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450A -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450A
KR20200134450A KR1020190059917A KR20190059917A KR20200134450A KR 20200134450 A KR20200134450 A KR 20200134450A KR 1020190059917 A KR1020190059917 A KR 1020190059917A KR 20190059917 A KR20190059917 A KR 20190059917A KR 20200134450 A KR20200134450 A KR 2020013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ensor
state
audio signa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450A/ko
Priority to PCT/KR2020/005349 priority patent/WO2020235818A1/ko
Publication of KR2020013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오디오 신호를 일 방향으로 방출하고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사운드 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위치하는 외부객체를 식별하는 근접 센서,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와, 상기 사운드 센서, 상기 근접 센서,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 센서, 근접 센서 및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A WEARING STATE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통하여 간편하게 사용자는 음악을 청취하거나, 전화를 수신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이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귀, 목, 또는 손목등에 착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의 판단에 응답하여, 지정된 사용 상태에 필요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필요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센서가 활용되고 있다. 음향 출력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착용 여부 판단을 위해서, 사운드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음향 출력 장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운드 센서를 상시 활성화시키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소모 전력이 높아 질 수 있으며, 근접 센서나 사운드 센서만을 바탕으로 외부객체를 감지하는 경우, 외부 객체가 주머니에 있거나, 사용자의 착용이 아닌 다른 객체를 인식하는 경우에도, 착용 상태로 판단할 수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오디오 신호를 일 방향으로 방출하고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사운드 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위치하는 외부객체를 식별하는 근접 센서,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와, 상기 사운드 센서, 상기 근접 센서,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 센서, 근접 센서 및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검출 센서, 근접 센서, 사운드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사운드 센서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사운드 센서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사운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검출된 움직임이 지정된 기준 이하일 경우 센서들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어,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운드 센서와 근접 센서의 검출 값을 함께 활용하여, 사용자에 의한 착용 상태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착용 상태 판단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미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움직임 센서(120), 근접 센서(130), 또는 전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움직이는 방향과 거리와 같은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다양한 방식들에 기반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식, 관성식 또는 실리콘 반도체식 감지 센서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출력신호를 프로세서(110)에서 처리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운동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신호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달된 움직임 검출 신호를 처리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움직임 검출 신호를 전달받아, 일정 시간 동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일정 시간 동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움직임이 있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 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내에 실장된 근접 센서(130) 또는 사운드 센서(14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 상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미착용 상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제거되어 사용될 수 없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근접 센서(130) 또는 사운드 센서(140)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프로세서(110)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검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검출 신호를 처리하여, 일정 시간 동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이 없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일정 시간 동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움직임이 없는 경우, 근접 센서(130) 또는 사운드 센서(14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근접 센서(130) 또는 사운드 센서(140)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30)는 움직인 감지 센서(120)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10)에 의해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근접 센서(13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접근하는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신체 일부, 귀, 목, 또는 손목)를 인식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0)는 적외선이나 초음파를 발신하는 발신부와 외부 객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이나 초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30)의 발신부는 적외선 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30)는 발신부를 빔 패턴이 좁은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VCSEL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일 수 있다. VCSEL을 사용한 근접 센서(130)는 빔패턴이 좁게 형성될 수 있고,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착용되는 것 이외, 다른 사물에 가까이 배치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착용되는 것으로 오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30)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미착용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움직임을 보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근접 센서(130)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근접 센서(130)는 발신부를 통하여, 신호(예: 적외선 또는 초음파 등)를 방출할 수 있다. 