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311A - 현상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311A
KR20200115311A KR1020200036780A KR20200036780A KR20200115311A KR 20200115311 A KR20200115311 A KR 20200115311A KR 1020200036780 A KR1020200036780 A KR 1020200036780A KR 20200036780 A KR20200036780 A KR 20200036780A KR 20200115311 A KR20200115311 A KR 20200115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heet member
developing device
ton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슌 사토
šœ 사토
야스시 카츠타
코헤이 마츠다
켄타로 카와타
히라쿠 사사키
히로키 오기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 디바이스는,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프레임, 프레임의 내부를 현상실 및 현상제 수용실로 구획하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격벽, 및 반송 부재를 포함한다. 반송 부재는 가요성 시트 부재와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현상제 수용실 내의 현상제가 개구부를 향해 이동되는 제1 방향으로 구동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시트 부재의 최대 가속도는,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최대 가속도보다 더 작다. 시트 부재가 구동 부재에 의해 면 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때, 시트 부재는 현상제 수용실의 내벽면의 형상을 따라 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현상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현상 디바이스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며, 현상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제2015-92226호 공보에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반송면 방향으로의 판 형상 부재의 왕복 이동에 의해 판 형상 부재 상의 현상제가 반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제2015-92226호 공보에서는, 판 형상 부재의 상면이 균일한 평면이었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현상제 수용실의 내벽면이 곡면 또는 복수의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도 고려될 것이다. 그 경우에, 판 형상 부재의 하면과 현상제 수용실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이 커지고 그 간극 내에 현상제가 남아 있으므로, 현상제 수용실 내의 현상제가 현상실에 효율적으로 반송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현상제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상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현상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현상 디바이스는,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프레임의 내부를, 현상제 담지체가 제공되어 있는 현상실 및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 수용실로 구획하도록 구성된 격벽으로서, 격벽에는 현상실과 현상제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격벽; 및 현상제 수용실로부터 현상실로 개구부를 통해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부재를 포함하고, 반송 부재는 가요성의 시트 부재와, 시트 부재를 면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해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현상제 수용실 내의 현상제가 개구부를 향해 이동되는 제1 방향으로 구동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시트 부재의 최대 가속도는,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시트 부재의 최대 가속도보다 더 작고, 시트 부재가 구동 부재에 의해 면 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때, 시트 부재는 현상제 수용실의 내벽면의 형상을 따라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반송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비교예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P-P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의 (c)는 도 5의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제2 비교예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P-P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의 (c)는 도 8의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 요소의 치수, 재료, 형상, 상대 배치 등에 관해서는,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를 이하의 실시형태로 제한하는 취지의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한번 기재된 재료, 형상 등은,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나중에 기재되는 것들과 유사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은 상담지체(image bearing member)로서의 감광 드럼(7)의 회전축선 방향이다. 또한, 좌우는 기록재(2)의 반송 방향에 대해 기록재(2)를 위에서 볼 때의 좌우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부 부분에 위치되는 면이고, 하면은 그 상태에서 하부 부분에 위치되는 면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 디바이스(10), 프로세스 카트리지(B) 및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레이저빔 프린터의 일례이다. 도 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본체(A)와, 장치 본체(A)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내부에는, 현상제 상(developer image)으로서의 토너 상(toner image)을 담지하기 위한 상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7)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8)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7)의 표면에, 광학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스캐너(1)로부터, 화상 정보에 기초한 레이저 광(1a)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7)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레이저 광(1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형성된 노광 개구부(9b)를 통해 감광 드럼(7)의 표면에 조사된다. 감광 드럼(7)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로서의 토너(T)에 의해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감광 드럼(7)의 표면 위의 토너 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급송 카세트(3a)로부터 픽업 롤러(3b) 및 이 픽업 롤러(3b)에 압접되는 압접 부재(3c)에 의해 기록재(2)를 하나씩 분리하여 급송한다. 기록재(2)로서는, 종이, OHP(Over Head Projector)에 사용하기 위한 투명한 시트로 이루어지는 OHT(Over Head Transparency) 시트, 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급송 카세트(3a)로부터 하나씩 분리되어 급송된 기록재(2)는, 반송 롤러 쌍(17, 18)에 의해 반송되고, 정지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registration roller pair)(21)에 기록재(2)의 선단부가 당접함으로써, 기록재(2)의 경사 이동이 보정된다. 그 후,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1)에 의해 기록재(2)가 반송된다. 이 때, 감광 드럼(7)의 표면 위의 토너 상의 선단부가 감광 드럼(7)과 전사 부재로서의 전사 롤러(4)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닙부(N)에 도달할 때의 타이밍을 고려한다. 그 타이밍과 동기하여, 기록재의 선단부가 전사 닙부(N)에 도달하도록 기록재(2)가 반송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21)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재(2)는, 반송 가이드(3f1)를 따라 전사 닙부(N)에 반송된다. 전사 닙부(N)에 반송된 기록재(2)는, 도시하지 않는 전사 전압원으로부터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있는 전사 롤러(4)에 의해, 감광 드럼(7)의 표면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된 후에, 기록재(2)는 반송 가이드(3f2)를 따라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디바이스(5)를 향해 반송된다.
