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474A -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9474A KR20200109474A KR1020190028546A KR20190028546A KR20200109474A KR 20200109474 A KR20200109474 A KR 20200109474A KR 1020190028546 A KR1020190028546 A KR 1020190028546A KR 20190028546 A KR20190028546 A KR 20190028546A KR 20200109474 A KR20200109474 A KR 202001094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 wall
- building
- seismic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3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extending completely through the cover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건물 외벽 내부에 정착된 앵커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외부마감재 외측면의 수용홈에 수용함으로써, 외부마감재를 건물 외벽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건물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지진 등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는 건물 외벽에 시공되는 외부마감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외벽에 천공 형성되는 삽입홀의 내부에 정착되는 앵커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일단은 앵커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마감재에 형성된 관통홀 내에 위치하는 앵커로드; 및 상기 앵커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마감재의 관통홀과 연통되어 외부마감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는 헤드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는 건물 외벽에 시공되는 외부마감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외벽에 천공 형성되는 삽입홀의 내부에 정착되는 앵커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일단은 앵커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마감재에 형성된 관통홀 내에 위치하는 앵커로드; 및 상기 앵커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마감재의 관통홀과 연통되어 외부마감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는 헤드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단이 건물 외벽 내부에 정착된 앵커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외부마감재 외측면의 수용홈에 수용함으로써, 외부마감재를 건물 외벽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건물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지진 등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건물 외벽에는 치장벽돌이나 석재 패널 등의 외부마감재가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외부마감재는 일반적으로 브래킷에 의해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데, 최근 지진 발생 등으로 인해 외부마감재가 탈락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외부마감재를 건물 외벽에 고정하는 기술이 사용되었다(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3265호 등).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외부마감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외부마감재 고정용 앵커에서, 앵커 볼트의 헤드 또는 이에 고정되는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 중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고 외관이 안 좋은 단점이 있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417711호에서와 같이, 앵커 단부를 조적벽돌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앵커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에서는 앵커가 조적벽돌의 통공 내측 벽에 쐐기부와 접착제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그러므로 지진 등으로 인해 반복하중이 발생하면, 통공 측벽의 접착면이 손상되면서 앵커가 조적벽돌의 통공으로부터 뽑혀 조적벽돌이 탈락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장벽돌 등의 외부마감재를 건물 외벽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외부마감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진의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건물 외관을 해치지 않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시공되는 외부마감재를 고정하기 위한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에 관한 것으로, 건물 외벽에 천공 형성되는 삽입홀의 내부에 정착되는 앵커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일단은 앵커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마감재에 형성된 관통홀 내에 위치하는 앵커로드; 및 상기 앵커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마감재의 관통홀과 연통되어 외부마감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는 헤드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는 상기 앵커로드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롱너트 및 상기 롱너트가 결합되는 원형의 단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단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캡의 단부판 내측에는 링 형상의 내진고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전단캡의 단부판 내측 외곽에는 원통형의 측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전단캡의 측벽 내측 단부에는 상기 외부마감재 측으로 연장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장지지부는 복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전단캡의 내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장지지부는 일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전단캡은 롱너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앵커로드의 측면에는 앵커로드의 축 방향으로 유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외부마감재와 건물 외벽을 천공하여 각각 관통홀과 삽입홀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외부마감재의 외측면에 관통홀과 연통되는 것으로 지름이 확대된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삽입홀의 내부에 앵커체를 삽입하여 정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통홀 및 삽입홀에 내진 앵커의 앵커로드를 삽입하여 앵커로드의 일단을 앵커체에 결합하되, 상기 내진 앵커의 헤드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는 상기 앵커로드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롱너트 및 상기 롱너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원형의 단부판 내측에 원통형의 측벽이 구비되어 외부마감재 측이 개방된 전단캡으로 구성되어, 상기 (c) 단계에서, 외측 단부에 롱너트가 결합된 앵커로드가 앵커체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홀에 케미컬 약액이 주입된 후 롱너트의 외측 단부에 전단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물 외벽에 정착된 앵커체에 일단이 결합되는 앵커로드의 타단에 헤드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가 외부마감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어 수용홈을 폐쇄 가능한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 앵커가 돌출되지 않아 건물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앵커를 구성하는 헤드부가 외부마감재의 수용홈 내측에 걸려 지지되므로 외부마감재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둘째, 원통 형상의 전단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부의 전단캡 내부에 내진고무링이 구비되는 경우, 내진고무링이 전단캡과 수용홈의 저면 사이에서 지진 등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진동이나 충격이 외부마감재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외부마감재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마감재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헤드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외부마감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와 외부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9는 전단캡에 연장지지부가 형성된 헤드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전단캡의 연장지지부와 외부마감재의 링홈 간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장지지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장지지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분리형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분리형 헤드부와 외부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유로홈이 형성된 앵커로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헤드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외부마감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와 외부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9는 전단캡에 연장지지부가 형성된 헤드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전단캡의 연장지지부와 외부마감재의 링홈 간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장지지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장지지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분리형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분리형 헤드부와 외부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유로홈이 형성된 앵커로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는 건물 외벽(1)에 시공되는 외부마감재(2)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외벽(1)에 천공 형성되는 삽입홀(11)의 내부에 정착되는 앵커체(5); 상기 삽입홀(11)에 삽입되어 일단은 앵커체(5)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마감재(2)에 형성된 관통홀(21) 내에 위치하는 앵커로드(6); 및 상기 앵커로드(6)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마감재(2)의 관통홀(21)과 연통되어 외부마감재(2)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홈(22)에 수용되는 헤드부(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외벽(1)에 시공되는 치장벽돌 등 외부마감재(2)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진 발생시 외부마감재(2)의 탈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진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건물 외관을 해치지 않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건물 외벽(1)은 콘크리트 벽, 시멘트벽돌 벽 등일 수 있다.