방출된 신호는 외부 객체에 반사되어 근접센서의 수신부로 전달될 수 있다. 근접 센서(130)는 외부 객체로부터 신호가 반사되어 오는 시간을 검출하여, 외부 객체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30)는 검출된 외부 객체와의 거리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외부 객체와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내에 위치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외부 객체와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운드 센서(140)를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외부 객체와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미착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 상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적게 감지되는 경우, 근접센서(130)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센서(140)는 하우징 내부에서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은 사운드 센서(140)의 오디오를 외부로 전달하는 음향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센서(140)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방출 장치와 마이크와 같은 오디오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센서(140)는 스피커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가 외부 객체로부터 반사된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로 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는 비가청 대역의 오디오 신호일 수 있고, 지정된 대역의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반사되어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파형이나 톤의 변화가 지정된 범위내에 포함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지정된 범위내의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상태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센서(140)의 소비 전력이 근접 센서(130) 또는 가속도 센서(120)의 소비전력보다 크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사운드 센서(140)는 근접 센서(130)의 검출 신호와 움직임 감지 센서(120)의 검출 신호를 바탕으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태가 인식 된 이후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사운드 센서(140), 근접 센서(130), 및 움직임 감지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운드 센서(140), 근접 센서(130) 및 움직임 감지 센서(120)의 감지 값을 바탕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를 이용하여 지정된 움직임 보다 큰 움직임을 검출하고, 움직임 검출에 응답하여 근접 센서(130)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활성 상태의 근접 센서(130)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주변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주변(100)에 위치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활성 상태의 사운드 센서(14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운드 센서(140)를 제어하고, 사운드 센서(140)를 이용하여 출력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것은 반사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오디오 신호의 특성과 비교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착용 상태로 인식한 후, 움직임 감지 센서(120)를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움직임 보다 작은 움직임을 검출하고, 작은 움직임 검출에 대응하여, 사운드 센서(140)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근접 센서(130)를 통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외부객체가 위치하지 않음을 식별하고, 지정된 거리 이내에 외부 객체가 위치하지 않음을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미착용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150)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15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내장된 배터리일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유선 이어폰 또는 헤드셋과 같이 외부 전자 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어 지는 경우에는 별도의 내장 배터리 대신, 전력 전송 라인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90), 프로세서(110), 움직임 감지 센서(120), 근접센서(130), 또는 사운드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90)은 프로세서(110), 움직임 감지 센서(120), 및 사운드 센서(140)가 실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하우징(190)의 외면에는 근접센서(130)가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근접 센서(130)가 노출되는 제1 외면(101), 제1 외면(101)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고, 이어팁(181)으로 감싸지는 제2 외면(102), 제1 외면(101)의 반대되는 방향(-x)으로 향하는 제4 외면(10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90)은 제2 외면(102)과 제4 외면(10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방향(y) 또는 제3 방향(z)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외면(103)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90)은 제2 외면(102)의 단부에 형성된 노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180)는 사운드 센서(140)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는 제1 음향 관로(185)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30)는 제1 외면(101)에 형성된 개구(135)를 통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근접 센서(130)의 노출되는 면이 향하는 방향(131)은 제1 음향 관로(185)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가 향하는 방향(141)과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0)와 사운드 센서(140)는 동일방향으로 배치되어, 근접 센서(130)에 의해 외부 객체의 근접을 인식하더라도, 사운드 센서(140)에 의해 외부 객체가 실제로 근접됨을 확인하여, 착용 상태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30)는 VCSEL 방식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빔의 