정착 디바이스(5)는, 구동 롤러(5a)와, 히터(5b)를 내장하는 지지체(5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통형 시트에 의해 구성된 회전 가능한 정착 부재(5c)에 의해 구성된다. 구동 롤러(5a)와 회전 가능한 정착 부재(5c)에 의해 형성되는 정착 닙부를 통과하는 기록재(2)에 열 및 압력을 인가하여, 전사된 토너 상을 기록재(2)에 정착한다. 정착 디바이스(5)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된 기록재(2)는, 배출 롤러(22, 3d)에 의해 반송되어, 배출 트레이(6) 상으로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클리닝 유닛(11)과 현상 유닛으로서의 현상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제 상으로서의 토너 상을 담지하기 위한 상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7)과,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수단으로서는, 감광 드럼(7)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롤러(8)가 있다. 또한, 감광 드럼(7)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디바이스(10)가 있다. 추가로, 전사 후에 감광 드럼(7)의 표면에 남아 있는 토너(T)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11a) 등이 있다.
<클리닝 유닛>
클리닝 유닛(11)은, 감광 드럼(7)과, 클리닝 블레이드(11a)와, 대전 롤러(8)와, 도시하지 않는 잔류 토너 반송 부재와, 클리닝 (부재) 프레임(11d)을 포함한다. 또한, 클리닝 유닛(11)은, 전사 후에 감광 드럼(7)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토너(T)를 수용하기 위한 잔류 토너 수용부(11c)와, 감광 드럼(7)의 표면에 접촉하는 누설 방지 시트(1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 디바이스>
현상 디바이스(10)는, 토너(T)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14)와, 현상제로서의 토너(T)를 담지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0d)와,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10e)를 포함한다. 현상제 용기(14)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0d)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현상제로서의 토너(T)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14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현상 롤러(10d)와 현상 블레이드(10e)는 프레임(14a)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제 용기(14)의 내부에는, 현상제로서의 토너(T)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가 제공되고, 토너 수용부(14t) 내에 현상제로서의 토너(T)가 수용된다. 현상제 용기(14)는, 개구부(19)가 형성된 격벽(14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격벽(14c)은, 프레임(14a)의 내부를, 현상실(10i)과,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로 구획하고, 격벽에는 현상실(10i)과 토너 수용부(14t)를 연통시키는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 동작>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감광층을 갖는 감광 드럼(7)을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8)에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7)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7)의 표면은, 레이저 스캐너(1)로부터 노광 개구부(9b)를 통해, 화상 정보에 기초한 레이저 광(1a)에 노광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7)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7)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디바이스(10)로부터 현상제로서의 토너(T)를 공급함으로써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현상 디바이스(10)는, 현상제로서의 토너(T)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0d)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현상 롤러(10d)의 회전과 함께, 현상 블레이드(10e)에 의해 마찰 대전에 의한 전하를 부여한 토너층을 현상 롤러(10d)의 표면에 형성한다. 이어서, 그 토너(T)를 정전 잠상에 따라 감광 드럼(7)의 표면 위로 전사함으로써, 감광 드럼(7)의 표면에 토너 상을 형성하여 가시상화한다.
