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366B1 -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366B1
KR102330366B1 KR1020210054992A KR20210054992A KR102330366B1 KR 102330366 B1 KR102330366 B1 KR 102330366B1 KR 1020210054992 A KR1020210054992 A KR 1020210054992A KR 20210054992 A KR20210054992 A KR 20210054992A KR 102330366 B1 KR102330366 B1 KR 102330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weight
product
paymen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태
이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농협유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농협유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농협유통
Priority to KR1020210054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28Adaptations for calculators, memory aids or read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96Identification of the cart or merchandise, e.g. by barcodes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결제 처리 방법은 사용자 구매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 등록 단계, 등록된 구매 등록 상품이 스마트 카트에 담기면, 스마트 카트에 구비된 상품 중량 측정부를 통해 스마트 카트에 담긴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측정하는 상품중량 측정 단계,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 및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과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스마트 카트,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 및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품중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1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카트중량 검증 단계 및 스마트 카트가 매장의 결제영역에 진입하면, 검증 결과에 따라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을 결제수단의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결제 처리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in store using smart Cart}
본 발명은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스마트 카트에 구비된 상품 중량 측정부와 매장의 입구 영역 및 결제 영역에 각각 구비된 매장 저울을 이용하여 카트중량 검증 단계를 수행한 후, 스마트 카트에 구비된 카트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자동 결제를 진행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상품매장이나 쇼핑센터는 상품 결제시에 매장 직원이 바코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품을 인식시키고, 이후 매장의 계산대 등에 구비된 포스(POS: Point of Sale) 단말기를 통해 상품의 계산을 완료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품 결제 방식은 고객이 계산대에서 계산을 하기 위해 구매한 상품을 쇼핑카트에서 일일이 꺼냈다가 계산이 끝난 다음에는 다시 쇼핑카트에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매장을 이용한 고객들 각각에 대해 매장 직원이 항상 상주하면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해야 하므로, 매장이 매우 혼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127860(이하, 선행발명 1이라 함)에는 바코드 인식기와 단말기가 구비된 쇼핑 카트를 통해, 상기 바코드 인식기를 이용하여 상품을 인식한 후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모바일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발명 1의 경우, 바코드 인식기를 통해 상품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상품의 도난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스마트 카트와 매장 각각에 구비된 중량 측정부를 이용하여 중량 검증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결제 대상 상품의 자동 결제를 수행하는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처리 방법은 사용자 구매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 등록 단계, 상기 등록된 구매 등록 상품이 스마트 카트에 담기면,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비된 상품 중량 측정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측정하는 상품중량 측정 단계, 상기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과 상기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상품중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1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카트중량 검증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카트가 매장의 결제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결제 처리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제 처리 제어 단계는, 상기 카트중량 검증 단계에서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의 입구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비된 카트 식별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트를 식별한 후, 상기 제1카트중량을 측정하는 제1카트중량 측정 단계 및 상기 매장의 결제 영역에서 상기 카트 식별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트를 식별한 후, 상기 제2카트중량을 측정하는 제2카트중량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카트중량 측정 단계는 상기 상품 등록 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그리고 상기 제2카트중량 측정 단계는 상기 상품 등록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 처리 제어 단계는, 상기 카트중량 검증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카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카트중량 검증 단계의 검증결과를 제공하는 카트중량 검증결과 알림단계 및/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카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결제 처리 제어 단계의 결과를 제공하는 결제 처리결과 알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구매 등록 상품에 대한 중량 정보를 획득하는 상품 중량 정보 획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중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이, 상기 상품 중량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2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상품중량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결제 처리 제어 단계는 상기 카트중량 검증 단계의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 및 상기 상품중량 검증 단계의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이 각각 상기 제2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중량 검증 단계에서, 상기 제2오차범위는 상기 상품 중량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상품의 중량 정보를 모두 합한 값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에서, 매장은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와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매장의 입구 영역에 구비되는 제1카트중량 측정부 및 상기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상기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매장의 결제 영역에 구비되는 제2카트중량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카트는, 사용자 구매 상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구매 상품을 인식하는 상품 인식부 및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를 포함하고, 매장 서버는, 상기 사용자 구매 상품이 등록되면, 상기 상품 중량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과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의 비교를 통해 중량 검증한 이후, 상기 중량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장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스마트 카트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카트를 이용하는 매장은 상기 카트 식별부를 인식하는 카트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카트중량 측정부 및 상기 제2카트중량 측정부는, 상기 카트 인식부가 상기 카트 식별부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카트를 식별한 경우에만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중량 검증 결과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1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제1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장은,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중량 검증 결과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매장 직원에게 알리기 위한 제2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제2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장 서버의 검증부는, 상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구매 등록 상품에 대한 중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중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이, 상기 상품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2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는 사용자 구매 상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구매 상품을 인식하는 상품 인식부, 상기 등록된 구매 등록 상품이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기면,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측정하는 상품중량 측정부, 상기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과 상기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상품 중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1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스마트 카트가 매장의 결제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등록된 