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막힌 상태에서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막힌 상태에서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의 개폐 상태에 따른 신호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따른 신호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이어피스들의 상태에 따른 기능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따른 정보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제어 모듈(200)은 도 1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1)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 모듈(200)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14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모듈(200)은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되고,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00)은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00)은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의 신호 출력, 신호 수신, 신호 분석, 상태 판단, 기능 선택, 및 상태 감지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장치는 내부의 스피커(예: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 및 마이크(예: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와 같은 음향 모듈(예: 오디오 모듈(170))의 음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00)은 상기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혔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상기 노즐부가 막혔다면 상기 노즐부가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었는지 또는 다른 객체(예: 손)에 의해 막혔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노즐부가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었다면 완전하게 삽입되어 착용되었는지 또는 불완전하게 착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 모듈(200)은 도 2을 참조하면, 신호 출력 모듈(210), 신호 수신 모듈(220), 신호 분석 모듈(230), 상태 판단 모듈(240), 기능 선택 모듈(250), 및 상태 감지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출력 모듈(210)은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를 통해 음향 신호(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출력 모듈(210)은 상기 노즐부의 막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비 가청 대역(예: 30Hz 이하)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감지 모듈(260)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가 충전 및 보관을 위한 크래들(cradle)에 체결된 상태라고 감지되면, 상기 신호 출력 모듈(210)은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호 출력 모듈(210)은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서 분리된 경우에만,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출력 모듈(210)은 상기 음향 장치의 주변 환경의 소음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의 크기(출력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출력 모듈(210)은 상기 소음 정도를 나타내는 소음 값이 클수록(시끄러운 환경일수록)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소음 값이 작을수록(조용한 환경일수록)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는 지정된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음 정도는 상기 음향 장치의 외부 마이크(예: 도 3의 제2 마이크(353))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분석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수신 모듈(220)은 상기 외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상기 신호 분석 모듈(230)로 전달하고, 상기 신호 분석 모듈(230)은 상기 음향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소음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출력 모듈(210)은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을 통해 상기 노즐부가 막힌 상태(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이 막힌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3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신호는 저역대(예: 300Hz 이하) 및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고역대의 신호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신호는 착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주파수 성분만을 포함하는 단순 신호음(예: beep 음) 형태, 여러 신호음이 섞인 복합 신호음 형태, 또는 음악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출력 모듈(210)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수 초 이내의 짧은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 모듈(220)은 상기 음향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 모듈(220)은 상기 수신된 제2 신호를 상기 신호 분석 모듈(2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 모듈(220)은 상기 내부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일부가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신호, 및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다른 일부가 사용자의 귓속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수신 모듈(220)은 상기 내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3 신호의 일부가 상기 노즐부에서 반사된 제5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3 신호의 다른 일부가 사용자의 귓속에서 반사된 제6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범위는 상기 제2 시간 범위보다 이전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 모듈(220)은 상기 수신된 제4 신호(상기 제5 신호 및 상기 제6 신호 포함)를 상기 신호 분석 모듈(2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분석 모듈(230)은 상기 신호 수신 모듈(2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2 신호 및/또는 상기 제4 신호(상기 제5 신호 및 상기 제6 신호 포함)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분석 모듈(230)은 상기 제2 신호 및/또는 상기 제4 신호의 응답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분석 모듈(230)은 상기 제2 신호 및/또는 상기 제4 신호의 주파수 성분 분석을 통해, 상기 제2 신호 및/또는 상기 제4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별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신호 분석 모듈(230)은 상기 제2 신호 및/또는 상기 제4 신호의 분석 결과를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상기 신호 분석 모듈(23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2 신호 및/또는 상기 제4 신호의 분석 결과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신호의 크기가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힌 상태(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이 막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노즐부가 막힌 상태에서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신호의 대부분이 상기 노즐부에서 반사(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상기 제2 신호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예: 오프 상태, 충전 상태, 또는 대기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신호의 대부분이 상기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가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신호만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4 신호의 크기가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지 않고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다른 객체(예: 손)에 의해 막힌 상태(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이 다른 객체에 의해 막힌 상태)에서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대부분이 상기 노즐부에서 반사(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을 막고 있는 상기 다른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상기 제4 신호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대부분이 사용자의 귓속으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상기 노즐부가 막힌 상태에서, 상기 노즐부가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었는지 또는 다른 객체(예: 손)에 의해 막혔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은 음향 신호(예: 상기 제3 신호)의 이동 관로의 체적에 따른 상기 음향 신호의 응답 특성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가 다른 객체에 의해 막힌 상태일 때와, 상기 음향 장치가 귓속에 삽입된 상태일 때는, 상기 음향 신호의 이동 관로의 체적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음향 신호의 응답 특성도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부가 상기 다른 객체에 의해 막힌 상태일 때의 상기 이동 관로의 체적은 상기 스피커의 출력부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끝단까지의 체적에 대응되지만, 상기 음향 장치가 귓속에 삽입된 상태일 때의 상기 이동 관로의 체적은 상기 스피커의 출력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귓속 내부 공간까지의 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장치를 귓속에 착용했을 때의 상기 이동 관로의 체적이 상기 노즐부를 상기 다른 객체로 막았을 때의 상기 이동 관로의 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적의 차이를 필터링 구조(예: band stop filter 구조)로 모델링하게 되면, 상기 체적이 커질수록 필터링 주파수(예: notch frequency)가 저역대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고역대(예: 1kHz 내지 2kHz)에서 음압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음압 차이에 의한 상기 음향 신호의 응답 특성은 상기 노즐부를 상기 다른 객체로 막았을 때와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었을 때가 차이(대략 20dB)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가 저역대(예: 300Hz 이하) 및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4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예: 고역대) 성분의 크기가 지정된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상기 제4 신호의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작고,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예: 저역대) 성분의 크기가 지정된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정상 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상기 제4 신호의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작고, 상기 제4 신호의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불완전하게 착용된 상태(예: 상기 노즐부가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복수의 음향 장치들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장치(또는 제1 이어피스(earpiece)) 및 제2 음향 장치(또는 제2 이어피스)가 연계하여 동작하는 환경에서,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음향 장치의 미착용 상태(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의 기기 등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를 외부 전자 장치에 기기 