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312A -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312A
KR20200110312A KR1020207018179A KR20207018179A KR20200110312A KR 20200110312 A KR20200110312 A KR 20200110312A KR 1020207018179 A KR1020207018179 A KR 1020207018179A KR 20207018179 A KR20207018179 A KR 20207018179A KR 20200110312 A KR20200110312 A KR 2020011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bit
signal line
data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723B1 (ko
Inventor
사토시 오카다
유이치 히라야마
토시히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14Channel dividing arrangements, i.e. in which a single bit stream is divided between several baseband channels and reassembl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Abstract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처리부와, 디멀티플렉싱 처리 등을 행하는 처리부와,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의 사이에 배치된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을 구비한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를 2비트의 병렬 전송으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이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본 기술은, 대용량의 고속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신 장치에 적용 가능한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에서는, 화상(동영상) 등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소정의 인코딩 방식으로 인코딩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인코딩된 데이터가 페이로드에 배치된 TS(Transport Stream) 패킷으로 구성되는 TS를 포함하는 방송파가 송신되고, 이러한 방송파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기도 보급되고 있다.
방송파는, TS를 송신기로부터 각 수신기까지 송신시키기 위해 송신기에 의해 반송파를 사용하여 변조(예를 들면, 일례로 BS 디지털 위성 방송의 경우는 ISDB-S 방송 방식으로 TC8PSK의 변조 방식, 케이블 TV 방송의 경우는 ISDB-C 방송 방식으로 64QAM의 변조 방식)를 행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복수의 TS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수법이 있으며, 현재의 BS/CS 디지털 방송의 다중 프레임 구조는, 1프레임당 48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48개의 슬롯을 분할하여 복수의 채널을 다중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의 케이블 TV의 다중 프레임 구조는 TSMF(Transport Streams Multiplexing Frame)라고 불리며, TSMF 구조는, 1프레임당 53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그 중 1개의 헤더 슬롯과 52개의 TS 배치용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52개의 슬롯을 분할하여 복수의 채널을 다중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4K, 8K 방송과 같은 현행의 HD 방송 TV보다 고해상도의 영상이나 임장감이 있는 음악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시작을 앞두고 있으며, 이들 서비스에는 현행의 디지털 TV 방송보다도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게 된다.
이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변 길이 패킷인 IP(Internet Protocol)를 사용한 방송(예를 들면, 고도 BS 방송에서는 TLV(“”Type Length Value“”) 패킷이 사용되고 있음)이 생각되고 있다. 이 TLV 패킷을 사용한 고도 BS 방송(advanced BS broadcasting)은 방송 방식 ISDB-S3이라고 불리며, 1프레임당 120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120개의 슬롯을 분할하여 4K 방송의 경우 최대 3개, 8K 방송의 경우 최대 1개의 채널을 다중화할 수 있다.
TLV 패킷이 사용되는 고도 BS 방송은, 방송 위성으로부터 방송파를 각 가정의 수신기까지 직접 송신하는 서비스나, 케이블 TV 망을 사용하여 재송신하는 서비스가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가정에서 수신하는 경우는 수신기를 고도 BS의 TLV 패킷으로 변조시킨 반송파(방송파)를 수신 가능한 것으로 변경하면 되지만, 케이블 TV 망을 사용할 경우는 가정의 수신기 교체뿐만 아니라 케이블 TV 망의 설비도 변경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에 가능한 한 비용을 들이지 않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케이블 TV 망의 설비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및 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2).
이 방식은 방송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고도 BS의 TLV 패킷을 변조시킨 반송파를 일단 케이블 TV 방송국에서 수신하고, 이 반송파를 기존의 설비인 케이블 TV 전송로에 맞춘 고정 길이 TS 패킷인 방송 방식(ISDB-C)으로 변환하여 재송신하는 방식이다. 가변 길이 TLV 패킷으로부터 고정 길이 TS 패킷으로 변환한 패킷을, 통상의 고정 길이 TS 패킷과 구별하기 위해 분할 TLV 패킷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또한 이 방식은 TSMF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복수의 반송파로 분할하여 주파수 다중 전송하는 것으로서, 현재의 디지털 방송의 케이블 TV 재송신에서 채용되고 있는 ISDB-C 방송 방식의 64QAM 또는 256QAM의 변조 방식의 조합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행하는 것이다. 이 때, 수신측에서는, 각 반송파를 복조한 신호로부터 합성에 필요한 정보로서 TSMF로부터 반송파의 주파수 정보와 분할한 순서인 합성 순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동기 합성하여 4K, 8K 방송 신호를 재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5145261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12-209675호 공보
비특허문헌 1: NHK 기술연구소 R&D No.157 2016년 5월,"8K 케이블 TV 전송의 실현을 위한 복수 반송파 전송 방식" 비특허문헌 2: NHK 기술연구소 R&D No.152 2015년 8월,"8K 슈퍼 하이비전의 전송 기술
전술한 기술은, 방송 위성에 의해 송신된 4K, 8K 방송과 같은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의 방송파(반송파)를 튜너로 주파수 선국하고, 가변 길이 TLV 패킷으로서 복조 처리를 행하고, 디멀티플렉싱(다중 분리)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후단의 처리부로 전송하는 수단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는, 방송 위성에 의해 송신된 가변 길이 TLV 패킷을 케이블 TV국에서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으로 변환하고,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 용량을 작게 하고, 복수의 반송파를 사용한 기존의 방송 방식 ISDB-C에 주파수 다중화하여 재송신하고, 송신되어 온 각 반송파의 주파수를 각 튜너로 각각 선택하여, 가변 길이 TLV 패킷으로부터 분할된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으로서 복조 처리를 행하고,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후단의 처리부로 전송하는 수단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의 가변 길이 TLV 패킷으로서 복조 처리를 행하였을 경우와 복수의 가변 길이 TLV 패킷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를 각각 복조하여 다시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로 되돌려 합성한 후의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를 복조 처리부에서부터 후단의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전송할 경우의 수단에 관하여, 전술한 문헌에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를 복조 처리부로부터 후단의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전송할 경우, 직렬 전송에서는 클럭이나 데이터의 주파수가 높아지고,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의 물리적 거리가 