결제수단을 통한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서버는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과 상기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사용자의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1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스마트 카트가 매장의 결제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에 대한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은 스마트 카트와 매장 각각에 구비된 중량 측정부를 이용하여 중량 검증단계를 수행한 후, 중량 검증이 통과되면 결제 대상 상품에 대한 자동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 소매점에서 고객이 계산을 위해 계산대에 줄을 서고 상품을 계산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는 계산원 인력을 투입하지 않아도 되는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구매 상품으로 등록한 후 구매 취소없이 스마트 카트에서 제외한 상품이 결제되어 금전적 손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매장 입장에서는 상품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하여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매장의 결제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매장의 입구 영역과 결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카트(1)는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10), 메인프레임(10)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11), 메인프레임(10)의 후방면을 구성하는 후면패널(12), 메인프레임(10)의 측방면을 구성하는 측면패널(13) 및 전면패널(11), 후면패널(12) 및 측면패널(13)에 의해 형성되어 상품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품 저장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저장부(20)의 상부에는 메인 프레임(10)의 상부면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패널(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패널(100)은 상품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구비된 상품 인식부(110),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삽입되는 결제수단 삽입부(120) 및 스마트 카트(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간단한 소지품을 올려둘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소지품 거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인식부(110)는 사용자 구매 상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 구매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인식부(110)는, 일 예로, 서로 굵기가 다른 막대선(bar)을 조합시켜 코드로 만든 바코드(BarCode), 큐알코드(QR 코드) 등과 같은 코드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장치인 리더기(reader)로 구성될 수 있다. 리더기는 카트 내의 모든 위치(예컨대, 임의의 영역 또는 임의의 각도 등)에 투입되는 상품의 코드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더기는 복수의 방사부(도시되지 않음) 및 복수의 수신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구매하려는 상품 정보를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하면, 상품 인식부(110)는 해당 상품의 식별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해당 상품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된 상품은 카트 단말기(200) 및/또는 매장 서버(540)에 사용자 구매 상품으로 등록될 수 있다.
결제수단 삽입부(1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결제수단이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결제수단 삽입부(120)에 삽입 가능한 결제수단은 사용자의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다양한 종류의 카드일 수 있다.
소지품 거치부(130)는 편평한 상부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소지품 예를 들어, 지갑, 휴대폰, 자동차 키 등이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부패널(100)의 일측에는 상품 인식부(110)로 스캔된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고 결제하기 위한 카트 단말기(200)가 구비될 수 있다.
카트 단말기(200)는 현재 스마트 카트(1)에 담긴 상품의 중량합, 스마트 카트(1)에 담긴 상품의 중량 검증 결과,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결과 등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1디스플레이부(210) 및/또는 제1음성출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210) 및/또는 제1음성출력부(220)는 카트 단말기에 추가 기능 예를 들어, 매장 네비게이션 기능, 음식 레시피 검색 기능 등이 내장되는 경우, 추가 기능에 따른 추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더 알리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 단말기(200)는 상방으로 수직하지 않고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적인 성인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키를 낮추지 않더라도 카트 단말기(200)에 표시된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품 저장부(20)의 하부에는 상품 저장부(20)에 놓여진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품 중량 측정부(2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품 중량 측정부(25)의 하부에는 상품 저장부(20)의 하부면을 구성하는 제1하부패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상품 중량 측정부(25)은 전자저울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은 상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하부가 후방을 향해 인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카트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공급부(40)는 제1하부패널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10)의 하부면을 구성하는 제2하부패널(도시되지 않음)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카트(1)는 제2하부패널, 전원공급부(40), 제1하부패널 및 상품 저장부(20)가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카트(1)의 좌우방향으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지 않더라도 전원공급부(40)가 스마트 카트(1)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카트(1)에는 복수의 스마트 카트 각각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카트 식별부(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카트 식별부(4)는, 일 예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 식별부(45)가 스마트 카트(1)에 부착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카트 식별부(45)가 스마트 카트(1)에 부착되는 방식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카트 식별부(45)는 제2하부패널의 하부면에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될 수도 있고, 후방패널(12)과 전원공급부(40) 사이의 공간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메인프레임(10)의 최하단부 즉, 제2하부패널의 하부에는 스마트 카트(1)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부(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마트 카트(1)는 주행부(50)의 구름운동을 통해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의 최상단부는 상부패널(100)을 넘어서 후방패널(12)보다 후방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10)의 최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를 잡는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른 스마트 카트는 제1발광부 및 제2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스마트 카트와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1)는 특정 상품이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되어 상품 저장부(20)에 담기는 경우, 기설정된 광원을 방출하여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에게 알리기 위한 발광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카트(1)의 제어부(170)는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된 상품의 타입을 제1 타입의 상품, 제 2타입의 상품 및 제3 타입의 상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타입의 상품은 청소년 유해 상품(예를 들어, 주류, 부탄가스, 담배 등)이고, 제2 타입의 상품은 종량제 봉투이며, 제3 타입의 상품은 제1 타입 및 제2 타입을 제외한 상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발광부(15)는 제어부(170)에서 제1 타입의 상품으로 판단된 경우 제1광원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15a), 및 제어부(170)에서 제2 타입의 상품으로 판단된 경우, 제1광원과 다른 제2광원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1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에서 제3 타입의 상품으로 판단된 경우, 발광부(15)는 빛을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1발광부(15a) 및 제2발광부(15b) 각각의 내부에는 LED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발광부(15a)의 내부에는 적색 광원을 방출하기 위한 제1LED 모듈이 설치될 수 있고, 제2발광부(15b)의 내부에는 황색 광원을 방출하기 위한 제2LED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청소년 유해상품이 포함되는 경우, 제1발광부(15a)는 적색 광원을 방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종량제 봉투가 포함되는 경우, 제2발광부(15b)는 황색 광원을 방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카트(1)는,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되며 등록된 결제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카트 단말기(200), 사용자 구매 상품을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 구매 상품을 인식하는 상품 인식부(110) 및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중량합을 측정하는 상품 중량 측정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인식부(110)는 상품을 스캔하기 위한 리더기(reader)로 구성되는 경우 스캔부(110)로 지칭될 수 있으며, 상품 중량 측정부(25)는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기 전자저울로 구성되는 경우 카트 저울(25)로 지칭될 수 있다.