이어서, 감광 드럼(7)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상의 전하 극성과는 반대 극성의 전압을 도 1에 나타낸 전사 롤러(4)에 인가하여, 감광 드럼(7)의 표면 위의 토너 상을 기록재(2)에 전사한다. 전사 후에, 도 2에 나타낸 클리닝 프레임(11d)에 고정된 클리닝 블레이드(11a)에 의해, 감광 드럼(7)의 표면에 남아 있는 토너(T)를 감광 드럼(7)의 표면에서 긁어낸다. 이와 함께, 감광 드럼(7)의 표면에서 긁어낸 토너(T)를 누설 방지 시트(11b)에 의해 떠내어져, 도시하지 않는 잔류 토너 반송 부재에 의해 잔류 토너 수용부(11c)로 모아진다. 이들 클리닝 수단에 의해 감광 드럼(7)의 표면 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한다.
<현상제 반송 기구>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현상제 반송 기구(200)에 의한 토너 반송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반송 기구(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현상제 반송 기구(200)는, 토너 수용부(14t)의 저판(14f) 상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가요성 시트 부재(14b)를 포함하고, 시트 부재(14b)를 화살표 J1 및 J2 방향으로 교대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진동 부여 부재(13)를 포함한다. 진동 부여 부재(13)는, 시트 부재(14b)를 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 부재로서 구성된다.
시트 부재(14b)와, 구동 부재로서의 진동 부여 부재(13)는,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 내의 현상제로서의 토너(T)를, 개구부(19)를 통해 현상실(10i)에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로서 구성된다. 이들 반송 부재는,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 내에 배치된다. 시트 부재(14b)는 토너 수용부(14t)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진동 부여 부재(13)는 토너 수용부(14t)의 외부에 배치된다.
<시트 부재>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시트 부재(14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 형상 부재인 시트 부재(14b)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 측, 및 개구부(19)와는 반대쪽에 제공된 측판(14e)의 내벽면(14e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14b)는, 토너 수용부(14t)의 내부에 수용된 토너(T)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시트 부재(14b)의 하면(14b5)에는, 회전 가능한 캠 부재(15)의 돌기부(15a)가 접촉하는 피접촉부(14b1)와, 홀더(24)의 내부에 감입되는 피가압부(14b3)가 제공되어 있다. 피접촉부(14b1)와 피가압부(14b3)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4f16, 14f17)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4f16, 14f17) 내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밀봉재가 제공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접촉부(14b1)와 피가압부(14b3)는 관통 구멍(14f16, 14f17)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관통 구멍(14f16, 14f17)으로부터 토너(T)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될 때, 시트 부재(14b)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된다.
<개구부>
격벽(14c)은, 프레임(14a)의 내부를, 토너 수용부(14t)와,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0d)가 배치된 현상실(10i)로 구획하고, 개구부(19)를 통해 토너 수용부(14t)와 현상실(10i)을 연통시키고 있다. 현상제 용기(14)의 토너 수용부(14t)의 내부에 수용된 토너(T)는, 시트 부재(14b)에 의해 개구부(19)를 통해 현상실(10i)에 반송되어, 현상실(10i)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현상 롤러(10d)에 공급된다.
<진동 부여(부과) 부재>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진동 부여 부재(1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진동 부여 부재(1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 또는 장치 본체(A)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본체(A)에 진동 부여 부재(13)를 제공한 경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진동 부여 부재(13)는, 시트 부재(14b)에 현상제 반송면을 따라 현상제 반송면 방향으로 왕복의 가속도를 부여함으로써 도 3의 (b)의 화살표 J1 방향과, 도 3의 (c)의 화살표 J2 방향으로 교대로 왕복 운동한다.
