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415A - 실린더 블록 - Google Patents

실린더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415A
KR20200114415A KR1020190036160A KR20190036160A KR20200114415A KR 20200114415 A KR20200114415 A KR 20200114415A KR 1020190036160 A KR1020190036160 A KR 1020190036160A KR 20190036160 A KR20190036160 A KR 20190036160A KR 20200114415 A KR20200114415 A KR 2020011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ylinder block
mounting portion
oil fil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김정구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415A/ko
Publication of KR2020011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the pumps being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01M2001/0284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mounting of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01M2001/062Crankshaft with passage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01M2001/064Camshaft with passag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모든 엔진의 구성품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오일 갤러리(Oil gallery, 오일 통로)를 구성한 실린더 블록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은, 제1 측면부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입구와 출구를 내부에 구성한 제1 오일필터 장착부 및 제1 측면부와 대향되는 제2 측면부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입구와 출구를 내부에 구성한 제2 오일필터 장착부를 포함하며, 제1 오일필터 장착부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오일필터 장착부 및 제2 오일필터 장착부 모두에 오일필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 갤러리(Oil gallery)를 구성함으로써, 엔진 방향이나 오일 용량에 따라 오일필터의 장착 위치와 개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엔진 배치의 자유도 및 정비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실린더 블록{Cylinder block}
본 발명의 차량용 엔진의 실린더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엔진이 배치되는 방향이나 엔진 주변 구성품의 배치에 따라 오일필터의 장착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실린더 블록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하는 많은 부품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품들은 기계적으로 서로 접촉하면서 운동을 하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마찰열을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면 부품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엔진 마찰열 제어를 위해 냉각수가 사용되고, 부품들 사이의 마찰 감소를 위한 윤활제로서 오일이 사용된다. 윤활 작용을 하는 오일은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오일펌프의 작동에 따라 엔진의 각 부분으로 보내진다.
그 중 일부는 실린더 블록의 내에 형성되는 오일 갤러리(Oil gallery, 오일 통로)로 공급되며, 오일 갤러리에 연결되는 피스톤 오일 젯(Piston Oil Jet)으로 공급된다. 피스톤 오일 젯은 피스톤을 향하여 쿨링 오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엔진은 차량의 레이아웃 조건에 따라 엔진 오일의 점검 및 오일필터의 장착 위치가 다르게 요구된다. 이 경우 차량의 레이아웃 조건에 맞춰 실린더 블록 및 엔진의 오일 갤러리 구성을 신규로 제작 개발해야만 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실린더 블록은 차량의 기종에 따라 실린더 블록을 이원화하여 개발하고 제작해야 했다. 이 때문에 제품 설계부터 제작을 위한 전용 설비 구축까지 개발비와 제작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품질 관리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68257호(공개일 2018.06.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엔진의 배치 방향이나 엔진 주변 구성품의 배치에 따라 오일필터의 장착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실린더 블록의 설계 관리 및 제작 공정의 일원화와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엔진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고, 정비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구조의 실린더 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출력 범위의 다양성에 맞춰 오일펌프와 오일필터를 하나만 장착하거나 둘을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서, 보다 많은 오일 유량을 요구하는 고출력, 고마력 엔진에도 큰 레이아웃 변경 없이 적용 가능한 구조의 실린더 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실린더 블록의 제1 측면부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입구와 출구를 내부에 구성한 제1 오일필터 장착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와 대향되는 실린더 블록의 제2 측면부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입구와 출구를 내부에 구성한 제2 오일필터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오일필터 장착부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오일필터 장착부 및 제2 오일필터 장착부 모두에 오일필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 갤러리(Oil gallery)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오일 갤러리는, 상기 제1 오일필터 장착부의 입구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의 입구를 실린더 블록 일측의 제1 오일 유입구와 제2 오일 유입구 각각에 오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갤러리와, 캠 저널과 크랭크축 메인 저널에 오일을 분배하는 메인 갤러리에 상기 제1 오일필터 장착부의 출구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의 출구를 