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855A -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855A
KR20200111855A KR1020190031233A KR20190031233A KR20200111855A KR 20200111855 A KR20200111855 A KR 20200111855A KR 1020190031233 A KR1020190031233 A KR 1020190031233A KR 20190031233 A KR20190031233 A KR 20190031233A KR 20200111855 A KR20200111855 A KR 20200111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ehicle
unit
coupling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242B1 (ko
Inventor
이건학
정길성
공임모
신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3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2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실내의 제1설치부에 설치되는 필터장착부와, 공기를 청정시키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필터장착부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청정장치{AIR CLEAN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공기를 청정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는 좁고 밀폐되어 있으므로 오염되기 쉽다. 특히, 실내로 유입된 미세먼지와 각종 오염물질 때문에 실내의 공기오염은 더욱 가중된다. 그리고 비가 오거나 습도가 매우 높은 날씨에 에어컨을 가동하게 되면, 증발기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가 실내로 유입되어 악취를 발생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킨다.
이를 감안하여 차량의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필터, 활성탄 등이 다중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콘솔박스, 대시보드 등에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팬에 의해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시키는 작동을 구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기청정장치는 공기조화장치가 작동할 경우에만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기조화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에어컨이 작동 시 증발기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 및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데, 공기조화기가 꺼진 후에는 차량의 실내로 유입된 세균과 곰팡이, 악취를 제거,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307904호(2013.09.06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공기조화장치와는 별도로, 차량의 실내에 공기 정화를 위해 공기오염이 주요하게 발생되는 위치에 추가로 설치하여 차량 내 공기청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는, 차량 실내의 제1설치부에 설치되는 필터장착부; 및 공기를 청정시키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장착부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제1설치부와 결합되는 차량결합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필터결합부; 및 상기 필터결합부를 상기 차량결합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필터결합부를 상기 차량결합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필터결합부를 상기 차량결합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차량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가이드레일; 및 일단부가 상기 차량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 중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인출가이드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인출가이드레일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축부는, 상기 차량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 중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힌지결합부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인출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차량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 중 타측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힌지결합부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입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기류를 강제 형성하는 흡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설치부와 마주하는 상기 차량의 제2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활성화시키는 필터활성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활성화부는, 상기 필터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활성화부는, 상기 필터부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필터장착부와, 필터장착부에 결합되어 공기를 청정시키는 필터부를 이용해, 차량에 구비되는 공기조화장치와는 별도로, 차량의 실내에 공기 정화를 위한 필터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고, 공기오염이 주요하게 발생되는 위치에 설치시킨 상태에서 차량 내 공기청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의 소재로서 활성탄을 적용 시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무전원으로도 먼지흡착, 탈취, 제습 등의 공기 청정을 수행할 수 있어,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가능하고, 담배 연기가 주로 도달하게 되는 운전자의 선바이저나 루프에 설치하는 등 차량 실내에 보다 자유롭고 간편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를 선바이저에 적용한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가 적용된 선바이저를 하향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의 필터결합부를 하향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가 적용된 선바이저를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의 필터결합부를 차량결합부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의 필터결합부를 차량결합부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를 선바이저에 적용한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1)는 필터장착부(10), 필터부(20), 필터활성화부(40)를 포함한다.