진동 부여 부재(13)는, 캠 부재(15)와 제1, 제2 가압 부재(16a, 1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캠 부재(15)에는, 캠 부재(15)의 회전 중심(15b)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이 서로 90°씩 어긋난 4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A) 측에 제공된 구동원으로서의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캠 부재(15)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캠 부재(15)가 도 3의 (a)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돌기부(15a)가 시트 부재(14b)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제공된 피접촉부(14b1)를 도 3의 (b)의 화살표 J1 방향으로 가압하여, 시트 부재(14b)를 도 3의 (b)의 화살표 J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가압 부재(16a)의 일단부는 장치 본체(A)에 제공된 지지부(23a)에 의해 지지되고, 제1 가압 부재(16a)의 타단부는 홀더(24)에 의해 지지된다. 제2 가압 부재(16b)의 일단부는 장치 본체(A)에 제공된 지지부(23b)에 의해 지지되고, 제2 가압 부재(16b)의 타단부는 홀더(24)에 의해 지지된다. 홀더(24)의 내부에는, 시트 부재(14b)의 하면에 돌출되어 제공된 피가압부(14b3)가 감입되어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15)는 도 3의 (b)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캠 부재(15)의 돌기부(15a)가 시트 부재(14b)의 하면에 돌출되어 제공된 피접촉부(14b1)를 도 3의 (b)의 화살표 J1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에 따라 시트 부재(14b)를 도 3의 (b)의 화살표 J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제1 가압 부재(16a)는 압축되고, 제2 가압 부재(16b)는 잡아 당겨진다.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15)의 돌기부(15a)가 시트 부재(14b)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제공된 피접촉부(14b1)를 통과하고 이어서 피접촉부(14b1)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면, 압축되어 있던 제1 가압 부재(16a)가 복원력에 의해 신장되며, 잡아 당겨져 있던 제2 가압 부재(16b)가 복원력으로 의해 수축(압축)된다. 제1 가압 부재(16a)와 제2 가압 부재(16b)의 복원력은, 홀더(24) 및 피가압부(14b3)를 통해 시트 부재(14b)에 전달되어, 시트 부재(14b)를 도 3의 (c)의 화살표 J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캠 부재(15)의 회전에 의해, 시트 부재(14b)가 도 3의 (a) 내지 (c)의 동작을 반복하여, 시트 부재(14b)는, 도 3의 (b)의 화살표 J1 방향과 도 3의 (c)의 화살표 J2 방향으로 교대로 진동한다. 따라서, 시트 부재(14b)는, 토너 수용부(14t)의 내부에서, 도 2의 화살표 J1 방향과 화살표 J2 방향으로 교대로 진동하며, 시트 부재(14b) 상의 토너(T)가 시트 부재(14b)에 의해 현상제 반송 방향인 도 2의 화살표 J1 방향으로 반송된다.
시트 부재(14b)의 화살표 J1 방향의 최대 가속도 a1의 설정은, 캠 부재(15)의 회전수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또한, 시트 부재(14b)의 화살표 J2 방향의 최대 가속도 a2의 설정은, 제1 및 제2 가압 부재(16a, 16b)의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T)가 시트 부재(14b) 상을 미끄러지는 가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최대 가속도 a1은, 최대 가속도 a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a1<a2).
즉, 구동 부재로서의 진동 부여 부재(13)에 의해 구동된 시트 부재(14b)는,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로서의 토너(T)를 개구부(19) 측(개구부 측)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 때, 제1 방향으로서의 화살표 J1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가속도 a1은, 제2 방향으로서의 화살표 J2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가속도 a2보다 작다.
도 2의 화살표 J1 방향으로서 나타낸 현상제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가속도 a1은 화살표 J2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가속도 a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토너(T)가 시트 부재(14b) 상을 미끄러지는 거리는, 제1 방향으로서 나타낸 현상제 반송 방향으로의 토너(T)의 이동 동안보다, 화살표 J2 방향으로의 토너(T)의 이동 동안 더 길다.
