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471A - 회전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471A
KR20200111471A KR1020190031183A KR20190031183A KR20200111471A KR 20200111471 A KR20200111471 A KR 20200111471A KR 1020190031183 A KR1020190031183 A KR 1020190031183A KR 20190031183 A KR20190031183 A KR 20190031183A KR 20200111471 A KR20200111471 A KR 2020011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ing body
damper
sp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135B1 (ko
Inventor
한상섭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1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62Details of hydrostatic bearings independent of fluid supply or direction of load
    • F16C32/0677Details of hydrostatic bearings independent of fluid supply or direction of load of 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81Construction or mounting aspects of hydrostatic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load
    • F16C32/0685Construction or mounting aspects of hydrostatic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load for radial load only
    • F16C32/0688Construction or mounting aspects of hydrostatic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load for radial load only with floating bear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체가 내부를 관통하는 고리 형상의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베어링의 진동을 감쇠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구조물은, 고리 형상의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지지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회전체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체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rotor}
본 발명은 회전체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이란, 회전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회전체의 자중과 회전체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요소를 의미한다. 즉, 베어링은, 회전체의 반경방향의 움직임과 축방향의 움직임은 구속하면서, 회전체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운동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베어링에는 그 접촉상태에 따라 미끄럼베어링과 구름베어링으로 분류된다. 미끄럼베어링은 베어링이 저널부의 표면 전부 또는 표면의 일부를 둘러싼 것과 같이 되어 있으며, 베어링과 저널의 접촉면 사이에 윤활유가 공급된다. 구름베어링은 회전체와 베어링의 볼 또는 롤러가 접촉하여 축이 회전하면, 볼 또는 롤러도 같이 회전하는 구조의 베어링으로서, 볼 또는 롤러도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작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베어링은, 회전체가 회전할 시에 회전체로부터 그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베어링 역시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어링에는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부가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베어링 진동감쇠 구조물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일부분에 대해서만 진동을 감쇠할 수 있을 뿐, 베어링의 전부분에 대하여 진동을 골고루 감쇠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베어링의 전부분에 대하여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회전체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체가 내부를 관통하는 고리 형상의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베어링의 진동을 감쇠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구조물은, 고리 형상의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지지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회전체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메인지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이격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부는, 상기 이격돌출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이격돌출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메인지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복수개의 댐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부는, 상기 이격돌출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메인지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아우터 댐퍼부재와,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어링 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가 돌출된 상기 이격돌출부 측으로 연장되는 이너 댐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너 댐퍼부재는,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댐퍼부의 내주면과 상기 이격돌출부의 내주면은, 서로 동일한 원주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은, 상기 댐퍼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평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격돌출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이격면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은, 모든 부위에서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부의 내주면은, 상기 이격돌출부의 내주면보다 상기 베어링 측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회전체 지지장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상기 지지구조물의 전면(Front surface) 및 후면(Rear surface)에 설치되고, 상기 댐퍼부로 오일이 공급되는 오일홀이 관통 형성된 공급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지지구조물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기 베어링의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작다.
상기 공급구조물은, 상기 지지구조물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 지지장치에 의하면, 지지구조물이 베어링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베어링을 지지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베어링을 지지할 수 있으며, 베어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댐퍼부재로 베어링을 지지함으로써, 베어링의 전부분에 대하여 진동을 골고루 감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회전체 지지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A-A선을 따라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회전체 지지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지지장치(1000; 이하, ‘지지장치’라 한다)는, 회전체(1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베어링(1100) 및 지지구조물(1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10)는, 가느다란 원통형의 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어링(1100)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체(10)가 내부로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1100)은, 외주면이 접촉면(1110)과 이격면(1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면(1110)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구조물(120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이격면(1120)은, 상기 접촉면(1110)으로부터 평면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구조물(1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접촉면(1110)과 상기 이격면(1120)은, 상기 베어링(1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격면(1120)은, 상기 