등록(또는 사용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가 이미 기기 등록된 경우, 상기 제1 음향 장치의 미착용 상태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기기 등록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에 대하여 기기 등록 과정을 한번만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음향 장치(또는 상기 제2 음향 장치)가 크래들로부터 분리되거나 착용 상태인 경우,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상기 제1 음향 장치(또는 상기 제2 음향 장치)를 외부 전자 장치와 페어링(또는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상기 제1 음향 장치(또는 상기 제2 음향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기기 등록된 상태에서, 크래들로부터 분리되거나 착용 상태가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음향 장치(또는 상기 제2 음향 장치)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페어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를 통한 소리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를 통한 소리 재생 기능은 음악 또는 동영상의 소리를 재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음향 장치(예: 제1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 및 다른 하나의 음향 장치(예: 제2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를 통한 소리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착용 상태인 어느 하나의 음향 장치를 통한 소리 재생 기능은 음악, 동영상의 소리, 또는 통화 소리를 재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소리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착용 상태인 어느 하나의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음향 장치(예: 제1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 및 다른 하나의 음향 장치(예: 제2 음향 장치)의 미착용 상태(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를 통해 통화 소리를 재생하고, 미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는 수화용 리시버로 사용되고, 미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는 송화용 마이크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음향 장치(예: 제1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예: 오프 상태, 충전 상태, 또는 대기 상태) 및 다른 하나의 음향 장치(예: 제2 음향 장치)의 미착용 상태(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상기 미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는 녹음용 마이크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상기 미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미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와 연결된(페어링된)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의 스피커(또는 리시버)를 통해 통화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예컨대, 미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는 송화용 마이크로 사용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수화용 리시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 및 제2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에 의해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가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스테레오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음향 장치는 제1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고, 상기 제2 음향 장치는 제2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된 경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귓속의 내부 공간의 차이로 인해(음향 신호의 이동 관로의 체적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음향 신호의 응답 특성이 서로 다르다는 판단 하에, 상기 제1 음향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장치가 각각 서로 다른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음향 장치가 불완전 착용 상태(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음향 장치의 정상 착용을 위한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불완전 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정상 착용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능 선택 모듈(250)은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객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상 착용을 위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불완전 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를 재착용하도록 유도하는 정보 또는 상기 음향 장치의 악세서리(예: 이어 팁(ear tip))를 교체하도록 유도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감지 모듈(260)은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또는 도 3의 근접 센서(370))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근접 또는 밀착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감지 모듈(26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근접 또는 밀착됨에 따른 센싱 값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센싱 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귀에 근접 또는 밀착되는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태 감지 모듈(26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상태 판단 모듈(240)은 보다 정확한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감지 모듈(260)은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또는 도 3의 홀 센서(390))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가 크래들에 체결된 상태인지 또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분리된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감지 모듈(26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 체결된 상태에 따른 센싱 값 또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따른 센싱 값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센싱 값들을 분석하여 상기 크래들에 체결된 또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분리된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홀 센서(예: 도 3의 홀 센서(390))이고, 상기 크래들에는 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향 장치(예: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310), 스피커(330), 제1 마이크(351), 제2 마이크(353), 근접 센서(370), 및 홀 센서(3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향 장치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장치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마이크(353), 상기 근접 센서(370), 또는 상기 홀 센서(390)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음향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예: 통신 모듈(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음향 장치는 복수 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음향 장치의 각종 전자 부품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전자 부품을 덮어 상기 전자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된 구조의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일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끝단면까지 관통된 음향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홀은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330)의 출력부와 연통된 스피커 홀 및 상기 제1 마이크(351)의 입력부와 연통된 마이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음향 장치의 신호 출력, 신호 수신, 신호 분석, 상태 판단, 기능 선택, 및 상태 감지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310)는 도 2의 제어 모듈(2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음향 장치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330)는 전기 신호를 소리(음향 신호)로 변환시키고, 출력부를 통해 상기 스피커 홀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330)는 상기 프로세서(310)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33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33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거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351)는 상기 마이크 홀을 통해 들어오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마이크(351)는 상기 마이크 홀을 통해 유입된 소리가 상기 제1 마이크(351)의 입력부로 들어오면, 수신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351)는 변환된 전기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3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351)는 내부 마이크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마이크(35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거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353)도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3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353)는 외부 마이크로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마이크 홀을 통해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마이크의 의미는 상기 노즐부에 형성된 마이크 홀이 아닌 상기 노즐부의 외부(상기 노즐부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된 마이크 홀을 통해 소리를 수신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마이크(353)를 외부 마이크로 명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상기 제2 마이크(353)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예: 외측면)에 배치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마이크(353)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노즐부의 외부이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마이크 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370)는 접근하는 물체 또는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근접 센서(370)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에 따른 센싱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센싱 값을 상기 프로세서(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센싱 값을 분석하여, 상기 음향 장치에 접근하는 물체 또는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근접 센서(370)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의 분석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접근하는지,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는지, 또는 사용자의 귓속에 밀착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370)는 유도형, 정전용량형, 초음파형, 또는 광전형 등의 방식으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37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접 센서(37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거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390)는 