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695A - 요식업용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요식업용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695A
KR20200113695A KR1020190034247A KR20190034247A KR20200113695A KR 20200113695 A KR20200113695 A KR 20200113695A KR 1020190034247 A KR1020190034247 A KR 1020190034247A KR 20190034247 A KR20190034247 A KR 20190034247A KR 20200113695 A KR20200113695 A KR 2020011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odorizing
deodorized
water fil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428B1 (ko
Inventor
여옥규
Original Assignee
(주)큰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큰나무 filed Critical (주)큰나무
Priority to KR102019003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4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57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 clean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유증기, 음식 냄새, 악취 등의 유해공기를 탈취하면서 침전물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게 하고, 탈취수를 순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요식업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입구(120) 및 배출구(130)에 의해 유해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로 본체(100)와; 상기 유로 본체(100)의 안쪽에 다수의 공기구멍(211)을 갖는 수막판(2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막판(210) 위로 탈취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면서 수막을 형성하고, 이 수막을 이용해 상기 유로 본체(100)에 유입된 유해공기의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 부재(200)와; 상기 탈취 부재(200)로부터 탈취를 수행한 탈취수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탈취수의 이동지연에 따른 침전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동시에 부유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기름, 부유이물질을 부유시켜 제거하여 정화하며, 정화된 탈취수를 상기 탈취 부재(200)에 다시 공급 순환되게 하는 순환 탱크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요식업용 탈취장치 {Deodorizing device}
본 발명은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유증기, 음식 냄새, 악취 등의 유해공기를 탈취하면서 침전물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게 하고, 탈취수를 순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요식업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식업에서는 육류를 구우면서 생성되는 유증기, 음식을 조리하면서 생성되는 음식 냄새, 음식물을 처리하면서 발생하는 악취 등의 유해공기가 발생함으로, 이 유해공기를 제거하는 환풍 시설이 필수이다.
이러한 환풍 시설은 유해공기를 건물 외부로 단순히 배출하는 기능만 함으로 최근에는 요식업에서 발생하는 유해공기를 탈취하기 위한 탈취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14562호를 살펴보면, 친환경 환풍기로서, 환풍팬이 회전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 설치되는 필터케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는 환풍팬의 회전작동에 의해 필터케이스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프리필터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자외선으로 살균처리하는 블랙라이트등과,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산화분해하는 기능을 가지는 허니컴구조의 광촉매필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는 프리필터, 블랙라이트등, 광촉매필터와 함께 이산화규소, 게르마늄 및 탄소 성분으로 구성된 분말이 펠릿상으로 압축성형되어 악취와 같은 냄새를 탈취 정화하는 기능을 가진 셀라이트 필터를 포함하여 4단 구조로 형성하여서 된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유증기, 음식 냄새, 악취와 같은 유해공기를 필터방식, 전기집진기, 활성탄 흡착 방식 등을 이용해 탈취하기 때문에 필터방식 및 활성탄 흡착 방식은 유증기의 기름성분이 먼지와 함께 탈취를 위한 기공을 막아 탈취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심하게는 탈취 기능을 상실하고, 필터 등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유지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14562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막판을 이용해 탈취를 수행할 수 있게 하면서 기름성분이 먼지와 함께 탈취를 위한 기공을 막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 탈취 효율을 높이면서 탈취 효율이 떨어지거나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탈취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탈취수를 순환 관리되게 하여 유지관리를 간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입구 및 배출구에 의해 유해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로 본체와;
상기 유로 본체의 안쪽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갖는 수막판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막판 위로 탈취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면서 수막을 형성하고, 이 수막을 이용해 상기 유로 본체에 유입된 유해공기의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 부재와;