길면,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의 기생 인덕터나 기생 커패시터 용량, 기생 저항의 영향에 의해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의 상기 복조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파형이 무뎌져, 지연이 발생하거나, 파형이 일그러져 처리부에서 처리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출력 파형이 링잉(ringing)을 일으키고, 스퓨리어스(spurious)가 발생시키며, 이러한 스퓨리어스는 노이즈(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로서 반송파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튜너 회로 등의 주위에 영향을 주어 신호의 품질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본 기술의 목적은,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를 복조 처리부로부터 후단의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전송할 경우, 파형의 변형을 방지하고, 스퓨리어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기술은,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처리부와, 디멀티플렉싱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의 사이에 배치된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을 구비하고,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을 사용하여,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의 사이에서, 고정 길이 패킷 및 가변 길이 패킷을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이다. 또한, 본 기술은,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처리부와, 디멀티플렉싱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의 사이에 배치된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을 구비하고,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을 사용하여,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의 사이에서, 고정 길이 패킷 및 가변 길이 패킷을 전송하는 신호 처리 방법이다.
데이터 신호선은, 1 내지 8개가 배선되며, 배선되어 있는 개수에 따른 직렬 전송 또는 병렬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를 복조 처리부로부터 후단의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전송하는 경우, 직렬 전송인 경우, 주파수가 높고 배선의 기생 소자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지만, 병렬 전송을 하면 전송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낮출 수 있고, 기생 소자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병렬 전송을 하는 경우, 병렬의 수를 늘리면 늘릴수록 전송 레이트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복수의 데이터 배선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가 탑재되어 있는 기판의 면적을 점유하거나, 처리부의 단자를 많이 취할 필요가 생겨, 처리부가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배선의 기생 소자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또한 기판의 면적을 확보하여, 처리부의 단자 수를 적게 할 수 있는 2비트 병렬이 최적이다.
또한, 주파수 다중 전송한 복수의 분할된 반송파를 각각 복조 처리로 복조하여 합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3개의 복조 처리부의 데이터와 클럭 신호를 각각 1개씩 별도의 복조 처리부로 접속할 경우, 합성하는 복조 처리부에서 6개의 단자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복수의 병렬 출력 전송용의 데이터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단자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3개의 복조 처리부로부터 합성을 행하는 별도의 복조 처리부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8개의 병렬 출력 전송의 단자가 있는 경우, 6개의 단자를 입력으로 사용하고, 2개의 단자를 2비트 병렬 출력으로 사용하여, 8개의 병렬 출력용 단자를 남김없이 활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2비트 병렬 전송을 함으로써 직렬 전송에 비해 전송 레이트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배선의 기생 소자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를 복조 처리부로부터 후단의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확실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의 면적을 확보하고, 처리부의 단자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 중에 기재된 어떠한 효과 또는 이들과 이질적인 효과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예시된 효과에 의해 본 기술의 내용이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케이블 TV의 다중 프레임 구조인 TSMF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기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디지털 케이블 TV 방송에 관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의 사이에 기판 배선의 등가 회로가 제공되는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는, 처리부에 입력되는 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복조 처리부와 처리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선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2비트 병렬 전송의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출력에 각각 짝수 비트, 홀수 비트를 할당한 도면이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D는, 2비트 병렬 전송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선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타이밍 차트도이다.
도 9는, 에러 발생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를 전송하는 1비트의 신호선을 더 구비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출력 인터페이스에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신호를 채용한 구성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TSMF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복수의 반송파로 분할하여 주파수 다중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낸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주파수에 대한 3개의 반송파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다른 형태이며 4개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주파수 다중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낸 일례의 도면이다.
도 14는, 주파수에 대한 4개의 반송파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기술의 주파수 다중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4개의 복수의 반송파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시스템 개략도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기술의 바람직한 구체예이며,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가지 한정이 되어 있다. 그러나, 본 기술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히 본 기술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수신 시스템>
도 1은 케이블 TV의 다중 프레임 구조인 TSMF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TSMF 구조는, 1프레임당 53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그 중 1개의 헤더 슬롯과 52개의 TS 배치용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52개의 슬롯을 분할하여 복수의 채널을 다중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TSMF 헤더에는, 동기 데이터(0×47)와 프레임 구조 “고정 길이(188바이트)”에 있어서의 각 TS의 위치(슬롯) 정보, 전송 다중 신호(TMCC; ” Transmission and Multiplexing Configuration and Control”) 등의 정보를 갖고 있다.
