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195A -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195A
KR20200116195A KR1020190037588A KR20190037588A KR20200116195A KR 20200116195 A KR20200116195 A KR 20200116195A KR 1020190037588 A KR1020190037588 A KR 1020190037588A KR 20190037588 A KR20190037588 A KR 20190037588A KR 20200116195 A KR20200116195 A KR 2020011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user
present
holographic image
hol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택
Original Assignee
이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택 filed Critical 이윤택
Priority to KR102019003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6195A/ko
Publication of KR2020011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판단부는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를 분석하며,
출력부는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opping clothes using holographic images}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전자장치는 좀더 선명하고 화려하고 입체적인 디스플레이로 발전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예로, 이동 단말기를 들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하지만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무한정으로 키우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환경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의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홀로그래피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에 대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사용자가 3차원 공간안에서 홀로그래피를 영상을 볼 수는 있지만,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대해서는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홀로그래피 모듈의 개량화에 따라서 홀로그래피 모듈이 점차적으로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종래의 홀로그래피는 단순히 영상을 보는것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것이 현실이였다.
또한, 종래의 옷 쇼핑몰은 단순한 2차원 또는 단순한 2차원 디스플레이에 국한되어 있는 3차원 데이터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였다.
이러한 한정된 쇼핑몰의 환경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좀더 시각적인 효과 및 옷을 쇼핑하는데 있어서 확실한 데이터를 원하게 만들고 있었다.
상기 단순한 2차원 또는 단순한 2차원 디스플레이에 국한되어 있는 3차원 데이터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온라인의 옷 구매란 그냥 일반적으로 입는 옷을 구매하도록 만들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명품옷 등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물로 확인 후 온라인에서 구매를 하는 것이 현실이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판단부는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를 분석하며,
출력부는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명품옷 등을 굳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물로 확인할 필요 없이 눈 앞에서 현실감 있게 옷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를 선택하고 쇼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옷의 데이터를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효과와 3차원 입체감 및 현실감있게 적용함으로서 사용자들은 굳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물로 확인할 필요 없이 보다 쉽고 확인하기 좋게 옷을 쇼핑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측면 간략도.
도 2 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정면 간략도
도 3 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후면 간략도
도 4 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3차원 간략도.
도 5 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3차원 공간의 간략도. 3차원 공간에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도면의 전자장치는 3차원 공간상에 복수개의 전자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사용자는 따로 묘사하지 않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에 포함되는 제 1 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에 포함되는 전자장치(이동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제 1 의 예시적인 화면의 개략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종래의 홀로그래피는 단순히 영상을 보는것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것이 현실이였다.
또한, 종래의 옷 쇼핑몰은 단순한 2차원 또는 단순한 2차원 디스플레이에 국한되어 있는 3차원 데이터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였다.
이러한 한정된 쇼핑몰의 환경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좀더 시각적인 효과 및 옷을 쇼핑하는데 있어서 확실한 데이터를 원하게 만들고 있었다.
상기 단순한 2차원 또는 단순한 2차원 디스플레이에 국한되어 있는 3차원 데이터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온라인의 옷 구매란 그냥 일반적으로 입는 옷을 구매하도록 만들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명품옷 등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물로 확인 후 온라인에서 구매를 하는 것이 현실이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판단부는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를 분석하며,
출력부는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명품옷 등을 굳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물로 확인할 필요 없이 눈 앞에서 현실감 있게 옷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를 선택하고 쇼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옷의 데이터를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효과와 3차원 입체감 및 현실감있게 적용함으로서 사용자들은 굳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물로 확인할 필요 없이 보다 쉽고 확인하기 좋게 옷을 쇼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공간상은 2차원 내지 3차원 공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설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더해진 카메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얼굴 방향을 감지하고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사용자의 얼굴 방향을 감지하면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따라움직이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로 구성되는 것 중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자장치의 판단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판단부는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카메라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 및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자장치의 판단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판단부는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일정간격이상 홀로그래피 형상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한 것으로 인식함으로서, 제어할 수 있는 홀로그래피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일정간격이상 홀로그래피 형상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한 것으로 인식함으로서, 제어할 수 있는 홀로그래피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 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가 되는 전자장치의 측면에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디바이스를 뜻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 출력부 외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종래에 사용되는 화면에 직접접촉하거나 일정부분 떨어져서 사용하는 터치기술을 적용한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기술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터치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전자장치는, 종래에 수행되고 있는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충분히 기재하지 않을 수 있지만, 종래에 수행되고 있는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술이 포함된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에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기술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홀로그래피를 영상을 출력하는 기술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에는 홀로그래피 모듈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홀로그래피 모듈은 전자장치의 전면인 디스플레이부상의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및 전자장치의 후면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에서,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2차원(2D) 평면 영상 및 3차원(3D) 입체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에서,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홀로그래피 모듈을 기계적으로 제어함으로서 홀로그래피의 영상의 위치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는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평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설정된 2차원 평면은 3차원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는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3차원,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는 레이저 광선으로 2차원 평면에 3차원 입체를 묘사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3차원,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으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직접 터치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2차원, 3차원,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제어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홀로그래피 제어 방법의 정확성을 더하기 위하여
a.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카메라로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예를들어, 코, 입술, 눈썹,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얼굴방향을 감지 할 수 있는 부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을 감지하는 것은 정보의 정확성을 구비하기 위하여,
a.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끝,
b.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바닥,
c.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
d.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과 손목,
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팔,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카메라에서 직선부로 위치되는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계산하여 3차원 맵상에서의 데이터 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정확성을 더하기 위하여 하나이상의 카메라가 한 방향 이상에서 구비될 수 있음이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손끝의 위치를 3차원 맵상에서의 여러 데이터 값으로 변환하여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손끝의 위치 및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같이 감지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는 홀로그래피(holography) 기술로 촬영된 것을 의미한다. 홀로그래피(holography)는 빛의 간섭성을 이용하여 입체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 창출하는 것이다. 홀로그래피는 2D 또는 3D 입체 영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의 카메라는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라면 어느것이라도 적용 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의 카메라는 레이저 스캐너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의 카메라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 및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라면 어느것이라도 적용 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3차원 공간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한 상태로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홀로그램을 자유자재로 터치하여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제어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방법으로는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h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터치 방법은 멀티 터치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 터치 방법은 동시에 여러 개의 터치 포인트를 인식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a.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의 움직임을 감지 한 후 카메라로 감지