또한, 시트 부재(14b)가 화살표 J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시트 부재(14b) 상을 미끄러질 수 있는 토너(T)는, 화살표 J2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화살표 J1 방향으로서 나타낸 현상제 반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원리에 의해, 시트 부재(14b)가 전술된 동작을 반복하여, 시트 부재(14b) 상의 토너(T)는, 화살표 J1 방향으로서 나타낸 현상제 반송 방향인 일 방향으로 서서히 반송된다. 이에 의해, 시트 부재(14b) 상의 토너(T)를 현상제 반송 방향인 도 3의 (b)의 화살표 J1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진동 부여 부재(13)에 의해, 시트 부재(14b)는 피접촉부(14b1)와 피가압부(14b3)를 통해 시트 부재(14b)의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반송면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 때, 시트 부재(14b)에는, 화살표 J1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가속도 a1과 화살표 J2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가속도 a2가 가해진다.
여기서,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14b)를 진동 부여 부재(13) 상에 장착한 초기 위치(14b20)를 고려한다. 또한,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14b)를 화살표 J1 방향으로 가장 많이 이동한 위치(14b21)를 고려한다. 또한,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14b)를 화살표 J1 방향과는 반대인 화살표 J2 방향으로 가장 많이 이동한 위치(14b22)를 고려한다. 이 때, 시트 부재(14b)의 선단부(14b2)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14b20)로부터, 도 3의 (b)에 나타내는 위치(14b21)와, 도 3의 (c)에 나타내는 위치(14b22) 사이에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시트 부재(14b)는, 반송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 때의 진동 부여 부재(13)의 진동 주파수는 20 Hz이다. 여기서, 도 3의 (b)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14b)의 선단부(14b2)가 화살표 J1 방향으로 가장 많이 이동한 위치(14b21)를 고려한다. 또한, 도 3의 (c)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14b)의 선단부(14b2)가 화살표 J2 방향으로 가장 많이 이동한 위치(14b22)를 고려한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위치(14b21)와 도 3의 (c)에 나타내는 위치(14b22) 간의 차이가 되는 선단부(14b2)의 이동 거리 L(= L1 + L2)은 약 3 mm로 설정되어 있다.
진동 부여 부재(13)는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14b)의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반송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시트 부재(14b)에 제공된 피접촉부가 캠 부재(15)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를 일례로서 기재하였다. 진동 부여 부재의 다른 예로서, 압전 소자 등의 진동 디바이스에 의해 피접촉부(14b1)가 또한 이동될 수도 있다.
<시트 부재가 현상제 용기의 내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구성>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제1 비교예와, 도 2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시트 부재(14b)가 현상제 용기(14)의 내벽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비교예>
도 4는 제1 비교예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14)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제1 비교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51)가 균일한 평면을 갖는다. 판 형상 부재(51)가 도 4의 화살표 J1 및 J2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에, 판 형상 부재(51)의 화살표 J2 방향 측의 후단부(51a)가 현상제 용기(14)의 측판(14e)의 내벽면(14e1)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도 4의 화살표 J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판 형상 부재(51)의 후단부(51a)가 현상제 용기(14)의 측판(14e)의 내벽면(14e1)과 접촉할 때의 충격음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 판 형상 부재(51)의 후단부(51a)가 화살표 J2 방향으로 가장 많이 이동한 위치에서, 판 형상 부재(51)의 후단부(51a)와, 현상제 용기(14)의 측판(14e) 사이에 간극(W1)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간극(W1) 내에 잔류 토너(T1)가 남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제1 비교예에 있어서의 판 형상 부재(51)와 비교하여, 가요성 시트 부재(14b)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에 의해 한정되는 토너 수용부(14t)의 저면의 화살표 J2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더 길다. 시트 부재(14b)가 구동 부재로서의 진동 부여 부재(13)에 의해 구동될 때, 시트 부재(14b)는 현상제 수용실에서의 토너 수용부(14t)의 내벽면으로서의 저판(14f)의 상면(14f1)으로부터 측판(14e)의 내벽면(14e1)에 이르는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되고 현상 디바이스(10)가 사용 시의 자세에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자세에 있어서, 시트 부재(14b)가 제2 방향으로서의 화살표 J2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시트 부재(14b)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의 저면으로서의 저판(14f)의 상면(14f1)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14b6)을 포함한다. 또한, 시트 부재(14b)는, 토너 수용부(14t)의 측면으로서의 측판(14e)의 내벽면(14e1)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14b7)을 포함한다. 시트 부재(14b)는, 저판(14f)의 상면(14f1) 및 측판(14e)의 내벽면(14e1)을 따라 휘어져, 제1 부분(14b6)과 제2 부분(14b7)이 형성된다.
