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676A -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676A
KR20200112676A KR1020200028878A KR20200028878A KR20200112676A KR 20200112676 A KR20200112676 A KR 20200112676A KR 1020200028878 A KR1020200028878 A KR 1020200028878A KR 20200028878 A KR20200028878 A KR 20200028878A KR 20200112676 A KR20200112676 A KR 2020011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rticle
item
unit
trans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125B1 (ko
Inventor
김민수
송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맘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맘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맘마
Publication of KR2020011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은 물품을 수납하여 운송가능하고, 수납된 상기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측정부가 구비되는 물품운송수단, 상기 물품의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인식하는 스캔장치 및 상기 물품운송수단으로부터 상기 중량측정부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정보 및 상기 스캔장치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물품을 식별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가 식별한 상기 물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가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Unmanned kiosk operation system using weight of goods}
본 발명은 결제 대상 물품의 무게와 결제 정보를 대비하여, 결제 물품의 누락이나 오류를 검증하여, 무인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을 운용함에 있어, 결제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형마트 등에 무인 키오스크 설비가 설치되어, 결제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고객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 키오스크는 이용자의 결제 과정을 감시하는 인력이 없어 비도덕적인 이용자의 물품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구매 물품 중 일부를 누락한 경우 또는, 물품에 대하여 결제 오류가 발생하였으나 결제 오류가 발생한 물품에 대한 재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에 의한 손실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7-0106118 (2017. 09. 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인 키오스크 설비를 운용함에 있어, 이용자가 구매 물품 중 일부를 누락한 경우나, 물품에 대하여 결제 오류가 발생된 경우, 이를 이용자에게 인지시켜 정상결제를 유도할 수 있는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구매 물품의 인식 누락 및 결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데이터화하여, 피해의 복구와 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은, 물품을 수납하여 운송가능하고, 수납된 상기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측정부가 구비되는 물품운송수단; 상기 물품의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인식하는 스캔장치; 및 상기 물품운송수단으로부터 상기 중량측정부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정보 및 상기 스캔장치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물품을 식별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가 식별한 상기 물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가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부는, 이용자가 구매 대상인 상기 물품에 대하여 상기 스캔장치를 이용하여 각각 코드를 스캔할 때마다, 상기 중량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된 전체 상기 물품의 중량, 상기 스캔장치가 상기 코드를 인식한 물품의 중량 및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된 상기 물품 중 상기 스캔장치가 상기 코드를 인식하지 않은 물품의 중량을 비교하여 상기 구매 대상인 물품에 대한 식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부는, 상기 물품의 식별 여부를 확인하고, 식별되지 않은 물품이 존재하면 결제가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반품중량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반품중량측정장치가 측정한 상기 물품의 중량을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된 전체 상기 물품의 중량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물품중량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물품중량측정장치가 측정한 물품의 중량 정보를 더 추가하여 상기 물품을 식별 및 상기 물품의 식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운송수단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운송수단의 지면과의 수평을 측정하고, 상기 물품운송수단이 수평일 때, 상기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부는, 상기 물품운송수단이 상기 제어장치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상기 구매 대상 물품의 중량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결제 완료된 물품의 도난 인식을 해제하는 도난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난방지부는, 상기 물품의 식별 여부를 확인하고, 식별되지 않은 물품이 존재하면 상기 식별되지 않은 물품의 인식을 요구하는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운송수단은, 상기 이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물품이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될 때, 상기 손잡이가 늘어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물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은 이용자가 구매 물품 중 일부를 누락한 경우 또는 구매 물품 중 일부 물품이 결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이용자에게 인지시켜 정상 결제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구매 물품의 인식 누락 및 결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데이터화하여, 피해의 복구와 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가 물품운송수단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운송수단의 중량 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의 수행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10)은 물품운송수단(100), 스캔장치(200) 및 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운송수단(100)은 물품을 수납하여 운송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예컨대, 쇼핑 바구니, 쇼핑 카트 등일 수 있다. 