b. 감지를 최적화 하기위해 카메라를 최대사이즈로 확대하여(예를들어, 줌인하여) 감지
, 로 구성되는 a 내지 b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촬영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가 인식 한 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여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카메라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 및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가 인식 한 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여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사용자가 전자장치의 카메라로부터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3차원 공간상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홀로그래피 제어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얼굴이 어느 방향으로 향하는지)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눈의 중앙에서 눈동자가 어느 위치에 위치되는지) 감지해 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전자장치의 카메라로부터 일직선상에서 위치하였을때 사용자로부터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의 뒷부분, 예를들어 터치를 감지하기 어려운 위치의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자장치 또는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든부분을 터치하는데 있어서,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3차원 공간상에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구비되어,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드레그 하여 다른 임의의 3차원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옮기고자 하면, 카메라가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다른 전자장치를 ON 시켜, 상기 ON 된 전자장치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임의의 3차원 공간에 출력하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복수개의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어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또다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라는 표현은 '영상 및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라는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는, 카메라가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지 않고 3차원 공간상에 하나 이상 구비된 상태라면 충분한 감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h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a.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끝,
b.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바닥,
c.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
d.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과 손목,
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팔,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하는 것은 제어하여 변화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가 인식 한 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여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구비하되, 상기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는 방식은 명암, 원근감, 색상, 눈과 눈동자의 경계, 등 이미지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검토하는 방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는 방식은 카메라로 둘 이상의 사진, 영상, 등을 감지하여, 명암, 원근감, 색상, 등 이미지로 부터 획득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검토하는 방식을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하되, 상기 카메라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데 있어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데이터를 함께 감지하여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판단부는 비주얼C, C++,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판단부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피씨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판단부는 클라우드 서버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맵핑데이터는 2차원 정보를 3차원으로 입체 해석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3차원 입체 정보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판단부가 사용자의 특정 손모양, 예를들어 손가락 하나만 펴고 나머지는 주먹진 모양을 '클릭' 이라 저장하고, 사용자가 상기 '클릭'의 모양을 했을때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상기 방법은 오류발생이 적도록 일정한 패턴의 손모양을 판단부가 미리 인식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상기 패턴에 일치하는 손모양을 구비했을때 판단부가 명령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예를들어 엄지와 검지만 펴고 나머지 손가락은 접으면, 줌인 또는 줌아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을 '패턴 인식' 이라고 명한다. 상기 '패턴 인식'은 손가락의 모양 및 손가락의 방향, 위치, 손바닥의 방향, 손의 방향, 등 특정하게 패턴을 나눌수 있는 형태라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패턴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은 전자장치에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하는 것은, 제어하여 변화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d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모션 트래킹 카메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거리센서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센서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거리센서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디지털데이터값을 전송받아 기계적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방법을 구현하면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3차원으로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손의 형상 또는 패턴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판단 하여 사용자의 손끝의 형상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의 변화에 따른 2차원 내지 3차원 데이터변화값을 감지하며, 초음파 센서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의 3차원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카메라 및 초음파 센서의 데이터값을 판단부에서 판단하여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3차원 위치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센서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거리 센서)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에서 구비되는 거리 센서는 전자장치 또는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감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2차원 내지 3차원 좌표값으로 환산하여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영상과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감지하고 있는 영상과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2차원 내지 3차원 좌표값으로 환산하여 영상과 사용자의 얼굴 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먼저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 이후, 눈의 위치로부터 눈동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순서의 방법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나, 사용자가 어떠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하는 것은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하는 것은 제어하여 변화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은 여러 단계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은 여러 단계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여러 장치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는 여러 장치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 데이터를 만드는방법에 있어서, 데이터가 생성될 옷을 가운데 두고 360도에 구비되는 하나이상의 카메라로 데이터가 생성될 옷을 촬영하여 이를 3차원 데이터로 만드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은 옷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기성복, 신발 등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은 자신의 신체 데이터를 홀로그래피로 같이 출력하여 옷을 홀로그래피 형태로 자신의 신체 홀로그래피 데이터에 입혀보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신체 홀로그래피 데이터를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가 생성될 사람(신체)를 가운데 두고 360도에 구비되는 하나이상의 카메라로 데이터가 생성될 사람(신체)을 촬영하여 이를 3차원 데이터로 만드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은 자신의 신체에 홀로그래피 형태로 옷을 입혀보는 방법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이 신체에 가려질 수 있으나, 이를 감안하여 최대한 가려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판단부는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를 분석하며,
출력부는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판단부는 카메라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를 분석하며,
출력부는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며,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a.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c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h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a.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끝,
b.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바닥,
c.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
d.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과 손목,
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팔,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하는 것은 옷의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것은 제어하여 변화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로 구성되는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는 상기 제어하는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확인하고 옷의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하는 것은 옷의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것은 제어하여 변화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가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을 구비한다.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일면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면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채용된 용어 및 표현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용어로써 사용되나 의미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설명되거나 도시된 특징의 용어나 표현을 제한할 의도는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청구된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기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표적 실시예 및 선택적 특징들, 여기서 기술된 개념의 수정 및 변화가 종래 기술등에 의해 재분류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화들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된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의 예시이고, 본 발명이 장치들, 장치 구성요소들, 방법단계들의 많은 변화들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특별히 기술된 것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치 및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은 불필요한 실험에 의지하지 않고 넓게 드러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방법, 장치, 순서 그리고 특히 기술적으로 동일하게 알려진 기술은 의도되지 않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레벨에서 설명되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과도한 실험에 기대지 않고도 본 발명의 실시에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또한, 적당하게 도식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
200 : 전자장치(이동단말기)
210 : 카메라
500 : 전자장치
550 : 카메라
600 : 옷의 홀로그래피 영상