시트 부재(14b)는, 변형을 수반하여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의 내벽면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이 때, 시트 부재(14b)는, 저판(14f)의 상면(14f1)뿐만 아니라 측판(14e)의 내벽면(14e1)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측판(14e)의 내벽면(14e1)에 부착되는 토너(T)를 긁어내고,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시트 부재(14b)는, 또한, 토너 수용부(14t)의 내벽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단지, 토너 수용부(14t)의 내벽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도 있다. 즉, 시트 부재(14b)가 토너 수용부(14t)의 내벽면과 정확하게 동일한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시트 부재(14b)로서는, 1.5 mm 두께의 폴리스티렌(PS)을 사용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부재(14b)로서는, 그러한 가요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시트 부재(14b)는, 변형을 수반하여 현상제 용기(14)의 내벽면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용기(14)의 내벽면이 곡면이거나, 또는 복수의 평면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도 4에 나타낸 제1 비교예와 달리, 토너 수용부(14t)의 내부에 잔류 토너(T1)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토너(T)의 반송이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 디바이스(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된 제1 실시형태에서와 유사하게 구성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가하거나, 또는 참조 번호 또는 부호가 제1 실시형태에서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재(부품)명을 부가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14)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P-P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의 (c)는 도 5의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제2 비교예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14)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14)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은, 평면부(14f2)와 곡면부(14f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상제 용기(14)의 프레임(14a)에는, 시트 부재(14b)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규제 부재(25)가 제공되어 있다. 규제 부재(25)는, 시트 부재(14b)가 변형될 때에, 시트 부재(14b)와 접촉함으로써 시트 부재(14b)의 변형을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규제한다.
규제 부재(25)는, 프레임(14a)의 내벽면으로부터 프레임(14a)의 내측을 향해 돌기되는 돌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규제 부재(25)는,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의 측면으로서의 측판(14g)의 내벽면(14g1)(도 5의 (b))에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규제 부재(25)는, 제2 방향으로서의 화살표 J2 방향에 대해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 부재(25)는, 시트 부재(14b)를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과 측판(14e) 사이에 끼우도록, 시트 부재(14b)의 상방, 또는 시트 부재(14b)보다 토너 수용부(14t)의 내측에 제공되어 있다. 규제 부재(25)는,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의 내벽면에 제공되어 있다. 규제 부재(25)는 시트 부재(14b)와 접촉하며, 시트 부재(14b)의 동작을 규제한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과, 규제 부재(25)의 하단부(25a) 사이의 간극(G1)은, 시트 부재(14b)의 두께인 1.5mm보다 더 큰 2 mm이다.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의 내벽면으로서의 저판(14f)의 상면(14f1)은, 평면부(14f2)와 곡면부(14f3)를 포함한다.
규제 부재(25)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평면부(14f2)와 곡면부(14f3) 사이의 변곡점(14f4)의 부근과, 곡면부(14f3)의 밸리(valley)(포인트)에 위치하는 변곡점(14f5)의 부근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변곡점이란,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의 곡선의 만곡 방향이 바뀌는 지점을 지칭한다. 규제 부재(25)는, 적어도 곡면부(14f3)의 변곡점(14f4, 14f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시트 부재(14b)는 규제 부재(25)와 접촉하며,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변곡점(14f4)의 부근에서 변형되고, 그에 따라 저판(14f)의 상면(14f1)의 곡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비교예>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도 5의 (a) 내지 (c)에 나타낸 규제 부재(25)가 없는 제2 비교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제2 비교예에서는, 규제 부재(25)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시트 부재(14b)가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의 곡선을 따라 이동할 수 없는 경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 시트 부재(14b)의 하면(14b5)과,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 사이에 공간(20)이 생긴다. 이 상태에서, 시트 부재(14b)의 화살표 J1 및 J2 방향의 왕복 이동에 의해 토너(T)를 반송하려고 하는 경우에, 공간(20) 내에 토너(T)가 남아 있어서, 토너(T)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없다.