오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갤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은 또한, 실린더 블록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오일펌프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펌프 장착부는 바람직하게, 크랭크축 수용홀의 우측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오일 유입구를 내부에 구성한 제1 오일펌프 장착부 및 크랭크축 수용홀의 좌측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오일 유입구를 내부에 구성한 제2 오일펌프 장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은 또한, 실린더 블록의 후면부 우측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며 연료펌프가 장착되는 연료펌프 장착부와, 상기 후면부의 좌측 모서리에 상기 연료펌프 장착부와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PTO 펌프가 장착되는 PTO 펌프 장착부 및 후면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제1 아이들 기어 샤프트가 장착되는 제1 아이들 기어 장착부와, 상기 제1 아이들 기어 장착부와 연료펌프 장착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2 아이들 기어 샤프트가 장착되는 제2 아이들 기어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오일 주입구를 내부에 구성한 제1 오일 주입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오일 주입구를 내부에 구성한 제2 오일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 중 적어도 한 측면부에 오일 게이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블록에 의하면, 일 측면과 대향부 타 측면에 제1 오일필터 장착부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를 구성하고, 두 개의 오일필터 장착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오일필터 장착부 모두에 오일필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 갤러리(Oil gallery)를 구성함으로써, 오일필터의 장착위치를 적용 환경에 맞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즉 엔진의 배치 방향이나 엔진 주변 구성품의 배치 구조 등 엔진의 활용도에 따라 오일필터의 장착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구조이다. 때문에 실린더 블록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실린더 블록의 설계 관리 및 제작 공정의 일원화를 통한 원가 절감 및 엔진 배치의 자유도와 정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 사양에 맞춰 오일펌프와 오일필터를 하나만 장착하거나 둘을 동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많은 오일 유량을 요구하는 고출력, 고마력 엔진에도 큰 레이아웃 변경 없이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는 구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블록을 다른 전방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을 제1 측면부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을 제2 측면부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린더 블록의 배면도.
도 6 및 도 7은 제1 오일펌프 장착부와 제1 오일필터 장착부 각각에 오일펌프와 오일필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본 발명의 장착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제2 오일펌프 장착부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 각각에 오일펌프와 오일필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장착 예시도.
도 10과 도 11은 오일 갤러리가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블록의 내부 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며,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 블록을 다른 전방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의 다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블록(1)은, 일 측면과 대향부 타 측면에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를 구성하고, 두 오일필터 장착부 중 하나 또는 두 오일필터 장착부(12, 22) 모두에 오일필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 갤러리(Oil gallery, 30)를 구성함으로써, 오일필터의 장착위치를 적용 환경에 맞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블록(1)은, 제1 측면부(10, 도 1의 후면부(40)를 기준으로 실린더 블록의 오른쪽 측면부)와 대향부 제2 측면부(20, 도 1의 후면부(40)를 기준으로 실린더 블록의 왼쪽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 및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를 포함한다.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는 도면(도 3 및 도 4 참조)의 예시와 같이, 형성 위치만 서로 대향될 뿐 크기와 구조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며, 이들 오일필터 장착부(12, 22) 각각은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입구(120, 220)와 출구(122, 222)를 비롯해 볼팅 체결공(부호 생략)을 내부에 구비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엔진의 배치 형태나 엔진 주변에 인접 설치되는 구성품의 배치 형태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 또는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공하여 오일필터를 하나만 장착하거나, 엔진 사양에 따라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를 모두 가공하여 두 개의 오일필터를 장착 사용할 수 있다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 또는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를 단면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가공면(124, 도 3 참조)을 통해 오일필터가 부착되되, 단면 가공 시 노출되는 상기 입구(120, 220)와 출구(122, 222) 각각에 오일필터의 입구와 출구가 긴밀히 접속되도록 부착됨으로써, 입구(120, 220)를 통해 오일필터로 오일이 유입되고 소정의 여과 처리 후 출구(122, 222)를 통해 실린더 블록(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블록(1)은 또한, 제1 측면부(10)에 형성되는 제1 오일 주입부(14)와 대향부 제2 측면부(20)에 형성되는 제2 오일 주입부(24)를 포함한다.