도 2는, 방송 위성에 의해 송신된 4K, 8K 방송과 같은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의 방송파(반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수신 시스템은, 안테나(2), 수신기(1), 및 디스플레이(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신기(1)는, 튜너(3), 복조 처리부(4), 처리부(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복조 처리부(4)는, 복조부(7)와 오류 정정부(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처리부(5)는, 다중 분리부(Demux)(9)와 디코더(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안테나(2)는, 예를 들면,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TLV 방식의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수신 신호를 수신기(1)로 공급한다. 수신기(1)는, 안테나(2)로부터의 수신 신호로부터, TLV를 복원하여 처리하고, 영상이나 음성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6)에 출력한다.
오류 정정부(8)는, 복조부(7)로부터의 복조 신호의 오류 정정을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TLV 등의 신호를 처리부(5)로 공급한다. 처리부(5)는, 예를 들면 SOC(System-on-a-chip)로 구성할 수 있다. 처리부(5)는, 디멀티플렉싱 처리,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를, 영상 부분, 음성 부분, 자막 부분 등으로 나누는 처리를 행한다.
처리부(5)에는, 복조 처리부(4)가 출력하는 출력 신호인 동기(sync) 신호, 유효(valid) 신호, 데이터 신호 및 클럭 신호가 공급된다. 처리부(5)의 다중 분리부(9)는, 데이터 신호 중에 포함되는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분리하고, 디코더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디코딩하거나,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디코딩함으로써, 영상이나 음성의 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6)에 출력한다.
<케이블 재송신으로의 적용>
도 3은, 디지털 케이블 TV 방송에 관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성 방송을 수신하는 안테나(11), 송신기(12), 및 수신기(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위성 방송은, 송신기(케이블 TV국)(12)로 공급된다. 송신기(12)는, 위성 튜너(13)와 케이블 재송신 변환부(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송신기(12)는, 디지털 케이블 TV 방송을 하는 방송국 측의 장치이며, 안테나(11)에서 수신된 위성 방송의 방송파를 디지털 케이블 TV 방송의 방송파로 변환하여, 수신기 측에 케이블 TV의 전송로(15)를 통해 송신한다.
수신기(1)는, 도 2에 나타낸 수신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 3에 나타낸 수신기(1)의 튜너(3)는, 전송로(15)을 거쳐 송신된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고 처리한다.
위성 방송은, 상기한 바와 같이, TLV 방식의 디지털 방송파로서 방송되어, 안테나(11)에서 수신된다. 송신기(12)는, TLV 방식의 디지털 방송파를, 디지털 케이블 TV 방송의 방송파, 예를 들면,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으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이는 복수의 반송파를 사용한 기존의 ISDB-C 규격으로 케이블 재송신이 행하여지는 경우이다.
<수신기에 있어서의 문제점>
도 4는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를 복조 처리부(4)로부터 후단의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5)로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조 처리부(4)와 처리부(5)의 사이의 기판 배선(20)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판 배선(20)의 재질이나 기판에 따라, 기생 저항(R), 기생 인덕터(L), 기생 커패시터 용량(C)의 기생 소자가 배선에 부가된다. 이러한 기판 배선(20)에 주파수가 높은 신호가 전송되면, 이들 기생 소자의 영향에 의해 대용량/고속 디지털 데이터의 복조 처리부(4)로부터의 출력 파형이 변형되어, 지연이 발생하거나, 파형이 일그러져 처리부(5)에서 처리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출력 파형이 링잉을 일으킨다. 링잉에 의해 스퓨리어스가 발생하여 노이즈(EMI)로서 반송파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튜너 회로 등의 주위에 영향을 주어 신호의 품질을 열화시킨다. 도 5의 A(이상 파형)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거나,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파형이 링잉을 일으킨다. 이와 같이, 처리부(5)에 입력되는 파형이 기생 소자의 영향으로 변형되어, 전압이 처리부(5)의 하이 레벨/로우 레벨을 인식하는 임계값까지 올라가지 않거나, 링잉이 발생하여 노이즈가 발생한 파형이 된다.
<신호선에 대하여>
한편, 종래의 수신기로서, 예를 들면, 고정 길이 TS 패킷을 처리하는 기기가 있었다. 이러한 기기에 있어서도, 가변 길이 TLV 패킷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새로운 기기로서 가변 길이 TLV 패킷을 처리하기 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물론 이하의 처리는 고정 길이 TS 패킷의 처리로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도 6은, 복조 처리부(4)와 처리부(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선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조 처리부(4)는, 복조 처리를 실행하는 LSI일 수 있다. 또한, 처리부(5)는, 디멀티플렉싱 처리를 실행하는 LSI일 수 있다. 복조 처리부(4)는, 후단의 처리부(5)가 처리할 수 있도록(처리부(5)가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데이터를 출력할 필요가 있다.