도 5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14b)가,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변곡점(14f4, 14f5) 각각의 부근에 제공된 규제 부재(25)의 하단부(25a)와,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 사이의 간극(G1)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시트 부재(14b)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의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 부재(14b)의 하면(14b5)과,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 사이의 간극(G2)이 커지지 않아서, 도 6에 나타낸 제2 비교예와 달리, 공간(20) 내에 토너(T)가 남지 않는다. 이에 의해, 토너(T)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규제 부재(25)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의 곡면의 변곡점(14f4, 14f5) 각각의 부근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규제 부재(25)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시트 부재(14b)를 효율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시트 부재(14b)는, 또한, 규제 부재(25)에 의해 규제되면서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 및 측판(14e)의 내벽면(14e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규제 부재(25)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의 곡면의 변곡점(14f4, 14f5)과, 변곡점(14f4, 14f5) 이외의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5)로서는, 외경이 3 mm인 돌기부를 이용하였다.
<변형된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변형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서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이 곡면부(14f3)를 포함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내는 이 변형된 실시형태에서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이 복수의 평면부(14f2, 14f6∼14f9)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일례를 설명한다.
규제 부재(25)는, 평면부(14f2)와 평면부(14f6) 사이의 절곡점(14f11)의 부근에 제공된다. 또한, 규제 부재(25)는, 평면부(14f6)와 평면부(14f7) 사이의 절곡점(14f12)의 부근, 및 평면부(14f7)와 평면부(14f8) 사이의 절곡점(14f13)의 부근에 제공된다. 추가로, 규제 부재(25)는, 평면부(14f8)와 평면부(14f9) 사이의 절곡점(14f14)의 부근, 및 평면부(14f9)와 측판(14e) 사이의 절곡점(14f15)의 부근에 제공된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토너 수용부(14t)의 내벽면으로서의 저판(14f)의 상면(14f1)은, 복수의 평면부(14f2, 14f6∼14f9)를 가지고 있다. 규제 부재(25)는, 적어도 각각의 평면부(14f2, 14f6∼14f9)의 절곡점(14f11∼14f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규제 부재(25) 각각으로서는, 현상제 용기(14)의 측판(14g)의 내벽면(14g1)으로부터 현상제 용기(14)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를 이용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이 복수의 평면부(14f2, 14f6∼14f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그러한 경우에도, 시트 부재(14b)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절곡점(14f11∼14f15) 각각의 부근에 제공된 규제 부재(25)의 하단부(25a)와,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 사이의 간극(G1)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시트 부재(14b)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의 복수 평면부(14f2, 14f6∼14f9)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 부재(14b)의 하면(14b5)과,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 사이의 간극(G2)이 커지지 않으므로, 도 6에 나타낸 제2 비교예와 달리, 공간(20) 내에 토너(T)가 남지 않는다. 이에 의해, 토너(T)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 디바이스(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와 유사하게 구성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가하거나, 또는 참조 번호 또는 부호가 각각의 실시형태에서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재(부품)명을 부가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제 용기(14)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P-P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의 (c)는 도 8의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6) 각각은, 현상제 용기(14)의 프레임(14a)의 측판(14g)의 내벽면(14g1)에 형성된 홈부에 의해 구성된다. 규제 부재(26)로서의 홈부는, 화살표 J1 및 J2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측판(14g)을 절단할 때에 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14b)의 대향 단부들 각각은, 규제 부재(26)로서의 대응하는 홈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감입되어 있다.
시트 부재(14b)의 움직임(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홈부인 규제 부재(26)는,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을 따라 연장되는 곡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부재(14b)가 부드럽게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8의 (c)에 나타내는 규제 부재(26)의 홈 폭(W2)은, 시트 부재(14b)의 두께(t)인 1.5 mm보다 큰 2 mm로 하였다.
