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065A -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065A
KR20200111065A KR1020190030819A KR20190030819A KR20200111065A KR 20200111065 A KR20200111065 A KR 20200111065A KR 1020190030819 A KR1020190030819 A KR 1020190030819A KR 20190030819 A KR20190030819 A KR 20190030819A KR 20200111065 A KR20200111065 A KR 20200111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operating room
ventilator
medical
integra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19003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1065A/ko
Publication of KR2020011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실에 구비되는 다양한 의료장비(100)들을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통합하여 집중적인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환자의 안전과 양호한 수술 결과를 확보할 수 있는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 { Multilateral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operating room using medical ventilator }
본 발명은 수술실에 구비되는 다수의 의료장비들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다수의 의료장비로부터 제공되는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인공호흡기에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과 같은 의료시설에 구비되는 수술실에는 수술진들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의료 정보를 참조하여 수술을 진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술실에는 다양한 의료장비들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의료장비에는 생체신호 측정기와 영상진단기기, 호흡치료기 및 생화학분석기 등이 있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는 심전도 측정기 및 혈압 측정기, 산소포화도 측정기, 체온 측정기 등을 가리키고, 호흡치료기는 인공호흡기 및 고유량호흡치료기 등을 가리키고, 영상진단기기는 초음파 진단기,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기(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등을 가리킨다. 또한 생화학 분석기는 혈액 분석기, 뇨 분석기 및 체액성분 분석기 등을 가리킨다.
이러한 의료장비에는 각각의 전원 케이블, 코드 및 튜브 등이 구비되어 수술실이 복잡해 질 수 있다. 또한 의료장비 자체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콘트롤 패널 등을 각각 갖추고 있어 수술시 집도의 또는 간호사들이 각 의료장비들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수술실 환경은 수술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혈액 및 분비물 등에 의해 바닥 및 케이블이 쉽게 오염될 수 있으며, 혈액이나 분비물로 오염된 수술 장비를 다른 수술실에서 다시 활용하게 될 경우에 해당 수술 장비 케이블에 묻은 혈액 및 분비물로 인해서 2차 감염을 초래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급박한 수술의 경우에 환자의 상태에 대한 효율적으로 관리가 어렵거나 또는 이를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술실 통합 시스템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20032호(2017. 03. 27.)에는 X-ray를 사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시스템과 자기장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수술 장비에 사용되는 수술용 침대로 X-ray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환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인체에 삽입되는 수술기구를 제어하는 자기장 제어 시스템이 수술용 침대 하부에 구비되어, X-ray 영상을 실시간 확인하며 자기장 제어를 통한 수술을 실시할 수 있으며, 자기장 제어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자기유도수단이 수술용 침대 하부에 구비되어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한 자기장 제어 시스템 및 영상 시스템이 통합된 수술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7041호(2015. 04. 08.)에는 각기 다른 위치에서 주변 의료기기에 의해 배출되는 방사능량을 측정하고, 의료진의 위치를 파악하여, 의료진의 방사능 피폭량을 예측함으로써, 의료진의 건강 관리와 의료 환경 개선에 이용할 수 있는 수술환경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은 수술실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의료장비들을 통합하여 집중적인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술실에 구비되는 각종 의료장비들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술실에 구비되는 다양한 의료장비(100)들을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통합하여 집중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환자의 안전과 양호한 수술 결과를 확보할 수 있는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은, 환자에게 호흡가스를 공급하는 인공호흡기(200) 및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 구성되고, 상기 의료장비(100)는, 환자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생성부; 상기 영상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공호흡기(200)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호흡기(200)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240); 상기 수신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 상기 저장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60); 상기 수신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출력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 상기 의료장비(100)와 각각 연결되어, 센싱된 자료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게이트웨이(Gate-Way, 210); 및 상기 게이트 웨이에서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전송된 자료를 상기 출력부(26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Streaming-Server, 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출력부(260)는 메인 화면과 복수개의 보조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K 해상도를 갖는 모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료장비(100)는 폐 전기적 임피던스 단층촬영장치(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이하 EIT), X-Ray 장치, 초음파 검사장치, CT 검사기, MRI 검사기, 내시경 장치, 심전도 측정기, 혈압 측정기, 산소 포화도 측정기, 체온 측정기, 호흡계, 혈액 분석기, 뇨 분석기, 체액 성분 분석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Wi-Fi 통신을 수행하는 WI-FI 모듈, Zigbee 통신을 수행하는 Zigbee 모듈, 또는 UWB 통신을 수행하는 UWB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은 수술실에 구비되는 다양한 의료장비(100)들을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한 곳에서 집중하여 정확하게 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수술시 환자의 안전과 양호한 수술 결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수술실의 다양한 의료장비(100)를 통합하여 관리가 가능하므로, 수술진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수술진 간의 효율적 정보 공유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통상적으로 병원에 구비되는 수술실에는 생체신호 측정기(110)와 영상진단기기(120) 및 생화학분석기(130) 등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기(110)는 심전도 측정기, 혈압 측정기, 산소포화도 측정기 및 체온 측정기 등을 가리키고, 영상진단기기(120)는 전기적 임피던스 단층촬영장치(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이하 EIT), 초음파 검사장치, X-ray 장치, 컴퓨터단층촬영장치(Computed Tomography, CT), 자기공명 영상촬영장치(Magnetic Reasonance Imaging, MRI) 및 내시경 장치 등을 가리킨다. 