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805A -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 Google Patents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805A
KR20200113805A KR1020190034522A KR20190034522A KR20200113805A KR 20200113805 A KR20200113805 A KR 20200113805A KR 1020190034522 A KR1020190034522 A KR 1020190034522A KR 20190034522 A KR20190034522 A KR 20190034522A KR 20200113805 A KR20200113805 A KR 20200113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upport member
fixing member
nu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314B1 (ko
Inventor
권성태
Original Assignee
권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태 filed Critical 권성태
Priority to KR102019003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31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가능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상면의 설정된 부분이 일정 깊이로 파인 형상을 갖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파인 형상 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제1 고정부재; 타측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은 지지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상에서 힌지 결합되는 제1 보조지지부재; 일측은 상기 바닥부재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도서 받침판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상에서 힌지 결합되는 제2 보조지지부재;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저면의 설정된 부분이 일정 깊이로 파인 형상을 갖는 도서 받침판; 및 상기 도서 받침판의 파인 형상 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며, 일측은 상기 제2 보조지지부재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Height and angle adjustable reading book}
본 발명은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가능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을 사용자의 시선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책과의 거리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독서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의 하단이 지지되는 책받침턱(2)과, 이 책받침턱(2)에 대해 소정각도로 고정되며 책의 배면이 기대어지는 책받침판(1)과, 상기 책받침판(1)을 책받침턱(2)으로부터 지지하면서 독서하기에 좋은 각도로 책받침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지지다리(4)와, 상기 책받침턱(2)에 설치되어 펼쳐진 책장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더(3)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지지다리(4)는 일측이 책받침판(1)의 배면에 힌지 또는 브라켓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책받침턱(2)에 형성된 복수개의 요홈(2a)에 끼워져 상기 책받침판(1)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L"자로 꺽인 받침대에 책을 올려놓고 독서를 하게 된다. 따라서, 책을 얹어놓은 등받이와 아래 받침대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어 책을 뒤로 더 누이거나 앞으로 더 세워서 독서가 가능하게도 한다.
그러나,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할 때, 올바른 학습 자세로서 허리를 펴고 책과의 거리를 30∼50㎝로 유지할 것을 장려하지만, 종래의 독서대는 대체로 사용자의 눈높이를 못 맞추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개를 푹 숙이거나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학습 또는 독서를 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대, 종래의 독서대는 사용자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거북 목 증후군과, 어깨, 등 및 허리 통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또한, 만성 두통과 집중력 저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며, 특히, 사용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함으로써 학습과 일상생활에 큰 장애를 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독서대는 바른 자세를 갖게 한다고 홍보를 하지만, 실제로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높이를 못 맞춘 상태로 책을 일정한 각도로 유지하는 구성만을 구비할 뿐이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5482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909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높이 조절에 더불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책의 두께에 상관이 없이 거치가 가능한 독서대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독서대를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상면의 설정된 부분이 일정 깊이로 파인 형상을 갖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파인 형상 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제1 고정부재; 타측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은 지지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상에서 힌지 결합되는 제1 보조지지부재; 일측은 상기 바닥부재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도서 받침판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상에서 힌지 결합되는 제2 보조지지부재;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저면의 설정된 부분이 일정 깊이로 파인 형상을 갖는 도서 받침판; 및 상기 도서 받침판의 파인 형상 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며, 일측은 상기 제2 보조지지부재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는 바닥부재에 형성된 제1 고정부재와 제1 보조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독서대의 높이를 조절하며, 독서 받침판의 저면에 형성된 제2 고정부재와 제2 보조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독서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독서대는 바닥부재, 지지부재 및 도서 받침판을 서로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며, 바닥부재로부터 인출되는 연장부재를 이용하여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독서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독서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고정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며, 제2 고정부재 역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200)는 바닥부재, 지지부재, 제1 보조지지부재, 제2 보조지지부재, 도서 받침판, 도서 받침턱 및 도서 고정핀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포함될 수 있다.
