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685A -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685A
KR20200113685A KR1020190034233A KR20190034233A KR20200113685A KR 20200113685 A KR20200113685 A KR 20200113685A KR 1020190034233 A KR1020190034233 A KR 1020190034233A KR 20190034233 A KR20190034233 A KR 20190034233A KR 20200113685 A KR20200113685 A KR 2020011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emperature sensor
clothes dryer
temperature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헌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3685A/ko
Priority to PCT/KR2020/003880 priority patent/WO2020197186A1/en
Priority to US16/830,732 priority patent/US11332878B2/en
Publication of KR2020011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팽창기과 증발기를 연결하는 제1 배관 또는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2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냉매압력 센서; 상기 제2 배관에 마련되는 냉매온도 센서; 상기 냉매를 조절하는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CLOTHES DRY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일 실시예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밴트(Air-Vent)형, 컨덴서(Condenser)형, 히트 펌프(Heat Pump)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히트펌프형 의류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시스템과, 응축기와 열 교환을 수행한 후 고온이 된 공기를 세탁물 수용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순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냉매는 폭발 및 화재에 위험이 없는 불가연성 냉매를 사용하였으나, 불가연성 냉매가 대기권에 오존층을 파괴하거나, 지구온난화를 가속한다는 이유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에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에 문제가 없는 냉매가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매로 사용되었으나, 가연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가연성 냉매는 일정 공간 내에 일정량 이상이 존재하고 동시에 냉매의 온도가 점화 온도 이상이면, 폭발 혹은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히트펌프에 관한 종래 기술에서도 이러한 가연성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개시되는 가스 센서는 히트펌프 시스템 외부의 온도에서 가연성 냉매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히트펌프 시스템의 동작 전 압축기의 보호를 위한 기술이며, 히트펌프의 동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과는 무관한 것이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르면, 히트 펌프 내에 마련되는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동작 중 시스템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냉매 상태의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고, 나아가 성능의 효율성을 담보하는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개시된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팽창기과 증발기를 연결하는 제1 배관 또는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2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냉매압력 센서; 상기 제2 배관에 마련되는 냉매온도 센서; 상기 냉매를 조절하는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포화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의 차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압력 센서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수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건조기로 흡입되는 공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을 미리 설정된 예측함수에 입력하고, 상기 예측함수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히트 펌프의 냉매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냉매량 및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 펌프의 동작 전, 상기 산출된 냉매량 및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팽창기와 증발기를 연결하는 제1 배관 또는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2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냉매압력 센서를 통해 냉매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2 배관에 마련되는 냉매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냉매압력 센서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를 조절하는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포화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압력 센서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건조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량을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을 미리 설정된 예측함수에 입력하고; 상기 예측함수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히트 펌프의 냉매량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냉매량 및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 건조기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냉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히트 펌프의 동작 전,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냉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히트 펌프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히트 펌프 내에 마련되는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동작 중 시스템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냉매 상태의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고, 나아가 성능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의류 건조기의 냉매 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 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개시된 의류 건조기(100)는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 대상물이 수용된 세탁물 수용부를 회전시키면서 고온의 공기를 세탁물 수용부 내부로 공급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건조 대상물은 고온의 공기를 통해 건조가 가능한 모든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대상물은 의류, 타월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섬유, 원단으로 구현된 것을 포함하며, 제한은 없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0)는 직육면체 형상의 캐비닛(101)를 포함한다. 또한, 의류 건조기(100)는 캐비닛(1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사용자 입력부(110), 디스플레이(120), 드럼(130), 드럼 모터(135), 팬(140), 팬 모터(145), 덕트(150), 히터(155), 히트 펌프(160), 센서부(200) 및 전술한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1)는 베이스 플레이트(102), 전면 커버(103), 탑커버(104) 및 측/후면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103)에는 전방 측에서 볼 때 대략 원형 형태로 형성된 개구(103a)가 마련된다.