직진성이 좋아 책상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놓인 경우,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물체의 운동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감지 센서(120)의 검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무게중심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 웨어러블 전자 장치(140)의 전자 부품 중 무거운 부품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이어폰일 경우, 스피커(145)나 배터리(미도시)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스피커(145)와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어 무게 중심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센서(140)는 스피커(145)와 마이크(146)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운드 센서(140)는 오디오 신호(142)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143)를 바탕으로 외부객체(199)의 근접 여부 또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145)는 오디오 신호(142)를 외부로 방출하여, 외부 객체(199)(예: 사용자의 귀)에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된 오디오 신호(142)는 외부 객체(199)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오디오 신호(143)는 마이크(146)로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146)로 전달된 오디오 신호(143)는 지정된 음향 특성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착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실장되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 근접 센서(130), 및 사운드 센서(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로부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검출된 움직임에 대응하여, 근접 센서(130) 도는 사운드 센서(140)를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0)가 활성화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근접 센서(130)로부터 외부 객체(199)와의 근접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근접 여부의 검출에 대응하여, 사운드 센서(140)를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운드 센서(140)가 활성화 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사운드 센서(140)의 마이크(146)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143)의 특성을 처리하여, 사용자의 착용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사운드 센서(140), 근접 센서(130), 움직임 검출 센서(120)에서 검출된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 상태 또는 미착용 상태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호작용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의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음성이 스피커(145)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통신 모듈로 연결되어 있으면, 외부 전자 장치에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10)의 움직임 감지에 의해 활성화된 사운드 센서(140) 또는 근접 센서(130)에 검출된 신호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운드 센서(140) 및 근접 센서(130)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착용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착용상태로 인식되어 있는 경우,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오디오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제거되어, 사운드 센서(140) 또는 근접 센서(130)로부터 지정된 거리보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벗어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미착용 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미착용 상태로 인식되어 있는 경우,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오디오는 외부 전자 장치의 음향 출력 장치로 재생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착용 상태로 인식되어 있는 경우, 전화가 수신되면, 음성 출력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로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미착용 상태로 인식되어 있는 경우, 전화가 수신되면, 음성 출력은 외부 전자 장치의 음향 출력 장치로 재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 근접 센서(130), 사운드 센서(140)와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161, 162, 163, 164)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운드 센서(140)의 스피커(145) 및 마이크(146)는 제1 인쇄회로기판(161)에 실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 및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제2 인쇄회로기판(162)에 실장될 수 있고, 근접 센서(130)는 제3 인쇄회로기판(163)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161)과 제2 인쇄회로기판(162)은 제4 인쇄회로기판(163)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서 실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100), 움직임 감지 센서(120), 근접 센서(130), 또는 사운드 센서(140)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의 전 후면에 실장되거나,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프로세서(100), 움직임 감지 센서(120), 근접 센서(130), 또는 사운드 센서(14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부품들은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90)은 스피커(145)로부터 오디오 신호(142)가 외부 객체로 방출되도록 제1 음향 관로(185) 및 마이크(146)에 연결된 제2 음향 관로(1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 관로(185)는 스피커(145)에 연결되어 외부로 음향을 전달할 수 있고, 제2 음향 관로(186)는 외부에서 반사되어 들어오는 음향을 마이크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음향관로(185)와 제2 음향 관로(186) 사이에는 제3 음향 관로(187)에 의해 분기될 수 있다. 