상기 탈취 부재로부터 탈취를 수행한 탈취수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탈취수의 이동지연에 따른 침전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동시에 부유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기름, 부유이물질을 부유시켜 제거하여 정화하며, 정화된 탈취수를 상기 탈취 부재에 다시 공급 순환되게 하는 순환 탱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식업용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취수가 연속적으로 흐르는 수막판을 구비하고, 이 수막판에 유해공기와 탈취수가 접촉하면서 탈취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다수의 공기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기름성분, 이물질 등이 탈취수에 의해 제거되어 탈취 효율을 높이면서 탈취 효율이 떨어지거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를 수행한 탈취수에 포함된 기름, 이물질 등을 순환탱크 부재를 이용해 제거하면서 탈취수를 순환 관리시켜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식업용 탈취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식업용 탈취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요식업용 탈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식업용 탈취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탈취장치의 측면도, 도 3은 탈취장치 중 탈취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수막판의 분배홈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수막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른 요식업용 탈취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유해공기가 이동하는 유로 본체(100); 유해공기의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 부재(200); 탈취수를 정화하여 다시 공급 순환되게 하는 순환 탱크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유로 본체(100)의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탈취 후 공기 내에서 잔량 불순물을 최종적으로 활성탄을 통해 제거하는 활성탄 탈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탈취장치(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유로 본체(100)는;
유입구(120) 및 배출구(130)에 의해 유해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하는 유해공기를 탈취되게 유도하면서 탈취가 완료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유로 본체(100)는; 유해공기가 유동하면서 탈취 작용을 유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반응실(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반응실(110)은 밀폐된 탱크 형태의 구조물로 제작되며, 이 반응실(110)의 하부 일측방으로 유입구(120)가 반응실(110)의 내부 공간과 통하게 마련되고, 반응실(110)의 상방으로 배출구(130)가 반응실(110)의 내부 공간과 통하게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된 유해공기는 반응실(110)의 내부 공간을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탈취 후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반응실(110)의 하부에는 탈취수가 모이는 저수부(1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저수부(111)에 모이는 탈취수는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유로 본체(100)는; 반응실(110)에 유해공기를 공급하는 유입구(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120)는 관체로 제작되며, 반응실(110)의 하부 일측방으로 관통되면서 관 이음으로 연결되고, 이 유입구(120)의 외측단은 외부로부터 유해공기가 공급되는데, 요식업종에서 사용하는 환풍 시설에 연결되면서 요식업에서 육류를 구우면서 생성되는 유증기, 음식을 조리하면서 생성되는 음식 냄새, 음식물을 처리하면서 발생하는 악취 등의 유해공기를 유입구(120)를 통해 반응실(110)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로 본체(100)는; 반응실(110)의 내부로 공급된 유해공기가 탈취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130)는 관체로 제작되며, 반응실(110)의 상단에 관 이으므로 연결되어 이 배출구(130)의 상측단은 외부로 노출되거나 별도 관체를 연결하여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로 본체(100)는; 배출구(130) 측에 마련되는데, 탈취 후 정화된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기액분리부(1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액분리부(140)는, 정화 공기를 응결부(142)를 통과하여 배출구(130) 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유로(141); 상기 유로(141) 내측으로 배출구(130) 사이에 구비되어 정화 공기 중 수분을 응결시켜 분리하는 응결부(142); 상기 응결부(142) 하부에 구비되어 분리된 수분이 유입되고, 이 유입된 수분을 순환 탱크 부재(400)로 유입되게 하는 응결조(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141)는, 배출구(130)로 배출되는 정화 공기가 모두 응결부(142)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응결부(142)의 설치 위치에 대응한 관로로 형성된다.
상기 응결부(142)는, 공기가 통과하는 무수히 많은 구멍이 형성된 필터 형태로 이루어져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중에 공기중 일부가 필터의 표면에 온도를 빼앗기면서 이슬이 맺히는 등 물로 변화하는 상태변화(狀態變化)를 통해 공기와 수분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응결부(142)의 하부 일측에는 응결조(143)와 통하는 배수구(142a)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42a)를 통해 분리된 수분을 응결조(143)에 유입되게 하고, 상기 응결부(142)를 통과한 공기는 배출구(130)로 이동하면서 배출된다. 더불어 상기 응결부(142)의 통과측 하부에는 하단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판(142b)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판(142b)은 아래 부분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면서 분리된 수분이 공기의 배출과 함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응결조(143)는, 유로(141)의 하부에 하향 집중되는 공간을 갖는 함체로 제작되어 분리된 수분을 모이게 하는데, 상기 응결조(143)의 상부는 응결부(142)의 배수구(142a)에 연결되면서 분리된 수분이 응결조(143)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응결조(143)는 응결관로(143a)를 통해 순환 탱크 부재(400)와 연결되며, 이 응결관로(143a)를 통해 분리된 수분을 순환 탱크 부재(400)에 유입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로 본체(100)는; 탈취수를 수막판(210)에 공급되게 하는데, 이 탈취수의 공급 측에 마련된 밸브(241)를 이용해 탈취수의 공급을 단속하느 공급관로(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관로(240)는 수막판(210)에 연결된 분배조(220) 측으로 관통 삽입된 관체이며, 이 공급관로(240)의 외측단부에 탈취수를 순환 공급하기 위한 순환 탱크 부재(400)의 순환유로(460)가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로(240)를 통해 유입되는 탈취수는 분배조(220)에 공급된다.