물품운송수단(100)은 중량측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10)는 물품운송수단(100)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10)가 측정한 중량 정보는 물품운송수단(100)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스캔장치(200)는 물품의 포장지 또는 물품에 인쇄된 코드를 인식하여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코드는 바(bar, 검은색 막대)와 공백(space, 흰색 막대)을 특정한 형태로 조합하여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을 표현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코드는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PDF417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캔장치(200)는 레이저 또는 선형 이미저를 이용한 1차원 이미저이거나, 2차원 이미저일 수 있다. 또한, 스캔장치(200)는 이용자가 손에 들고 이미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핸드 헬드식, 카운터 탑에 얹어 사용하는 프리젠테이젼식 또는 멀티 플레인식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캔장치(200)는 이용자의 스마트폰이 그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300)는 통신부(310), 판독부(320) 및 결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물품운송수단(100)으로부터 물품의 중량 정보를 수신하여 판독부(32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독부(320)는 통신부(310)로부터 전송된 물품의 중량 정보 및 스캔장치(200)가 인식한 물품의 정보를 종합하여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결제부(330)는 판독부(320)가 식별한 물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결제가 완료된 물품의 도난 인식을 해제하는 도난방지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난방지부(340)는 영상장비(341) 및 표시유닛(3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장비(341)는 이용자의 결제 과정을 촬영하고, 결제 오류 상황 발생 시 에러코드를 포함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유닛(342)은 상기 결제 오류 상황 발생 시 상기 에러코드에 따라 광원 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장비(341)는 제어장치(300)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일 수 있고, 제어장치(300)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된 카메라일 수 있다. 표시유닛(342)은 제어장치(300)에 설치된 빛을 발광하는 조명 모듈(342a) 또는 스피커 모듈(342b)일 수 있고, 제어장치(300)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된 조명 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10)은 구매 대상 물품에 대해 스캔장치(200)의 인식 전 중량과 인식 후의 중량을 비교하여, 미인식 물품 또는 미결제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매 대상 물품의 확정이 필요하다. 여기서, 구매 대상 물품은 이용자가 구매하기로 결정한 물품이며, 결제부(330)의 결제 대상이 되는 물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장치(300)는 주변에 대해 구매 인식 구역(Z)을 설정할 수 있다. 구매 인식 구역(Z)은 블루투스, RFID, Wifi와 같은 근거리 통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구매 인식 구역(Z)으로 진입한 물품운송수단(100)을 감지하고, 진입한 물품운송수단(100)에 수납된 물품을 구매 대상 물품(21)으로, 물품운송수단(100)에서 송신하는 물품의 중량 정보를 구매 대상 물품(21)의 중량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10)의 판독부(320)는 실시간 중량 총합 일정 방식 또는 인식 전-인식 후 중량 일정 방식을 통해 미인식 물품 또는 미결제 물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중량 총합 일정 방식은 각각의 물품을 스캔장치(200)를 이용해 인식할 때마다, 물품운송수단(100)이 송신한 구매 대상 물품(21)의 전체 중량(A)과 스캔장치(200)의 인식 전 물품(22)의 중량(B) 및 인식 후 물품(23)의 중량(C)의 합을 비교하는 방식일 수 있다. 즉, 물품을 스캔장치(200)에 인식할 때마다 판독부(320)는 ‘A = B + C’인지 확인할 수 있다. 판독부(320)는 실시간으로 ‘A = B + C’의 식이 만족하지 않으면, 미인식 물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난방지부(340)는 미인식 물품 존재 에러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미인식 물품 존재 에러코드가 발생하면, 도난방지부(340)는 상기 미인식 물품 존재 에러코드의 정보를 포함한 이용자의 결제과정의 영상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표시유닛(342)을 통해 경고음과 경고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유닛(342)은 이용자가 미인식 물품을 물품운송수단(100)에 다시 수납하도록 하거나 스캔장치(200)를 이용해 재인식하도록 유도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결제부(330)는 실시예에 따라, 판독부(320)가 구매 대상 물품(21) 중 식별이 되지 않은 물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즉, 미인식 물품 에러코드가 발생하면, 결제가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부(330)는 결제를 진행되지 않게 결제 버튼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중량 총합 일정 방식은 이용자가 결제 도중 물품을 몰래 숨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매 대상 물품(21)의 전체 중량(A), 스캔장치(200)의 인식 전 물품(22)의 중량(B) 및 인식 후 물품(23)의 중량(C)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매 대상 물품(21)의 전체 중량(A)은 물품운송수단(100)에 수납되고, 이용자가 구매하기로 결정한 물품의 전체 중량이다. 일 실시예에서, 구매 대상 물품(21)의 전체 중량(A)은 물품운송수단(100)이 구매 인식 구역(Z)에 진입하여, 이용자가 제어장치(300)를 사용하여 계산(또는 스캔장치(200)의 사용)을 시작하면, 그 값으로 고정되는 값일 수 있다. 스캔장치(200)의 인식 전 물품(22)의 중량(B)은 구매 대상 물품(21)에서 스캔장치(200)로 인식된 물품(23)이 제외된 물품의 중량 총합일 수 있다. 인식 후 물품(23)의 중량(C)은 스캔장치(200)로 인식된 물품(23) 중량 총합일 수 있다.