또한 생화학 분석기는 혈액 분석기, 뇨 분석기 및 체액성분 분석기 등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은 수술실에 구비되는 상기 의료장비(100)에서 각각 수집된 환자의 의료 영상 및 환자 관련 데이터들을 인공호흡기(200)에서 집중함으로써,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가리킨다. 이에 따라 수술시 수술진 간에 환자에 대한 정보 공유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은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는 의료장비(100) 및 환자에게 호흡가스를 공급하는 인공호흡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의료장비(100)는, 환자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생성부; 상기 영상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공호흡기(200)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초고속 근접통신 방식인 WPAN(Wireless Personal Arean Network) 모듈,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Wi-Fi 통신을 수행하는 WI-FI 모듈, Zigbee 통신을 수행하는 Zigbee 모듈, 또는 UWB 통신을 수행하는 UWB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는 의료장비(100)는 생체신호 측정기(110)와 영상진단기기(120) 및 생화학분석기(130) 등을 가리킨다.
상기 의료장비(100)는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의료정보 생성부; 상기 의료정보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인코딩된 의료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공호흡기(200)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의료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의료장비(100)는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인코딩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인공호흡기(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에는 인공호흡기(200)를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공호흡기(200)는 환자에게 호흡 가스(respiratory gas)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파이프 시스템(gas pipe system)을 구비하며, 호흡 가스의 산소 함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device)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산소 센서(oxygen sensor)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공호흡기(200)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240); 상기 수신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 상기 저장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60); 상기 수신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출력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 상기 의료장비(100)와 각각 연결되어, 센싱된 자료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게이트 웨이(Gate-Way); 상기 게이트 웨이에서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전송된 자료를 상기 출력부(26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Streaming-Server, 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인공호흡기(200)는 인체가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호흡정지가 발생하였을 때, 산소부족에 따른 뇌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로서, 산소가 부족한 체내에 산소를 공급해 줌으로써 환자의 회복을 도와주는 장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공호흡기(200)에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240)와, 상기 수신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 상기 저장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60); 상기 수신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출력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 상기 의료장비(100)와 각각 연결되어, 센싱된 자료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게이트 웨이(gate-way, 210); 상기 게이트 웨이에서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전송된 자료를 상기 출력부(26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streaming serner, 220)를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200)에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24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240)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측정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의료장비(100)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입력부(240)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니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스트리밍서버(220)에 접속되어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공호흡기(200)에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부(250)는, 제어부(230)를 통해 의료정보를 처리하고, 또한 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의료장비(100)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의료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250)는 환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환자 정보는 환자의 성명, 주소, 연락처, 국적, 연령, 성별, 직업 등의 개인 프로파일 정보, 의료 서비스 이용 내역, 결제 내역 등을 가리킨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250)는 의료정보를 저장하는 의료정보 저장부와 환자의 진료기록 등을 저장하는 환자정보 저장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만, 상기 저장부(250)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각 환자에 따라 의료 정보와 진료 기록 등이 동시에 검색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저장부(25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로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250)는 수신된 의료정보 중 의료영상을 소정의 영상 처리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 처리 단위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컨트롤러와 각각 매핑하고, 분할된 영상 처리 단위를 각각 그룹별로 매핑된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200)에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60)를 구비한다.