제1 음향 관로(185)를 통하여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142)는 외부 객체(199)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오디오 신호(143)은 제1 음향 관로(185), 제3 음향 관로(187), 및 제2 음향 관로(186)을 순차적으로 거쳐 마이크(146)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음향 관로(185)의 적어도 일부분은 오디오 신호(142)의 전달 경로 및 상기 반사 오디오 신호(143)의 전달 경로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음향 관로(185)는 단부에 오디오 신호(142)를 외부로 전달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노즐부(18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음향 관로(185)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음향홀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부(180)의 높이는 제1 방향(x)을 향하는 스피커(145)의 일면을 기준으로 근접 센서(130)의 높이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부(180)는 스피커(145)의 일면을 기준으로 돌출되어, 제1 방향(x)으로 양의 거리일 수 있고, 근접 센서(130)는 스피커(145)의 일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x)의 음의 거리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노즐부(180)와 근접 센서(130)는 스피커(145)의 일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x)의 양의 거리를 가지지만, 노즐부(180)와 근접 센서(130)의 스피커(145) 일면으로부터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부(180)와 근접 센서(130)의 노출되는 면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있어서, 귀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노즐부(180)가 외이에 삽입되고, 근접 센서(130)는 귓바퀴 주위에 접하게 될 수 있다. 귀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노즐부(180)나 근접 센서(130)동시에 외부 객체가 접하는 경우가 발생할 일이 적기 때문에, 근접 센서(130)와 사운드 센서(140)가 동시에 오인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파지하는 경우는 하우징(190)의 외부에 돌출된 제3 외면(103)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다. 제3 외면(103)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면, 사운드 센서(140)나 근접 센서(130)는 외부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면(101) 및 제4 외면(104)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경우, 근접 센서(130)는 외부 객체의 접근이 감지되지만, 사운드 센서(140)는 외부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면(102)과 제4 외면(104)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경우, 사운드 센서(140)는 외부 객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지만, 근접 센서(130)는 외부 객체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인식하려면, 사운드 센서(140) 및 근접 센서(130)에서 외부 객체가 근접함을 인식하여야 하지만,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는 경우에, 제1 외면(101)과 제2 외면(102)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없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파지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통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 판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 및 도 3의 프로세서(110))는 움직임 검출 센서(예: 도 1의 움직임 검출 센서(12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검출 센서는 웨어러블 장치의 동적 특징을 감지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감지된 동적 특징을 바탕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예를 들면, 속도, 가속도,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거리)가 지정된 움직임보다 크거나 지정된 이동 방향인 경우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02에서,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근접 센서(예: 도 1 내지 도 3의 근접 센서(130))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장치가 움직인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를 슬립(sleep) 상태에서 웨이크 업(wake-up)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프로세서는 활성 상태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예: 도 3의 외부 객체(199))가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센서는 발광부에서 빛을 방출하고, 방출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부에 수신되는 시간을 획득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이를 처리하여, 외부 객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와 웨어러블 장치와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함을 식별하면, 404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동작 404에서, 외부 객체가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사운드 센서(예: 도 1 및 도 3의 사운드 센서(140))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사운드 센서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사운드 센서를 슬립(sleep) 상태에서 웨이크 업(wake-up)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를 통하여, 외부 객체가 근접한 것인지 감지하고, 이차적으로 사운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프로세서는 활성화된 사운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센서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활성 상태의 사운드 센서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운드 센서를 제어하고, 사운드 센서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활성화된 사운드 센서의 스피커(예: 도 3의 스피커(145))와 같은 음향 출력장치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활성화된 사운드 센서의 마이크(예: 도 3의 마이크(146))와 같은 음향 수신장치를 통하여, 외부객체에서 반사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 시간으로부터 외부 객체에서 반사된 반사 오디오의 수신 시간의 차이 또는 반사된 오디오의 음향 특성(예: 톤의 변화, 진동수의 변화 또는 음향의 크기 또는 진폭의 감소 정도)을 통하여, 지정된 음향 특성 또는 시간 차이와 비교할 수 있다.
406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신호의 음향 특성 변화 또는 오디오 신호의 외부 객체까지 왕복 시간을 바탕으로,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 인식에 대응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미착용 상태로부터 착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착용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웨어러블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전자 장치의 전화 수신 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통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음악의 재생이나 콘텐트를 실행하는 경우, 음성의 출력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미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활성화된 근접 센서를 통하여 외부 객체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의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빛이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지정된 시간보다 길면 외부 객체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식별할 수 있다.