본 기술에 의하면, 복조 처리부(4)는, 처리부(5)가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형태로 복조한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조 처리부(4)와 처리부(5)는, 다른 LSI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조 처리부(4)와 처리부(5)의 사이에는, 4개의 신호선(직렬 전송의 경우)이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신호선 중, 1개는 동기(SYNC) 신호를 전송하는 1비트의 신호선이고, 1개는 유효(VALID) 신호를 전송하는 1비트 신호선이고, 1개는 클럭(CLK) 신호를 전송하는 1비트 신호선이고, 1개는 데이터(DATA) 신호를 전송하는 1비트의 신호선으로 되어 있다. 데이터 신호선은, 1비트 내지 8비트에 대응하여, 1 내지 8개의 신호선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직렬 전송의 경우, 데이터 신호선은 1개로 구성되며, 8비트 데이터 신호선은 8개로 구성된다. 병렬 전송의 경우, 데이터는, 8비트 데이터로 제한되지 않으며, 어떠한 비트를 갖는 데이터이어도 되며, 그 비트 수에 맞는 신호선이 배선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기술에 있어서는, 데이터 신호선의 개수(클럭 신호의 1주기에 전송되는 비트 수)에 따라, 동기 신호, 유효 신호, 클럭 신호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2비트 병렬 전송의 경우에 있어서, DATA의 출력에 각각 짝수 비트, 홀수 비트를 할당한 도면이다. 데이터의 각 비트는, MSB부터 순서대로 LSB까지, 또는 LSB부터 순서대로 MSB까지, 클럭의 상승 또는 하강에서 복조 처리부(4)로부터 출력되고, 처리부(5)에서는 클럭의 상승 또는 하강에서 데이터를 수신(래치)할 수 있다.
이들 2비트는 8개의 병렬 출력의 2비트를 사용하여 출력되지만, 다른 데이터의 출력 단자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2비트의 비트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할당이어도 된다. 도 8은 2비트 병렬 전송의 경우에, 각각의 데이터 선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타이밍 차트도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ERR) 발생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를 전송하는 1비트의 신호선을 더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서 나타낸 신호선은, 일례이며,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이 복조 처리부(4)와 처리부(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물론 된다.
또한, 도 10은, 출력 인터페이스에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신호를 사용한 것이다. LVDS 신호는 상승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고속화에 적합하며, 또한, 정부(正負)의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기 때문에 신호가 대칭성이며 노이즈(EMI)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표 1은 각 패킷의 헤더 영역의 선두의 어느 동기 바이트에 관해 설명한 도면이다.
Figure pct00001
출력 패킷 형태는 2종류가 있으며, 가변 길이 TLV 패킷,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이다.
패킷의 헤더의 일부의 할당으로서, 항상 복수의 패킷을 동기시키기 위해 패킷의 헤더 영역의 선두에 동기 바이트가 할당되어 있다.
이를 16진수로 표현하면, 가변 길이 TLV 패킷에서는 “0×7F”,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에서는 “0×47”이 된다. 한편, (0×)은 16진수라는 의미이다.
또한, 2진수로 표현하면 가변 길이 TLV 패킷에서는 “8'b0111_1111”,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에서는 “8'b0100_0111”이 된다. 한편, (8')은 8비트의 2진수라는 의미이다.
표 2 및 표 3은, 2비트 병렬 전송되는 경우의 2비트가 어떤 데이터인지 실시예를 나타낸 표이다.
Figure pct00002
이들을 도 8의 A~도 8의 D의 전송의 경우, 어떠한 데이터가 되는지를 설명한다.
도 8의 A는 짝수 비트와 홀수 비트의 각 비트를 동시에, 그리고 MSB (most significant Bit)부터 순서대로 LSB(Least Significant Bit)까지를 전송할 경우이다.
이 경우, 가변 길이 TLV 패킷에서는 짝수 비트의 MSB인 6비트째로부터 전송하므로 6비트 째의 “1”을 전송하고, 다음으로 4비트째를 전송하므로 “1”을 전송한다. 이를 0비트째의 “1”까지 반복하여 전송을 행한다.
홀수 비트의 MSB인 7비트째로부터 전송하므로 7비트째의 “0”을 전송하고, 다음으로 5비트째를 전송하므로 “1”을 전송한다. 이를 1비트째의 “1”까지 반복하여 전송을 행한다.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에서는 짝수 비트의 MSB인 6비트째로부터 전송하므로 6비트째의 “1”을 전송하고, 다음으로 4비트째를 전송하므로 “0”을 전송한다. 이를 0비트째의 “1”까지 반복하여 전송을 행한다.
홀수 비트의 MSB인 7비트째로부터 전송하므로 7비트째의 “0”을 전송하고, 다음으로 5비트째를 전송하므로 “0”을 전송한다. 이를 1비트째의 “1”까지 반복하여 전송을 행한다.
도 8의 B는 짝수 비트와 홀수 비트를 동시에, 그리고 LSB로부터 순서대로 MSB까지를 전송하는 경우이다.
이는 전술한 MSB로부터 LSB의 전송의 역순으로 전송하게 되고, 자명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C는 4비트에서부터 7비트째와 0비트에서부터 3비트째의 각 비트를 동시에, 그리고 MSB로부터 순서대로 LSB까지를 전송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가변 길이 TLV 패킷에서는 4비트에서부터 7비트째의 MSB인 7비트째로부터 전송하므로 7비트째의 “0”을 전송하고, 다음으로 6비트째를 전송하므로 “1”을 전송한다. 이를 4비트째의 “1”까지 반복하여 전송을 행한다.