필터장착부(10)는 차량 실내의 제1설치부(2)에 설치된다. 제1설치부(2)로는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다양한 차량 부품, 물품, 부속품, 장식품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설치부(2)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전방 상부에, 즉 루프에 설치되는 선바이저를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20)는 공기를 청정시키는 필터부재(21)를 포함하여, 필터장착부(10)상에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게 결합된다. 필터부재(21)로는 활성탄 (活性炭, activated carbon)을 적용할 수 있다. 활성탄은 목재를 원료로 하여 탄화 및 활성화 과정을 통해 미세 세공을 발달시킨 흡착제로, 비표면적 500∼1500 m2/g, 세공반경 1∼100nm 정도로 광범위한 표면적 및 미세공의 다공성 구조를 가진다. 활성탄은 상기와 같은 미세 세공 구조에 의해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라돈 등을 흡착함으로써, 공기정화, 탈취, 제습, 가습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필터부재(21)는 광촉매(光觸媒, photocatalyst)를 포함할 수 있다.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 TiO2을 활성탄에 도포, 코팅함으로써 그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빛(실내조명 또는 햇빛)에너지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에 의해 광화학반응을 일으키며 공기정화, 탈취, 항균 기능을 구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장착부(10) 상에는 필터부(20)를 통과하는 기류를 강제로 형성하는 흡기팬(30)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기팬(30)은 팬(fan)부재, 팬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장치를 포함하여, 필터장착부(10)의 필터결합부(12)(이하 설명) 상에 필터부(20)와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20)만을 이용해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으나, 흡기팬(30)의 설치 시 공기 정화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흡기팬(30)은 기류를 강제 형성한다면 공지의 팬부재를 포함하여 그 구조와 형상, 작용이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구조, 형상,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필터활성화부(40)는 필터부(2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제1설치부(2)와 마주하는 차량의 제2설치부(6)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필터부(20)를 활성화한다는 것은, 필터부재(21)를 활성화시키거나 살균하는 등의 작용에 의해 필터링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포괄하여 의미한다. 제1설치부(2)로서 선바이저를 적용 시, 제2설치부(6)로는 선바이저와 접하는 차량 상부의 루프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 상에는 선바이저가 루프와 접하게 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설치부(2)가 제2설치부(6)와 마주한 상태에서 제1설치부(2)에 결합된 필터부(20)는 제2설치부(6)에 설치된 필터활성화부(40)와 마주하여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설치부(6)에 설치된 필터활성화부(40)가 작동됨으로써, 필터부(20)를 활성화시키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필터활성화부(40)는 필터부(20)의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자외선 램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필터부(20)의 활성탄을 살균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활성화부(40)는 필터부(20)의 활성탄을 활성화시키는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장치는 필터부(20)와 접하는 일면부 상에 설치되는 열선과,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필터부(20)와 면접촉될 수 있다. 가열장치를 이용해 활성탄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활성탄을 포함하는 필터부(20)를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착부(10)는 차량결합부(11), 필터결합부(12), 이동연결부(13)를 포함한다.
차량결합부(11)는 제1설치부(2)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제1설치부(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설치부(2)에 클립 등의 홀딩수단이나, 접착테이프, 벨크로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 등을 포함하여 제1설치부(2)와 별도로 제작되어 제1설치부(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결합부(11)는 일측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필터결합부(12)를 수용가능한 'ㄷ'자 형상 또는 '〓' 자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차량결합부(11)가 필터결합부(12)의 이동 동선을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한 쌍의 이동연결부(13)를 견고하게 지지가능하여 설치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결합부(11)가 필터결합부(12)의 가장자리부를 감싸게 되어 제1설치부(2)와 조화되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필터결합부(12)는 필터부(20)가 장착되는 장치부로, 활성탄을 소재로 하는 섬유상 또는 판상의 필터부재(21)를 홀딩, 부착, 또는 수납가능한 패널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필터부재(21)는 교체를 위해 벨크로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필터결합부(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21)는 필터활성화부(40) 등에 의해 반영구적 사용가능한 경우, 필터결합부(12)와 일체로 결합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이동연결부(13)는 필터결합부(12)를 차량결합부(11)에 이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이동한다는 것은 회전 이동, 직선 이동 등을 포함하여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13)는 필터결합부(12)를 차량결합부(11)에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1설치부(2)에 결합된 차량결합부(11)에 대해 필터결합부(12)가 회전변위 내지 상대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가 적용된 선바이저를 하향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의 필터결합부를 하향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일례로, 이동연결부(13)를 이용해, 필터결합부(12)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설치부(2) 및 차량결합부(11)측으로 회동시켜 접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설치부(2) 및 차량결합부(11)로부터 이격되게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펼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설치부(2) 및 차량결합부(11)에 대한 필터결합부(12)의 상대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13)는 필터결합부(12)를 차량결합부(1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1설치부(2)에 결합된 차량결합부(11)에 대해 필터결합부(12)가 근접 또는 이격되게 직선변위 내지 상대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가 적용된 선바이저를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의 필터결합부를 차량결합부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의 필터결합부를 차량결합부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일례로, 이동연결부(13)를 이용해, 필터결합부(12)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설치부(2) 및 차량결합부(11)과 근접하게 위치시키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설치부(2) 및 차량결합부(11)로부터 이격되게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설치부(2) 및 차량결합부(11)의 일부와 겹쳐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설치부(2) 및 차량결합부(11)에 대한 필터결합부(12)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13)는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나, 이동연결부(13)는 필터결합부(12)의 회동이나, 필터결합부(12)의 슬라이딩 이동 중 하나를 구현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연결부(13)는 인출가이드레일(14), 이동축부(15), 인입가이드레일(18)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운전석이나 보조석에 앉은 사용자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방향, 전후방향을 설정하기로 한다.