카트 단말기(200)는 저장부(140), 산출부(150), 검증부(160), 제어부(170), 통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되어 사용자 구매 상품으로 등록된 구매 등록 상품의 정보 및 등록된 결제수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의 정보는 상품 식별 정보, 상품 가격 정보, 상품 제조사 정보, 재고 정보, 상품 중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상품 중량 측정부(25)를 통해 측정된 상품 중량합을 소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40)는 사용자가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상품을 인식시켜 구매 상품으로 등록한 후 스마트 카트(1)에 담은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과 구매 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스마트 카트(1)에 담긴 "구매 등록 및 구매 미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할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을 저장할 수 있다.
산출부(150)는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산출하고, 후술할 제1오차범위 및 제2오차범위를 산출하며, 후술할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를 산출할 수 있다.
검증부(160)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스마트 카트(1)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마트 카트(1)는 통신부(180)를 통해 다양한 외부 단말 기기, 서버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검증부(160)의 검증 결과에 따라 스마트 카트(1)에 담긴 상품의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70)는 등록된 결제수단 및 상품의 가격 정보를 합한 가격합을 기초로 결제 전문을 작성하고, 작성된 결제 전문을 PG(Payment Gateway), VAN(Value added network) 등과 같은 결제 중계 서버를 통해 결제 서버와 송수신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카트(1)는 스마트 카트(1)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식별부(45),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 및 음성적으로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0)와 음성 출력부(220), 카트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0), 및 전원공급부(40)를 충전하기 위한 카트 충전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 식별부(45)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구성되는 경우 카트 인식 태그(45)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40)는 배터리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배터리부(40)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카트 충전부(60)는 후술되는 스마트 카트 충전대(550)의 충전 케이블이 삽입 가능한 충전단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 충전부(60)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음성 출력부(220)가 배치된 카트 단말기(200)의 전방면으로부터 반대되는 위치 즉, 카트 단말기(200)의 후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하여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매장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와 스마트 카트(1)가 입장하는 입구 영역(510),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스캔하고 스마트 카트(1)에 담는 쇼핑 영역(520), 및 제1카트중량 및 제2카트중량과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의 비교를 통해 중량을 검증한 후 결제 처리 제어를 수행하는 결제 영역(5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은 스마트 카트(1)의 카트 단말기(200)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매장 서버(540) 및 스마트 카트(1)를 충전하기 위한 스마트 카트 충전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장 서버(54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매장 서버(540)는 상품 관리부(541), 카트 관리부(542), 산출부(543), 검증부(544), 통신부(545) 및 제어부(5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산출부(543) 및 검증부(544)는 상술한 스마트 카트(1)의 산출부(150) 및 검증부(160) 각각의 기능을 서버(540)에서 수행하도록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상품 관리부(541)는 해당 매장의 다양한 상품들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정보는 상품 식별 정보, 상품 가격 정보, 상품 중량 정보, 상품 제조사 정보, 재고 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관리부(541)는 매장에서 판매 중인 다양한 상품들에 대한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관리부(541)는 매장에서 쇼핑 중인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구매 등록 상품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상품이 인식되어 구매 상품으로 등록되면 스마트 카트(1)의 통신부(180)는 인식된 상품 식별 정보를 매장 서버(540)에 전송할 수 있고, 상품 관리부(541)는 해당 사용자의 구매 등록 상품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관리부(541)는 인식된 상품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가격 정보, 상품 중량 정보, 상품 제조사 정보 등을 검출하고 통신부(545)를 통해 스마트 카트(1)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카트(1)는 사용자의 구매 등록 상품에 대한 상품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트 관리부(542)는 매장에서 쇼핑에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스마트 카트(1)의 식별 정보 및 해당 카트에 관한 중량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장 입구 영역(510)에서의 스마트 카트 및 사용자의 총중량(제1카트 중량)과 매장 출구 영역(530)에서의 스마트 카트, 상품 및 사용자의 총중량(제2카트 중량)을 스마트 카트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카트 관리부(542)는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중량 측정부(25)를 통해 측정된 상품 중량합을 소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40)는 사용자가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상품을 인식시켜 구매 상품으로 등록한 후 스마트 카트(1)에 담은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과 구매 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스마트 카트(1)에 담긴 "구매 등록 및 구매 미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 관리부(542)는 스마트 카트 식별 정보 대신에 사용자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술한 정보들은 분류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 카트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 모두를 기초로 상술한 정보들은 분류 저장할 수 있다.