자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390)는 감지된 자성 값을 상기 프로세서(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자성 값을 분석하여, 상기 음향 장치가 자성체로 근접하는지 또는 상기 자성체로부터 멀어지는지는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와의 이격 거리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성체가 상기 음향 장치의 충전 및 보관을 위한 크래들에 배치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홀 센서(390)를 통해 감지된 자성 값의 분석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 체결된 상태인지 또는 상기 크래들로부터 분리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39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 센서(39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거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노즐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스피커 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마이크 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홀과 연결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 홀과 연결된 제1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제1 마이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은 막혔지만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는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는 제1 주파수보다 낮은 비 가청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는 제2 주파수보다 높은 고역대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신호는 제3 주파수보다 낮은 저역대의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 중 상기 노즐부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마이크 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 홀과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2 마이크(35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출력 세기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재출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재수신하고, 상기 재수신된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큰지를 재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3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재출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재수신하고, 상기 재수신된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큰지를 재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3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외이도에 밀착된 정상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3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었지만 상기 외이도에는 밀착되지 않은 불완전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근접 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또는 도 3의 근접 센서(3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에 접근하는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에 따른 센싱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4 신호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센싱 값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홀 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또는 도 3의 홀 센서(3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홀 센서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로 접근하는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자성체의 유무에 따른 자성 값을 획득하고, 상기 자성 값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크래들에 체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 체결된 경우, 상기 스피커가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예: 도 1의 통신 모듈(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음향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예: 도 1의 통신 모듈(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다른 음향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 및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가 수행할 제1 기능 및 상기 다른 음향 장치가 수행할 제2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정보를 상기 다른 음향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에 포함된 노즐부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는 동작 410에서,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를 통해 신호(이하, 제1 신호라 한다)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는 비 가청 대역(예: 30Hz 이하)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의 주변 환경의 소음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의 크기(출력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의 외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2 마이크(353))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소음 정도를 나타내는 소음 값을 산출하고, 상기 소음 값이 클수록(시끄러운 환경일수록)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소음 값이 작을수록(조용한 환경일수록)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작 42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통해 신호(이하, 제2 신호라 한다)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의 주파수 성분 분석을 통해, 상기 제2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별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제2 신호)의 크기가 지정된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지정된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제2 신호)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값보다 크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440에서,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제2 신호)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값 이하라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450에서,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막힌 상태에서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는 동작 510에서,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를 통해 신호(이하, 제3 신호라 한다)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신호는 저역대(예: 300Hz 이하) 및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고역대의 신호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신호는 착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주파수 성분만을 포함하는 단순 신호음 형태, 여러 신호음이 섞인 복합 신호음 형태, 또는 음악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신호음은 예를 들어, 상기 단순 신호음에 통화 발신음과 같은 다른 신호음이 믹싱된 신호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수 초 이내의 짧은 시간일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통해 신호(이하, 제4 신호라 한다)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일부가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제5 신호 및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다른 일부가 사용자의 귓속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제6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신호 및 상기 제6 신호는 소정 시간차를 두고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내부 마이크를 통해,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간 범위보다 늦은 제2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6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4 신호(상기 제5 신호 및 상기 제6 신호 포함)의 주파수 성분 분석을 통해, 상기 제4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별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제4 신호)의 크기가 지정된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4 신호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지정된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은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제4 신호)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값보다 크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540에서,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신호 중 고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미착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미착용 상태는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는 착용되지 않은 상태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과 같은 다른 객체에 의해 상기 노즐부가 막힌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제4 신호)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값 이하라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550에서,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신호 중 고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착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값은 상기 음향 장치의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신호(제 4 신호)의 크기는 사용자의 귓속 내부 공간의 형상이나 체적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정된 값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장치는 사용자의 귓속에 처음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정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막힌 상태에서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는 동작 610에서,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를 통해 신호(이하, 제3 신호라 한다)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신호는 저역대(예: 300Hz 이하) 및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통해 신호(이하, 제4 신호라 한다)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일부가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제5 신호 및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다른 일부가 제2 시간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귓속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제6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4 신호(상기 제5 신호 및 상기 제6 신호 포함)의 주파수 성분 분석을 통해, 상기 제4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별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제4 신호) 중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은 