인출가이드레일(14)은 필터결합부(1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출가이드레일(14)은 필터결합부(12) 상에 홀부 내지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축부(15)는 필터결합부(12)를 차량결합부(11)에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부로, 'ㄱ'자 형상을 가지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인입가이드레일(18)과 인출가이드레일(14)에 결합되며, 좌우측 한 쌍의 인출가이드레일(14)에 대응되는 좌우측 한 쌍이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축부(15)는 힌지결합부(16)와 슬라이딩연장부(17)를 포함한다.
힌지결합부(16)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결합부(11) 상에 형성된 좌우측 한 쌍의 인입가이드레일(1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입가이드레일(18)에 삽입된 힌지결합부(16)의 단부에는 인입가이드레일(18)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형의 걸림단부가 형성될 수 있고, 자중에 의한 처짐 등과 같은 임의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해 인입가이드레일(18)의 내면부에 걸리거나 접하는 걸림돌기, 압접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연장부(17)는 힌지결합부(16)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필터결합부(12) 상에 형성된 인출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출가이드레일(14)에 삽입된 슬라이딩연장부(17)의 단부에는 인출가이드레일(14)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단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인출가이드레일(14)에는 슬라이딩연장부(17)의 걸림단부의 이동 및 이탈을 구속하는 스토퍼(19)가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19)는 인출가이드레일(14)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고, 슬라이딩연장부(17)의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끼울 수 있게 개방부를 가지는 'C'자 링 형상을 가진다. 인출가이드레일(14)의 개방된 전방단부에 슬라이딩연장부(17)의 후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인출가이드레일(14)의 단부에 스토퍼(19)를 억지끼움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딩연장부(17)를 인출가이드레일(14) 상에 안정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인입가이드레일(18)은 힌지결합부(16)가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부로, 차량결합부(1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인입가이드레일(18)은 힌지결합부(16)의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입가이드레일(18)은 차량결합부(11) 중 필터결합부(12)와 접하는 내측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필터결합부(12)와 마주하는 일측부가 슬릿 형상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필터결합부(12)의 개방부를 통해 힌지결합부(16)의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를 필터결합부(12)의 내부로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제1설치부(2)로서 선바이저를 적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를 제2설치부(6)에 해당되는 루프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필터부(20)를 이용해 공기 청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의 힌지축(4)을 중심으로 선바이저본체(3)를 하향 회동시켜 루프와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동연결부(13)의 힌지결합부(16)를 이용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결합부(12)를 선바이저 및 차량결합부(11)로부터 이격되게 하향 회동시킬 수 있다.
선바이저에는 일반적으로 거울(5)이 부착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로부터 필터결합부(12)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1)와의 간섭 없이 기존과 마찬가지로 거울(5)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차 시 등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가 차량의 윈드쉴드를 향하게 조작해두면, 필터부(20)에 포함된 광촉매를 차량의 앞유리를 통해 햇빛에 보다 직접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광촉매의 활성화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고, 차량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청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본체(3)를 힌지축(4)을 중심으로 루프측으로 상향 회동시키면, 필터부(20)가 선바이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하측의 운전자 및 차량의 실내 공간을 향하게 된다. 이때, 필터결합부(12)는 슬라이딩연장부(17)와 인출가이드레일(14)에 의해 선바이저의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운전자는 필요 시 필터결합부(12)를 후방으로 끌어당김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의 위치를 선바이저의 후방으로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필터결합부(12)는 힌지결합부(16)와 인입가이드레일(18)에 의해 선바이저측으로, 즉 전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는 필요 시 필터결합부(12)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의 일부를 선바이저로 가릴 수 있고, 선바이저의 외부로 노출된 나머지 일부만을 이용해 공기 청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축부(15)의 힌지결합부(16)를 이용해,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선바이저나 필터결합부(12)를 회동조작만으로도 필터부(20)를 실내에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연장부(17) 및 인출가이드레일(14), 힌지결합부(16) 및 인입가이드레일(18)을 이용해 도 5,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결합부(12)를 선바이저 및 차량결합부(11)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조작만으로도 필터부(20)를 실내에 노출시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장치(1)에 의하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필터장착부(10)와, 필터장착부(10)에 결합되어 공기를 청정시키는 필터부(20)를 이용해, 차량에 구비되는 공기조화장치와는 별도로, 차량의 실내에 공기 정화를 위한 필터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고, 공기오염이 주요하게 발생되는 위치에 설치시킨 상태에서 차량 내 공기청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부(20)의 소재로서 활성탄을 적용 시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무전원으로도 먼지흡착, 탈취, 제습 등의 공기 청정을 수행할 수 있어,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가능하고, 담배 연기가 주로 도달하게 되는 운전자의 선바이저나 루프에 설치하는 등 차량 실내에 보다 자유롭고 간편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2 : 제1설치부
3 : 가림판 4 : 힌지축
5 : 거울 6 : 제2설치부
10 : 필터장착부 11 : 차량결합부