상기 출력부(260)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 또는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된 환자정보를 수술진들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수신된 의료정보를 통합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부(260)는 메인 화면과 복수 개의 보조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수신된 의료정보 또는 환자정보를 메인 화면과 복수개의 보조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 화면을 통해 수술진 들이 환자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260)는 혈액과 환부 등을 또렷하게 구분할 수 있고, 급박한 수술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빠른 반응 속도를 갖고, 항균성 등의 의료 환경에 적합한 모니터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출력부(260)는 4K 해상도를 갖는 모니터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출력부(260)는 수술용 모니터로서, 4K UHD(Ultra High-Definition) 해상도를 갖는 수술용 모니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200)에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출력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인공호흡기(20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인공호흡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전송된 환자의 의료정보 및 진료 기록 등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환자 별로 저장부(2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수술진의 요청에 따라 의료정보 및 환자의 진료기록 등의 환자정보를 동일 화면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230)는 수술진의 조작에 따라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의 표시를 제어하고, 영상 데이터를 레이어 단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에 북마크 기능을 삽입하고, 또한 북마크로 확인된 의료정보를 고화질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된 의료정보 및 환자정보는 북마크 정보가 인덱스(index)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250)에 저장된 의료정보 및 환자정보에 복수 개의 북마크 정보가 인덱스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의료정보 및 환자정보에 북마크 기능을 삽입하게 되면, 의료정보의 검색이 용이하며 또한 동영상 등의 의료정보의 재생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230)에는 영상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상 추출부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의료 영상 중에서 의사나 환자 등이 원하는 영상에서 일부의 영상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출력부(260)를 통해 환자의 의료정보 및 환자정보 등을 출력하는 경우에 영상 추출부에 영상 추출을 지시하도록 하는 아이콘을 화면에 출력한다. 따라서, 의사 혹은 환자는 영상 추출을 지시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의료 영상의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200)에는 게이트웨이(21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게이트 웨이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인공호흡기(200)와 상기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들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의료장비(100)로부터 측정된 의료정보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게이트웨이(210)는 사용환경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210)를 별도의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다른 의료장비(100)와 근거리무선통신으로 통합하여 연결 할 수도 있으며, 상기 게이트웨이(210)를 포함한 모든 수술실에 구비되는 의료장비(100)를 하나로 통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210)는 동영상/사진/음성을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수술진이 상기 동영상/사진/음성을 선택하여 스트리밍서버(220)와 게이트웨이(210)를 통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호흡기(200)에 구비되는 스트리밍서버(2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트리밍서버(22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술실에 구비되는 의료장비(100)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전송된 의료정보를 상기 제어부(23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상기 스트리밍서버(220)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근거리무선통신은 초고속 근접통신 방식으로 WPAN(Wireless Personal Arean Network)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선 통신 모듈은 IEEE 802.15.3e HRCP(High-Rate Close Proximity Point to Point Communication)을 따른다. 무선 통신 모듈은 70GHz 또는 80GHz 대역의 밀리미터파 대역을 이용하고, 전송 속도가 최대 14Gbp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은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Wi-Fi 통신을 수행하는 WI-FI 모듈, Zigbee 통신을 수행하는 Zigbee 모듈, 또는 UWB 통신을 수행하는 UWB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은 수술실에 구비되는 의료장비(100)로부터 수신한 의료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30)에 전달된 의료정보를 출력부(26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은 수술실에 구비되는 다양한 의료장비(100)들을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인공호흡기(200)에서 다양한 의료장비(100)로부터 송신되는 의료정보 및 진료 기록 등의 환자정보를 집중하여 정확하게 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수술진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수술진 간의 효율적 정보 공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방법은 수술실에 구비되는 의료장비(100)를 이용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S 100)를 포함한다. 상기 S 100 단계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생체신호 측정기(110)와 영상진단기기(120) 및 생화학분석기(130)를 포함하는 의료장비(100)를 이용하여 환자의 의료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수술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가리킨다.