스캔장치(200)의 인식 후 물품(23)의 중량(C)은 제어장치(300) 또는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물품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물품의 중량 정보를 포함한 물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전-인식 후 중량 일정 방식은 물품운송수단(100)이 송신한 구매 대상 물품(21)의 전체 중량(A)과 결제 완료한 물품에 대한 중량(D)을 비교하는 방식일 수 있다. 즉, 판독부(320)는 결제 후에 ‘A = D’인지 확인하고, ‘A = D’의 식이 만족하지 않으면, 미결제 물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도난방지부(340)는 미결제 물품 존재 에러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미결제 물품 존재 에러코드가 발생하면, 도난방지부(340)는 상기 미결제 물품 존재 에러코드의 정보를 포함한 이용자의 결제과정의 영상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표시유닛(342)을 통해 경고음과 경고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유닛(342)은 이용자가 미결제 물품을 재결제하도록 유도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전-인식 후 중량 일정 방식은 이용자가 실수로 물품이 미결제된 상태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10)은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물품중량측정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품중량측정장치(500)는 판 형태로 제어장치(300)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제어장치(300)와는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물품중량측정장치(500)는 유무선으로 제어장치(300)와 연결되어, 측정한 물품의 중량 정보를 제어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물품중량측정장치(500)는 물품중량측정장치(500) 상부 측에 올려둔 물품에 대해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물품중량측정장치(500)은 스캔장치(200)의 인식 전의 물품(22)의 중량을 측정하는 물품중량측정장치a(500a)와 스캔장치(200)의 인식 후의 물품(23)의 중량을 측정하는 물품중량측정장치b(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는 결제를 원하는 물품의 인식을 위해 물품중량측정장치a(500a)에 구매 대상 물품(21)을 올려둘 수 있다. 이때, 이용자가 물품을 개별적으로 물품중량측정장치a(500a)에 올리거나, 물품운송수단(100)에 수납된 상태로 물품중량측정장치a(500a)에 올려둘 수 있다. 물품중량측정장치a(500a)는 물품중량측정장치a(500a)에 올려진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되, 물품운송수단(100)이 물품중량측정장치(500)에 물품과 함께 놓이면, 물품중량측정장치a(500a)는 물품운송수단(100)의 중량을 제외한 중량을 물품의 중량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용자는 각각의 물품을 스캔장치(200)를 이용하여 인식시킬 수 있고, 인식이 완료된 물품(23)을 물품중량측정장치b(500b)에 올려둘 수 있다. 물품중량측정장치b(500b)는 물품이 각각 올려지면 실시간으로 올려진 물품(23)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물품중량측정장치(500)은 물품운송수단(100)의 중량측정부(110)에서 측정한 중량과는 별도로 물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간 중량 총합 일정 방식 및 상기 인식 전-인식 후 중량 일정 방식의 중량 측정을 이중으로 수행하여 더 정확한 중량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물품중량측정장치(500)가 추가된 실시예의 경우, 스캔장치(200)의 인식 전·후에 따라 물품의 중량 측정 수단이 하나씩 더 추가되는 것이며, 사용 환경에 따라 각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조합의 예시를 나열한다. ‘X-Y’로 기술하고, X는 스캔장치(200)가 인식하기 전의 물품의 중량 측정 수단, Y는 스캔장치(200)의 인식 후의 물품 중량 측정 수단이다. 예컨대, 상기 조합예로는 ’중량측정부(110)-데이터베이스의 중량 정보’, ‘중량측정부(110)-물품중량측정장치b(500b)’, ‘물품중량측정장치a(500a)-데이터베이스 중량 정보’ 또는 ‘물품중량측정장치a(500a)-물품중량측정장치b(500b)’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10)은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반품중량측정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품중량측정장치(400)는 물품중량측정장치(500)과 같이 판 형태로 제어장치(300)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제어장치(300)와는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반품중량측정장치(400)는 유무선으로 제어장치(300)와 연결되어, 측정한 물품의 중량 정보를 제어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반품중량측정장치(400)는 반품중량측정장치(400) 상부 측에 올려둔 물품에 대해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반품중량측정장치(400)는 상기 실시간 중량 총합 일정 방식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반품중량측정장치(400)에 올려진 물품(24)의 중량(E)은 중량 비교에서 제외될 수 있다. 예컨대, 판독부(320)는 반품중량측정장치(400)에 물품이 올려지지 않으면 ‘A = B + C’로 중량 비교를 하지만, 반품중량측정장치(400)에 물품이 올려지면, ‘A - E = B + C - E’로 중량 비교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품중량측정장치(400)는 물품의 중량 비교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변심으로 구매 대상 물품(21)의 변경을 결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가 물품운송수단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운송수단(100)은 중량측정부(110), 가속도 센서(120) 및 자이로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10)는 물품운송수단(100)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지만, 이용자의 물품운송수단(100) 이용 상태에 따라 수납된 물품의 정확한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물품운송수단(100)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구니의 형태라면, 이용자가 손에 물품운송수단(100)의 손잡이를 쥐고 걸어가므로, 물품운송수단(100)에 수납된 물품에 가해지는 가속도가 