상기 공급관로(240)는 수막판(210)이 하나 이상 설치되면, 이 수막판(210)의 설치 수에 맞게 공급관로(240)를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수막판(210)에 공급관로(240)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관로(240)에는 공급되는 탈취수를 유로를 개폐하여 단속하기 위한 밸브(241)가 각각 마련되며, 이 밸브(241)를 이용해 공급관로(240)를 차단하면 탈취수가 공급되지 안하 수막판(210)의 탈취기능을 상실하게 하고, 밸브(241)를 개방하면 수막판(210)의 탈취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밸브(241)의 개폐에 의해 탈취 기능을 선택적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본체(100)는; 수막판(210)의 일방향으로 흐르는 탈취수가 집수조(230)에 유입되어 집수되면, 이 집수조(230)에 집수된 탈취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복귀관로(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귀관로(250)는 수막판(210)에 연결된 집수조(230) 측으로 각각 일단이 관통 삽입되어 연결된 관체이며, 이 복귀관로(250)의 타단부는 순환 탱크 부재(400)의 공급구(411)에 연결되어 집수조(230)의 탈취수를 순환 탱크 부재(400)에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탈취 부재(200)는;
상기 유로 본체(100)의 안쪽에 다수의 공기구멍(211)을 갖는 수막판(2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막판(210) 위로 탈취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면서 수막을 형성하고, 이 수막을 이용해 상기 유로 본체(100)에 유입된 유해공기의 탈취를 수행하가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탈취 부재(200)는; 다수의 공기구멍(211)을 이용해 유해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는데, 상기 공기구멍(211)의 상부에는 탈취수가 공급되면서 일방향으로 흘러 수막이 형성되고, 이 수막을 이용해 공기구멍(211)을 통과하는 유해공기를 탈취하는 수막판(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막판(210)은 반응실(110)의 내부에 수평 설치되도록 반응실(110)의 단면적 크기, 모양에 대응한 판재로 제작되며, 수막판(210)의 한쪽은 분배조(220)를 통해 탈취수가 공급되면서 수막판(210) 상단부로 공급된 탈취수가 일방향으로 흘러 수막을 형성하고, 수막판(210)의 반대쪽은 집수조(230)가 연결되면서 일방향으로 흐르는 탈취수를 집수되게 한다.
이때, 상기 수막판(210)의 내측에는 반응실(110) 내부로 공급된 유해공기가 통과하면서 탈취수의 수막과 반응하여 탈취 작용을 유도하는 다수의 공기구멍(211)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공기구멍(211)은 유해공기가 통과 가능하고 탈취수가 수막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표면장력이 작용할 정도의 크기로 관통된다.
상기 수막판(210)에 공급되는 탈취수는 유해공기의 탈취를 유도할 수 있는 액체이며, 바람직하게는 40℃이상의 온수를 사용하여 유해공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녹여 탈취수에 함유되면서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수막판(210)은; 다수의 공기구멍(211)이 타공된 타공판(210a); 또는 금속, 비금속으로 이루어진 선이 교차 배치되면서 무수히 많은 공기구멍(211)을 형성시키는 망판(21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타공판(210a)은, 상단부가 개방되고, 전후단부는 분배조(220) 및 집수조(230)에 각각 연결되면서 양측단부는 막혀 탈취수가 어느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면서 수막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의 판체로 제작되며, 이 타공판(210a)의 내측에 다수의 공기구멍(211)을 일정 간격 수평 패치하여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타공판(210a)의 공기구멍(211)은 유해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211a), 상기 입구부(211a) 보다 좁은 통로부(211b), 상기 통로부(211b) 보다 넓은 출구부(211c)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입구부(211a)는 최초 유해공기가 유입되며 단면 형태로 볼 때 하단에서 중심부로 가면서 이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부(211b)는 입구부(211a)에서 연장되면서 중심부를 지나는 직선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구부(211c)는 통로부(211b)에 연장되면서 중심부를 지나 상단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구부(211a), 통로부(211b), 출구부(211c)의 형상적 구조에 의해 벤튜리 효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망판(210b)은, 상단부가 개방되고, 전후단부는 분배조(220) 및 집수조(230)에 각각 연결되면서 양측단부는 막혀 탈취수가 어느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면서 수막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망판(210b)의 내측 바닥면은 관통되면서 이 바닥면을 메우는 다수의 선(철심)이 교차 배치되면서 망편을 