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201A -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201A
KR20200111201A KR1020207023377A KR20207023377A KR20200111201A KR 20200111201 A KR20200111201 A KR 20200111201A KR 1020207023377 A KR1020207023377 A KR 1020207023377A KR 20207023377 A KR20207023377 A KR 20207023377A KR 20200111201 A KR20200111201 A KR 2020011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mat
golf swing
fingers
swing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틸리 파크
Original Assignee
스마트 바디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 바디 엘엘씨 filed Critical 스마트 바디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1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5/00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63B2069/3664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with bristles, the length of which can be adjus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5Supports, e.g. poles on roll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9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6Bars; Tubes;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using electro-magnetic, magnetic or ultrasonic radiation emitted, reflected or interrupted by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볼 임팩트 시 및 팔로우 스루를 통해 클럽 헤드에 물리적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볼 연습 영역(103) 및 저항 영역(120)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매트(100)가 개시되어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골프 매트(10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고무 베이스(110) 및 상기 고무 베이스(110) 위에 놓인 시뮬레이션된 잔디 재료(112)를 포함한다. 시뮬레이션된 잔디 상부층(112)은 전형적인 페어웨이 길이의 시뮬레이션된 잔디일 수 있다. 매트(100)는 중앙 볼 배치 영역(104)을 가지며, 이는 볼 배치 영역(104)의 전방에, 즉 볼(102)의 타격 직후의 팔로우 스루 영역에 티(103) 및 저항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저항 영역(120)의 볼 배치 영역(104) 및/또는 티(103)로부터의 간격은 가변적일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용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퍼의 스윙을 강화하고 볼을 통해 클럽 헤드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유연한 저항 핑거를 가진 새로운 연습용 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골프 연습용 매트에는 골프장의 일반적인 페어웨이의 잔디 길이를 시뮬레이션한 시뮬레이션된 잔디 재료가 있어, 실제 조건을 어느 정도 시뮬레이션한 표면에서 플레이어들이 공을 타격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이들 매트는 골프볼을 타격하는 느낌을 시뮬레이션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신인 골퍼들에게 매우 중요한 임의의 유형의 근육 강화 효과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골퍼가 임팩트를 통해 높은 클럽 헤드 속도를 생성하는 능력은 볼 파이트와 정확성에 매우 중요하다. 게다가, 강한 스윙에 요구되는 근육은 많고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운동과 분리될 수 없다. 골프에서 가장 강한 임펄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근육 그룹을 강화하고 명확한 집중된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한 임팩트 훈련을 지향하는 이용가능한 제품은 현재로서는 없다.
따라서, 전통적인 골프 스킬을 동시에 연습하면서 표적 근육 강화의 개선을 제공하는 장치와 방법에 대한 기술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볼 임팩트 시와 팔로우 스루를 통해 클럽 헤드에 물리적인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골프 연습용 매트를 제공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골프 매트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고무 베이스 및 상기 고무 베이스 위에 놓인 시뮬레이션된 잔디 재료를 포함한다. 시뮬레이션된 잔디 상부층은 전형적인 페어웨이 길이의 시뮬레이션된 잔디, 터프일 수 있다. 매트는 티를 포함할 수 있는 중앙 볼 배치 영역 및 볼 배치 영역의 앞에, 즉 볼을 타격한 직후의 팔로우 스루 영역에 저항 영역을 갖는다. 저항 영역과 볼 배치 영역 및/또는 티의 간격은 가변적일 수 있다.
저항 영역에는 규칙적으로 이격된 패턴일 수 있거나 랜덤한 패턴일 수 있는 소정 패턴으로 매트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 배치된 저항 핑거가 제공될 수 있다. 고무 핑거는 중공형 고무 튜빙 또는 고형 고무,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내구성 있는 탄성 재료일 수 있다. 핑거의 높이 및 직경은 제공되는 저항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무 핑거의 영역은 사용자가 그것의 전체적인 강도를 증가시킬 때 제공된 저항의 양을 달리 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무 핑거는 베이스 플랜지 부분 및 플랜지로부터 연장되는 핑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핑거는 매트의 구멍을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트의 두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저항 핑거는 소망대로 저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필요한 경우 핑거의 교체를 허용한다.