이에 의해, 시트 부재(14b)는, 규제 부재(26)의 홈부 내에서 홈부의 벽면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 부재(14b)의 하면(14b5)과,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 사이의 간극(G2)이 커지지 않으므로, 도 6에 나타낸 제2 비교예와 달리, 공간(20) 내에 토너(T)가 남지 않는다. 이에 의해, 토너(T)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부로 이루어지는 규제 부재(26)를 측판(14g)의 내벽면(14g1)의 전역에 걸쳐 제공하였다. 다른 예로서, 홈부로 이루어지는 규제 부재(26)를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변곡점(14f4, 14f5)의 위치 각각에서 측판(14g)의 내벽면(14g1)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시트 부재(14b)가 현상제 용기(14)의 저판(14f)의 상면(14f1)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홈부로 이루어지는 규제 부재(26)를, 측판(14g)의 내벽면(14g1)에서, 저판(14f)의 상면(14f1)보다 상방의 위치에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전술된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기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그러한 모든 변형예와 등가의 구성 및 기능을 포괄하도록 하는 가장 넓은 해석에 부합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현상 디바이스로서,
    현상제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제공되어 있는 현상실 및 상기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 수용실로 구획하도록 구성된 격벽으로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현상실과 상기 현상제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격벽; 및
    상기 현상제 수용실로부터 상기 현상실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부재는 가요성의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를 면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 부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실 내의 상기 현상제가 상기 개구부를 향해 이동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시트 부재의 최대 가속도는,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시트 부재의 최대 가속도보다 더 작고,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면 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때,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내벽면의 형상을 따라 변형 가능한, 현상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가 사용 시의 자세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저면을 따르는 제1 부분과,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측면을 따르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현상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상기 저면 및 상기 측면을 따라 휘어져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형성되는, 현상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에 제공된 규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시트 부재가 변형될 때 상기 규제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시트 부재의 변형을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에 의해 구성되는, 현상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상기 측면에 제공되는, 현상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벽면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되는, 현상 디바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현상 디바이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상기 내벽면은 곡면부를 가지며, 상기 규제 부재는 적어도 상기 곡면부의 변곡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는, 현상 디바이스.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상기 내벽면은 복수의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적어도 상기 평면부의 절곡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는, 현상 디바이스.
  11. 제1항에 따른 현상 디바이스; 및
    현상제 상(developer image)을 담지하도록 구성된 상담지체(image bearing member)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항에 따른 현상 디바이스 또는 제11항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사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0036780A 2019-03-29 2020-03-26 현상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200115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5535A JP2020166095A (ja) 2019-03-29 2019-03-29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9-065535 2019-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311A true KR20200115311A (ko) 2020-10-07

Family

ID=7260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80A KR20200115311A (ko) 2019-03-29 2020-03-26 현상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10294A1 (ko)
JP (1) JP2020166095A (ko)
KR (1) KR2020011531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10294A1 (en) 2020-10-01
JP2020166095A (ja)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8832B2 (en) Toner-coll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715191B2 (en) Powder feeding mechanism, powder feeding method, 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12753B2 (en) Cartridge with a sheet to remove matter from a surface of a photosensitive drum
US9037050B2 (en) Developer container having a developer conveying member including an urging member
JP2007298867A (ja) 画像形成装置の除電装置、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70000966A1 (en) Sheet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335705B1 (en) Rotor bearing member, photoconductor unit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772581B2 (en) Developer container configured to reduce dead space in the path of the developer
JP6478757B2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00115311A (ko) 현상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90085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eeding device
EP2645176B1 (en) Developer container
US9098009B2 (en) Developing device
US9235157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developing roller, layer thickness regulation blade and seal member
JP6501582B2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739702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00174401A1 (en) 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30788A (ja) 現像装置
JP628733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感光体ユニット
JP5949120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4002824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148518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015587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28477A (ja) 画像形成装置
CN115248544A (zh) 显影装置和具备显影装置的图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