이뤄 무수히 많은 공기구멍(211)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수막판(210)의 공기구멍(211)은 원형, 세모, 사각 형태의 단면적을 갖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수막판(210)의 타공판(210a)은 원형, 세모, 사각 형태의 구멍을 뚫어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막판(210)은, 분배조(220)에 연결된 측은 높고, 집수조(230)에 연결된 측은 낮게 임의 기울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막판(210)은 분배조(220)에 연결된 측은 높고, 집수조(230)에 연결된 측은 낮게 기울어 설치함으로 탈취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갖을 수 있고, 상기 수막판(210)의 기울기는 대략 1°~ 10°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3°로 형성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상기 수막판(210)을 임의 기울기로 형성함에 따라 탈취수가 흐르는 속도를 최적으로 조절하여 수막판(210) 위를 흐르는 탈취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고, 수막판(210)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수막판(210)은 하나 이상 반응실(110)의 내부에 상하로 다단으로 각각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막판(210)을 하나 이상 다단 층으로 설치하는 경우 탈취 효율을 간편하게 증대시킬 수 있고, 수막판(210)의 공기구멍(211) 설치 개수에 비례하여 탈취용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수막판(210)의 공기구멍(211) 수를 늘리면 탈취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막판(210)은; 계단 형태로 마련되면서 탈취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하향 단차 경사를 갖도록 하는 경사판(210c)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판(210c)은 탈취수가 흐르는 공간을 계단 형태로 하향 단차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시키는 판재로 제작되며, 상기 경사판(210c)의 내측에는 다수의 공기구멍(21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210c)이 계단 형태로 이루어짐으로 하향 경사를 따라 흐르는 탈취수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판(210c)은 복수의 판재를 계단 형태로 이어 붙여 마련하거나 하나의 판재를 계단 형태로 절곡하여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취 부재(200)는; 수막판(210)의 전단에 마련되는데, 탈취수가 공급되며, 이 공급된 탈취수를 다수의 분배홈(221a)을 갖는 분배판(221)을 이용해 수막판(2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급시키는 분배조(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배조(220)는 수막판(210)의 전단에 연결 가능한 크기의 판체로 제작되는데, 이 분배조(220)의 전후 및 좌우 양측이 각각 막혀 유입된 탈취수가 어느 정도의 수위로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막판(210)의 연결 측으로 다수의 분배홈(221a)을 갖는 분배판(221)이 마련되면서 분배조(220) 내부에 채워진 탈취수를 수막판(210) 측으로 유입시켜 공급되게 한다.
이때, 상기 분배홈(221a)은 수막판(210)의 전체 면적에 균일하게 탈취수가 공급되도록 수막판(210)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수의 분배홈(221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배홈(221a)은 '∨', '∪','└┘' 모양의 홈 중 어느 하나로 선택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배홈(221a)은 상향 확장되는 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향 확장되는 홈에 의해 분배조(220)에 유입된 탈취수가 서서히 차오르면서 상기 다수의 분배홈(221a)을 통해 다방향으로 점진적 배수되면서 균일하게 일정한 양의 탈취수를 지속적 공급되게 한다.
예컨대, 상기 분배조(220)를 더 부가함에 따라 탈취수를 수막판(210)에 전방향으로 고르게 분배하면서 균일하게 공급시킬수 있어 탈취수의 공급량이 항상 일정하고, 수막판(210)이 탈취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탈취 효율이 향상된다.
더불어, 상기 분배판(221)은 하부로 탈취수가 유입되어 지속적으로 수막판(210)에 흐르게 하는 배기홀(221b)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기홀(221b)은 분배판(221) 하부 바닥 측에 관통 구멍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며, 이 배기홀(221b)에 의해 분배조(220)에 공급된 탈취수가 분배홈(221a)에 상관없이 수막판(210)에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흐르게 한다.
특징적으로 상기 배기홀(221b)에 의해 탈취수가 수막판(210)에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흐름으로 탈취 부재(200)의 작동 정지 중에 분배홈(221a)의 형성 깊이에 따라 분배조(220)의 저부에 흐르지 못하고 남는 탈취수를 수막판(210) 측으로 유입시켜 상기 분배조(220)를 완전히 비우게 한다.