산출부(543)는 스마트 카트(1)의 카트 저울(25)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 및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스마트 카트의 산출부(150)의 기능은 서버에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검증부(544)는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스마트 카트(1)의 검증부(160)의 기능은 서버에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545)는 매장 서버(540)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매장 서버(540)는 통신부(545)를 통해 다양한 외부 단말 기기, 외부 서버, 스마트 카트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46)는 매장 서버(54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검증부(544)의 검증 결과에 따라 스마트 카트(1)의 카트 단말기(200)를 통한 사용자 구매 상품의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증부(544)에서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제1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결제 절차가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 카트(1)의 카트 단말기(200)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 단말기(200) 또는 휴대용 단말기는 등록된 카드를 기초로 결제 전문을 생성하여 상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매장의 입구 영역과 결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매장의 입구 영역(510)은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를 끌고 이동하여 매장에 입장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입구 영역(510)에는 카트 식별부(45)를 인식하여 스마트 카트(1)를 식별하기 위한 스마트 카트 인식부(513), 스마트 카트(1)와 사용자의 총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카트중량 측정부(515) 및 스마트 카트(1)의 식별과 스마트 카트(1)와 사용자의 총중량 측정이 완료되면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입구 게이트(517)가 구비될 수 있다.
매장의 입구 영역(510)과 유사하게, 매장의 결제 영역(510)은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에 담긴 상품들의 결제를 진행하고 매장을 퇴장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결제 영역(530)에는 카트 식별부(45)를 인식하여 스마트 카트(1)를 식별하기 위한 스마트 카트 인식부(533), 스마트 카트(1)와 사용자의 총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카트중량 측정부(535), 및 스마트 카트(1)의 식별 이후에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중량 검증과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면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출구 게이트(53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매장의 입구 영역(510)과 매장의 결제 영역(530)에는 각각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통신부(미도시)는 스마트 카트 인식부(513,533)를 통해 인식된 스마트 카트 식별 정보 및 카트중량 측정부(515,535)를 통해 인식된 총중량 정보를 매장 서버(540) 및/또는 카트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의 결제 영역(530)에 사용자가 매장으로부터 퇴장하기 위한 출구 게이트(537)가 설치되는 경우, 결제 영역(530)은 출구 영역(530)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매장의 결제 영역(530)에 출구 게이트(537)가 설치되지 않고, 결제 영역(53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출구 게이트(537)가 설치되는 경우, 결제 영역(530)은 출구 영역과 구별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출구 게이트(537)가 설치된 공간이 출구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입구 영역(510)의 스마트 카트 인식부(513) 및 카트중량 측정부(515)와 결제 영역(530)의 스마트 카트 인식부(533) 및 카트중량 측정부(535)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나 서로 수행하는 기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입구 영역(510)의 스마트 카트 인식부(513) 및 카트중량 측정부(515)는 제1스마트 카트 인식부(513) 및 제1카트중량 측정부(515)로 지칭하기로 하며, 결제 영역(530)의 스마트 카트 인식부(533) 및 카트중량 측정부(535)는 제2스마트 카트 인식부(533) 및 제2카트중량 측정부(535)로 지칭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카트중량 측정부(515)는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1)와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매장의 입구 영역(5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카트중량 측정부(535)는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스마트 카트(1), 스마트 카트(1)에 담긴 상품 및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매장의 결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입구 게이트(517)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와 함께 제1카트중량을 측정한 이후에 매장의 쇼핑 영역(520)을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출구 게이트(317)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 및 스마트 카트(1)에 담긴 상품들과 함께 제2카트중량을 측정한 이후에 매장의 쇼핑 영역(5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매장이 백화점과 같이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에 입점하는 경우, 입구 영역(510), 쇼핑 영역(520) 및 결제 영역(530)은 복수 개의 층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입구 영역(510) 및 결제 영역(530)은 복수 개의 층들 중에서 1층 이하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입구 영역(510)은 복수 개의 층들 중에서 1층 이하에만 구비되고, 결제 영역(530)은 각 복수 개의 층에 구비될 수도 있다.
입구 영역(510)과 결제 영역(530)은 스마트 카트 인식부(513, 533), 카트중량 측정부(515, 535) 및 입출구 게이트(517, 537)의 양측면을 커버하여 사용자에게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519, 5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부(519, 539)는 투명한 재질의 파티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매장에는 스마트 카트(1)에 담긴 상품의 중량 검증 결과와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결과를 매장 직원에게 알리기 위한 제2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제2음성출력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카트(1)를 이용한 매장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은 매장 입장 단계(S1), 결제수단 등록 단계(S2), 상품 등록 단계(S3), 상품중량 측정 단계(S4), 카트중량 검증 단계(S5),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 및 매장 퇴장 단계(S9)를 포함할 수 있다.