사용 시, 매트는 처음에 볼을 실제로 타격하는 일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저항 핑거를 통해 단순히 클럽을 스윙하여 임팩트 영역을 통한 사용자 스윙을 강화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개선된 매트를 사용 중에는 볼을 실제로 타격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술 및 힘이 향상됨에 따라, 사용자는 저항 핑거의 수를 늘린 다음, 골프볼을 중앙 티에 놓고 볼 및 저항 핑거를 통한 타격을 시도할 수 있다. 그 결과, 임팩트 및 팔로우 스루 및 강한 스윙을 통해 적절한 클럽 헤드 속도를 생성하는데 필요로 되는 근육이 강화되었다.
명세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명백하게 주장하는 청구항으로 결론지어지지만,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읽혀질 때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볼 임팩트 후의 팔로우 스루에 대해 저항을 제공하도록 배향된 매트 및 저항 핑거를 가진 본 발명의 골프 연습용 매트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대형 연습용 매트 내에 삽입물로서 설치된 매트를 가진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을 따라 취한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매트를 사용하는 골퍼를 보여주는 환경도이다.
도 5는 연습용 매트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형태의 저항 핑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대안적인 저항 핑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대안적인 저항 핑거를 포함하는 매트의 투시도이다.
도 10은 추가의 대안적인 저항 핑거를 포함하는 매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이동가능한 저항 영역을 포함하는 매트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12-12선을 따라 취한 도 11의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매트의 대안적인 단면도이다.
지금부터 본원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의 구조, 특징, 제조, 및 사용의 원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 및 방법이 비제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단지 청구범위에 의해서 규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도시되거나 설명된 특징은 다른 실시형태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실시형태의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므로, 특정 실시형태 내에서 각각의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구성요소의 각각의 특징은 반드시 완전히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선형 또는 원형 치수가 사용되는 한, 이러한 치수는 이러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유형을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이러한 선형 및 원형 치수와의 등가물이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에 대해 쉽게 결정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상부, 하부, 위쪽, 또는 아래쪽과 같은 방향 용어가 사용되는 한, 이들은 본원에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이들 용어들이 논의되고 있는 시스템 및 장치에 관련되어 있을 뿐이며 보편적이지 않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볼 임팩트 직후에 팔로우 스루를 통해 클럽 헤드에 물리적 저항을 유리하게 제공하는 골프 연습용 매트를 제공한다. 이 저항은 골프볼을 드라이빙할 때 사용되는 특정 근육 그룹의 힘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사용자를 돕는 추가 이점을 제공한다. 이 증가된 힘은 실제 경기 시에 골프볼의 드라이브 거리를 더 길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연습용 매트(10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고무 베이스(110) 및 상기 고무 베이스 위에 놓인 시뮬레이션된 잔디 재료(1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 베이스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직물, 목재, 플라스틱, 또는 기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기타 베이스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외형 및 치수는 본 발명에 매우 중요하지는 않지만, 골프 클럽(140)의 긴 스윙 궤도로 인해 직사각형 형태가 가장 실용적인 형태로 되는 경향이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스(110)는 사용될 환경에 가장 적합한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삼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상부층의 시뮬레이션된 잔디(112)는 전형적인 페어웨이 길이의 잔디일 수 있거나, 임의의 소망의 길이일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논의되는 바와 같이, 매트(100)는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대형 연습용 매트(106)에 배치된 삽입물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매트(100)는 볼(102)을 둘러싸는 중앙 볼 배치 영역(104) 및 저항 영역(들)(120)을 가질 수 있다. 중앙 볼 배치 영역(104)은 제거가능한 고무 티(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 영역(102)은 바람직하게는 볼 배치 영역(104)의 바로 앞에, 즉 볼(102)을 타격한 직후의 팔로우 스루 영역에 위치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근육 그룹을 표적으로 하기 위해 저항 영역(120)을 매트(100)의 다른 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저항 영역(120)과 볼 배치 영역(104) 및/또는 티(103)의 간격은 소요 및 소망의 저항 효과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저항 영역(120)에는 소정 패턴으로 매트(100)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 배치된 고무 핑거, 또는 저항 핑거(130)가 제공된다. 