상기와 같이, S 100 단계에서 획득된 환자의 의료정보는 동영상/이미지/음성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된 환자의 의료정보는 인공호흡기(200)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하는 단계(S 200)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획득된 의료정보를 인공호흡기(200)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의료장비(100)에는 획득된 환자의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인코딩된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공호흡기(200)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S 200 단계에서 게이트웨이(210)로 송신된 의료정보는 스트링서버로 송신하게 된다(S 300). 상기 S 300 단계를 거친 의료정보는 S 400 단계에서 제어부(230)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S 400 단계에서 제어부(230)로 송신된 의료정보는 인공호흡기(200)에 구비되는 저장부(250)에 저장된다(S 500). 상기와 같이 저장부(250)로 송신된 의료정보는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디.
상기와 같이 S 500 단계에서 저장부(250)에 저장된 의료정보는 모니터 등의 장치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S 600). 상기와 같이 S 600 단계에서 모니터 등을 통해 환자의 의료정보를 인공호흡기(200)에 구비되는 모니터 등의 출력부(26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술실에 구비되는 의료장비(100)로부터 제공되는 환자의 의료정보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 600 단계에서는 출력부(260)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의료정보는 환자의 인적사항, 진료기록, 모니터링 기록, 임상관찰 기록 및 수술 동의서 등의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수술실 내 장비들을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한 곳에서 집중하여 정확하게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술시 환자의 안전과 치료 결과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떠한 환자의 수술에 참여하는 수술진에게 편의성이 높아진 화면 제어 및 수술진간 효율적 정보 공유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의료장비
110 : 생체신호 측정기
200 : 인공호흡기
210 : 게이트웨이
220 : 스트리밍서버
230 : 제어부

Claims (3)

  1.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에 있어서,
    상기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은 환자에게 호흡가스를 공급하는 인공호흡기(200) 및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 구성되고,
    상기 의료장비(100)는, 환자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생성부; 상기 영상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공호흡기(200)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호흡기(200)는 수술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100)로부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240);
    상기 수신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
    상기 저장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60);
    상기 수신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출력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
    상기 의료장비(100)와 각각 연결되어, 센싱된 자료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게이트 웨이(Gate-Way, 210);
    상기 게이트 웨이에서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전송된 자료를 상기 출력부(26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Streaming-Server, 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60)는 메인 화면과 복수 개의 보조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장비(100)는 전기적 임피던스 단층촬영장치(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X-Ray 장치, 초음파 검사장치, CT 검사기, MRI 검사기, 내시경 장치, 심전도 측정기, 혈압 측정기, 산소 포화도 측정기, 체온 측정기, 호흡계, 혈액 분석기, 뇨 분석기, 체액 성분 분석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공호흡기(200)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150).

KR1020190030819A 2019-03-18 2019-03-18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111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19A KR20200111065A (ko) 2019-03-18 2019-03-18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19A KR20200111065A (ko) 2019-03-18 2019-03-18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65A true KR20200111065A (ko) 2020-09-28

Family

ID=7280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19A KR20200111065A (ko) 2019-03-18 2019-03-18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10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4398B2 (en) Wireless x-ray system
BR112020013228A2 (pt) comunicação de dados em que uma rede cirúrgica usa contexto dos dados e requisitos de um sistema recep-tor/usuário para influenciar a inclusão ou ligação de dados e metadados para estabelecer continuidade
JP2007097909A (ja) 放射線被曝線量管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EP28540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imaging environment by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plurality of clients
CN111261265A (zh) 基于虚拟智能医疗平台的医学影像系统
KR20150106491A (ko) 이종데이터를 이용한 통합진단 및 유사환자 검색 시스템
JP2006271763A (ja) 医療システムおよび医療データ通信方法
JP6021468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
JP2009213905A (ja) 放射線被曝線量管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2007140762A (ja) 診断システム
US947198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system thereof
JP5125128B2 (ja) 医用画像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
KR20200111065A (ko)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수술실 통합 관리 시스템
JP6711675B2 (ja) 読影支援装置
JP5167647B2 (ja) 診断システム
JP5490327B1 (ja) 放射線治療支援システム、放射線治療支援方法、放射線治療支援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1275988A (ja) 情報入出力装置
KR20190138106A (ko)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
US20170323059A1 (en) Examination work support system
US20150254282A1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90078349A (ko) Iot를 활용한 의료 장비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1172495A1 (ja) 医用情報処理装置、医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17113B1 (ko) 무선 접속 포인트를 이용한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및방법
KR101511543B1 (ko) 수술환경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Yang et al. Design of emergency medical imaging and informatics system for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