개구(103a)는 캐비닛(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9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190)에 의하여 개구(103a)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건조 대상물을 드럼(130) 내부로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거나 건조가 완료된 대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면 커버(103)의 상단에는 의류 건조기(1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110)와 디스플레이(12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파지 및/또는 회전시키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이얼(111)과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건조기(100)는 서로 다른 건조 대상물들을 건조하기 위한 서로 다른 건조 코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이얼(111)을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건조 코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의류 건조기(1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전원 버튼 및 의류 건조기(100)의 건조 동작을 개시 또는 중지하기 위한 동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112)은 사용자가 누르는 것에 의하여 작동되는 푸시 스위치(push switch)와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접촉에 의하여 작동되는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전술한 다양한 하드웨어적 장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10)는 다이얼(111)과 버튼(11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에 관한 제어 명령을 의류 건조기(100)에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는 원격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는 제어 명령을 의류 건조기(100)에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를 포함할 수도 있는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제한은 없다.
디스플레이(12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상태 및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건조 코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의류 건조기(100)가 동작 중에 건조의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0)는 가연성 냉매의 누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미리 설정된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코드를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등으로 이미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12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류 건조기(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전부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동작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한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패널이 검출한 접촉 좌표를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여 명령을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는 터치 패널을 통하여 검출하는 사용자의 터치 좌표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 명령의 좌표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드럼(130)은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고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다. 드럼(130)은 캐비닛(101)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130)은 그 회전 중심이 전후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드럼(130)의 전면에는 건조 대상물이 드럼(13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투입구(131a)가 형성된 전면 패널(13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의 후면은 고온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32a)가 마련된 후면 패널(13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드럼(130)의 전면 패널(131)에는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131b)가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131b)에는 건조 대상물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13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 대상물에서 발생된 이물질은 필터(133)에 의하여 포집될 수 있다.
드럼(130)은 드럼 모터(1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회전할 수 있다. 드럼(130)은 벨트(136)에 의해 캐비닛(101) 내에 배치된 드럼 모터(135)에 연결된다. 드럼 모터(135)는 벨트(136)를 통하여 드럼(13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의류 건조기(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열원이 마련되며, 의류 건조기(100)는 열원을 통해 고온의 공기를 드럼(13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건조기(100)는 열원으로써 히터(155) 및 히트 펌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매회로를 구성하는 히트 펌프가 마련된 의류 건조기(100)는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환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건조기는 공기의 배출이나 흡입이 없이 순환하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를 의미한다. 배기식 건조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에 사용한 후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기를 의미한다.
의류 건조기(100)는 드럼(13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팬(140)은 드럼(130)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덕트(150)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팬(140)에 의하여, 드럼(130) 내부의 공기는 드럼(130)과 덕트(150)를 순환할 수 있다.
팬(140)은 팬 모터(145)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팬 모터(145)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팬(1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드럼(13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덕트(150) 상에는 히터(155) 및 히트 펌프(160)가 마련될 수 있다.
히트 펌프(160)는 압축기(161), 응축기(162), 증발기(164), 팽창기(163)를 포함한다. 히트 펌프(160)의 각 구성들은 캐비닛(101) 저면의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기(161)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고,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61)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 또는 회전차의 회전 운동을 통해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배출된 냉매는 응축기(162)로 전달될 수 있다.
응축기(162)는 압축된 기체 냉매를 액체로 응축할 수 있다. 응축기(162)는 냉매의 응축 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응축기(162)는 덕트(15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냉매의 응축 과정에 발생된 열을 통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으며,가열된 공기는 드럼(1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응축기(162)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는 팽창기(163)로 전달될 수 있다.
팽창기(163)는 응축기(162)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체 냉매로 팽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팽창기(163)는 액체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모세관(capillary tube, 163a) 및 전기 신호에 의하여 개도량이 가변될 수 있는 전자식 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163b)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163)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를 통해 전자식 팽창밸브(163b)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히트 펌프(160)의 성능을 제어한다.