패턴은 각각의 핑거(130)가 거리 "S"만큼 이격된 배열과 같이 규칙적으로 이격된 패턴일 수 있거나, 또는 핑거(130) 사이의 간격이 각기 다른 랜덤한 패턴일 수 있다. 핑거(130)는 중공형 튜빙 또는 고형 고무, 또는 철이나 목재와 같은 골프 클럽로부터의 반복된 임팩트를 견딜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내구성 있는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핑거의 높이 "H" 및 직경 "T"는 제공되는 저항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핑거(130)의 크기 및 간격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제 잔디와 유사하지 않다는 점에 유의한다. 오히려 핑거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조 잔디(112), 또는 "잔디"보다 훨씬 크고, 보다 넓게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핑거는 높이 "H"가 약 2인치~20인치의 범위 내이고, 직경 "T"가 약 1/8인치~1인치의 범위 내이다. 핑거의 저항력은 사용된 핑거의 수, 핑거의 높이, 및 핑거의 직경의 함수일 수 있다. 또한, 저항력은 사용된 재료와 핑거의 단면 형태의 함수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무 핑거는 베이스 플랜지 부분(132) 및 상기 플랜지(13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핑거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핑거(130)는 중앙 내강을 갖거나 갖지 않는 원형 단면 형태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핑거(130)는 매트(100)의 구멍(122)을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매트(100)의 두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관통 구멍(122)은 임의의 인공 잔디를 포함하는 상면(100t)으로부터 바닥면(100b)까지 매트(100)를 통해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핑거(130)는 소망대로 저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구멍(122)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필요한 경우에 핑거(130)의 교체도 허용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핑거(130)는 매트(100)에 직접 임베딩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핑거(130)는 유연한 플라스틱, 경질 플라스틱, 금속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핑거(130')는 매트(100')를 통해 연장될 수는 관형 베이스(132'), 또는 플랜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132')는 경질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고, 핑거(130')는 유연한 고무 재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스(132') 및 핑거(130')는 동일한 재료 또는 상기 언급한 상술으 재료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핑거 베이스(132') 플랜지는 제 1 하부 플랜지 부분(134') 및 상기 플랜지(134')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관형 연장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랜지 부분(134')은 일반적으로 핑거(130') 및 관형 연장부(136')보다 실질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관형 연장부(136')는 연습용 매트(10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32')는 핑거 부분(130')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핑거 부분(130')의 직경(D1)보다 큰 내경(D2)을 갖는 것을 통해 연장되는 내측 내강(13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36')는 매트(100')의 저항 영역(120')의 관통 구멍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은 외경(D3)을 가질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핑거(230)는 직립 핑거 부분(232) 및 일부 또는 전체, 또는 핑거(230)의 상단에 플래그 또는 플랩(2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대안적인 핑거(230)는 핑거(230)의 상단에 배치된 플래그 부분(234)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그 부분(234)은 플래그의 상부 에지(234t)로부터 하부 에지(234b)로 연장되는 내강(236)을 가진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강(236)은 상부 에지로부터 하부 에지까지 구멍을 뚫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내강(236)은 플래그의 근위부를 핑거 주변에 감쌈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감싸진 부분은 스티칭, 접착제, 테이프 또는 다른 기계적 또는 화학적 수단(238)에 의해 플래그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그는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강(236)은 직경(DF)을 가진 핑거를 수용하도록 사이즈화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래그(234)는 접착제, 테이프, 또는 다른 기계적 또는 화학적 고정 수단에 의해 핑거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의 대안에 있어서, 핑거(232) 및 플래그(234)는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매트(200)는 골프 클럽의 드라이브 궤도에서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향될 수 있는 복수의 플래그(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그(230)는 드라이브 궤도(P)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그(230)를 다른 각도로 배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저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래그(230)는 모두 반대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자신에 의해 재배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핑거(330)는 대안적으로 인조 잔디(332)의 복수의 개별 그룹, 또는 다발로 제조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매트(300)의 나머지 부분의 인조 잔디(312)보다 긴 길이(LT)를 갖는다. 