매장 입장 단계(S1)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와 함께 입구 영역(510)을 통과하여 매장으로 입장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매장 퇴장 단계(S9)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와 함께 결제 영역(510)을 통과하여 매장으로부터 퇴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결제수단 등록 단계(S2)는 스마트 카트(1)의 카트 단말기(200)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결제수단 등록 단계(S2)가 매장 입장 단계(S1)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결제수단 등록 단계(S2)는 매장 입장 단계(S1)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매장 입장 단계(S1)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결제수단 등록 단계(S2)는 사용자의 신용카드나 직불카드,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앱카드 등과 같이 상품 구매가 가능한 다양한 결제 수단을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품 등록 단계(S3)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상품을 인식시켜 해당 상품을 구매 상품으로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상품을 인식시켜 구매 상품으로 등록한 상품을 "구매 등록 상품"으로, 사용자가 상품 인식부(110)를 통해 상품을 인식시키지 않은 상품을 "구매 미등록 상품"으로, 구매 등록 상품 중 구매 등록을 취소한 상품을 "구매 등록 취소 상품"으로, 구매 등록 상품 중 구매 등록을 취소해야하나 취소하지 않은 상품을 "구매 등록 미취소 상품"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수단 등록 단계(S2)는 상품 등록 단계(S3)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품중량 측정 단계(S4)는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저장부(20)에 담긴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중량 측정부(25)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카트중량 검증 단계(S5)는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1) 및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과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스마트 카트(1), 스마트 카트(1)에 담긴 상품 및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품중량 측정 단계(S4)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1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는 스마트 카트(1)가 매장의 결제영역(520)에 진입하면, 카트중량 검증 단계(S5)의 검증 결과에 따라 스마트 카트(1)에 담긴 상품의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는 제어부(170)를 통해 저장부(140)에 등록된 결제수단 및 상품의 가격 정보를 합한 가격합을 기초로 작성된 전문을 PG(Payment Gateway), VAN(Value added network) 등과 같은 결제 중계 서버를 통해 결제 서버와 송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는 카트중량 검증 단계(S5)에서,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제1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는 카트중량 검증 단계(S5)에서 산출된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오차 범위는 상품중량 측정 단계(S4)에서 측정된 상품의 중량합을 기준으로 +/- 오차를 적용하여 산출된 범위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오차 범위는 중량합-X ~ 중량합+Y의 범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결제 처리 방법은 매장 서버(540)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 영수증을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자 영수증 발송 단계(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결제 처리 방법은 카트 단말기(200)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등록을 해제하는 결제수단 등록 해제 단계(S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 해제 단계(S8)는 결제수단 삽입부(120)에 삽입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와 같은 물리 카드가 삽입부(120)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카드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 해제 단계(S8)는 카트 단말기(2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카드 정보들을 초기화하는 저장정보 초기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영수증 발송 단계(S7) 및 결제수단 등록 해제 단계(S8)는 각각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전자영수증 발송 단계(S7)는 스마트 카트(1)의 카트 단말기(200)에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등록하는 휴대용 단말기 등록단계(도시되지 않음)가 수행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카트 단말기(200)에 등록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에게 카트 단말기(200)를 통해 카트중량 검증 단계(S5)의 검증결과를 제공하는 카트중량 검증결과 알림단계, 및 사용자에게 카트 단말기(200)를 통해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의 결과를 제공하는 결제 처리결과 알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트중량 검증결과 알림단계 및 결제 처리결과 알림단계는 각각 결제수단 등록 해제 단계(S8)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카트중량 검증 단계(S5)는 제1카트중량 및 제2카트중량을 측정하고(S51), 제1오차범위를 산출한 후(S52),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를 산출하여 제1오차범위와 비교 검증(S53)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비교 검증(S53)에서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제1오차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카트중량 검증 완료신호를 저장부(140) 또는 매장 서버(54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S54), 이와는 달리 비교 검증(S53)에서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카트중량 검증 이상신호를 저장부(140) 또는 매장 서버(54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S55).
한편, 저장된 카트중량 검증 완료신호 또는 카트중량 검증 이상신호는 결제 처리 제어 단계에서 결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제1카트중량은 매장의 입구 영역(510)에서 제1스마트 카트 인식부(513)를 통해 스마트 카트(1)를 식별한 후, 제1카트중량 측정부(515)를 통해 측정될 수 있으며, 제2카트중량은 매장의 결제 영역(530)에서 제2스마트 카트 인식부(533)를 통해 스마트 카트(1)를 식별한 후, 제2카트중량 측정부(535)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카트중량의 측정은 상품 등록 단계(S3)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제2카트중량의 측정은 상품 등록 단계(S3)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카트중량의 측정은 매장 입장 단계(S1) 이전에 또는 매장 입장 단계(S1)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제2카트중량의 측정은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9에 도시된, 검증 단계(S5)는 스마트 카트(1)의 검증부(160)를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매장 서버(540)의 검증부(544)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사례를 기초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CASE 1 : 사용자가 "상품 A(무게 : 100g)", "상품 B(무게 : 200g)"및 "상품 C(무게 : 300g)"모두를 구매 상품으로 등록한 후 스마트 카트에 담은 경우]
본 케이스에서 상품중량 측정 단계(S4)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은 600g 이고, 제1 오차 범위는 기준으로부터 +/-20g을 적용한 "580g~620g" 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제1 카트 중량은 "50kg"이고,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제2 카트 중량은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저장부(20)에 담긴 모든 상품의 중량합"50.6kg"일 수 있다.