제1 오일 주입부(14)와 제2 오일 주입부(24) 각각은,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오일 주입구(140)와 제2 오일 주입구(240)를 내부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10)와 제2 측면부(20) 중 적어도 한 측면부에 오일 게이지(15)가 형성될 수 있다.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 오일 주입구(140)와 제2 오일 주입구(240) 각각은, 실린더 블록(1) 하부에서 결합되는 오일팬을 향하도록 실린더 블록(1)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오일주입통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오일 주입구(140) 또는 제2 오일 주입구(240)를 통해 오일이 주입되면, 상기 오일주입통로를 거쳐 오일팬까지 안정적으로 오일이 유입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린더 블록을 후면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블록(1)은 또한, 실린더 블록(1)의 후면부(40)에 형성되는 오일펌프 장착부(50)를 포함한다. 오일펌프 장착부(50)는 두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를 기준으로 크랭크축 수용홀(51)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와, 상기 크랭크축 수용홀(51)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와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 역시,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오일 유입구(520)와 제2 오일 유입구(540)를 내부에 각각 구성한 구조일 수 있으며, 엔진의 배치 형태나 엔진 주변 구성품의 배치 형태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 또는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를 선택적으로 가공하여 원하는 위치에 오일펌프를 장착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와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를 모두 가공하여,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의 가공면과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의 가공면 각각에 오일펌프를 하나씩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다 많은 오일 유량이 요구되는 고출력, 고마력 사양의 대형 엔진인 경우 오일펌프를 두 개 사용할 수 있다.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 또는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를 단면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가공면(부호 생략)을 통해 실린더 블록(1)의 후면부(40)에 오일펌프가 부착되되, 단면 가공 시 노출되는 상기 제1 오일 유입구(520) 또는 제2 오일 유입구(540)에 오일펌프의 출구가 긴밀히 접속되도록 부착됨으로써, 오일펌프가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하는 오일이 상기 오일 유입구(120, 220)를 통해 실린더 블록(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의 후면부(40) 우측 상단에는 연료펌프 장착을 위한 연료펌프 장착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부(40)의 좌측 모서리에는 연료펌프 장착부(55)와 대향되며 PTO 펌프가 장착되는 PTO 펌프 장착부(5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부(40)의 중앙에는 제1 아이들 기어 샤프트 장착을 위한 제1 아이들 기어 장착부(57)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아이들 기어 장착부(57)와 상기 연료펌프 장착부(55)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2 아이들 기어 샤프트가 장착되는 제2 아이들 기어 장착부(58)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1 오일펌프 장착부와 제1 오일필터 장착부 각각에 오일펌프와 오일필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본 발명의 장착 예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제2 오일펌프 장착부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 각각에 오일펌프와 오일필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장착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에 오일펌프(4)를 장착하는 경우(우측의 오일펌프 장착부에 오일펌프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크랭크축 수용홀(51)의 중심에 그 중심이 위치하는 크랭크축 기어(6)를 구동기어(Drive gear)로 하여 오일펌프(4)가 구동하면서 오일팬(미도시)에서 오일을 흡입하고 소정 압력으로 실린더 블록(1)에 공급하도록 엔진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에 오일펌프(4)를 장착하는 경우(좌측의 오일펌프 장착부에 오일펌프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제1 아이들 기어 장착부(5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아이들 기어(7)를 구동기어(Drive gear)로 하여 오일펌프(4)가 구동되도록 엔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아이들 기어(7)는 전술한 크랭크축 기어(6)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앞서도 언급했듯이 엔진 사양(예컨대, 고출력, 고마력의 대형 엔진)에 따라서는,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와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 각각에 오일펌프(4)를 하나씩 장착하고,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와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 각각에도 오일필터(5)를 하나씩 장착하여 충분한 오일 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엔진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45는 크랭크축 기어(6) 또는 제1 아이들 기어(7)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오일펌프를 구동시키는 오일펌프기어를 가리킨다.
한편,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 또는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에 장착되는 오일펌프(4)가 오일팬으로부터 흡입한 오일이 실린더 블록(1) 내부를 거쳐 상기 오일필터(5)로 유입되고, 오일필터(5)에 의한 소정의 여과 처리 후 불순물이 걸러진 상태로 다시 실린더 블록(1) 내 각부(기어 및 회전계 부품 등)로 공급될 수 있도록 실린더 블록(1) 내부에는 오일 갤러리(Oil gallery, 30)가 형성된다.