예를 들어, 고역대(예: 1kHz 내지 2kHz)의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제4 신호) 중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작지 않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640에서,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신호 중 고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미착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착용 상태는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는 착용되지 않은 상태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과 같은 다른 객체에 의해 상기 노즐부가 막힌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제4 신호) 중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작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650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제4 신호) 중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은 예를 들어, 저역대(예: 30Hz 내지 300Hz)의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제4 신호) 중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보다 크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660에서,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정상 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신호 중 저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정상 착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제4 신호) 중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보다 크지 않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670에서,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불완전하게 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신호 중 저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불완전 착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완전 착용 상태는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는 착용되었지만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는 동작 710에서,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를 통해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비 가청 대역(예: 30Hz 이하)의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의 주변 환경의 소음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의 크기(출력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통해 제2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의 주파수 성분 분석을 통해, 상기 제2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별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크지 않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710으로 리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작 710으로 리턴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가 크래들에 체결된 상태라고 감지되면,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서 분리된 경우에만,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크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740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힌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신호는 저역대(예: 300Hz 이하) 및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고역대의 신호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 75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내부 마이크를 통해 제4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일부가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제5 신호 및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다른 일부가 제2 시간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귓속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제6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4 신호의 주파수 성분 분석을 통해, 상기 제4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별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동작 76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4 신호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4 신호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은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2 값보다 크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770에서,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신호 중 고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미착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착용 상태는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는 착용되지 않은 상태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과 같은 다른 객체에 의해 상기 노즐부가 막힌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2 값보다 크지 않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780에서,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신호 중 고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착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는 동작 810에서,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를 통해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비 가청 대역(예: 30Hz 이하)의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의 주변 환경의 소음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의 크기(출력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통해 제2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의 주파수 성분 분석을 통해, 상기 제2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별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크지 않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810으로 리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작 810으로 리턴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가 크래들에 체결된 상태라고 감지되면,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서 분리된 경우에만,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크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840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힌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3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신호는 저역대(예: 300Hz 이하) 및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5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내부 마이크를 통해 제4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일부가 제1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제5 신호 및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3 신호의 다른 일부가 제2 시간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귓속에서 반사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 유입된 제6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4 신호의 주파수 성분 분석을 통해, 상기 제4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별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동작 860에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4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은 예를 들어, 저역대(예: 300Hz 이하)의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보다 크지 않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810으로 리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제4 신호의 저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작 810으로 리턴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힌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노즐부의 막힘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3 신호를 출력한 후 수신한 상기 제4 신호의 저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810으로 리턴할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값보다 크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870에서,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3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은 예를 들어,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의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3 값보다 크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880에서,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신호의 고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3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미착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착용 상태는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는 착용되지 않은 상태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과 같은 다른 객체에 의해 상기 노즐부가 막힌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3 값보다 크지 않다는 판단 하에, 상기 음향 장치는 동작 890에서,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신호의 고역대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3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향 장치가 착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의 개폐 상태에 따른 신호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 및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이용한 신호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그래프는,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정상 착용된 제1 상태,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손으로 막힌 제2 상태, 상기 노즐부의 일부가 손으로 막힌 제3 상태, 상기 노즐부가 옷으로 막힌 제4 상태, 및 상기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제5 상태에 대한 신호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신호의 저역대(예: 300Hz 이하) 특히, 비 가청 대역(a)(예: 30Hz 이하)에서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를 상기 제3 상태, 상기 제4 상태 및 상기 제5 상태와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비 가청 대역(a)에서는, 상기 음향 장치가 정상 착용된 상태(제1 상태) 및 상기 노즐부가 손으로 막힌 상태(제2 상태)에서의 신호의 크기가 상기 노즐부의 일부가 손으로 막힌 상태(제3 상태), 상기 노즐부가 옷으로 막힌 상태(제4 상태), 및 상기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제5 상태)에서의 신호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예: 약 20dB)만큼 클 수 있다.