또한, 상기 탈취 부재(200)는; 수막판(210)의 후단에 마련되는데, 수막판(210)의 일방향으로 흐른 탈취수를 다수의 집수홈(231a)을 갖는 집수판(231)을 이용해 유입시켜 집수하고, 이 집수판(231)에 탈취수가 유입되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막판(210) 위를 흐르는 탈취수의 수막 높이를 임의 조절되게 하는 집수조(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집수조(230)는 수막판(210)의 후단에 연결 가능한 크기의 판체로 제작되는데, 이 집수조(230)의 전후 및 좌우 양측이 각각 막혀 수막판(210)을 흘러 집수조(230)에 유입된 탈취수가 어느 정도의 수위로 채워져 집수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막판(210)의 연결 측으로 다수의 집수홈(231a)을 갖는 집수판(231)이 마련되면서 수막판(210)의 일방향으로 흐르는 탈취수를 집수조(230)의 내측에 유입시켜 집수되게 한다.
이때, 상기 집수홈(231a)은 수막판(210) 위를 흐르는 탈취수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높이를 갖음으로 탈취수가 일정한 수위로 집수조(230) 내부에 유입되고, 상기 집수홈(231a)은 하나 이상 다수로 형성되면서 수막판(210)의 전방향으로 흐르는 탈취수가 일정량으로 집수조(230)에 유입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집수조(230)는, 집수판(231)에 인접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하 이동 작용에 의해 상기 집수홈(231a)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판(2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판(232)은 집수판(231)의 일측방에 결합되는 판재로 제작되는데, 상기 다수의 집수홈(231a)을 하나의 승강판(232)이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집수조(230)의 길이방향에 설치되거나, 또는 각각의 집수홈(231a)에 승강판(232)이 개별적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승강판(232)은 집수홈(231a)을 완전히 막거나, 집수홈(231a)을 최대한 개방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이때, 상기 승강판(232)의 상단부는 수막판(210) 위를 흐르는 물이 집수조(230)에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집수조(230)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 승강판(232)은 상하 이동 작동을 위해 상기 승강판(232)에 나선 연결되면서 상기 승강판(232)을 지지하고, 이 나선연결에 의한 제자리 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판(232)을 나선을 따라 승강 작동시켜 승강판(232)의 높낮이를 임의 조절시키는 조작구(233)가 마련된다.
상기 조작구(233)는 환봉으로 제작되는데, 조작구(233)의 상단부는 유로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된 핸들(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조작구(233)의 하부 외주에는 승강판(232)에 나선결합되기 위한 체결부(233a)가 너트 형태로 끼워져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233a)는 승강판(232)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조작구(233)는 외부 핸들에 연결되기 위해 기어 연결을 부가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상기 조작구(233)를 외부 핸들을 이용해 돌리면 체결부(233a)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선회전하면서 나선을 따라 체결부(233a)에 고정된 승강판(232)이 상하 이동이 유도되어 승강판(232)을 승강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조작구(233)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승강판(232)의 승강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승강판(232)의 승강 높낮이에 따라 수막판(210)의 수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탈취 부재(200)는; 수막판(2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분배조(220)로부터 공급된 탈취수를 집수조(230) 측에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도판(2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도판(212)은 수막판(210)의 전후 길이 방향에 대응한 길이를 갖으면서 수막판(210)의 높이에 따라 수직 설치되는 판재로 제작되며, 하나 이상의 유도판(212)을 수막판(210)의 내측 전방향으로 일정 간격 배치하면서 분배조(220)에서 공급된 탈취수를 집수조(230)에 흐르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활성탄 탈취부(300)는;
상기 유로 본체(100)의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탈취 후 공기를 활성탄을 이용해 탈취하여 공기 내의 잔량 불순물을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활성탄 탈취부(300)는 활성탄을 상기 유로 본체(100)의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공급 측의 안쪽에 단면적 전체에 충진시키면서 탈취를 완료한 공기를 활성탄에 통과되게 하면서 탈취를 수행되게 마련되는데, 이 활성탄 탈취부(300)는 입자상 활성탄을 필터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성탄은 산화 분위기 하에서 표면 산화된 탄소를 말하는데, 활성탄은 비표면적이 크고 미세 기공이 균일한 분포를 갖음으로 유해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 기름입자의 흡착 기능이 우수하고, 큰 비표면적을 이용한 공기청정이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상기 탈취 부재(200)로부터 탈취를 수행한 탈취수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탈취수의 이동지연에 따른 침전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동시에 부유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기름, 부유이물질을 부유시켜 제거하여 정화하며, 정화된 탈취수를 상기 탈취 부재(200)에 다시 공급 순환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탈취 부재(200)로부터 탈취를 수행한 탈취수가 유입되면서 지연 이동을 유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4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탱크(410)는 밀폐된 탱크 형태의 구조물로 제작되며, 이 탱크(410)의 하부 일측방으로 공급구(411)가 유로 본체(100)의 저수부(111) 측에 연결되게 마련되고, 탱크(410)의 상부 일측방으로 드레인관(412)가 순환유로(460)에 연결되면서 마련되며, 상기 공급구(411) 및 드레인관(412)에 의해 탈취수가 탱크(410) 내부로 유동한다.