0비트에서부터 3비트째의 경우의 MSB인 3비트째로부터 전송하므로 3비트째의 “1”을 전송하고, 다음으로 2비트째를 전송하므로 “1”을 전송한다. 이를 0비트째의 “1”까지 반복하여 전송을 행한다.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에서는 4비트에서부터 7비트째의 경우의 MSB 인 7비트째로부터 전송하므로 7비트째의 “0”을 전송하고, 다음으로 6비트째를 전송하므로 “1”을 전송한다. 이를 4비트째의 “0”까지 반복하여 전송을 행한다.
0비트에서부터 3비트째의 경우의 MSB인 3비트째로부터 전송하므로 3비트째의 “0”을 전송하고, 다음으로 2비트째를 전송하므로 “1”을 전송한다. 이를 0비트째의 “1”까지 반복하여 전송을 행한다.
도 8의 D는 4비트에서부터 7비트째와 0비트에서부터 3비트째의 각 비트를 동시에, 그리고 LSB로부터 순서대로 MSB까지를 전송할 경우이다. 이는 전술한 MSB로부터 LSB의 전송의 역순으로 전송하게 되고, 자명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반송파에 대하여>
도 11은 TSMF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복수의 반송파로 분할하여 주파수 다중전송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케이블 TV국(21)과 케이블 TV 전송로(24)와 수신기(31)로 이루어진다. 케이블 TV국(21)에는 가변 길이 TLV 패킷 데이터(8K 신호)와 고정 길이 패킷 TS 데이터(HD 신호)가 각각 공급되어, 분할 다중 회로(22)에 의해 다중화된다.
8K의 약 100MHz의 신호는, 케이블 TV의 1채널(6MHz)로는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3채널로 분할하여 전송된다. 가변 길이 TLV 패킷 데이터는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으로 변환되어, ISDB-C 방송 방식의 64QAM 또는 256QAM의 변조 방식의 조합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되며, 그리고 케이블 TV 전송로를 통해 수신기에 송신된다. 이 때문에, 케이블 TV국(21)에는, 256QAM 변조 회로(23a), 256QAM 변조 회로(23b) 및 64QAM 변조 회로(23c)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기(31)에서는, 복수의 튜너(32a, 32b 및 32c)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분할된 각각의 반송파인 RF 신호를 선택하여, IF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도 12는, 주파수에 대한 3개의 반송파의 위치를 나타내고, 8K 방송(1 방송)과 HD 방송(1 방송)을 주파수 다중화한 경우를 나타낸다.
복조 처리부(33)는, 256QAM의 복조회로(35a, 35b) 및 64QAM의 복조회로(35c)를 가지고, 각 복조 회로의 복조 출력이 합성 회로(36)에 의해 합성된다. 복조 처리부(33)에 의해 ISDB-C 방송 방식의 각각의 변조 방식 64QAM, 256QAM의 반송파가 복조되고, 복조된 신호의 합성이 행하여진다. 분할 다중화된 신호인 8K 신호 또는 HD 신호를 추출하여 후단의 다중 분리부(37)에 의한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더(38)에 의한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34)로 전송한다.
도 13은 도 11의 다른 형태이며 4개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주파수 다중전송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블 TV국(41)의 분할 다중화 회로(42)에는 가변 길이 TLV 패킷 데이터(4K 신호)가 각각 공급되고, 가변 길이 TLV 패킷 데이터는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으로 변환된다. 분할 다중화 회로(42)의 출력이 64QAM 변조 회로(43a, 43b, 43c, 43d)에 공급되어, ISDB-C 방송 방식의 64QAM의 변조 방식의 조합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된다. 그리고 케이블 TV 전송로(44)를 통해 수신기(51)로 송신된다.
수신기(51)에서는, 복수의 튜너(52a, 52b, 52c, 52d)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분할된 각각의 반송파인 RF 신호를 선택하고, IF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튜너(52a~52d)의 출력이 각각 64QAM 복조 회로(55a, 55b, 55c, 55d)에 공급된다. 복조 회로(55a~55d)의 복조 출력이 합성 회로(56)에 공급된다.
도 14는, 4K 방송을 3 방송분 주파수 다중화한 경우를 나타낸다. 복조 처리부(53)의 64QAM 복조 회로(55a, 55b, 55c, 55d)에 의해 ISDB-C 방송 방식의 변조 방식 64QAM의 반송파를 복조하고, 합성 회로(56)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합성을 행하고, 분할 다중화된 신호인 4K 신호를 추출하여 후단의 다중 분리부(57)에 의한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더(58)에 의한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51)로 공급된다.
<본 기술에 의해 복수의 반송파를 수신하는 경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파수 다중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4개의 복수의 반송파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본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수신기에서는, 4개의 튜너(61a, 6lb, 61c, 61d)에 의해, 주파수 분할된 각각의 반송파인 RF를 선택하고, 복조군(62)에 공급한다.