증발기(164)는 팽창기(163)에서 팽창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증발기(164)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기(161)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증발기(164)는 저압의 액체 냉매를 기체 냉매로 변화시키는 증발 과정을 통해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증발기(164)는 덕트(15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증발 과정에서 증발기(164)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164)에 의하여 주변 공기가 냉각되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아지면 증발기(164) 주변 공기는 응결될 수 있다. 증발기(164)에 응결된 물은 증발기(164) 하부에 마련되는 물받이 통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물받이 통에 수집된 물은 별도의 저장소로 이동하거나, 의류 건조기(100)의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증발기(164) 주변에서 응결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증발기(164)를 통과하는 공기의 절대 습도는 낮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증발기(164)를 통과하는 공기가 포함하는 수증기의 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164) 주변에서의 응결을 이용하여 의류 건조기(100)는 드럼(13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증발기(164)는 팬(14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162)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팬(140)에 의하여 순환하는 공기는 증발기(164)를 통과하는 중에 증발기(164)에 의하여 건조(수증기가 응축)되며, 이후 응축기(162)를 통과하는 동안 응축기(162)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히터(155)는 응축기(162)를 보조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155)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덕트(150)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펌프(160)의 응축기(162)가 덕트(150)의 공기를 충분히 가열하기 전에 히터(155)는 응축기(162)를 보조하여 덕트(150)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기(162)를 보조하는 히터(155)에 의하여 드럼(130) 내부의 온도는 더욱 빠르게 상승할 수 있으며, 의류 건조기(100)가 더욱 빠르게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히터(155)는 팬(14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162)보다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155)는 가열 코일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55)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소자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히트 펌프(160)를 구성하는 압축기(161), 응축기(162), 팽창기(163) 및 증발기(164)는 냉매가 흐르는 배관(171, 172, 173, 174, 도 4 및 도 5 참조)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개시된 의류 건조기(100)는 이하에서 후술하는 센서부(200)의 구성을 미리 설정된 배관(171, 172, 173)에 위치시킴으로써, 정확한 냉매의 상태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성능의 최적화를 수행하며, 냉매 누수를 방지한다.
센서부(200)는 의류 건조기(100)의 내, 외부의 다양한 상태를 측정한다. 센서부(200)는 냉매온도 센서(210), 냉매압력 센서(220) 및 주변 온도 센서(230)와 그 밖에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온도 센서(210)는 증발기(164)과 압축기(161)를 연결하는 제2 배관(172, 도 4 및 도 5 참조)에 마련되어, 냉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냉매온도 센서(210)는 제2 배관(172)의 내부에 설치되어 직접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제2 배관(172)의 외면에 설치되어 간접적으로 제2 배관(172)을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냉매온도 센서(210)가 검출하는 검출값은 히트 펌프(160)의 동작 성능을 판단하는데 사용되고, 후술하는 냉매압력 센서(220)의 검출값과 함께 성능 판단의 기준(이하 제1 기준값)과 비교하는 요소이다.
냉매압력 센서(220)는 팽창기(163)와 증발기(164)를 연결하는 제1 배관(171) 또는 제2 배관(172)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냉매압력 센서(220)는 제1 배관(171) 또는 제2 배관(172)에 마련된 홀(hole)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냉매압력 센서(220)는 배관(171 또는 172)에 흐르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한다.
주변 온도 센서(230)는 의류 건조기(100)의 주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주변 온도 센서(230)가 측정하는 검출값은 냉매가 유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하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요소이다.
전술한 냉매온도 센서(210)와 달리, 주변 온도 센서(230)가 마련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의류 건조기(100)의 캐비닛(101) 외부 또는 내부 어디든지 마련되면 충분하다.
냉매온도 센서(210), 냉매압력 센서(220) 및 주변 온도 센서(230)의 검출값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제어부(180)는 측정되는 검출값을 기초로 히트 펌프(160)를 조절하고, 냉매의 유출을 검출한다. 