도 10과 도 11은 오일 갤러리가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블록의 내부 투시도로서, 도 10은 제1 오일펌프 장착부와 제1 오일필터 장착부 각각에 오일펌프와 오일필터를 장착한 경우 오일 갤러리를 통한 오일의 흐름들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제1 오일펌프 장착부와 제1 오일필터 장착부 각각에 오일펌프와 오일필터를 장착한 경우 오일 갤러리를 통한 오일의 흐름들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오일 갤러리(30)는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의 입구(120, 도 3 참조)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의 입구(220, 도 4 참조)를 실린더 블록(1) 일측의 제1 오일 유입구(520, 도 5 참조)와 제2 오일 유입구(540, 도 5 참조) 각각에 오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갤러리(32L, 32R)를 포함한다.
또한, 캠 저널(37)과 크랭크축 메인 저널(38)에 오일을 분배하는 메인 갤러리(36)에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의 출구(122, 도 3 참조)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의 출구(222, 도 3 참조)를 오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갤러리(34L, 34R)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와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 각각에 오일펌프(4)와 오일필터(5)를 장착한 경우 오일은, 오일펌프(4)의 구동에 따라 실린더 블록(1) 하방으로 연장된 흡입관(3)의 흡입단에 설치되는 오일 스트레이너(2)를 통해 유입되고, 오일펌프(4)→제1 갤러리(32L)→오일필터(5)→제2 갤러리(34L)→메인 갤러리(36)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각부(기어 및 회전계 부품 등)로 공급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 각각에 오일펌프(4)와 오일필터(5)를 장착한 경우 역시 오일은, 오일펌프(4)의 구동에 따라 실린더 블록(1) 하방으로 연장된 흡입관(3)의 흡입단에 설치되는 오일 스트레이너(2)를 통해 유입되고, 오일펌프(4)→제1 갤러리(32R)→오일필터(5)→제2 갤러리(34R)→메인 갤러리(36)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각부(기어 및 회전계 부품 등)로 공급될 수 있다(도 11 참조).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블록에 의하면, 일 측면과 대향부 타 측면에 제1 오일필터 장착부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를 구성하고, 두 개의 오일필터 장착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오일필터 장착부 모두에 오일필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 갤러리(Oil gallery)를 구성함으로써, 오일필터의 장착위치를 적용 환경에 맞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즉 엔진의 배치 방향이나 엔진 주변 구성품의 배치 구조 등 엔진의 활용도에 따라 오일필터의 장착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구조이다. 때문에 실린더 블록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실린더 블록의 설계 관리 및 제작 공정의 일원화를 통한 원가 절감 및 엔진 배치의 자유도와 정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 사양에 맞춰 오일펌프와 오일필터를 하나만 장착하거나 둘을 동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많은 오일 유량을 요구하는 고출력, 고마력 엔진에도 큰 레이아웃 변경 없이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는 구조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실린더 블록 2 : 오일 스트레이너
3 : 흡입관 4 : 오일펌프
5 : 오일필터 6 : 크랭크축 기어
7 : 제1 아이들 기어 10 : 제1 측면부
12 : 제1 오일필터 장착부 14 : 제1 오일 주입부
15 : 오일 게이지 20 : 제2 측면부
22 : 제2 오일필터 장착부 24 : 제2 오일 주입부
30 : 오일 갤러리 32L, 32R : 제1 갤러리
34L, 34R : 제2 갤러리 36 : 메일 갤러리
37 : 캠 저널 38 : 크랭크축 메인 저널
40 : 후면부 50 : 오일펌프 장착부
51 : 크랭크축 수용홀 52 : 제1 오일펌프 장착부
54 : 제2 오일펌프 장착부 55 : 연료펌프 장착부
56 : PTO 펌프 장착부 57 : 제1 아이들 기어 장착부
58 : 제2 아이들 기어 장착부
120, 220 : 제1, 제2 오일필터 장착부의 입구
122, 222 : 제1, 제2 오일필터 장착부의 출구
140 : 제1 오일 주입구 240 : 제2 오일 주입구
520 : 제1 오일 유입구 540 : 제2 오일 유입구

Claims (8)

  1. 실린더 블록(1)의 제1 측면부(10)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입구(120)와 출구(122)를 내부에 구성한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 및
    상기 제1 측면부(10)와 대향되는 실린더 블록(1)의 제2 측면부(20)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입구(220)와 출구(222)를 내부에 구성한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 및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 모두에 오일필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 갤러리(Oil gallery, 3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갤러리(30)는,