복조군(62)은, 복조 처리부(64d)를 포함하는 복조 회로(63)과, 복조 처리부(64a), 복조 처리부(64b), 복조 처리부(64c)를 갖는다. 복조 회로(63)는, 복수 반송파 합성 회로 및 출력 I/F(인터페이스)(65)를 더 갖는다. 이러한 복조군(62)에 의해 ISDB-C 방송 방식의 변조 방식의 반송파를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의 합성을 행하고, 분할 다중화된 신호인 신호를 추출하여 후단의 디멀티플렉싱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66)로 전송한다. 처리부(66)는, 다중 분리부(67) 및 디코더(68)를 갖는다.
튜너(61d)로부터 출력된 IF 신호가 복조 회로(63)의 복조 처리부(64d)의 ADC(A/D 컨버터)에 입력되고, 복조된 후에 복수 반송파 합성 회로(65)에 입력된다. 또한, 복조 처리부(64a, 64b, 64c)로부터 각각 출력된 복수 반송파 합성 전 TS 신호(TS1, TS2, TS3)가 복조 회로(63)의 복수 반송파 합성 회로 및 출력 I/F(65)에 입력된다. 복수 반송파 합성 회로 및 출력 I/F(65)로부터는, 고정 길이 패킷(TS), 가변 길이 패킷(TLV) 또는 단일 TS가 출력된다.
복수 반송파 합성 회로 및 출력 I/F(65)의 출력 인터페이스는 SYNC, VALID, CLK 및 2비트의 DATA 단자가 있으며, 2비트 병렬 전송의 경우에 DATA 출력에 각각 짝수 비트, 홀수 비트를 할당하고 있는 예이다. DATA 단자로서 8비트 병렬 출력까지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고, 단자가 8개 준비되어 있는 경우, 복조 처리부(64a, 64b, 64c)로부터의 입력과 2비트 병렬 출력으로 모두 남김없이 단자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2비트 병렬 출력이 아닌 1비트 직렬 출력의 출력 인터페이스 형태이어도 물론 된다. 또한, 2비트 병렬 전송의 경우에 있어서 DATA 출력 할당은 짝수 비트, 홀수 비트가 아니어도 물론 된다.
<변형예>
이상, 본 기술에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는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어디까지나 예에 지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이와 다른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한편,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처리부와, 디멀티플렉싱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상기 복조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사이에 배치된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동기 신호선, 상기 유효 신호선, 상기 클럭 신호선 및 상기 데이터 신호선을 사용하여, 상기 복조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사이에서, 고정 길이 패킷 및 가변 길이 패킷을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상기 가변 길이 패킷은, TLV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3)
상기 가변 길이 패킷은 TLV 패킷이며, 상기 TLV 패킷의 패킷 헤더 영역에 패킷 에러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4)
상기 가변 길이 패킷은 TLV 패킷이며, 상기 TLV 패킷에 포함되는 패킷 타입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영역에, 패킷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5)
상기 에러 정보를 전송하는 에러 신호선을 더욱 구비하는 (3)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6)
상기 에러 정보는, 오류 정정 부호 단위로 전송하거나, 또는 가변 길이 패킷 단위로 전송하는 (3)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7)
상기 데이터 신호선은, 1 내지 8개가 배선되며, 배선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선의 개수에 따라 직렬 전송 또는 병렬 전송을 행하는 (1)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8)
상기 데이터 신호선은, 1 내지 8비트의 임의의 비트 폭을 갖는 (1)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9)
상기 데이터 신호선은, 가변 길이 TLV 패킷의 TLV 계열 또는 고정 길이인 TS패킷 또는 가변 길이 TLV 패킷으로부터 변환된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의 TS계열로 구성된 패킷의 선두인 헤더 부분의 동기 바이트로부터 시작하여, 순서대로 8비트의 비트 열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1)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0)
상기 동기 바이트로부터 8비트의 비트 열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2비트 병렬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출력 순으로 7비트, 5비트, 3비트, 1비트, 및 6비트, 4비트, 2비트, 0비트의 출력이 각각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1)
상기 동기 바이트로부터 8비트의 비트 열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2비트 병렬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출력순으로 1비트, 3비트, 5비트, 7비트, 및 0비트, 2비트, 4비트, 6비트의 출력이 각각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2)
상기 동기 바이트로부터 8비트의 비트 열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2비트 병렬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출력 순으로 3비트, 2비트, 1비트, 0비트, 및 7비트, 6비트, 5비트, 4비트의 출력이 각각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3)
상기 동기 바이트로부터 8비트의 비트 열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2비트 병렬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출력 순으로 0비트, 1비트, 2비트, 3비트, 및 4비트, 5비트, 6비트, 7비트의 출력이 각각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4)
상기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은, 출력 인터페이스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5)
2비트 병렬 전송을 행하는 경우, 복수개의 데이터 출력 중 2개를 출력 단자로서 할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6)
2비트 병렬 전송을 행하는 경우, 8개의 데이터 출력 중 2개를 출력 단자로서 할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7)
복수의 반송파를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복수의 반송파를 합성하는 합성부로의 입력에,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출력 중 2비트 병렬 출력으로 사용되는 출력 이외의 복수개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또는 (16)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8)
복수의 반송파를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복수의 반송파를 합성하는 합성부로의 입력에, 8개의 데이터의 출력 중 2비트 병렬 출력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출력 이외의 6개의 데이터 출력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또는 (16)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9)
복수의 반송파를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복수의 반송파를 합성하는 합성부로의 입력에, 8개의 데이터 출력 중 1비트 직렬 출력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출력 이외의 6개의 데이터 출력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또는 (16)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20)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처리부와, 디멀티플렉싱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상기 복조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사이에 배치된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동기 신호선, 상기 유효 신호선, 상기 클럭 신호선 및 상기 데이터 신호선을 사용하여, 상기 복조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사이에서, 고정 길이 패킷 및 가변 길이 패킷을 전송하는 신호 처리 방법.