503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가 근접하지 않음을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미착용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객체가 지정된 거리 이내를 벗어나 위치함을 식별하면, 사용자로부터 미착용 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태를 미착용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미착용 상태로 인식한 것에 대응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태를 미착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착용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수행을 중지하도록 웨어러블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전자 장치의 전화 수신 시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아닌 외부 전자 장치의 음향 출력 장치를 통하여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음악의 재생이나 콘텐트를 실행하는 경우, 음성의 출력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아닌 외부 전자 장치의 음향 출력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미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동작에서, 움직임 검출 센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과 관련된 동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602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과 관련된 동적 정보를 바탕으로,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 거리보다 큰 이동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움직임과 관련된 동적 정보에 따른 이동 거리가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거리보다 큰 경우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을 의도한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움직임과 관련된 동적 정보 중 가속도, 속도, 지정된 시간 동안 지정된 가속도, 지정된 속도 보다 큰 경우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을 의도한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움직임과 관련된 동적 정보 중 이동 방향이 지정된 시간 동안 지정된 이동 방향으로 이동이 있는 경우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을 의도한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위로 이동한 것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가 사용을 의도한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움직임과 관련된 동적 정보 중 가속도, 속도,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나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을 의도한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사용을 의도한 움직임으로 판단하면, 603동작에서, 근접센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사용을 의도한 움직임이 없다 판단하면, 621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미착용된 상태로 인식하고, 601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604동작에서, 프로세서는 활성화된 근접 센서를 통하여 외부 객체와 웨어러블 전자 장치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센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외부 객체간의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외부객체와 웨어러블 전자 장치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605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검출된 거리를 바탕으로 외부 객체가 지정된 거리내에 위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외부 객체가 지정된 거리내에 위치하면, 프로세서는 606동작에서, 사운드 센서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사운드 센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거나,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605동작에서, 외부 객체가 지정된 거리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631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미착용 상태임을 인식하고, 미착용 상태임을 인식한 것에 대응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미착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607 동작에서, 활성화된 사운드 센서의 음향 출력 장치를 통하여, 방출된 오디오 신호가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오디오 신호는 사운드 센서의 음향 수신 장치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는 비가청 대역의 진동수를 가지는 신호일 수 있고, 지정된 대역의 진동수를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608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음향 수신 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지정된 음성 특성을 가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특성은 오디오 신호의 진폭 변화, 오디오 신호의 진동수 변화 또는 오디오 신호의 톤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수신된 음성 특성이 외부 객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오디오 신호의 특성이 지정된 오디오 신호의 특성(예를 들면, 노즐부(180)에 위치하는 외부 객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음향 특성)과 비교를 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신된 사운드가 지정된 음성 특성을 가진다고 판단하면, 609동 작에서,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 상태로 인식하고, 착용 상태로 인식함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61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사운드 센서를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신된 사운드가 지정된 음성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641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미착용 상태로 인식하고, 미착용 상태로 인식함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미착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642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사운드 센서를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643동작에서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를 통하여 외부 객체가 지정된 거리를 벗어 났는지 판단할 수 있고, 벗어 나지 않았다면, 644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644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643 동작을 재 판단하고, 외부 객체가 지정된 거리를 벗어 났다면, 604 동작을 재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동작 701에서는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 상태 중에서는 근접 센서는 활성화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동작 702에서, 프로세서는 착용 상태로 인식하고 있고,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상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01과 동작 702는 착용상태로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프로세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 할 수 있다. 동작 704에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항 움직임의 검출을 기초로, 프로세서는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거리보다 큰 이동이 없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602 동작과 마찬가지로, 움직임 검출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과 관련된 동적 정보를 바탕으로,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 거리보다 큰 이동이 없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 거리보다 큰 이동이 있었다면, 705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를 통하여 외부 객체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706동작에서 프로세서는 검출된 외부 객체와의 거리를 바탕으로 외부 객체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객체가 지정된 거리내에 위치하면, 704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외부 객체가 지정된 거리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707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미착용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720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항 움직임의 검출을 기초로, 프로세서는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거리보다 큰 이동이 없는지 판단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거리보다 큰 이동이 있다면, 722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거리보다 큰 이동이 없다면 721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움직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708동작 및 720 동작을 통하여 722 동작에서 프로세서는 근접센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고, 723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움직임 센서를 통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움직임을 바탕으로, 724동작에서 프로세서는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거리보다 큰 이동이 있는지 판단하고, 큰 이동이 없다면, 723동작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이동거리보다 큰 이동이 있다면, 725동작에서 프로세서는 근접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미착용 상태를 인식하는 동작 707을 수행한 이후, 동작 720 내지 동작 725 중 적어도 일부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미착용 상태를 인식하는 동작 707을 수행한 이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800)에서 전자 장치(801)는 제 1 네트워크(8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서버(808)를 통하여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20), 메모리(830), 입력 장치(850), 음향 출력 장치(855), 표시 장치(860), 오디오 모듈(870), 센서 모듈(876), 인터페이스(877), 햅틱 모듈(879), 카메라 모듈(880), 전력 관리 모듈(888), 배터리(889), 통신 모듈(890), 가입자 식별 모듈(896), 또는 안테나 모듈(8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8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860) 또는 카메라 모듈(8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8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8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820)에 연결된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8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8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8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8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20)는 메인 프로세서(8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8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823)은 메인 프로세서(8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메인 프로세서(8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8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8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와 