바닥부재(210)를 일정 두께를 갖는 평판 타입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240)는 바닥부재(210)의 타측 종단 상에서 힌지 결합되며, 힌지 결합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바닥부재(210)의 상단은 동일한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힌지 결합된 지지부재(24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파인 형상을 갖는다.
바닥부재(210)의 지면과 밀착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바닥부재(21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E)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독서대(200)에 포함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연장부재(E)는 바닥부재(210)를 중심으로 양 측면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재(210)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아니라 중앙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파인 형상을 갖는다. 파인 형상의 내측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평판 타입의 제1 고정부재(220)가 형성된다. 제1 고정부재(220)의 내측에는 길게 장공이 형성되며, 형성된 장공 상에는 결합부재(222)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결합부재(222)는 너트와 볼트를 포함하며, 너트의 저면은 바닥부재(2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220)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한다. 볼트는 제1 고정부재(220)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한 너트와 체결되며, 제1 고정부재(220)에 형성된 관통공은 장공 형상을 가진다. 볼트를 너트에 완전히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220)는 바닥부재(2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으로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보조지지부재(230)는 일측은 지지부재(240)에 체결되며, 타측은 제1 고정부재(220)에 체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 보조지지부재(230)의 일측은 지지부재(240)의 일측 종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상에서 힌지 체결되며, 타측은 제1 고정부재(220)의 타측과 힌지 체결된다. 물론 제1 고정부재(220)는 일측에 장공이 형성된다.
제1 고정부재(220)의 타측과 힌지 결합된 제1 보조지지부재(230)는 제1 고정부재(220)의 이동에 따라 제1 보조지지부재(230) 역시 회전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바닥부재(210)와 제1 보조지지부재(23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가변된다. 즉, 제1 고정부재(220)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바닥부재(210)와 제1 보조지지부재(23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작아지게 되고, 제1 고정부재(22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바닥부재(210)와 제1 보조지지부재(23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보조지지부재(230)의 일측은 지지부재(240)의 일측 종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상에서 힌지 결합된다. 또한, 바닥부재(210)와 제1 보조지지부재(230) 사이에 형성된 각도에 따라 제1 보조지지부재(230)와 지지부재(240) 사이의 각도 역시 가변된다. 즉, 바닥부재(210)와 제1 보조지지부재(23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작아지게 되면, 제1 보조지지부재(230)와 지지부재(240) 사이의 각도 역시 작아지게 된다. 바닥부재(210)와 제1 보조지지부재(23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커지게 되면, 제1 보조지지부재(230)와 지지부재(240) 사이에 형성된 각도 역시 커지게 된다.
제1 보조지지부재(230)와 지지부재(240) 사이의 각도가 커지게 되면, 지지부재(240)의 타측 종단의 높이는 높아지게(상승하게) 되며, 제1 보조지지부재(230)와 지지부재(240)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면, 지지부재(240)의 타측 종단의 높이는 낮아지게(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부재(210)에 형성된 제1 고정부재(220)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지지부재(240)의 타측 종단의 높이를 달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의하면, 제1 고정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바닥부재와 제1 보조지지부재 사이의 각도가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보조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각도 역시 커지게 된다. 제1 보조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각도가 커지게 되면, 지지부재의 타측 종단의 높이 역시 높아지게 된다. 지지부재의 타측 종단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지지부재의 타측 종단에 형성된 도서받침판의 높이 역시 높아지게 된다.
지지부재(240)의 일측은 바닥부재(210)의 타측 종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도서 받침대(260)의 일측 종단과 힌지 결합된다. 지지부재(240)의 길이는 제1 보조지지부재(230) 및 제2 보조지지부재(25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서 받침판(260)의 저면은 바닥부재(210)의 상면과 동일하게 저면이 평평한 것이 아니라, 중앙 부분이 파여진 형상을 하고 있다. 도서 받침판(260)의 저면 역시 제2 고정부재(270)가 배치되며, 제2 고정부재(270)는 도서 받침판(260)의 저면 상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고정부재(270)의 내측에는 길게 장공이 형성되며, 형성된 장공 상에는 결합부재(272)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결합부재(272)는 너트와 볼트를 포함하며, 너트의 저면은 도서 받침판(26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고정부재(270)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한다. 볼트는 제2 고정부재(270)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한 너트와 체결되며, 제2 고정부재(270)에 형성된 관통공은 장공 형상을 가지므로, 볼트를 너트에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고정부재(27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으로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270)의 일측은 제2 보조지지부재(25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공이 형성된다.