또한, 신호의 고역대(예: 300Hz 내지 2kHz) 중 특정 주파수 대역(b)(예: 1kHz 내지 2kHz)에서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b)에서는, 상기 음향 장치가 정상 착용된 상태(제1 상태)에서의 신호의 크기가 상기 노즐부가 손으로 막힌 상태에서의 신호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예: 약 20dB)만큼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향 장치는 신호의 저역대 중 비 가청 대역(a)에서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막혔는지를 판단하고, 신호의 고역대 중 특정 주파수 대역(b)에서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노즐부가 막혔다면 상기 노즐부가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었는지 또는 다른 객체(예: 손)에 의해 막혔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따른 신호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 및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이용한 신호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는,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정상 착용된 제1 상태(그래프에서의 정상 착용),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불완전하게 착용된 제2 상태(그래프에서의 불완전 착용1),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불완전하게 착용된 제3 상태(그래프에서의 불완전 착용2),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불완전하게 착용된 제4 상태(그래프에서의 불완전 착용3), 및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 불완전하게 착용된 제5 상태(그래프에서의 불완전 착용4)에 대한 신호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불완전 착용 상태는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가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태, 상기 제3 상태, 상기 제4 상태, 및 상기 제5 상태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외이도와 밀착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공간의 부피 차이(상기 노즐부와 상기 외이도의 이격 거리 차이)에 따른 상태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신호의 고역대(d)(예: 1kHz 내지 2kHz)에서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제1 상태 내지 제5 상태)와 미착용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착용 상태는 정상 착용 상태 및 불완전 착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의 저역대(c)(예: 30Hz 내지 300Hz)에서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의 정상 착용 상태(제1 상태)와 불완전 착용 상태(제2 상태 내지 제5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호의 저역대(c)에서는, 상기 음향 장치의 정상 착용 상태(제1 상태)에서의 신호의 크기가 지정된 크기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음향 장치의 불완전 착용 상태들(제2 상태 내지 제5 상태)에서의 신호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향 장치는 신호의 고역대(d)에서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의 착용 여부(노즐부가 외이도에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신호의 저역대(c)에서의 응답 특성을 통해, 상기 음향 장치가 정상 착용되었는지(노즐부가 외이도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밀착되었는지) 또는 불완전하게 착용되었는지(노즐부가 외이도에 불완전하게 삽입되어 밀착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이어피스들의 상태에 따른 기능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음향 장치들(또는 이어피스들)이 연계하여 동작하는 환경(이하, 시스템이라 한다)에서, 상기 음향 장치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음향 장치들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음향 장치들이 제1 이어피스 및 제2 이어피스를 포함한 상태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동작 1110에서,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어피스는 상기 제1 이어피스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제1 신호 및/또는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이어피스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통해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제2 신호 및/또는 제4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어피스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어피스는 상기 제2 이어피스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제1 신호 및/또는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이어피스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또는 도 3의 제1 마이크(351))를 통해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제2 신호 및/또는 제4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이어피스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의 상태가 판단되면, 상기 시스템은 동작 1120에서,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의 상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어피스의 미착용 상태(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 및 상기 제2 이어피스의 미착용 상태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의 기기 등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은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를 상기 시스템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 기기 등록(또는 사용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어피스의 착용 상태 및 상기 제2 이어피스의 착용 상태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를 통한 소리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를 통한 소리 재생 기능은 음악 또는 동영상의 소리를 재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예: 제1 이어피스)의 착용 상태 및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예: 제2 이어피스)의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시스템은 착용 상태인 이어피스를 통한 소리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착용 상태인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를 통한 소리 재생 기능은 음악, 동영상의 소리, 또는 통화 소리를 재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소리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착용 상태인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는 상기 이어피스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예: 제1 이어피스)의 착용 상태 및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예: 제2 이어피스)의 미착용 상태(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시스템은 착용 상태인 이어피스를 통해 통화 소리를 재생하고, 미착용 상태인 이어피스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은 착용 상태인 이어피스를 수화용 리시버로 사용하고, 미착용 상태인 이어피스를 송화용 마이크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예: 제1 이어피스)의 노즐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 및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예: 제2 이어피스)의 미착용 상태(노즐부가 막힌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귓속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미착용 상태인 이어피스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착용 상태인 이어피스는 녹음용 마이크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미착용 상태인 이어피스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미착용 상태인 이어피스와 연결된(페어링된)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의 스피커(또는 리시버)를 통해 통화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시스템은 미착용 상태인 이어피스를 송화용 마이크로 사용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수화용 리시버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어피스가 불완전 착용 상태(노즐부가 외이도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시스템은 이어피스의 정상 착용을 