베어링(1100)이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평면으로 절단됨에 따라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1100)은, 최초에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별도의 절단수단(미도시)에 의해 차례로 절단됨에 따라, 상기 베어링(1100)의 외주면 중 절단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접촉면(1110)으로, 절단된 부분은 상기 이격면(1120)이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구조물(1200)은, 상기 베어링(1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조물(1200)은,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1100)의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베어링(1100)을 지지하여, 상기 베어링(1100)의 진동을 감쇠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지지구조물(1200)은, 그 외부에 다른 별도의 지지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물(1200)은, 메인지지부(1210), 댐퍼부(1220) 및 이격돌출부(12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지지부(1210)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어링(1100)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댐퍼부(1220)는, 상기 메인지지부(1210)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1100)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상기 이격돌출부(1230)는, 상기 메인지지부(1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단부가 상기 베어링(1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댐퍼부(1220)는, 복수개의 댐퍼부재(1221)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돌출부(1230)는,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1231)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1231)는, 상기 메인지지부(1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메인지지부(1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댐퍼부재(1221)는,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1231)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1231)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댐퍼부재(1221)는, 각각 상기 베어링(1100)의 접촉면(1110)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1231)는, 각각 상기 베어링(1100)의 이격면(1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1231)는, 각각 단부가 상기 베어링(1100)의 이격면(1120)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상기 지지구조물(1200)의 내주면 전면(Whole surface)이 상기 베어링(1100)의 외주면 전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댐퍼부(1220)가 상기 베어링(1100)의 전면과 접촉하는 구조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1000)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도 상승하게 되고, 회전체(10)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베어링(1100)의 전부분에 대하여 감쇠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댐퍼부재(1221)가 상기 접촉면(1110)에 접촉되고, 상기 이격돌출부재(1231)가 상기 이격면(112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지구조물(1200)이 설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10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체(10)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베어링(1100)의 전부분에 대하여 균일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부재(1221)는, 아우터 댐퍼부재(1222), 연결부재(1223) 및 이너 댐퍼부재(1224)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1222)는, 어느 하나의 이격돌출부재(1231)로부터 상기 메인지지부(1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즉,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1222)는, 어느 하나의 이격돌출부재(1231)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이격돌출부재(1231)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연결부재(1223)는, 상기 어우터 댐퍼부재(1222)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어링(1100) 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된다. 상기 이너 댐퍼부재(1224)는, 상기 연결부재(1223)로부터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1222)가 돌출되었던 어느 하나의 이격돌출부재(1231)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1222)는, 상기 메인지지부(1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너 댐퍼부재(1224)는,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1222)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댐퍼부재(1221)가 설계되는 경우, 상기 댐퍼부재(1221)는 전체로서 최소 2번의 절곡된 부위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만약 상기 베어링(1100)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힘을 받는 경우, 상기 댐퍼부재(1221)는 상기 베어링(1100)에 대하여 복원력을 가하여, 상기 베어링(1100)에서 받게 되는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댐퍼부재(1221)가 상기 메인지지부(1210)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지지구조물(1200)은 상기 베어링(1100)의 진동을 전부분에 대하여 균일하게 감쇠시키게 된다.
이하부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지지장치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지지장치(2000)는, 공급구조물(23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구조물(2300)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1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지지구조물(2200)의 전면(Front surface) 및 후면(Rear surface)에 설치된다. 즉, 상기 공급구조물(2300)은, 도 4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상기 지지구조물(2200)의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을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공급구조물(2300)은, 상기 회전체(1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오일홀(231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오일홀(2310)은, 외부의 오일공급수단(미도시)으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오일홀(2310)은 공급받은 오일이 댐퍼부(222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댐퍼부(2220)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댐퍼부(2220)을 윤활 및 냉각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오일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댐퍼부(2220)에 의해 베어링(2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감쇠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지지구조물(2200)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기 베어링(2100)의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였을 때, 상기 지지구조물(2200)의 좌우길이가 상기 베어링(2100)의 좌우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만약, 상기 지지구조물(2200)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기 베어링(2100)의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큰 경우, 상기 오일홀(2310)을 통해 상기 댐퍼부(2220)로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베어링의 전후면으로 흘러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지지구조물(2200)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기 베어링(2100)의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구조물(2200)의 전후면으로 상기 공급구조물(2300)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오일홀(2310)을 통해 상기 