이때, 상기 탱크(410)는 탈취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유로 본체(100)의 설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급구(411)는 유로 본체(100)로부터 탈취수가 공급되는 입구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탱크(410)의 내부로 지그재그 형태의 탈취수 유로를 형성되게 하는 다수의 지연격판(4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지연격판(420)은 탱크(410)의 내부로 유동하는 탈취수의 이동 방향 측에 상하로 교차배열되어 마련되면서 탈취수가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탱크(410) 내부를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이 지연격판(420)의 지그재그 유로에 의해 탈취수가 이동하는 속도가 지연되면서 탈취수에 대한 침전작용 및 부유작용을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지연격판(420)에 의해 탈취수가 탱크(410) 내부를 상하로 지그재그 이동하면서 지연되어, 이 탈취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침전되어 탱크(410) 저부에 쌓이고 기름입자는 부유하면서 탱크(410) 상부에 쌓이게 된다.
또한,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유입된 탈취수를 임의 온도 이상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 기능을 하는 히터(4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히터(430)는 전기히터의 일종이며, 탱크(410)의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고, 탱크(410)의 내부로 이동하는 탈취수에 열을 전달하여 가열시켜 탈취수가 일정 온도 이상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히터(430)에 의해 탈취수가 가열되어 유지되는 온도는 바람직하게 40℃를 유지하게 하고, 이는 탈취수에 포함된 기름입자가 탈취수를 이용한 탈취 부재(200)의 탈취 작용에서 녹아 분리될 수 있게 하고, 탱크(410)의 내부로 이동하는 탈취수에서 기름 입자가 응고되지 않은 상태로 탱크(410) 상부에 모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침전작용으로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외부로 선택적 배출시켜 제거하는 토출구(4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440)은 탱크(410)의 저부에 하나 이상 각각 밸브를 갖는 관 형태로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지연격판(420)에 의해 상하 구획된 탱크 공간에 하나씩 토출구(440)이 설치될 수 있고, 이 토출구(440)은 탱크(410) 저부에 쌓인 침전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탈취수와 함께 배출시키면서 제거하게 한다.
또한,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부유작용에 의해 부유된 기름, 부유이물질을 정체시켜 모으고, 이 모아진 기름, 부유이물질이 탈취수의 온도 하강에 의해 응고되면 제게되게 하는 기름망(4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름망(450)은 상단부가 개방되고 전후좌우 및 바닥면은 다수의 선(철심)이 교차 배치되면서 망체로 이루어져 무수히 많은 구멍을 형성한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기름망(450)은 탱크(410)의 상부에 탈취수에 어느정도 잠겨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름망(450)은 지연격판(420)에 의해 상하 구획된 탱크(410)의 각 공간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탱크(410)의 상하로 이동하는 탈취수에서 기름입자, 부유이물질이 부유하면 상기 기름망(450)의 미세 구멍을 통해 기름망 위로 뜨면서 모이고, 이렇게 모인 기름입자와 부유이물질이 한데 섞여 걸러지게 된다.
한편, 상기 기름망(450)을 통해 기름입자와 부유이물질이 한데 섞여 모이면, 요식업의 영업종료 시간에는 탈취 장치(1)의 작동을 정지함에 따라 히터(430)에 의해 가열된 탈취수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기름망(450)에 모인 기름입자가 부유이물질에 섞여 응고되고, 이렇게 응고된 기름입자와 부유이물질을 기름망(450)을 분리시켜 배출하면서 제거되게 한다.