제2 보조지지부재(250)의 타측은 지지부재(240)에 체결되며, 일측은 제2 고정부재(27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2 보조지지부재(250)의 타측은 지지부재(240)의 타측 종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상에서 힌지 체결되며, 일측은 제2 고정부재(270)의 일측과 힌지 체결된다.
제2 고정부재(27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된 제2 보조지지부재(250)는 제2 고정부재(270)의 이동에 따라 제2 보조지지부재(250) 역시 회전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도서 받침판(260)과 지지부재(24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가변된다. 즉, 제2 고정부재(27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서 받침판(260)과 지지부재(24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작아지게 된다. 제2 고정부재(270)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서 받침판(260)과 지지부재(240)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서 받침판(260) 상에서 제2 고정부재(270)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서 지지부재(240)를 기준으로 도서 받침판(260)의 각도를 달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고정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제2 고정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지지부재와 도서 받침판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서 받침판 상에서 제2 고정부재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도서 받침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도서 받침판 상면에 형성된 구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서 받침판(260) 상면의 일측 종단에는 도서 받침턱(280)이 형성된다. 도서 받침턱(280)은 도서 받침판(260)을 기준으로 힌지 결합되며, 결합된 힌지에 의해 도서 받침판(260)을 기준으로 90ㅀ 회전한다. 도서 받침턱(280)은 도서 받침판(260) 내부에 인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형성된 장공은 도서 받침판(260) 일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박판 사이로 각각 인입된다. 이와 같이 도서 받침판의 일측은 복수의 박판을 형성하며, 도서 받침턱(280)은 장공을 형성하여, 도서 받침턱(280)이 도서 받침판(26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서 고정핀(290)은 도서 받침턱(280) 상에 형성되며, 도서 받침턱(280) 상에 안착된 도서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서 고정핀(290)은 도서 받침턱(280) 상단에 안착된 도서의 두께에 상관없이 도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서 고정핀(290)의 특정 부위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도서 고정핀(290)의 특정 부위가 절곡됨으로써 도서 고정핀(290)은 탄성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도서 받침턱(280) 상단에 안착된 도서의 두께가 상이하더라도 도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제1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바닥부재와 제1 보조지지부재 사이의 각도는 0ㅀ가 되며, 제1 보조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각도 역시 0ㅀ가 된다. 따라서 도서 받침판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서 받침판은 높이 조절 없이 제2 보조지지부재의 이동에 따라 각도만 조절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며, 제2 고정부재 역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며, 제2 고정부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바닥부재의 상단에는 지지부재가 안착되며, 지지부재의 상단에는 도서 받침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바닥부재, 지지부재 및 도서 받침판이 순차적으로 안착되면, 독서대의 부피는 감소하게 되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지지부재의 일부는 바닥부재의 상단에 파인 내부에 인입되며, 지지부재의 나머지 일부는 도서 받침판 저면에 파인 내부에 인입된다. 또한, 제1 보조지지부재는 지지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며, 제2 보조지지부재 역시 지지부재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가 바닥부재와 도서 받침판에 각각 인입됨으로써 독서대의 부피는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닥부재(210)과 도서 받침판(260)에 마그네트 등을 설치하여 부피가 최소화된 독서대가 자연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서 받침턱은 도서 받침판 내부로 인입되어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독서대는 도 2와 비교하여 보면, 바닥부재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부재의 면적이 넓은 경우, 사용자는 무릎이나 기타 바닥이 균일하지 않은 곳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200: 독서대 210: 바닥부재
220: 제1 고정부재 230: 제1 보조지지부재
240: 지지부재 250: 제2 보조지지부재
260: 도서 받침판 270: 제2 고정부재
280: 도서 받침턱 290: 도서 고정핀
E: 연장부재

Claims (8)

  1. 일정 두께를 가지며, 상면 중 설정된 부분이 일정 깊이로 파인 형상을 갖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파인 형상 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제1 고정부재;
    타측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은 지지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상에서 힌지 결합되는 제1 보조지지부재;
    일측은 상기 바닥부재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도서 받침판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 상에서 힌지 결합되는 제2 보조지지부재;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저면 중 설정된 부분이 일정 깊이로 파인 형상을 갖는 도서 받침판; 및