그리고, 카트중량 검증 단계(S5)에서 검증 결과, 제2 카트 중량과 제1 카트 중량의 차이는 "600g"으로 제1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구매 등록 상품들이 모두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저장부(20)에 담긴 상황이기에,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는 검증을 만족한다고 판단하고 구매 등록 상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CASE 2 : 사용자가 "상품 A(무게 : 100g)", "상품 B(무게 : 200g)"를 구매 상품으로 등록하고 스마트 카트에 담고, "상품 C(무게 : 300g)"는 구매 상품으로 등록하지 않고 스마트 카트에 담은 경우]
본 케이스에서 상품중량 측정 단계(S4)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은 "상품 C"를 제외한 300g 이고, 제1 오차 범위는 기준으로부터 +/-20g을 적용한 "280g~320g" 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제1 카트 중량은 "50kg"이고,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제2 카트 중량은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저장부(20)에 담긴 모든 상품의 중량합"50.6kg"일 수 있다.
그리고, 카트중량 검증 단계(S5)에서 검증 결과, 제2 카트 중량과 제1 카트 중량의 차이는 "600g"으로 제1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구매 등록 상품들 보다 더 많은 상품이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저장부(20)에 담긴 상황이기에,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는 검증을 불만족한다고 판단하고 구매 등록 상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CASE 3 : 사용자가 "상품 A(무게 : 100g)", "상품 B(무게 : 200g)"및 "상품 C(무게 : 300g)"를 구매 상품으로 등록하고 스마트 카트에 담은 후 "상품 B"의 구매 취소 없이 스마트 카트에서 제외시키는 경우]
본 케이스에서 상품중량 측정 단계(S4)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은 "상품 B"의 구매 취소가 등록되지 않았기에 "상품 A", "상품 B", "상품 C"의 중량합인 600g 이고, 제1 오차 범위는 기준으로부터 +/-20g을 적용한 "580g~620g" 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제1 카트 중량은 "50kg"이고,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제2 카트 중량은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저장부(20)에 담긴 "상품 A", "상품 C"의 중량합 "50.4kg" 일 수 있다.
그리고, 카트중량 검증 단계(S5)에서 검증 결과, 제2 카트 중량과 제1 카트 중량의 차이는 "400g"으로 제1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구매 등록 상품들 보다 더 적은 상품이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저장부(20)에 담긴 상황이기에,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는 검증을 불만족한다고 판단하고 구매 등록 상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로 설명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은, 상품중량 측정 단계(S4) 대신에 상품중량 검증단계를 수행하고, 제1오차범위 대신에 제2오차범위를 비교 검증의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은 매장 입장 단계(S10), 결제수단 등록 단계(S20), 상품 등록 단계(S30), 상품중량 검증 단계(S40), 카트중량 검증 단계(S50),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0), 전자영수증 발송단계(S70), 결제수단 등록 해제단계(S80) 및 매장 퇴장 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품 등록 단계(S30)는 사용자 구매 상품으로 등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매장 서버(540)에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상세 정보는 상품 식별 정보, 상품 가격 정보, 상품 제조사 정보, 재고 정보, 상품 중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중량 검증 단계(S40)는 스마트 카트(1)의 상품 중량 측정부(25)를 통해 상품 저장부(20)에 담긴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측정한 후,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이 매장 서버(540)에서 획득된 상품 중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2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품중량 검증 단계(S40)는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스캔한 후 매장 서버(540)로부터 스캔된 상품의 가격정보와 중량정보를 수신하고(S410), 수신된 상품의 중량정보를 기초로 제2오차범위를 산출한 후 상품 중량 측정부(25)를 통해 스마트 카트(1)에 담긴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측정한 후(S420), 상품의 중량합이 제2오차범위 내인지 비교 검증(S430)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오차범위는 상품 등록 단계(S30)에서 획득된 상품의 중량 정보를 모두 합한 값을 기준으로 +/- 오차를 적용하여 산출된 범위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오차 범위는 중량합-X ~ 중량합+Y 의 범위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오차 범위는 동일 상품에 대한 다수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중량 범위로 그 정확성이 제1 오차 범위 대비 높기에, 제2 오차 범위의 범위는 제1 오차 범위의 범위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품중량 검증 단계(S40)는 중량합을 비교하는 것으로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량합이 아닌 상품 별 중량을 비교하는 것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후, 비교 검증(S430)에서 상품의 중량합이 제2오차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품중량 검증 완료신호를 저장부(140) 또는 매장 서버(54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S440), 이와는 달리 비교 검증(S53)에서 상품의 중량합이 제2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품중량 검증 이상신호를 저장부(140) 또는 매장 서버(54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에 저장된 상품중량 검증 완료신호 또는 상품중량 검증 이상신호는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0)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한편, 카트중량 검증 단계(S50)는, 제1오차범위를 기초로 수행되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카트중량 검증 단계(S5)과는 달리, 제2오차범위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카트중량 검증 단계(S50)는 매장의 입구 영역(510)에서 제1카트중량을 측정하고(S510), 매장의 결제 영역(530) 또는 출구 영역(530)에서 제2카트중량을 측정한 후(S520),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제2오차범위 내인지 비교 검증(S530)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방법과는 달리, 카트중량 검증단계(S50)는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제2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제2오차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카트중량 검증 완료신호를 저장부(140) 또는 매장 서버(54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S540), 이와는 달리 비교 검증(S53)에서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가 제2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카트중량 검증 이상신호를 저장부(140) 또는 매장 서버(54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S55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0)는 카트중량 검증 단계(S50) 및 상품중량 검증 단계(S40)에서,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의 차 및 상품중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이 각각 제2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12에 따르면, 상품 중량 검증 단계(S40) 및 카트 중량 검증 단계(S50)는 스마트 카트(1)의 검증부(160)를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매장 서버(540)의 검증부(544)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결제 처리 제어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결제 처리 제어 단계(S6, S60)는 카트 단말기(200)가 매장 서버(540)로부터 자동 결제 진행개시 신호를 수신한 후(S610), 저장부(140)에 저장된 중량 검증 신호의 종류를 판독함으로써(S620)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카트(1)가 결제 영역(530)에 진입함이 매장 서버(540)에 통지되면, 매장 서버(540)는 자동 결제 진행개시 신호를 카트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고, 카트 단말기(200) 또는 매장 서버(540)는 저장부에 저장된 중량 검증 신호의 종류를 판독할 수 있다.