Claims (1)

  1. 홀로그래피는 홀로그래피(holography) 기술로 촬영된 것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방법

KR1020190037588A 2019-04-01 2019-04-01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 KR20200116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88A KR20200116195A (ko) 2019-04-01 2019-04-01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88A KR20200116195A (ko) 2019-04-01 2019-04-01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195A true KR20200116195A (ko) 2020-10-12

Family

ID=7288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588A KR20200116195A (ko) 2019-04-01 2019-04-01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61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47237B (zh) 在人工现实环境中基于手势的内容共享
KR102565755B1 (ko) 얼굴의 특징점의 움직임에 따라 모션이 수행된 아바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0254847B2 (en) Device interaction with spatially aware gestures
US11360550B2 (en) IMU for touch detection
Halarnkar et al.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a review
KR20160055407A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KR20200116195A (ko)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
KR20200115967A (ko)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
KR20200127312A (ko)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옷의 쇼핑 장치 및 방법
US110549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correcting operation direction and operation amount
Bhowmik Natural and intuitive user interfaces with perceptual computing technologies
KR101558094B1 (ko) 직관적인 핸드 모션에 기반한 멀티-모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782548B1 (en) Speed adapted touch detection
KR102316389B1 (ko) 가상 오브젝트의 좌표 추정 방법
WO202107510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61496A1 (en) Implementing contactless interactions with displayed digital content
KR20180044535A (ko) 홀로그래피 스마트홈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50137908A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KR20230133147A (ko) 두 개의 입력부가 접촉하는 영역에서 전단응력 패턴을 식별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591038B1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CN116204060A (zh) 鼠标指针基于手势的移动和操纵
KR20160002620U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KR20150138659A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KR20160014091A (ko) 홀로그래피 터치 기술 및 프로젝터 터치 기술
Comite Computer Vision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artificial vision techniques and use cases with creating interfaces and interaction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