상기 그룹의 개별 잔디잎은 동일한 길이, 또는 복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연습용 매트(100)는 사용자(150)가 서 있을 수 있는 대형 베이스 매트(106)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적절히 사이즈화될 수 있다(도 4 참조). 대안적으로, 연습용 매트(100)는 임의의 적절한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대형 베이스 매트(106)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 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매트(100)는 처음에 볼(102)을 실제로 타격하는 일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150)가 저항 핑거(130)를 통해 클럽(140)을 반복적으로 스윙하여 임팩트 영역(120)을 통한 사용자 스윙 및 팔로우 스루를 강화한다. 클럽(140)은 대나무제 연습용 클럽 또는 경기 시에 사용하기 위한 드라이버일 수 있다. 처음에 사용자(150)는 약간의 저항 핑거(130)만을 채용할 수 있다. 사용자(150)의 기술과 힘이 향상됨에 따라, 사용자(150)는 볼(102) 앞의 저항 핑거(130)의 수를 늘린 다음, 중앙 티(103)에 골프볼(102)을 놓고 저항 핑거(130) 및 볼을 통한 타격을 시도할 수 있다. 매트(100)를 사용한 결과, 사용자는 임팩트 및 강한 스윙를 통해 적절한 클럽 헤드 속도를 생성하는데 필요로 되는 근육을 강화시킨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1~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매트(400)에는 이동식 저항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동식 저항 플레이트(420)의 이동은 골퍼의 드라이버 또는 클럽의 느낌을 시뮬레이션하여, 천연 잔디에서 골프볼을 타격하고 디보트를 할 수 있다. 또한, 저항 플레이트(420)의 이동은 클럽 헤드 바운스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관절에 주는 응력을 줄임으로써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동식 저항 패드(400)는 일반적으로 폭(W) 및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길이(L)는 폭(W)보다 크다. 매트의 제 1 중앙 볼 배치 영역(404)에 있어서, 표면은 시뮬레이션된 인공 잔디(412)로 덮일 수 있고, 중앙 위치에 골프티(403)가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티(403)는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매트의 반대쪽 단부에는 저항 영역(420)이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항 영역(420)은 일반적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매트의 길이(L)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오프셋 레일(442a, 442b)을 갖는 높이(H)의 오목부 영역(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일(442a, 442b)은 그리스, 테플론 코팅, 또는 임의의 주행 마찰을 줄이기 위한 기타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저항 플레이트(420)는 볼 배치 영역에 근접한 최근위부 위치(440p)로부터 오목부(440)의 원위 단부(440d)에 근접한 원위부 위치까지 실질적으로 마찰이 없는 방식으로 레일(442a, 442b)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레일(442a, 442b)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플레이트(420)의 상면(420t)과 중앙 공 배치 영역의 상면(412)은 모두 실제 잔디 또는 인조 잔디로 덮일 수 있다. 또한, 저항 플레이트(420)의 상면과 중앙 볼 배치 영역의 상면(412)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저항 플레이트(420)의 상면(420t)은 이전 실시형태의 저항 영역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항 플레이트(420)는 복수의 관통 구멍(42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임의의 상술한 형태의 저항 핑거 또는 그것의 조합을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항 플레이트(420)는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저항 플레이트를 레일(442a, 442b)에 고정하기 위해 밑면(420b)으로부터 연장되는 U자형 브래킷(424a, 424b)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항 플레이트(420)는 레일(442a', 442b')을 따라 구르도록 밑면(420b')에 배치된 복수의 휠(424a', 424b')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대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플레이트(420)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상이한 양의 힘을 촉진하도록 플레이트(420)의 이동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항 플레이트(420')가 휠(424a', 424b')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 중에 플레이트(420')를 매트의 원위 단부쪽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가변 브레이크(variable break)가 포함될 수 있다. 플레이트(420)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늘어난 거리로 정확하게 골프볼을 드라이브하는데 필요로 되는 목표 근육 그룹을 더 발달시키기 위해 증가된다.