12 : 필터결합부 13 : 이동연결부
14 : 인출가이드레일 15 : 이동축부
16 : 힌지결합부 17 : 슬라이딩연장부
18 : 인입가이드레일 19 : 스토퍼
20 : 필터부 21 : 필터부재
30 : 흡기팬 40 : 필터활성화부

Claims (12)

  1. 차량 실내의 제1설치부에 설치되는 필터장착부; 및
    공기를 청정시키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장착부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제1설치부와 결합되는 차량결합부;
    상기 필터부가 장착되는 필터결합부; 및
    상기 필터결합부를 상기 차량결합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이동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필터결합부를 상기 차량결합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필터결합부를 상기 차량결합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차량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가이드레일; 및
    일단부가 상기 차량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 중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인출가이드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인출가이드레일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부는,
    상기 차량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 중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힌지결합부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인출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연결부는,
    상기 차량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 중 타측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힌지결합부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입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기류를 강제 형성하는 흡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부와 마주하는 상기 차량의 제2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활성화시키는 필터활성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활성화부는,
    상기 필터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활성화부는,
    상기 필터부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1020190031233A 2019-03-19 2019-03-19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10265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33A KR102650242B1 (ko) 2019-03-19 2019-03-19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33A KR102650242B1 (ko) 2019-03-19 2019-03-19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855A true KR20200111855A (ko) 2020-10-05
KR102650242B1 KR102650242B1 (ko) 2024-03-22

Family

ID=7280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233A KR102650242B1 (ko) 2019-03-19 2019-03-19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2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427A1 (ja) * 2021-09-14 2023-03-23 カルテック株式会社 除菌脱臭装置
USD990651S1 (en) 2021-05-20 2023-06-27 Kaltech Corporatio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KR20230140082A (ko)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효광 공기살균기능을 포함하는 선바이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867A (ja) * 1996-05-23 1997-12-09 Aqueous Res:Kk 自動車用空気浄化装置及び吸着剤の再生方法
US6402221B1 (en) * 1999-07-12 2002-06-11 Edward Adegoke Ogunjobi Motor vehicle extendable sun visor
WO2004101303A1 (ja) * 2003-05-14 2004-11-25 Kyowa Sangyo Co., Ltd. 車両用サンバイザ
KR20110010010U (ko) * 2011-01-04 2011-10-21 웬 트세 후앙 자동차용 광 필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867A (ja) * 1996-05-23 1997-12-09 Aqueous Res:Kk 自動車用空気浄化装置及び吸着剤の再生方法
US6402221B1 (en) * 1999-07-12 2002-06-11 Edward Adegoke Ogunjobi Motor vehicle extendable sun visor
WO2004101303A1 (ja) * 2003-05-14 2004-11-25 Kyowa Sangyo Co., Ltd. 車両用サンバイザ
KR20110010010U (ko) * 2011-01-04 2011-10-21 웬 트세 후앙 자동차용 광 필터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0651S1 (en) 2021-05-20 2023-06-27 Kaltech Corporatio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WO2023042427A1 (ja) * 2021-09-14 2023-03-23 カルテック株式会社 除菌脱臭装置
KR20230140082A (ko)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효광 공기살균기능을 포함하는 선바이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242B1 (ko)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242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US20020139251A1 (en) Vehicular air cleaner
WO2015011819A1 (ja) 脱臭装置
AU2003246805A1 (en) Purification of the air in a vehicle cabin by adsorption and photocatalysis
KR200493278Y1 (ko) 자동차 실내 공기정화장치
KR20200067525A (ko) 차량용 암레스트형 공기청정기
JP2001301451A (ja) 車両用空気清浄器
JP2001138737A (ja) 光触媒により、自動車の乗員コンパートメントから有機汚染物を除去する方法
KR20160090620A (ko)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용 공기 청정기
KR101940628B1 (ko) 차량용 방향제
KR100441447B1 (ko) 공기정화기
KR20050075107A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JP2002046463A (ja) 車両用空気清浄器
KR20060118781A (ko) 자동차용 광촉매 공기 정화기
JP3936766B2 (ja) 空気清浄器
KR20200033681A (ko) 공기청정기 내장형 자동차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JP200115822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9297700A (ja) Co分解機能を有する空気清浄機
KR20160036852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2017834A (ja) 車両用脱臭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WO2004101303A1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04338618A (ja) 空気清浄機能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H1015332A (ja) 空気清浄機
JP2000000293A (ja) 車両用空気清浄器
KR100564476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