위한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은 불완전 착용 상태인 이어피스의 스피커를 통해 정상 착용을 위한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시스템은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객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1에서의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1에서는,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또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어피스와 상기 제2 이어피스 중 하나가 마스터 장치로 설정되고,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이어피스를 통해 상술한 도 11의 동작들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어피스가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경우, 동작 1110에서, 상기 제1 이어피스는 상기 제1 이어피스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이어피스로부터 상기 제2 이어피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이어피스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1120에서, 상기 제1 이어피스는 상기 제1 이어피스 및 상기 제2 이어피스의 상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어피스는 상기 기능 중 상기 제1 이어피스에서 수행될 제1 기능은 직접 수행하고, 상기 기능 중 상기 제2 이어피스에서 수행될 제2 기능은 상기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2 이어피스로 전달하여, 상기 제2 이어피스가 상기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어피스와 상기 제2 이어피스가 각각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로 설정됨이 없이,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예: 제1 이어피스)가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예: 제2 이어피스)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예: 제1 이어피스)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의 상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는 크래들로부터 먼저 분리된 이어피스 또는 사용자의 귓속에 먼저 착용된 이어피스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는 복수 개의 이어피스들 중 설정 정보에 의해 지정된 이어피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어피스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음향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음향 장치의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는 막혔지만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는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음향 장치의 제2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출력 세기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재출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재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재수신된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큰지를 재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3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재출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재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재수신된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큰지를 재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3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외이도에 밀착된 정상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3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었지만 상기 외이도에는 밀착되지 않은 불완전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에 접근하는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에 따른 센싱 값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신호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센싱 값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홀 센서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로 접근하는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자성체의 유무에 따른 자성 값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자성 값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크래들에 체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 체결된 경우, 상기 스피커가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또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감지 방법은,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통신 회로를 통해 다른 음향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 및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가 수행할 제1 기능 및 상기 다른 음향 장치가 수행할 제2 기능을 선택하는 동작, 상기 제1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정보를 상기 다른 음향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에 따른 정보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음향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의 미착용 상태, 불완전 착용 상태, 또는 착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도 3의 스피커(330))를 통해 상기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음향 장치와 통신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1200)로 상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를 수신한 상기 외부 전자 장치(12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1200)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외부 전자 장치(1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객체(1210)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는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상기 음향 장치가 불완전 착용 상태일 때 상기 음향 장치를 정상 착용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를 정상 착용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어, 불완전 착용 상태인 음향 장치를 재착용하도록 유도하는 정보 또는 상기 음향 장치의 악세서리(예: 이어 팁)를 교체하도록 유도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 음향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노즐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스피커 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마이크 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홀과 연결된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 홀과 연결된 제1 마이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제1 마이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노즐부의 돌출된 끝단면은 막혔지만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는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하도록 설정된 음향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제1 주파수보다 낮은 비 가청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는 제2 주파수보다 높은 고역대의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는 제3 주파수보다 낮은 저역대의 신호를 더 포함하는 음향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 중 상기 노즐부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마이크 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 홀과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출력 세기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음향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재출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재수신하고, 상기 재수신된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큰지를 재판단하도록 설정된 