댐퍼부(2220)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댐퍼부(2220)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이 상기 베어링(2100)의 전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급구조물(2300)은, 상기 지지구조물(2200)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홀(2310)을 통해 상기 댐퍼부(2220)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지지구조물(2200)의 전면 및 후면을 따라, 메인지지부(2210)의 내주면과 아우터 댐퍼부재(2222)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과, 아우터 댐퍼부재(2222)의 내주면과 상기 이너 댐퍼부재(2224)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부터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지지장치(3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어링(3100)의 외주면은, 제1실시예와 같이 접촉면(1110)과 이격면(11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부위에서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댐퍼부재(3221)의 내주면은,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3231)의 내주면보다 상기 베어링(3100) 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베어링(3100) 및 지지구조물(3200)이 설계되는 경우, 상기 베어링(3100)의 외주면은, 상기 복수개의 댐퍼부재(3221)의 단부와만 접촉되며,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3231)의 단부와는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지지장치(3000)에 의하면, 상기 베어링(3100)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더라도 상기 지지구조물(3200)의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3100)의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10 : 회전체 1000,2000,3000 : 회전체 지지장치
1100,2100,3100 : 베어링 1200,2200,3200 : 지지구조물
2300 : 공급구조물

Claims (10)

  1. 회전체가 내부를 관통하는 고리 형상의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베어링의 진동을 감쇠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구조물은,
    고리 형상의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지지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회전체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메인지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이격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부는, 상기 이격돌출부로부터 연장된 회전체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격돌출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메인지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출부재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복수개의 댐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체 지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이격돌출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메인지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아우터 댐퍼부재와,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어링 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가 돌출된 상기 이격돌출부 측으로 연장되는 이너 댐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체 지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너 댐퍼부재는, 상기 아우터 댐퍼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회전체 지지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의 내주면과 상기 이격돌출부의 내주면은, 서로 동일한 원주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은,
    상기 댐퍼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평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격돌출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이격면을 포함하는 회전체 지지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은, 모든 부위에서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부의 내주면은, 상기 이격돌출부의 내주면보다 상기 베어링 측으로 더 돌출된 회전체 지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상기 지지구조물의 전면(Front surface) 및 후면(Rear surface)에 설치되고, 상기 댐퍼부로 오일이 공급되는 오일홀이 관통 형성된 공급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회전체 지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지지구조물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기 베어링의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회전체 지지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조물은, 상기 지지구조물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회전체 지지장치.
KR1020190031183A 2019-03-19 2019-03-19 회전체 지지장치 KR10218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83A KR102189135B1 (ko) 2019-03-19 2019-03-19 회전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83A KR102189135B1 (ko) 2019-03-19 2019-03-19 회전체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71A true KR20200111471A (ko) 2020-09-29
KR102189135B1 KR102189135B1 (ko) 2020-12-09

Family

ID=7266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183A KR102189135B1 (ko) 2019-03-19 2019-03-19 회전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1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2575A1 (en) * 1992-04-24 1993-11-11 Kmc, Inc. Fluid dampened support having variable stiffness and damping
JPH08261232A (ja) * 1995-03-20 1996-10-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クイーズフィルムダンパ軸受
KR19980046996A (ko) * 1996-12-13 1998-09-15 김광호 베어링 구름진동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2575A1 (en) * 1992-04-24 1993-11-11 Kmc, Inc. Fluid dampened support having variable stiffness and damping
JPH08261232A (ja) * 1995-03-20 1996-10-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クイーズフィルムダンパ軸受
KR19980046996A (ko) * 1996-12-13 1998-09-15 김광호 베어링 구름진동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135B1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7090B2 (en) Bearing support flexible ring
US7517155B2 (en) Resilient mount of uniform stiffness
KR101861028B1 (ko) 스퀴즈 필름 댐퍼, 베어링 유닛 및 터빈
US3756672A (en) Shaft damping arrangement
US7524112B2 (en) Bearing support with double stiffener
KR101981424B1 (ko) 베어링 댐퍼 시스템
AU2022235620B2 (en) Damper bearing and damper
JP2008138779A (ja) 軸支持装置及び円筒ころ軸受の予圧法
US20060008188A1 (en) Disc spring centering device for squeeze film dampers
KR102189135B1 (ko) 회전체 지지장치
WO2018105162A1 (ja)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ガス軸受装置及び圧縮機
JP2018123846A (ja) カムフォロア
KR102009110B1 (ko) 저널 베어링
JP6786230B2 (ja) ジャーナル軸受
CA2678324C (en) Bearing suppport flexible ring
JP2000055055A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
JP2019173888A (ja) アンギュラ玉軸受
KR101360590B1 (ko) 크리이프 차단 볼베어링장치
JP6342829B2 (ja) 回転装置
WO2022195251A1 (en) Rotor bearing damper for a vacuum pump
KR20190016212A (ko) 진동 저감형 에어포일 베어링
JP2023514399A (ja) ロータ紡績機の紡績ロータを支承するための軸受
WO2022132365A1 (en) Preloaded shaft assembly
KR20230071170A (ko) 베어링 장치
JP2012077900A (ja) スラスト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