제어부(180)의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른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한편, 센서부(200)는 냉매온도 센서(210), 냉매압력 센서(220) 및 주변 온도 센서(230)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 또는 저장하는 메모리(182), 메모리(182)에 기억 또는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건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8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82)와 프로세서(181)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메모리들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82)는 개시된 의류 건조기(100)의 동작 중, 히트 펌프(160)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프로그램은 센서부(200)가 측정된 검출값에 기초하여 전자식 팽창 밸브(163)를 제어하거나, 냉매 유출에 대한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82)는 전술한 제어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준값들을 저장하고, 프로세서(182)가 갱신하는 기준값을 새로이 저장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182)는 건조 코스에 따라 건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82)는 건조 코스에 따른 드럼(130)의 회전 속도, 및 건조 코스에 따른 드럼(130) 내부의 설정 온도 등을 기억 또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82)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기억하거나 건조기(100)의 동작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건조 완료까지 남은 시간 등)를 기억할 수도 있으며, 전술하지 않은 다양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82)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82)는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메모리(182)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 및 센서부(200)에 의해서 측정된 검출값에 따라 의류 건조기(100)의 전반의 동작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1)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이나 미리 설정된 처리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드럼 모터(135), 팬 모터(145), 히터(155) 및 히트 펌프(160) 등 의류 건조기(100)에 포함된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1)는 사용자의 전원 버튼의 입력에 따라 건조 동작을 개시하기 전, 냉매 유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센서부(200)를 통해 의류 건조기(100)의 외부 온도 및 히트 펌프(160) 내 냉매의 압력을 검출하고, 냉매 누설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냉매 누설이 있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181)는 디스플레이(120) 및 그 밖에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냉매 누설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프로세서(181)는 운전 가능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하면서, 사용자로부터 건조 코스에 관한 입력 명령을 유도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181)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건조 코스에 기초하여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81)는 건조 코스에 따라 드럼(130)의 회전 속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드럼 모터(135)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81)는 건조 코스에 따른 드럼(130) 내부의 설정 온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설정 온도에 따른 제어 신호를 히터(155) 및 히트 펌프(16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전술한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 미리 설정된 주기로 히트 펌프(160)내에 마련된 냉매온도 센서(210) 및 냉매압력 센서(220)의 검출값을 제1기준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제1 기준값은 히트 펌프(160)의 최적의 동작을 위해 제조사가 메모리(181)에 미리 저장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히트 펌프(160)의 현재 동작 상태를 판단한 후, 냉매의 상태가 제1 기준값의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전자식 팽창 밸브(163a)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1)는 연산 회로와 기억 회로와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하나의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1)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도 개시된 의류 건조기(100)는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이 삭제 또는 일부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의 삭제는 응축기(162)의 역학을 보조하는 히트(155)가 생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의류 건조기의 냉매 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함께 후술한다.
도 4,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의류 건조기(100, 101)는 드럼(130), 증발기(164), 응축기(162) 및 히터(155) 순서로 공기를 순환(실선 화살표 방향)시킨다.
구체적으로 팬(140)은 드럼(130) 내부의 공기를 덕트(150)에 마련된 증발기(164)로 토출시키고, 응축기(162)에서 공기를 드럼(130) 내부로 흡입시킨다. 증발기(164)에 의해서 냉각, 건조된 공기는 응축기(162) 및 히터(155)를 통해서 건조, 가열된 공기로 변환한다. 이렇게 건조, 가열된 공기는 드럼(130)으로 다시 토출되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다.
전술한 공기 순환 사이클은 도 6의 냉매 사이클(102)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161)에 의해서 고온(100℃), 고압(P2)으로 압축된다. 압축기(161)에서 토출된 기체 냉매는 제4 배관(174)을 지나 응축기(162)로 인입된다. 기체 상태의 냉매는 응축기(162)에 의해서 액체로 응축된다. 응축된 냉매는 제3 배관(173)을 지나 팽창기(163)로 인입된다.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163)에 의해서 저압(P1)의 액체 냉매로 팽창되고, 팽창된 액체 냉매는 제1 배관(171)을 지나 증발기(164)로 인입된다. 팽창된 액체 냉매는 증발기(164)에 의해서 저온(10℃), 저압(P1)의 기체 냉매로 변화하고, 제2 배관(172)을 지나 압축기(161)로 다시 인입된다.
종래 일반적인 냉매 사이클에 마련된 온도 센서는 냉매 사이클(102)의 동작 중, 압축기(161)의 보호를 위해서 압축기(161)의 토출구인 제4 배관(174)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제4 배관(174)에서 응축기(162)까지 흐르는 냉매의 온도는 매우 불규칙적이며, 이를 통해 히트 펌프(160) 전체의 시스템의 성능을 판단하기엔 부족한 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냉매 사이클에서 마련되는 온도 센서는 측정된 검출값은 압축기(161)의 성능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응축기(162) 및 팽창기(163)를 연결하는 제3 배관(173)은 액체 냉매가 냉매 사이클의 성능의 제어하는 전자식 팽창 밸브(163a)을 통과하기 전의 연결 통로이다. 따라서 제3 배관(173)에서 측정되는 검출값은 냉매 사이클의 성능 제어에 불필요한 검출값일 수 있다.