또한,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탈취 부재(200)에 연결되면서 정화된 탈취수를 상기 탈취 부재(200)에 재공급시켜 탈취수를 순환되게 하는 순환유로(4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순환유로(460)는 일단은 드레인관(4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유로 본체(100)의 공급관로(240)에 연결되는 관체이며, 이 순환유로(460)에는 펌프(461)가 구비됨으로 상기 펌프(461)를 이용해 드레인관(412)를 통해 배출되는 탈취수를 강제로 상기 공급관로(240)에 유입 공급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순환유로(460)에 의해 탈취수가 연속적으로 순환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상태의 실시 예로서, 요식업용 탈취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7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탈취장치의 작동 상태의 흐름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탈취장치(1)는; 최초 탈취수를 공급관로(240)를 통해 탈취 부재(200)에 공급시키는데, 이 공급된 탈취수는 분배조(220), 수막판(210), 집수조(230)를 거쳐 수막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요식업에서 사용하는 환풍 설비를 통해 유해공기가 반응실(110) 내부로 유입되면, 이 유입된 유해공기는 수막판(210) 측으로 상승하여 이동하면서 수막판(210)의 공기구멍(211)을 통해 수막판(210) 상방으로 통과한다.
상기와 같이 수막판(210)의 공기구멍(211)을 통해 유해공기가 통과하면, 수막판(210)에서 일방향으로 흐르는 수막을 통해 탈취 작용이 유도되고, 탈취 작용 중 유해공기에 포함된 기름입자, 이물질 등이 탈취수에 걸러지면서 공기로부터 분리 제거된다.
한편, 상기 수막판(210)의 일방향으로 흐르는 탈취수는 집수조(230)와 연결된 복귀관로(250)를 통해 순환 탱크 부재(40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에 공급되는 탈취수는 공급구(411)를 거쳐 탱크(410)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탈취수는 지연격판(420)에 의해 탱크(410) 내부공간의 상하부를 지그재로 이동하면서 유속이 지연되고, 이 유속 지연에 의해 침전작용 및 부유작용을 유도하게 한다.
상기 침전작용 및 부유작용을 통해 탈취수에 포함된 기름입자, 부유이물질, 침전이물질 등이 제거되면서 탈취수를 정화하고, 이 정화된 탈취수는 순환유로(460)를 펌프(461)를 이용해 유로 본체(100)의 공급관로(240)에 다시 공급되면서 탈취수를 순환되게 한다.
이때, 상기 탱크(410)에 침전된 이물질은 토출구(440)을 통해 외부로 배출제거하고, 부유된 기름입자 및 부유이물질은 기름망(450)을 이용해 외부로 배출제거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탈취 장치 100; 유로 본체
110; 반응실 120; 유입구
130; 배출구 140; 기액분리부
200; 탈취 부재 210; 수막판
220; 분배조 230; 집수조
240; 공급관로 250; 복귀관로
300; 활성탄 탈취부 400; 순환 탱크 부재
410; 탱크 420; 지연격판
430; 히터 440; 드레인배관
450; 기름망 460; 순환유로

Claims (6)

  1. 유입구(120) 및 배출구(130)에 의해 유해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로 본체(100)와;
    상기 유로 본체(100)의 안쪽에 다수의 공기구멍(211)을 갖는 수막판(2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막판(210) 위로 탈취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면서 수막을 형성하고, 이 수막을 이용해 상기 유로 본체(100)에 유입된 유해공기의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 부재(200)와;
    상기 탈취 부재(200)로부터 탈취를 수행한 탈취수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탈취수의 이동지연에 따른 침전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동시에 부유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기름, 부유이물질을 부유시켜 제거하여 정화하며, 정화된 탈취수를 상기 탈취 부재(200)에 다시 공급 순환되게 하는 순환 탱크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식업용 탈취장치.