오목부(440d)의 원위 단부에서, 스프링(444)의 배열이 볼 배치 영역을 향하는 매트의 원위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배열은 3개의 나선형 스프링(444)을 포함 할 수 있지만, 저항 플레이트(420)가 근위부 위치(440p)로 다시 "튕김(spring)" 또는 "바운스"되도록 하기 위해 임의의 개수의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프링은 임의의 다른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스프링에 대한 대안으로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자석 세트는 오목부의 원위벽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자석 세트는 저항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자석 세트는 서로 반발하는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어 서로 밀어낼 것이다. 유리하게는, 스프링(444)은 저항 플레이트(420)가 오목부 내의 초기 근위부 위치로 다시 다가가도록 바이어스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 시, 매트(400)는 처음에 볼(402)을 실제로 타격하는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저항 핑거(430)를 통해 클럽을 반복적으로 스윙하여 임팩트 영역을 통한 사용자 스윙 및 팔로우 스루를 강화한다. 사용자가 임팩트 영역(404)을 통해 스윙하고 저항 영역(420)에서 팔로우 스루함에 따라, 저항 플레이트(420)는 스프링(444)을 향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저항 플레이트(420)는 스프링을 향해 원위 방향(D)으로 다가가서 스프링을 압박함으로써 오목부(440)의 근위 영역을 향해 근위 방향(P)으로 힘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처음에 사용자는 약간의 저항 핑거(430)만을 채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술 및 힘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는 볼 앞의 저항 핑거(430)의 수를 늘린 다음, 중앙 티(403)에 골프볼(402)을 놓고 저항 핑거(430) 및 볼(402)을 통한 타격을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된 저항 핑거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이한 형태의 핑거의 조합을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레일(442a, 442b)을 따라 이동하는 저항 플레이트(420)의 저항을 변경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임팩트 및 강한 스윙을 통해 적절한 클럽 헤드 속도를 생성하는데 필요로 되는 근육이 강화되었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구현하는 특정 구조가 본원에 나타내어지고 설명되어 있지만, 발명의 기본 개념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부분들의 다양한 변형 및 재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것을 본원에 나타내어지고 설명된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8)

  1. 인조 잔디로 덮인 상면을 갖는 볼 배치 영역; 및
    제 1 영역을 인조 잔디로 덮고 있는 상면 및 인조 잔디보다 먼 거리에서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저항 핑거를 갖는 제 2 영역을 갖는 볼 배치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된 저항 영역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로서,
    상기 볼 배치 영역의 상면은 상기 저항 영역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영역은 상기 볼 배치 영역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있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영역은 상기 저항 영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인조 잔디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 핑거는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 핑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플랜지 베이스 부분, 및
    상기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플랜지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핑거 부분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 핑거는 고무인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 핑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랜지 베이스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내강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 핑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랜지의 내강과 관통 구멍 모두를 통해 연장되는 핑거 부분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배치 영역에 근접하여 배치된 오목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저항 영역은 상기 오목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2개의 평행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 영역은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된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저항 영역의 이동 경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저항 영역은 상기 레일을 따라 골프 클럽에 의해 타격될 때, 제 1 근위부 위치로부터 제 2 원위부 위치로 다가가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저항 영역을 제 2 원위부 위치로부터 제 1 근위부 위치로 작동시키도록 구성 및 배치된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 핑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조 잔디의 나머지 부분보다 높이가 높은 인조 잔디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 핑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항 핑거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래그 부분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14. 근위부 볼 배치 영역;