    상기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의 입구(120)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의 입구(220)를 실린더 블록(1) 일측의 제1 오일 유입구(520)와 제2 오일 유입구(540) 각각에 오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갤러리(32L, 32R); 및
    캠 저널(37)과 크랭크축 메인 저널(38)에 오일을 분배하는 메인 갤러리(36)에 상기 제1 오일필터 장착부(12)의 출구(122)와 제2 오일필터 장착부(22)의 출구(222)를 오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갤러리(34L, 34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1)의 후면부(40)에 형성되는 오일펌프 장착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 장착부(50)는,
    크랭크축 수용홀(51)의 우측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오일 유입구(520)를 내부에 구성한 제1 오일펌프 장착부(52); 및
    크랭크축 수용홀(51)의 좌측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오일 유입구(540)를 내부에 구성한 제2 오일펌프 장착부(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1)의 후면부(40) 우측 상단에 형성되며 연료펌프가 장착되는 연료펌프 장착부(55);
    상기 후면부(40)의 좌측 모서리에 상기 연료펌프 장착부(55)와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PTO 펌프가 장착되는 PTO 펌프 장착부(56); 및
    상기 후면부(40)의 중앙에 형성되며 제1 아이들 기어 샤프트가 장착되는 제1 아이들 기어 장착부(5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들 기어 장착부(57)와 연료펌프 장착부(55)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2 아이들 기어 샤프트가 장착되는 제2 아이들 기어 장착부(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10)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오일 주입구(140)를 내부에 구성한 제1 오일 주입부(14); 및
    상기 제2 측면부(20)에 형성되며 단면 가공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오일 주입구(240)를 내부에 구성한 제2 오일 주입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10)와 제2 측면부(20) 중 적어도 한 측면부에 오일 게이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
KR1020190036160A 2019-03-28 2019-03-28 실린더 블록 KR20200114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60A KR20200114415A (ko) 2019-03-28 2019-03-28 실린더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60A KR20200114415A (ko) 2019-03-28 2019-03-28 실린더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415A true KR20200114415A (ko) 2020-10-07

Family

ID=7288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160A KR20200114415A (ko) 2019-03-28 2019-03-28 실린더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44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257A (ko)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피스톤 냉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257A (ko)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피스톤 냉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5374B2 (ja) 「戻り」型オイル供給・排出システム
US5788381A (en) Rotary shaft lubricating structure
US7290991B2 (en) Dual oil supply pump
CN105134326B (zh) 一种发动机机油泵及其润滑系统
US9482225B2 (en) Gear pump, pump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ircraft fuel system including gear pump
JP2007024188A (ja) エンジンのバランサ装置
JP4600192B2 (ja) エンジンのバランサ装置
US10301982B2 (en) Engine lubrication structure and motorcycle
GB2130653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system
JP6075655B2 (ja) 改良された真空ポンプ
US20120138009A1 (en) Cam Shaft/Cam Gear Assembly And Thrust Strategy For Engine Using Same
JPWO2002038941A1 (ja) 蓄圧式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KR20200114415A (ko) 실린더 블록
US20040107940A1 (en) Integrated gear train oil pump
JP4539473B2 (ja) エンジンのバランサ装置
US10352207B2 (en) Four-cycle OHV engine
US10408097B2 (en) Four-cycle OHV engine
JP4628377B2 (ja) 燃料噴射ポンプ潤滑構造
JP2007224760A (ja) シリンダ潤滑装置
EP1435460A2 (en) Feed and scavenge pump arrangement
EP1471250A1 (en) Fuel Injection Pump
JP4403026B2 (ja) 燃料噴射ポンプの潤滑構造
JPS6331644B2 (ko)
KR200311749Y1 (ko) 차량용 기어식 오일펌프
JP2003269164A (ja) 異種エンジンの造り分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