61a, 6lb, 61c, 61d: 튜너
62: 복조군
63: 복조 회로
64a, 64b, 64c, 64d: 복조 처리부
65: 복수 반송파 합성 회로 및 출력 I/F
66: 처리부
67: 다중 분리부
68: 디코더

Claims (20)

  1.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처리부와, 디멀티플렉싱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상기 복조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사이에 배치된 동기(sync) 신호선, 유효(valid)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동기 신호선, 상기 유효 신호선, 상기 클럭 신호선 및 상기 데이터 신호선을 사용하여, 상기 복조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사이에서, 고정 길이 패킷 및 가변 길이 패킷을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패킷은, TLV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패킷은 TLV 패킷이며, 상기 TLV 패킷의 패킷 헤더 영역에 패킷에 에러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패킷은 TLV 패킷이며, 상기 TLV 패킷에 포함되는 패킷 타입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패킷 에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신호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보를 전송하는 에러 신호선을 더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보는, 오류 정정 부호 단위로 전송하거나, 또는 가변 길이 패킷 단위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은, 1 내지 8개가 배선되며, 배선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선의 개수에 따른 직렬 전송 또는 병렬 전송을 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은, 1 내지 8비트의 임의의 비트 폭을 갖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은, 가변 길이 TLV 패킷의 TLV 계열 또는 고정 길이인 TS 패킷 또는 가변 길이 TLV 패킷으로부터 변환된 고정 길이 TS 패킷(분할 TLV)의 TS 계열로 구성된 패킷의 선두인 헤더 부분의 동기 바이트로부터 시작하여, 순서대로 8비트의 비트 열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바이트로부터 8비트의 비트 열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2비트 병렬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출력 순으로 7비트, 5비트, 3비트, 1비트, 및 6비트, 4비트, 2비트, 0비트의 출력이 각각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바이트로부터 8비트의 비트 열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2비트 병렬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출력 순으로 1비트, 3비트, 5비트, 7비트, 및 0비트, 2비트, 4비트, 6비트의 출력이 각각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바이트로로부터 8비트의 비트 열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2비트 병렬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출력 순으로 3비트, 2비트, 1비트, 0비트, 및 7비트, 6비트, 5비트, 4비트의 출력이 각각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바이트로부터 8비트의 비트 열마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2비트 병렬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출력 순으로 0비트, 1비트, 2비트, 3비트, 및 4비트, 5비트, 6비트, 7비트의 출력이 각각 상기 데이터 신호선에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은, 출력 인터페이스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2비트 병렬 전송을 행하는 경우, 복수개의 데이터 출력 중 2개를 출력 단자로서 할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2비트 병렬 전송을 행하는 경우, 8개의 데이터 출력 중 2개를 출력 단자로서 할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송파를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반송파를 합성하는 합성부로의 입력에,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출력 중 2비트 병렬 출력으로 사용되는 출력 이외의 복수개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송파를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반송파를 합성하는 합성부로의 입력에, 8개의 데이터 출력 중 2비트 병렬 출력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출력 이외의 6개의 데이터 출력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송파를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반송파를 합성하는 합성부로의 입력에, 8개의 데이터 출력 중 1비트 직렬 출력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출력 이외의 6개의 데이터 출력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20.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처리부와, 디멀티플렉싱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상기 복조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사이에 배치된 동기 신호선, 유효 신호선, 클럭 신호선 및 데이터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동기 신호선, 상기 유효 신호선, 상기 클럭 신호선 및 상기 데이터 신호선을 사용하여, 상기 복조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사이에서, 고정 길이 패킷 및 가변 길이 패킷을 전송하는 신호 처리 방법
KR1020207018179A 2018-01-18 2018-10-15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KR102540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6380 2018-01-18
JPJP-P-2018-006380 2018-01-18
PCT/JP2018/038289 WO2019142416A1 (ja) 2018-01-18 2018-10-15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312A true KR20200110312A (ko) 2020-09-23
KR102540723B1 KR102540723B1 (ko) 2023-06-05

Family

ID=6730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179A KR102540723B1 (ko) 2018-01-18 2018-10-15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77518B2 (ko)
EP (2) EP4373103A1 (ko)
JP (1) JP7140352B2 (ko)
KR (1) KR102540723B1 (ko)
CN (1) CN111566986B (ko)
WO (1) WO2019142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1135B (zh) 2020-11-05 2021-09-2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驱动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5261U (ko) 1974-10-01 1976-04-03
US6958827B1 (en) * 1999-10-06 2005-10-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80209091A1 (en) * 2004-01-19 2008-08-28 Sriskanthan Nadarajah Interface Device
US20090046784A1 (en) * 2007-08-16 2009-02-19 Nobunari Tsukamoto Differential signal output device