개시된 의류 건조기(100, 101)는 냉매온도 센서(210) 및 냉매압력 센서(202)가 마련된 배관(171, 172)를 정확히 특정함으로써, 건조 동작의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한 정확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냉매의 누수를 함께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1 배관(171)에는 냉매압력 센서(22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배관(171)은 팽창기(163) 중 모세관(163b)을 통과한 팽창된 액체 냉매가 증발기(164)로 인입되는 연결 통로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배관(172)에는 냉매온도 센서(21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관(172)은 증발기(164)에서 변화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가 압축기(161)로 인입되는 연결 통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01)는 도 4와 달리, 제2 배관(172)에 냉매온도 센서(210) 및 냉매압력 센서(220)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냉매온도 센서(210) 및 냉매압력 센서(220)가 설치된 순서는 제2 배관(172)에 마련되면 충분하고, 각각의 센서의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개시된 의류 건조기(100, 101)는 냉매온도 센서(210) 및 냉매압력 센서(220)의 위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 예를 들어 팬(140)의 위치는 당업자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으며, 히터(155)와 같은 구성은 삭제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운전을 시작한다(300).
건조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건조 코스를 입력하고, 제어부(180)는 입력된 건조 코스 및 미리 설정된 드럼(30) 내부의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드럼 모터(135), 팬 모터(145) 및 히트 펌프(1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냉매압력 센서(220)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포화온도를 산출한다(310).
구체적으로 개시된 냉매압력 센서(220)는 제1 배관(171) 또는 제2 배관(172)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압력 센서(220)는 팽창된 액체 냉매 또는 저온의 기체 냉매의 압력을 측정한다.
제어부(180)는 냉매압력 센서(220)가 검출하는 압력에 대한 검출값을 변환하여 포화온도를 산출한다. 제어부(180)가 압력에 대한 검출값을 포화온도로 변환하는 것은 종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서 산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냉매온도 센서(210)의 검출값 및 산출된 포화온도를 비교한다(320).
여기서 냉매온도 센서(210)는 제2 배관(172)에 마련된다. 즉 제어부(180)는 증발기(164)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어부(180)는 검출된 냉매 온도와 냉매의 압력으로부터 산출된 포화온도를 비교한다. 검출된 온도와 포화온도가 일치하면, 냉매 사이클의 성능은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 장치의 특성 상, 개시된 제어부(180)는 실험적으로 최적의 상태라 판단할 수 있는 한계(제1 기준값)를 저장한 후, 검출된 온도와 산출된 포화온도를 비교한다(330).
구체적으로 제1 기준값은 7도일 수 있지만, 반드시 제1 기준값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검출된 온도와 산출된 포화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180)는 전자식 팽창 밸브(163a)의 개도를 증가시킨다다(340).
제어부(180)는 검출된 온도와 산출된 포화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값보다 크면, 히트 펌프(160)내 냉매의 순환량이 최적의 상태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전자식 팽창 밸브(163a)의 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냉매의 순환량을 증가시킨다.,
만약 검출된 온도와 산출된 포화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제어부(180)는 냉매의 순환량이 많다고 판단하고, 전자식 팽창 밸브(163a)의 개도를 감소시킨다(341).
전술한 판단 방법은 히트 펌프(100)가 동작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수행된다(350의 아니오). 즉, 제어부(180)는 입력된 코스 및 설정된 시간에 따라 히트 펌프(100)의 운전 정지에 따라 종료된다(350의 예).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100)는 전력이 인가되는 상태이지만, 건조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대기 모드일 수 있다(400).
일 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의 전원 버튼을 통해 대기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대기 모드에서 건조 동작을 위한 구성을 제어하지 않고, 다음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대기한다.
대기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주변 온도 센서(230) 및 냉매압력 센서(220)의 검출값을 수신한다(410).
제어부(180)는 대기 모드에서 주변 온도 센서(230) 및 냉매압력 센서(220)에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현재 흡입될 공기의 온도 및 냉매 사이클 내 냉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냉매량 예측함수에 기초한 냉매량 예측값을 산출한다(420).
여기서 냉매량 예측함수는 미리 설정된 것으로, 제조사에 의해서 실험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냉매량 예측 함수에 주변 온도 센서(230)가 검출한 검출값 및 냉매압력 센서(220)에 의한 검출값을 입력시킨다. 냉매량 예측함수가 출력하는 결과는 냉매량 예측값이 된다.
제어부(180)는 산출된 냉매량 예측값을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한다(430).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기준값은 냉매 사이클에서 가연성 냉매가 누출되었다고 판단되는 기준이 된다. 제2 기준값은 제조사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10) 등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산출된 냉매량 예측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180)는 냉매 누수가 없다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운전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440).