시시각각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중량측정부(110)는 가속도 센서(120) 및 자이로 센서(130)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운송수단(100)의 지면과의 수평을 판단하여, 지면과 수평일 때 물품운송수단(100)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120) 및 자이로 센서(130)는 현재 물품운송수단(100)의 운동 상태와 가속도 상태를 측정하여, 중량측정부(110)가 측정하는 중량을 보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운송수단의 중량 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운송수단(100)은 손잡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10)는 손잡이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중량측정부(110)와 손잡이(140)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물품운송수단(100)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에 따라 손잡이(140)의 하단부가 늘어질 수 있다. 중량측정부(110)는 손잡이(140)의 하단부가 늘어진 정도에 따라 물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운송수단(100)은 내부의 밑면에 중량측정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물품운송수단(100)에 수납된 물품은 중량측정부(110)의 상판에 쌓이게 되고, 중량측정부(110)는 상판에 쌓인 물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의 수행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10)의 수행은 물품운송수단(100)의 구매 인식 구역(Z)에 진입(S100)하고, 이용자가 제어장치(300)를 조작(S200)하면, 구매 인식 구역(Z)에 진입한 물품운송수단(100)의 물품이 구매 대상 물품(21)으로 인식되고, 물품운송수단(100)은 구매 대상 물품(21)의 중량을 제어장치(300)로 전송함으로 판독부(320)는 구매 대상 물품(21)의 전체 중량(A)을 인식(S300)할 수 있다.
이용자가 물품을 스캔장치(200)로 하나씩 인식(S400)시키면, 모든 구매 대상 물품(21)이 인식될 때까지 판독부(320)는 매 인식마다 ‘A - E = B + C - E’를 만족하는지 검증(S500)할 수 있다. 이때, ‘A - E = B + C - E’를 만족하지 않으면, 도난방지부(340)가 미인식 물품 존재 에러코드를 생성하고, 표시유닛(342)은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구매 대상 물품(21)의 모든 물품이 인식(S600)되면, 결제부(330)가 인식된 물품의 결제를 수행(S700)할 수 있다. 이후, 판독부(320)는 ‘A = D’를 만족하는지 검증(S800)할 수 있다. 이때, ‘A= D’를 만족하지 않으면, 도난방지부(340)가 미결제 물품 존재 에러코드를 생성하고, 표시유닛(342)은 이용자가 재결제를 수행하도록 인지할 수 있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10)은 중량 비교를 통해 물품의 미인식 또는 미결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바구니와 같은 물품운송수단(100)에서 곧바로 구매 대상 물품(21)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어,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 비교를 수행하는 동시에, 반품이 가능하도록 반품중량측정장치(400)를 마련하여, 이용자의 변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미인식 물품 또는 미결제 물품의 인식 시, 이용자의 재인식 또는 재결제를 유도하도록 하여, 물품의 도난을 방지하고, 정상 결제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측정 수단이 아닌 다양한 측정 수단을 다중으로 사용하여, 중량 비교를 통한 미인식 물품 또는 미결제 물품의 감지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물품운송수단 110: 중량측정부
120: 가속도 센서 130: 자이로 센서
200: 스캔장치 300: 제어장치
310: 통신부 320: 판독부
330: 결제부 340: 도난방지부
400: 반품중량측정장치 500: 물품중량측정장치

Claims (9)

  1. 물품을 수납하여 운송가능하고, 수납된 상기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측정부가 구비되는 물품운송수단;
    상기 물품의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인식하는 스캔장치; 및
    상기 물품운송수단으로부터 상기 중량측정부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정보 및 상기 스캔장치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물품을 식별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가 식별한 상기 물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가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부는, 이용자가 구매 대상인 상기 물품에 대하여 상기 스캔장치를 이용하여 각각 코드를 스캔할 때마다, 상기 중량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된 전체 상기 물품의 중량, 상기 스캔장치가 상기 코드를 인식한 물품의 중량 및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된 상기 물품 중 상기 스캔장치가 상기 코드를 인식하지 않은 물품의 중량을 비교하여 상기 구매 대상인 물품에 대한 식별 여부를 판단하는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상기 물품의 식별 여부를 확인하고, 식별되지 않은 물품이 존재하면 결제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반품중량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반품중량측정장치가 측정한 상기 물품의 중량을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된 전체 상기 물품의 중량에서 제외하는 것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물품중량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물품중량측정장치가 측정한 물품의 중량 정보를 더 추가하여 상기 물품을 식별 및 상기 물품의 식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운송수단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운송수단의 지면과의 수평을 측정하고, 상기 물품운송수단이 수평일 때, 상기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물품운송수단이 상기 제어장치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상기 구매 대상 물품의 중량으로 인식하는 것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결제 완료된 물품의 도난 인식을 해제하는 도난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부는, 상기 물품의 식별 여부를 확인하고, 식별되지 않은 물품이 존재하면 상기 식별되지 않은 물품의 인식을 요구하는 알림을 생성하는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운송수단은, 상기 이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물품이 상기 물품운송수단에 수납될 때, 상기 손잡이가 늘어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인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KR1020200028878A 2019-03-20 2020-03-09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KR102385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811 2019-03-20