음향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3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하고,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재출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재수신하고, 상기 재수신된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큰지를 재판단하도록 설정된 음향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3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외이도에 밀착된 정상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3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었지만 상기 외이도에는 밀착되지 않은 불완전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도록 설정된 음향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에 접근하는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에 따른 센싱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4 신호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센싱 값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음향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홀 센서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로 접근하는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자성체의 유무에 따른 자성 값을 획득하고,
상기 자성 값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크래들에 체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 체결된 경우, 상기 스피커가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음향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음향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른 음향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다른 음향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 및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가 수행할 제1 기능 및 상기 다른 음향 장치가 수행할 제2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정보를 상기 다른 음향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음향 장치. -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향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음향 장치의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 장치의 노즐부는 막혔지만 상기 음향 장치가 사용자의 귓속에는 미착용된 상태라고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착용 감지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향 장치의 제2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출력 세기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재출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재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재수신된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큰지를 재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3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재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상기 재출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재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재수신된 제2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큰지를 재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제3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외이도에 밀착된 정상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3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었지만 상기 외이도에는 밀착되지 않은 불완전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에 접근하는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에 따른 센싱 값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신호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센싱 값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홀 센서를 통해 상기 음향 장치로 접근하는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자성체의 유무에 따른 자성 값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자성 값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크래들에 체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음향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 체결된 경우, 상기 스피커가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또는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향 장치에 포함된 통신 회로를 통해 다른 음향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음향 장치의 상태 및 상기 다른 음향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장치가 수행할 제1 기능 및 상기 다른 음향 장치가 수행할 제2 기능을 선택하는 동작;
상기 제1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정보를 상기 다른 음향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7973A KR102607566B1 (ko) | 2019-04-01 | 2019-04-01 |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
US16/837,292 US11019421B2 (en) | 2019-04-01 | 2020-04-01 | Method for detecting wearing of acoustic device and acoust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PCT/KR2020/004479 WO2020204611A1 (en) | 2019-04-01 | 2020-04-01 | Method for detecting wearing of acoustic device and acoust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EP20783424.3A EP3909259A4 (en) | 2019-04-01 | 2020-04-01 | METHOD FOR DETECTING WEARING OF AN ACOUSTIC DEVICE, AND ACOUSTIC DEVICE SUPPORTING TH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7973A KR102607566B1 (ko) | 2019-04-01 | 2019-04-01 |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6323A true KR20200116323A (ko) | 2020-10-12 |
KR102607566B1 KR102607566B1 (ko) | 2023-11-30 |
Family
ID=7260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7973A KR102607566B1 (ko) | 2019-04-01 | 2019-04-01 |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019421B2 (ko) |
EP (1) | EP3909259A4 (ko) |
KR (1) | KR102607566B1 (ko) |
WO (1) | WO2020204611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7151A1 (ko) * | 2021-03-18 | 2022-09-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외부 소리를 듣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WO2023140462A1 (ko) * | 2022-01-20 | 2023-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149720A1 (ko) * | 2022-02-07 | 2023-08-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4063456A1 (ko) * | 2022-09-19 | 2024-03-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 일시적 저장 매체 |
WO2024111813A1 (ko) * | 2022-11-24 | 2024-05-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어버즈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이어버드의 이어팁 크기 인식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72298B2 (en) | 2019-07-08 | 2021-11-09 | Apple Inc. |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headphone fit adjustment and audio output control |
WO2021089981A1 (en) | 2019-11-04 | 2021-05-14 | Cirrus Logic International Semiconductor Limited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biometric processes |
CN113497988B (zh) * | 2020-04-03 | 2023-05-1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无线耳机的佩戴状态确定方法及相关装置 |