만약 산출된 냉매량 예측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미만이면, 제어부(180)는 냉매 누수가 있다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120) 또는 스피커를 통해 경고를 출력한다(450).
냉매의 누수가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건조 동작 개시에 관한 입력 명령이 인가되더라도, 안전을 위해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개시된 의류 건조기는 히트 펌프(160) 내에 마련되는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동작 중 시스템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냉매 상태의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고, 나아가 성능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고, 가연성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100: 의류 건조기 110: 사용자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 130: 드럼
140: 팬 160: 히트 펌프
180: 제어부 200: 센서부

Claims (20)

  1. 팽창기와 증발기를 연결하는 제1 배관 또는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2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냉매압력 센서;
    상기 제2 배관에 마련되는 냉매온도 센서;
    냉매를 조절하는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포화온도를 산출하는 의류 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의류 건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의 차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의류 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압력 센서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수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여부를 결정하는 의류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건조기로 흡입되는 공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량을 판단하는 의류 건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을 미리 설정된 예측함수에 입력하고, 상기 예측함수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히트 펌프의 냉매량을 산출하는 의류 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냉매량 및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의류 건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 펌프의 동작 전, 상기 산출된 냉매량 및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의류 건조기.
  10. 팽창기와 증발기를 연결하는 제1 배관 또는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2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냉매압력 센서를 통해 냉매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2 배관에 마련되는 냉매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냉매압력 센서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를 조절하는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포화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산출된 포화온도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검출값의 차이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압력 센서 및 상기 냉매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어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건조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량을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압력 센서의 검출값을 미리 설정된 예측함수에 입력하고;
    상기 예측함수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히트 펌프의 냉매량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냉매량 및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 건조기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냉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히트 펌프의 동작 전,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산출된 냉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히트 펌프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0190034233A 2019-03-26 2019-03-26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200113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33A KR20200113685A (ko) 2019-03-26 2019-03-26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PCT/KR2020/003880 WO2020197186A1 (en) 2019-03-26 2020-03-20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830,732 US11332878B2 (en) 2019-03-26 2020-03-26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233A KR20200113685A (ko) 2019-03-26 2019-03-26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685A true KR20200113685A (ko) 2020-10-07

Family

ID=7260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233A KR20200113685A (ko) 2019-03-26 2019-03-26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32878B2 (ko)
KR (1) KR20200113685A (ko)
WO (1) WO20201971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544A (ko) 2021-03-30 2022-10-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멤브레인 히트펌프 하이브리드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54B1 (ko) * 2010-09-30 2013-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WO2012044038A2 (en) * 2010-09-30 2012-04-05 Lg Electronics Inc. Diagnosing method for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refrigerant leakage detecting means
KR101297382B1 (ko) * 2011-02-01 2013-08-16 주식회사 제이오텍 자동 제어 냉각 장치
EP2691568B1 (en) * 2011-03-29 2017-12-27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method for a clothes dryer
JP5802514B2 (ja) * 2011-10-19 2015-10-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15024116A (ja) * 2013-06-18 2015-02-0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乾燥機
KR101728404B1 (ko) * 2015-08-06 2017-04-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단 압축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9105526A1 (en) * 2017-11-28 2019-06-06 Electrolux Laundry Systems Sweden Ab Tumble dryer
US10982887B2 (en) * 2018-11-20 2021-04-20 Rheem Manufacturing Company Expansion valve with selectable operation mod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544A (ko) 2021-03-30 2022-10-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멤브레인 히트펌프 하이브리드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186A1 (en) 2020-10-01
US20200308757A1 (en) 2020-10-01
US11332878B2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176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6628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595954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00132130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2012003378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US11332878B2 (en)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30420A (ko)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31604B1 (ko) 의류건조장치의 제어방법 및 의류건조장치
KR20170068820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46523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43084A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6397758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0578988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EP4180562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7397215B2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空気調和装置を監視する方法
KR102596966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45522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29363B1 (ko) 의류처리장치의 냉매누설 감지방법 및 냉매누설 감지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US20220220661A1 (en)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29364B1 (ko) 의류처리장치의 냉매누설 감지방법 및 냉매누설 감지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JP4189759B2 (ja) 空気調和機
US20210214883A1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40096445A (ko) 빨래건조장치 및 빨래건조방법
KR101105764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실내팬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82133B1 (ko) 냉장고의 압축기 구동 제어방법 및 압축기 구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