    상기 도서 받침판의 파인 형상 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며, 일측은 상기 제2 보조지지부재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2 고정부재의 타측은 장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3. 제 2항에 있어서, 너트와 볼트로 구성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의 저면은 상기 바닥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와 볼트는 체결되며,
    상기 볼트가 너트에서 풀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바닥부재 상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4. 제 2항에 있어서, 너트와 볼트로 구성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의 저면은 상기 독서 받침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부재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와 볼트는 체결되며,
    상기 볼트가 너트에서 풀린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독서 받침판 상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받침판의 일측 종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하는 도서 받침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받침턱은 적어도 두 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서 받침판의 일측은 적어도 두 개의 박판이 형성되며,
    상기 도서 받침턱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박판이 장공 내부로 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받침턱 상에는 도서 받침턱에 안착된 도서를 고정하는 도서 고정핀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1020190034522A 2019-03-26 2019-03-26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10222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22A KR102220314B1 (ko) 2019-03-26 2019-03-26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22A KR102220314B1 (ko) 2019-03-26 2019-03-26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05A true KR20200113805A (ko) 2020-10-07
KR102220314B1 KR102220314B1 (ko) 2021-03-05

Family

ID=7288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522A KR102220314B1 (ko) 2019-03-26 2019-03-26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3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909U (ko) 2008-03-27 2009-10-01 권민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120055184A (ko) * 2010-11-23 2012-05-31 박우원 다용도 모바일 테이블 장치
KR20120006360U (ko) * 2011-11-15 2012-09-12 서준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20120109770A (ko) * 2011-03-28 2012-10-09 이상화 휴대용 독서대
KR200475482Y1 (ko) 2014-07-14 2014-12-08 김현태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N108338516A (zh) * 2017-01-23 2018-07-31 崔永浩 读写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909U (ko) 2008-03-27 2009-10-01 권민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120055184A (ko) * 2010-11-23 2012-05-31 박우원 다용도 모바일 테이블 장치
KR20120109770A (ko) * 2011-03-28 2012-10-09 이상화 휴대용 독서대
KR20120006360U (ko) * 2011-11-15 2012-09-12 서준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200475482Y1 (ko) 2014-07-14 2014-12-08 김현태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N108338516A (zh) * 2017-01-23 2018-07-31 崔永浩 读写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314B1 (ko)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6361A (en) Articulated support chair
KR200475482Y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US5567893A (en) Shoulder rest for violin or like instrument
US20060065167A1 (en) Desk with tilt-adjustable tops
KR102220314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10182936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N104414170A (zh) 便携立式阅读书架
US11058220B2 (en) Desk with seating
KR200483444Y1 (ko) 독서대 세트
KR100956292B1 (ko) 독서지지대가 구비된 책
KR20160096358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KR20170130237A (ko) 형태변형이 가능한 공간절약형 책상
KR100597962B1 (ko) 기울기조절 책상
CN112869476A (zh) 具有三防一控功能的学习桌椅
KR100628371B1 (ko) 각도가 조절되는 경사천판과 독서대를 구비한 독서실용 책상
KR20110086213A (ko) 저울식 독서대
KR200487817Y1 (ko) 독서대
KR200298136Y1 (ko) 배받이 의자
CN212546150U (zh) 一种坐姿矫正器
KR200474111Y1 (ko) 책상용 경사 가변조절장치
CN219016725U (zh) 一种具有双联动支撑臂机构的防近视阅读仪
CN217243192U (zh) 一种可调节悬臂课桌椅
KR20130097343A (ko) 높이 조절 독서대
KR102444365B1 (ko) 상판의 높이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