함께,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860),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8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880) 또는 통신 모듈(8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 또는 센서모듈(8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휘발성 메모리(8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840)은 메모리(8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842), 미들 웨어(844) 또는 어플리케이션(8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는, 전자 장치(8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8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8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8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8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860)는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8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8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870)은, 입력 장치(8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855), 또는 전자 장치(8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876)은 전자 장치(8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8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7)는 전자 장치(8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8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8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8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8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8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8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88)은 전자 장치(8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889)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8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전자 장치(8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프로세서(8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890)은 무선 통신 모듈(8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8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8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은 가입자 식별 모듈(8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898)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8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8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8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898) 또는 제 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8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8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8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899)에 연결된 서버(808)를 통해서 전자 장치(801)와 외부의 전자 장치(8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802, 804) 각각은 전자 장치(8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802, 804, or 8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8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8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8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836) 또는 외장 메모리(8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8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8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8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예: 도 3의 하우징(19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오디오 신호를 일 방향으로 방출하고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사운드 센서(예: 도 3의 사운드 센서(140)),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위치하는 외부객체를 식별하는 근접 센서(예: 도 3의 근접센서(130)),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예: 도 3의 움직임 감지 센서(120))와, 상기 사운드 센서, 상기 근접 센서,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 센서, 근접 센서 및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센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방출하는 스피커(예: 도 3의 스피커(145)) 및 상기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예: 도 3의 마이크(146))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1 음향 관로(예: 도 3의 제1 음향 관로(185))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된 제2 음향 관로(예: 도 3의 제2 음향 관로(18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음향 관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전달 경로 및 상기 반사 오디오 신호의 전달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음향 관로는 단부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개구가 형성된 노즐부(예: 도 3의 노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방향을 향하는 상기 스피커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근접 센서의 높이는 상기 노즐부의 높이와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센서에서 방출되는 오디오 신호의 경로와 상기 근접 센서에서 방출되는 신호의 경로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지정된 움직임 보다 큰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근접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사운드 센서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사운드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사운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것은 상기 반사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오디오 신호의 특성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 상태로 인식한 후, 상기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움직임 보다 작은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작은 움직임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외부객체가 위치하지 않음을 식별하고,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외부객체가 위치하지 않음을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미착용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움직임 검출 센서(예: 도 1의 움직임 센서(120)), 근접 센서(예: 도 1의 근접 센서(130)), 사운드 센서(예: 도 1의 사운드 센서(14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사운드 센서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사운드 센서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사운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은 상기 반사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오디오 신호의 특성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상태로 인식한 동작 후, 상기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움직임 보다 작은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작은 움직임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 검출에 응답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움직임보다 큰 움직임이 있으면, 상기 근접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 검출에 응답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움직임보다 큰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미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착용 상태로 인식된 후,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이 지정된 움직임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지정된 움직임 보다 작음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이 상기 지정된 움직임보다 클 때, 상기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를 벗어나 외부객체가 위치함을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지정된 거리를 벗어나 외부객체가 위치함을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미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오디오 신호를 일 방향으로 방출하고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사운드 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위치하는 외부객체를 식별하는 근접 센서;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상기 사운드 센서, 상기 근접 센서,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 센서, 근접 센서 및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센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방출하는 스피커 및 상기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1 음향 관로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된 제2 음향 관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관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전달 경로 및 상기 반사 오디오 신호의 전달 경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관로는 단부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개구가 형성된 노즐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향하는 상기 스피커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근접 센서의 높이는 상기 노즐부의 높이와 상이한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센서에서 방출되는 오디오 신호의 경로와 상기 근접 센서에서 방출되는 신호의 경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인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지정된 움직임 보다 큰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근접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사운드 센서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사운드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사운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것은 상기 반사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오디오 신호의 특성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 상태로 인식한 후, 상기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움직임 보다 작은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작은 움직임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전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외부객체가 위치하지 않음을 식별하고,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에 외부객체가 위치하지 않음을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미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전자 장치.