    볼 배치 영역에 근접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레일을 갖는 원위 오목부 영역; 및
    상기 원위 오목부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된 저항 매트로서, 상기 저항 매트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핑거를 포함하는 저항 매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로서,
    상기 근위부 볼 배치 영역의 상면과 상기 저항 매트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상기 저항 매트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오목부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스프링의 배열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배열은 상기 저항 매트를 제 2 원위부 위치로부터 제 1 근위부 위치로 작동시키도록 구성 및 배치된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배열의 스프링은 나선형 스프링인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매트는 상기 저항 매트의 밑면에 배치된 휠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휠은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매트는 상기 저항 매트의 밑면에 배치된 복수의 U자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레일은 상기 복수의 U자형 브래킷을 통해 연장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KR1020207023377A 2018-01-18 2019-01-16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KR20200111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18650P 2018-01-18 2018-01-18
US62/618,650 2018-01-18
PCT/US2019/013756 WO2019143663A1 (en) 2018-01-18 2019-01-16 Golf swing practice m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201A true KR20200111201A (ko) 2020-09-28

Family

ID=6730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377A KR20200111201A (ko) 2018-01-18 2019-01-16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1510593A (ko)
KR (1) KR20200111201A (ko)
GB (1) GB2584036B (ko)
WO (1) WO20191436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178A (ja) * 1981-07-21 1983-04-18 ジヨン・ピ−・オブライエン スライド可能なゴルフ練習具
JPS63230185A (ja) * 1987-03-20 1988-09-26 高橋 秀雄 ゴルフ練習用マツト
JP2510020Y2 (ja) * 1992-01-10 1996-09-11 マジック ゴルフ カンパニー ゴルフ練習具
US5356147A (en) * 1992-08-18 1994-10-18 Macdonald Donald K Golf practice device
JPH0636667U (ja) * 1992-10-22 1994-05-17 株式会社思動集団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
JP3041838U (ja) * 1997-03-10 1997-10-03 勝一 緒方 球技用練習器具
US7458906B2 (en) * 2002-04-27 2008-12-02 Il Hang Choe Flexible golf tee for driving range
JP2003320065A (ja) * 2002-04-28 2003-11-11 Yoshishige Higa ゴルフのスイング練習器
US20040142758A1 (en) * 2003-01-16 2004-07-22 Yoshihiko Shioda Golf practice and exercise mat
US20050049069A1 (en) * 2003-09-02 2005-03-03 Speck Dwight Lon Sub-surface multi-purpose golf practice mat
US20060019764A1 (en) * 2004-07-22 2006-01-26 Chris Gegelys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7699715B2 (en) * 2005-12-27 2010-04-20 Fairwaypro, Llc Portable golf practi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84036A (en) 2020-11-18
JP2021510593A (ja) 2021-04-30
GB2584036B (en) 2022-10-12
WO2019143663A1 (en) 2019-07-25
GB202011521D0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39057B (zh) 回弹壁
US8287395B2 (en) Indoor golf game and training equipment
US7396288B2 (en) Putting training device
US8167743B1 (en) Football training system
US5429368A (en) Portable practice putting device
JP2015514555A (ja) ゴルフ練習マット
US20110070965A1 (en) Golf swing training aid
JP6147190B2 (ja) 視覚的な目印をゴルフ指導に使用する方法
US10828546B2 (en) Golf swing practice mat for strengthening swing and increasing club head speed
US20050153788A1 (en) Putting game surface and method of play
US8827844B2 (en) Footballmaster
KR20200111201A (ko)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US9375623B2 (en) Method for training and improving overhand throwing
US9555302B1 (en) Practice device for hitting golf balls off ground
US20140066230A1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KR20220112406A (ko) 골프 스윙 연습용 매트
KR200489695Y1 (ko) 족구 연습용 타격기의 결합구조
US7766758B2 (en) Golf training device
JP2008295911A (ja) ゴルフ練習器
US20180126242A1 (en) An Improved Tee for Ball Sports
KR20180040259A (ko) 골프게임용 퍼팅연습장치
US10112092B2 (en) Pivoting soccer goal and game
KR100970272B1 (ko) 골프 연습용 패널
KR20150054459A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20240078551A (ko) 골프 퍼팅 연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