이때, 중량 검증 신호의 종류가 상품중량 검증 완료신호 및/또는 카트중량 검증 완료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를 통해 등록된 결제수단 및 상품의 가격 정보를 합한 가격합을 기초로 작성된 결제 전문을 PG(Payment Gateway), VAN(Value added network) 등과 같은 결제 중계 서버를 통해 결제 서버와 송수신함으로써 자동 결제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중량 검증 신호의 종류가 상품중량 검증 이상신호 및/또는 카트중량 검증 이상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는 자동 결제 처리를 중단하고, 디스플레이부(210) 및/또는 음성 출력부(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중량 검증이 실패되었음을 알리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은 스마트 카트(1)와 매장의 입구 영역(510)과 결제 영역(530) 각각에 구비된 중량 측정부(25, 515, 535)를 이용하여 중량 검증단계(S5, S40, S50)를 수행한 후, 스마트 카트(1)의 카트 단말기(200)와 매장의 매장 서버(540) 사이의 유선 및/또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의 자동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 소매점에서 고객이 계산을 위해 계산대에 줄을 서고 상품을 계산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는 계산원 인력을 투입하지 않아도 되는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구매 상품으로 등록한 후 구매 취소없이 스마트 카트에서 제외한 상품이 결제되어 금전적 손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매장 입장에서는 상품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스마트 카트, 매장에 구비된 카트중량 측정부 및 매장 서버를 포함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결제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구매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 등록 단계;
    상기 등록된 구매 등록 상품이 스마트 카트에 담기면,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비된 상품 중량 측정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측정하는 상품중량 측정 단계;
    상기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과 상기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상품중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1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카트중량 검증 단계;
    상기 스마트 카트가 매장의 결제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결제 처리 제어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 제어 단계 이후, 상기 스마트 카트의 카트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등록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비되고, 등록된 결제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기이고,
    상기 결제 처리 제어 단계는,
    상기 카트중량 검증 단계에서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트중량 검증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카트중량과 상기 제1카트중량의 차이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2카트중량과 상기 제1카트중량의 차이와 상기 제1 오차범위의 크기 비교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매 미등록 상품 및 상기 구매 등록 미취소 상품이 담긴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은 상기 매장에 구비된 카트중량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의 입구 영역에서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비된 카트 식별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트를 식별한 후, 상기 제1카트중량을 측정하는 제1카트중량 측정 단계; 및
    상기 매장의 결제 영역에서 상기 카트 식별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카트를 식별한 후, 상기 제2카트중량을 측정하는 제2카트중량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카트중량 측정 단계는 상기 상품 등록 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그리고
    상기 제2카트중량 측정 단계는 상기 상품 등록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카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카트중량 검증 단계의 검증결과를 제공하는 카트중량 검증결과 알림단계; 및/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카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결제 처리 제어 단계의 결과를 제공하는 결제 처리결과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구매 등록 상품에 대한 중량 정보를 획득하는 상품 중량 정보 획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중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이, 상기 상품 중량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2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상품중량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결제 처리 제어 단계는 상기 카트중량 검증 단계의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 및 상기 상품중량 검증 단계의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이 각각 상기 제2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중량 검증 단계에서, 상기 제2오차범위는 상기 상품 중량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상품의 중량 정보를 모두 합한 값을 기초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8.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매장은,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와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매장의 입구 영역에 구비되는 제1카트중량 측정부; 및
    상기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상기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매장의 결제 영역에 구비되는 제2카트중량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카트는,
    사용자 구매 상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구매 상품을 인식하는 상품 인식부; 및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상품 중량 측정부;를 포함하고,
    매장 서버는,
    상기 사용자 구매 상품이 등록되면, 상기 상품 중량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1오차범위)와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의 비교를 통해 중량 검증한 이후, 상기 중량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카트중량과 상기 제1카트중량의 차이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2카트중량과 상기 제1카트중량의 차이와 상기 제1 오차범위의 크기 비교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매 미등록 상품 및 상기 구매 등록 미취소 상품이 담긴 상황을 판단하며,
    상기 결제의 수행 여부를 제어한 이후, 상기 스마트 카트의 카트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등록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트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비되고, 등록된 결제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스마트 카트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카트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카트를 이용하는 매장은 상기 카트 식별부를 인식하는 카트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카트중량 측정부 및 상기 제2카트중량 측정부는, 상기 카트 인식부가 상기 카트 식별부를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 카트를 식별한 경우에만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중량 검증 결과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1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제1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은,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의 중량 검증 결과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매장 직원에게 알리기 위한 제2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제2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서버의 검증부는,
    상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구매 등록 상품에 대한 중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중량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이, 상기 획득된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2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시스템.