US11722178B2 (en) | 2020-06-01 | 2023-08-08 | Apple Inc. |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audio routing |
US11941319B2 (en) | 2020-07-20 | 2024-03-26 | Apple Inc. |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udio output modes of wearable audio output devices |
US11375314B2 (en) | 2020-07-20 | 2022-06-28 | Apple Inc. |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udio output modes of wearable audio output devices |
US11523243B2 (en) | 2020-09-25 | 2022-12-06 | Apple Inc. |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sing spatialized audio during communication session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315412A1 (en) * | 2012-05-25 | 2013-11-28 | Bose Corporation | In-ear active noise reduction earphone |
US20150023510A1 (en) * | 2013-07-22 | 2015-01-22 | Funai Electric Co., Ltd. | Sound Processing System and Sound Processing Device |
US20170094396A1 (en) * | 2015-09-30 | 2017-03-30 | Apple Inc. | Wireless pairing of earbuds and case |
WO2019045394A1 (ko) * | 2017-08-28 | 2019-03-0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의 근접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06179B2 (en) * | 2003-04-01 | 2008-07-29 | Sound Design Technologies, Ltd.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insertion or removal of a hearing instrument from the ear canal |
US20130114823A1 (en) | 2011-11-04 | 2013-05-09 | Nokia Corporation | Headset With Proximity Determination |
DK2731356T3 (en) | 2012-11-07 | 2016-05-09 | Oticon As | Body worn control device for hearing aids |
JP6518530B2 (ja) | 2015-06-26 | 2019-05-22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機器 |
US9967647B2 (en) | 2015-07-10 | 2018-05-08 | Avnera Corporation | Off-ear and on-ear headphone detection |
US10291975B2 (en) * | 2016-09-06 | 2019-05-14 | Apple Inc. | Wireless ear buds |
US9838812B1 (en) * | 2016-11-03 | 2017-12-05 | Bose Corporation | On/off head detection of personal acoustic device using an earpiece microphone |
WO2018129242A1 (en) * | 2017-01-05 | 2018-07-12 | Knowles Electronics, Llc | Load change diagnostics for acoustic devices and methods |
US9894452B1 (en) | 2017-02-24 | 2018-02-13 | Bose Corporation | Off-head detection of in-ear headset |
KR102470977B1 (ko) * | 2017-10-10 | 2022-11-25 | 시러스 로직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 리미티드 | 헤드셋 온 이어 상태 검출 |
-
2019
- 2019-04-01 KR KR1020190037973A patent/KR1026075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4-01 US US16/837,292 patent/US11019421B2/en active Active
- 2020-04-01 WO PCT/KR2020/004479 patent/WO2020204611A1/en unknown
- 2020-04-01 EP EP20783424.3A patent/EP3909259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315412A1 (en) * | 2012-05-25 | 2013-11-28 | Bose Corporation | In-ear active noise reduction earphone |
US20150023510A1 (en) * | 2013-07-22 | 2015-01-22 | Funai Electric Co., Ltd. | Sound Processing System and Sound Processing Device |
US20170094396A1 (en) * | 2015-09-30 | 2017-03-30 | Apple Inc. | Wireless pairing of earbuds and case |
WO2019045394A1 (ko) * | 2017-08-28 | 2019-03-0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의 근접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7151A1 (ko) * | 2021-03-18 | 2022-09-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외부 소리를 듣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WO2023140462A1 (ko) * | 2022-01-20 | 2023-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149720A1 (ko) * | 2022-02-07 | 2023-08-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4063456A1 (ko) * | 2022-09-19 | 2024-03-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 일시적 저장 매체 |
WO2024111813A1 (ko) * | 2022-11-24 | 2024-05-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어버즈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이어버드의 이어팁 크기 인식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09259A1 (en) | 2021-11-17 |
US11019421B2 (en) | 2021-05-25 |
US20200314526A1 (en) | 2020-10-01 |
KR102607566B1 (ko) | 2023-11-30 |
WO2020204611A1 (en) | 2020-10-08 |
EP3909259A4 (en) | 2022-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7566B1 (ko) | 음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 |
KR102609837B1 (ko) | 전원 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200085030A (ko) |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427206B1 (ko) | 외부 액세서리 연결에 따른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11290800B2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water repellent structure using speaker module and method for sensing moisture penetration thereof | |
KR102602372B1 (ko) | 인이어 마이크를 포함하는 헤드셋 | |
US1011441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 |
KR20200085546A (ko) |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파워 백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643055B1 (ko) | 헤드셋 전자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 |
US11152779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corrosion of audio jack | |
KR20200097590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마이크로폰 블록 검출 방법 | |
KR20210001646A (ko) |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 | |
KR20190105857A (ko) | 스피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10083059A (ko) |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EP4258084A1 (en) |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internal nois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597599B1 (ko) |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693431B1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 |
KR102651293B1 (ko) | 전자 장치,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및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의 안테나 신호 수신 방법 | |
KR20200121623A (ko) | 음향 진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음향 장치 | |
KR20210101644A (ko) | 음질 개선 방법 및 이어 웨어러블 장치 | |
KR20210100928A (ko) |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 |
KR20210101670A (ko) | 음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 |
KR20200134450A (ko) |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 | |
KR20200121549A (ko) | 액세서리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 |
KR20220101968A (ko) | 내부 노이즈를 줄이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