  13. 움직임 검출 센서, 근접 센서, 사운드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근접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주변에 위치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활성 상태의 상기 사운드 센서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사운드 센서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사운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반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은 상기 반사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오디오 신호의 특성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상태로 인식한 동작 후, 상기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움직임 보다 작은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작은 움직임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운드 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 검출에 응답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움직임보다 큰 움직임이 있으면, 상기 근접 센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 검출에 응답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지정된 움직임보다 큰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미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동작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착용 상태로 인식된 후,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이 지정된 움직임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지정된 움직임 보다 작음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움직임이 상기 지정된 움직임보다 클 때, 상기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지정된 거리를 벗어나 외부객체가 위치함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거리를 벗어나 외부객체가 위치함을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미착용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KR1020190059917A 2019-05-22 2019-05-22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 KR20200134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17A KR20200134450A (ko) 2019-05-22 2019-05-22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
PCT/KR2020/005349 WO2020235818A1 (ko) 2019-05-22 2020-04-23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17A KR20200134450A (ko) 2019-05-22 2019-05-22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450A true KR20200134450A (ko) 2020-12-02

Family

ID=7345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917A KR20200134450A (ko) 2019-05-22 2019-05-22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34450A (ko)
WO (1) WO20202358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49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409B1 (ko) * 2005-08-10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음향제어장치 및 그 무선 헤드폰
KR101183737B1 (ko) * 2010-11-15 2012-09-17 서인아 동작 인식이 가능한 멀티 이어폰 장치 및 이 장치의 동작 인식 방법
GB2530679B (en) * 2012-02-21 2016-05-18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Noise cancellation system
KR102036783B1 (ko) * 2013-09-05 2019-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81604B1 (ko) * 2015-10-06 2016-12-12 주식회사 진진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레이더 디텍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49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818A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9421B2 (en) Method for detecting wearing of acoustic device and acoust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427206B1 (ko) 외부 액세서리 연결에 따른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290800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water repellent structure using speaker module and method for sensing moisture penetration thereof
KR102324967B1 (ko) 외부 객체의 근접에 따라 변경된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70509B1 (ko) 통신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광도전성 물질의 전기적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KR20210047613A (ko) 관성 센서를 이용한 착용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200134450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상태를 식별하는 방법
KR102643055B1 (ko) 헤드셋 전자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KR102596823B1 (ko) 외부 오디오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4258084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internal nois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516574B2 (en) Audio output device and method to detect wearing thereof
KR20210001646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
KR102651293B1 (ko) 전자 장치,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및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의 안테나 신호 수신 방법
CN116671129A (zh) 利用电源装置查找音频输出装置的方法及其电源装置
KR20200121549A (ko) 액세서리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1249A (ko) 외부 전자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114757A (ko) 키리스 리셋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00117494A (ko)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cross-talk 방지 구조
US20220408178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mbient sound when user is in danger
US2023008660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coustic actuator
KR102597599B1 (ko)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109483B2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20101968A (ko) 내부 노이즈를 줄이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6419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입력 감지 방법
KR20240018329A (ko) 터치 인식을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