KR20190031811 2019-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676A true KR20200112676A (ko) 2020-10-05
KR102385125B1 KR102385125B1 (ko) 2022-04-12

Family

ID=7280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878A KR102385125B1 (ko) 2019-03-20 2020-03-09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289A (ko) 2020-11-02 2022-05-10 주식회사 넥스니즈 무인 키오스크
KR20220165126A (ko) *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무인 상품 검수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001A (ko) * 2001-11-09 2003-05-17 김용해 쇼핑몰의 무인화 시스템
KR20030084096A (ko) * 2002-04-24 2003-11-01 허승철 자체중량 측정이 가능한 가방
JP2011242220A (ja) * 2010-05-17 2011-12-01 Tanita Corp 重量測定装置
JP2012050574A (ja) * 2010-08-31 2012-03-15 Toshiba Tec Corp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2194848A (ja) * 2011-03-17 2012-10-11 Seiko Epson Corp セルフ精算装置およびセルフ精算システム
KR20170106118A (ko)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무인 계산 모니터링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1029A (ko) * 2017-08-22 2019-03-05 홍지표 스마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001A (ko) * 2001-11-09 2003-05-17 김용해 쇼핑몰의 무인화 시스템
KR20030084096A (ko) * 2002-04-24 2003-11-01 허승철 자체중량 측정이 가능한 가방
JP2011242220A (ja) * 2010-05-17 2011-12-01 Tanita Corp 重量測定装置
JP2012050574A (ja) * 2010-08-31 2012-03-15 Toshiba Tec Corp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2194848A (ja) * 2011-03-17 2012-10-11 Seiko Epson Corp セルフ精算装置およびセルフ精算システム
KR20170106118A (ko)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무인 계산 모니터링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1029A (ko) * 2017-08-22 2019-03-05 홍지표 스마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289A (ko) 2020-11-02 2022-05-10 주식회사 넥스니즈 무인 키오스크
KR20220165126A (ko) *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무인 상품 검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125B1 (ko)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3804B2 (ja) 物品の相互作用及び移動検出方法
US10240914B2 (en) Dimensioning system with guided alignment
US9898635B2 (en) Point-of-sale (POS) code sensing apparatus
US11315073B1 (en) Event aspect determination
RU2568169C2 (ru) Кассовый терминал
RU2739542C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регистрации для торговой точки
US8106775B2 (en) Checkout system, checkout system control program, and checkout system control method
US20160189087A1 (en) Cargo Apportionment Techniques
US11797967B2 (en) Sales device for self-checkout
KR20200019685A (ko) 소포 픽업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2676A (ko) 물품별 중량을 이용한 키오스크 무인운용 시스템
KR20200112726A (ko) 전방위 결제코드 인식 수단을 구비한 무인 결제 시스템
KR20200112677A (ko) 무인 키오스크 결제 검증 및 보안 시스템
JPWO2017022657A1 (ja) 入出庫作業支援システム、入出庫作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754544B (zh) 商品数据处理装置、处理系统及处理方法
US8055053B2 (en) Physimetric property identification of physical object for process control
JP722815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76089B2 (ja) 決済システム
US11836941B2 (en) Package measuring apparatus, package accepting system, package measu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WO2017068950A1 (ja) 移動経路管理システム、移動経路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6361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2330366B1 (ko)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US20150213400A1 (en) Placement information registration device, placement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and placement information registration program
KR102199646B1 (ko) 스마트 진열대와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상품구매관리시스템
JP2009129269A (ja) 情報読取装置及び情報読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