JP2012209675A (ja) 2011-03-29 2012-10-25 Nippon Hoso Kyokai <Nhk>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20150131746A1 (en) * 2012-05-28 2015-05-14 Sony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160191276A1 (en) * 2014-12-25 2016-06-30 Fujitsu Limite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WO2016199603A1 (ja) * 2015-06-11 2016-12-1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70118317A1 (en) * 2014-06-24 2017-04-27 Socionext Inc. Interface device and receiver including the same
US20180006747A1 (en) * 2015-03-17 2018-01-04 Kabushiki Kaisha Toshiba Transmitting system, transmission slo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slot genera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5261B2 (ko) 1972-06-21 1976-12-02
US7069464B2 (en) 2001-11-21 2006-06-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Hybrid parallel/serial bus interface
JP4882269B2 (ja) * 2005-04-22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多重化装置および多重化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1531910B1 (ko) * 2007-07-02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방송신호 처리방법
US20100110305A1 (en) * 2008-11-06 2010-05-06 Softas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Broadcasting Signal Standards in a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System
JP5145261B2 (ja) 2009-01-28 2013-02-13 日本放送協会 デジタル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データ受信装置
US8499325B2 (en) * 2009-10-27 2013-07-3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xed transport interface between demodulators (DEMODS) and set-top box (STB) system-on-chips (SoCs)
JP5973746B2 (ja) * 2012-02-24 2016-08-23 日本放送協会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WO2016117283A1 (ja) * 2015-01-22 2016-07-28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分割データの送受信システム
US20180167663A1 (en) * 2015-06-11 2018-06-14 Sony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5261U (ko) 1974-10-01 1976-04-03
US6958827B1 (en) * 1999-10-06 2005-10-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80209091A1 (en) * 2004-01-19 2008-08-28 Sriskanthan Nadarajah Interface Device
US20090046784A1 (en) * 2007-08-16 2009-02-19 Nobunari Tsukamoto Differential signal output device
JP2012209675A (ja) 2011-03-29 2012-10-25 Nippon Hoso Kyokai <Nhk>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20150131746A1 (en) * 2012-05-28 2015-05-14 Sony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170118317A1 (en) * 2014-06-24 2017-04-27 Socionext Inc. Interface device and receiver including the same
US20160191276A1 (en) * 2014-12-25 2016-06-30 Fujitsu Limite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US20180006747A1 (en) * 2015-03-17 2018-01-04 Kabushiki Kaisha Toshiba Transmitting system, transmission slo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slot generating method
WO2016199603A1 (ja) * 2015-06-11 2016-12-1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NHK 기술연구소 R&D No.157 2016년 5월,"8K 케이블 TV 전송의 실현을 위한 복수 반송파 전송 방식"
비특허문헌 2: NHK 기술연구소 R&D No.152 2015년 8월,"8K 슈퍼 하이비전의 전송 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723B1 (ko) 2023-06-05
EP4373103A1 (en) 2024-05-22
CN111566986A (zh) 2020-08-21
CN111566986B (zh) 2023-10-20
JPWO2019142416A1 (ja) 2021-01-28
WO2019142416A1 (ja) 2019-07-25
US20200351546A1 (en) 2020-11-05
EP3742660A1 (en) 2020-11-25
EP3742660A4 (en) 2021-03-10
JP7140352B2 (ja) 2022-09-21
US11477518B2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51115B (zh) 提高接收性能的数字广播发送和/或接收系统及其信号处理方法
US8774286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eiving system
US20060126757A1 (en) Enhanced VSB transmitter and receiver
KR0162603B1 (ko) 직각위상 화상 반송파에 디지탈 신호를 가진 엔티에스씨 텔레비젼 신호 처리 장치
US11233527B2 (en) Wireless transport framework with uncoded transport tunneling
JP4848313B2 (ja) 信号多重装置
JP4039373B2 (ja) ワイヤレス送受信システム
KR102540723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JP2010177858A (ja) デジタル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データ受信装置
EP22130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20100329228A1 (en) Digital broadcast retransmission system, digital broadcast retransmission method, packet converting apparatus, and frequency converting apparatus
US117293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over analog video transmission over a single coaxial cable
CN103237253B (zh) 兼容多种音视频信号接口并具有待机模式的dvb-s机顶盒
Uehara Application of MPEG-2 systems to terrestrial ISDB (ISDB-T)
Hakamada et al. An UHDTV cable television distribution in combinations of multiple 64 and 256 QAM channels
JP4356471B2 (ja) 無線カメラ装置
US7555066B2 (en) E8-VSB reception system
KR102663341B1 (ko)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N211959414U (zh) 高清机顶盒
KR10071796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다중 표준 디코딩 및 고속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런트 엔드 장치 및인터페이스 방법
JP2005229467A (ja) 無線受信装置
WO2020026558A1 (ja) 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JP2022135189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20060004453A (ko) 디지털 방송 전송 방식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8034A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고속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한nim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