  2. 유입구(120) 및 배출구(130)에 의해 유해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로 본체(100)와;
    상기 유로 본체(100)의 안쪽에 다수의 공기구멍(211)을 갖는 수막판(2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막판(210) 위로 탈취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면서 수막을 형성하고, 이 수막을 이용해 상기 유로 본체(100)에 유입된 유해공기의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 부재(200)와;
    상기 유로 본체(100)의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탈취 후 공기를 활성탄을 이용해 탈취하여 공기 내의 잔량 불순물을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활성탄 탈취부(300)와;
    상기 탈취 부재(200)로부터 탈취를 수행한 탈취수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탈취수의 이동지연에 따른 침전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동시에 부유작용으로 탈취수에 포함된 기름, 부유이물질을 부유시켜 제거하여 정화하며, 정화된 탈취수를 상기 탈취 부재(200)에 다시 공급 순환되게 하는 순환 탱크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식업용 탈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유입된 탈취수를 임의 온도 이상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 기능을 하는 히터(430)를 더 포함한 요식업용 탈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침전작용으로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외부로 선택적 배출시켜 제거하는 토출구(440)을 더 포함한 요식업용 탈취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탈취 부재(200)에 연결되면서 정화된 탈취수를 상기 탈취 부재(200)에 공급시켜 탈취수를 순환되게 하는 순환유로(460)를 더 포함한 요식업용 탈취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 주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탱크 부재(400)는 부유작용에 의해 부유된 기름, 부유이물질을 정체시켜 모으고, 이 모아진 기름, 부유이물질이 탈취수의 온도 하강에 의해 응고되면 제거시키는 기름망(450)을 더 포함한 요식업용 탈취장치.
KR1020190034247A 2019-03-26 2019-03-26 요식업용 탈취장치 KR10217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47A KR102172428B1 (ko) 2019-03-26 2019-03-26 요식업용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47A KR102172428B1 (ko) 2019-03-26 2019-03-26 요식업용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695A true KR20200113695A (ko) 2020-10-07
KR102172428B1 KR102172428B1 (ko) 2020-10-30

Family

ID=7288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247A KR102172428B1 (ko) 2019-03-26 2019-03-26 요식업용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88A1 (ko) 2020-09-07 2022-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리고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27Y1 (ko) * 2006-01-25 2006-04-05 동림이엔지(주) 가압 수막형 세정집진장치
KR100859446B1 (ko) * 2007-08-18 2008-09-22 삼원금속공업 주식회사 세정액 순환장치를 구비한 배기후드
KR20090021750A (ko) * 2007-08-28 2009-03-04 김희섭 환기장치
JP4658271B2 (ja) * 1997-02-10 2011-03-23 ベリテック フィルト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分離方法及び分離装置並びにクッキング設備
KR101414562B1 (ko) 2012-09-11 2014-07-03 주식회사 이노베코 친환경 환풍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8271B2 (ja) * 1997-02-10 2011-03-23 ベリテック フィルト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分離方法及び分離装置並びにクッキング設備
KR200413227Y1 (ko) * 2006-01-25 2006-04-05 동림이엔지(주) 가압 수막형 세정집진장치
KR100859446B1 (ko) * 2007-08-18 2008-09-22 삼원금속공업 주식회사 세정액 순환장치를 구비한 배기후드
KR20090021750A (ko) * 2007-08-28 2009-03-04 김희섭 환기장치
KR101414562B1 (ko) 2012-09-11 2014-07-03 주식회사 이노베코 친환경 환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88A1 (ko) 2020-09-07 2022-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리고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428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23345A (ja) 水フィルタ
JP5784046B2 (ja) 油水ヘドロ分離装置
KR102183775B1 (ko) 수막판을 이용한 탈취장치
JP6749146B2 (ja) 湿式ガス状物質処理装置
KR102172428B1 (ko) 요식업용 탈취장치
JP200730746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RU23314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мокрой очистки
JP6316156B2 (ja) 沈殿池
AU2012378698B2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with automatic backwash
JP4117342B2 (ja) 汚水浄化装置
JP3011932B1 (ja) 浄化システム
WO2010004306A1 (en) Hand drying apparatus
KR101879690B1 (ko)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0921785B1 (ko) 오수 여과장치
KR102127708B1 (ko) 다단의 임펠러를 구비한 여과체와 상기 여과체를 포함하는 우수처리장치
KR102030750B1 (ko) 침전조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US6077426A (en) Filter filled with loose bulk material
KR102046562B1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JP2010184205A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とその排液処理装置
RU2372967C2 (ru) Способ фильтрации и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фильтр булыжев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2007090291A (ja) 水の濾過装置
JP2020075214A (ja) 湿式ガス状物質処理装置及び湿式ガス状物質処理方法
CN107628716A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1172837B1 (ko) 탈취기능을 향상시킨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GB2508534A (en) Contact filter device for separating suspended matter from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