  15. 스마트 카트에 있어서,
    등록된 결제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카트 단말기; 사용자 구매 상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구매 상품을 인식하는 상품 인식부;
    상기 등록된 구매 등록 상품이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기면,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측정하는 상품중량 측정부;
    상기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과 상기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상품 중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1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스마트 카트가 매장의 결제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등록된 결제수단을 통한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카트중량과 상기 제1카트중량의 차이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2카트중량과 상기 제1카트중량의 차이와 상기 제1 오차범위의 크기 비교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매 미등록 상품 및 상기 구매 등록 미취소 상품이 담긴 상황을 판단하며,
    상기 결제의 수행 여부를 제어한 이후, 상기 카트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등록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은 상기 매장에 구비된 카트중량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스마트 카트.
  16. 매장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쇼핑 개시 이전의 스마트 카트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1카트중량)과 상기 사용자의 쇼핑 종료 이후의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 및 상기 사용자의 총중량(이하,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사용자의 구매 등록 상품의 중량합을 기초로 산출된 오차범위(이하, 제1오차범위) 내인지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스마트 카트가 매장의 결제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담긴 상품에 대한 결제 수행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카트중량과 상기 제2카트중량의 차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카트중량과 상기 제1카트중량의 차이가 상기 제1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2카트중량과 상기 제1카트중량의 차이와 상기 제1 오차범위의 크기 비교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매 미등록 상품 및 상기 구매 등록 미취소 상품이 담긴 상황을 판단하며,
    상기 결제의 수행 여부를 제어한 이후, 상기 스마트 카트의 카트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등록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결제의 수행 여부를 제어한 이후, 상기 카트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의 등록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트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카트에 구비되고, 등록된 결제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기이고,
    상기 제1카트중량과 제2카트중량은 상기 매장에 구비된 카트중량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서버.
KR1020210054992A 2021-04-28 2021-04-28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KR102330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992A KR102330366B1 (ko) 2021-04-28 2021-04-28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992A KR102330366B1 (ko) 2021-04-28 2021-04-28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366B1 true KR102330366B1 (ko) 2021-11-23

Family

ID=7869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992A KR102330366B1 (ko) 2021-04-28 2021-04-28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221B1 (ko) * 2021-12-21 2022-07-08 주식회사 인피닉 상품의 무인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890A (ko) * 2010-05-06 2011-11-14 박종덕 상품이미지 검색을 통한 무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4205B1 (ko) * 2018-05-25 2019-09-30 주식회사 리테일앤인사이트 스마트 쇼핑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쇼핑 관리 시스템
KR102122159B1 (ko) * 2019-09-21 2020-06-26 신덕호 스마트 확장형 카트 백 및 이를 이용한 구매물품 비용 자동 산출 방법
KR20210009049A (ko) * 2019-07-16 2021-01-26 김용구 오픈 마켓 셀프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890A (ko) * 2010-05-06 2011-11-14 박종덕 상품이미지 검색을 통한 무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4205B1 (ko) * 2018-05-25 2019-09-30 주식회사 리테일앤인사이트 스마트 쇼핑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쇼핑 관리 시스템
KR20210009049A (ko) * 2019-07-16 2021-01-26 김용구 오픈 마켓 셀프 결제 시스템
KR102122159B1 (ko) * 2019-09-21 2020-06-26 신덕호 스마트 확장형 카트 백 및 이를 이용한 구매물품 비용 자동 산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221B1 (ko) * 2021-12-21 2022-07-08 주식회사 인피닉 상품의 무인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8364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installed in or mountable to a shopping cart
JP6823161B2 (ja) スマートショッピングカート、スマート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実現方法
US10552814B2 (en) Shopping car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tore checkout
KR20190021183A (ko) 무인 상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20011165A1 (zh) 基于购买者位置定位的开放式自助销售方法及系统
US201901720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asy return, exchange and purchasing experience in a retail store environment
US200702411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anagement of purchase in self-service-type sales point
US20140172607A1 (en) Checkout Station
EP1717772A1 (en) Self-checkout apparatus and self-checkout method
TW201805902A (zh) 購物支援系統
KR102292810B1 (ko) 무인점포 운영 장치
US20180047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ing for goods at a door
JP202315812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330366B1 (ko)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KR20070111740A (ko) 고객 정보 인식에 의한 쇼핑몰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트
EP3432246A1 (en) Shopping cart
RU2018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совершения покупок в розничном магазине
US202302455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checkout verification
KR20210009049A (ko) 오픈 마켓 셀프 결제 시스템
JP2021081892A (ja) 決済システム
CN112036804A (zh) 店铺管理装置、电子票据系统及控制方法、介质、设备
KR102388758B1 (ko)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상품 도난 방지 방법 및 상품 도난 방지 시스템
KR102310703B1 (ko) 스마트 카트
KR102376210B1 (ko) 스마트 카트 도난 방지 방법 및 도난 방지 시스템
JP2019095922A (ja) 容器、それを用いた買物支援システム、及び買物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