상기 외부마감재(2)는 치장벽돌, 석재 패널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건물 외벽(1)과 외부마감재(2) 사이에는 단열재(3)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4)는 앵커체(5), 앵커로드(6) 및 헤드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앵커체(5)는 건물 외벽(1)에 천공 형성되는 삽입홀(11)의 내부에 정착된다.
상기 앵커체(5)는 스트롱 앵커 등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스트롱 앵커는 삽입홀(11) 내에 삽입한 후 앵커 펀치 등으로 타격하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삽입홀(11)의 내부에 정착 가능하다.
상기 앵커로드(6)는 삽입홀(11)에 삽입되어 일단은 앵커체(5)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마감재(2)에 형성된 관통홀(21) 내에 위치된다.
상기 앵커로드(6)는 외부마감재(2)의 하중을 건물 외벽(1)에 정착된 앵커체(5)에 전달하여 지지한다.
상기 앵커로드(6)는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앵커체(5)에 나사 결합 가능하다.
상기 관통홀(21)은 앵커로드(6)의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삽입홀(1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헤드부(7)는 앵커로드(6)의 타단에 결합된다.
상기 헤드부(7)는 상기 외부마감재(2)의 관통홀(21)과 연통되어 외부마감재(2)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홈(22)에 수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헤드부(7)는 외부마감재(2)의 수용홈(2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수용홈(22)은 코어링에 의해 형성 가능한 것으로, 원형으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헤드부(7) 역시 수용홈(22)의 형상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7)는 수용홈(22)에 수용되어 수용홈(22)을 폐쇄하므로, 내진 앵커(4)가 외부마감재(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헤드부(7)가 외부마감재(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수용홈(22)에 걸려 지지되므로,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외부마감재(2)가 탈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즉, 기존 앵커 볼트는 외부의 너트와 외부마감재의 접촉 면에서 마찰 접합에 의해 전단력을 지지하였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헤드부(7)가 외부마감재(2)에 형성된 수용홈(22)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헤드부(7)와 수용홈(22) 저면의 마찰 접합뿐 아니라 헤드부(7)의 측면 자체가 수용홈(22)에 걸려 안정적으로 전단력을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앵커 볼트의 외부 노출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헤드부(7)는 확대된 지압면적에 의해 전단저항성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앵커의 설치 개소를 줄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는 신설되는 외부마감재(2)뿐 아니라 기존 외부마감재(2)를 보강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7)는 상기 앵커로드(6)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롱너트(71) 및 상기 롱너트(71)가 결합되는 원형의 단부판(7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단캡(7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캡(72)의 단부판(721) 내측에는 링 형상의 내진고무링(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롱너트(71)는 앵커로드(6)의 타단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앵커로드(6)는 롱너트(71)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 후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단캡(72)은 내진고무링(7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형의 단부판(7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부판(721)에는 앵커로드(6)의 결합을 위한 롱너트(71)가 결합된다.
상기 롱너트(71)는 단부판(721)의 중앙에 결합 가능하다.
상기 전단캡(72)은 수용홈(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마감재(2)에 고정되므로, 수용홈(22)의 저면과 마찰 지지되는 면적이 크지 않아도 충분히 전단력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롱너트(71)는 전단캡(72)의 내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상기 전단캡(72)의 단부판(721) 내측에는 링 형상의 내진고무링(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진고무링(73)은 전단캡(72)과 수용홈(22)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어 지진 발생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한다.
이에 따라 외부 진동이나 충격이 외부마감재(2)에 전달되지 않으며, 외부마감재(2) 자체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마감재(2)가 외벽(1)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상기 내진고무링(73)은 외부마감재(2)를 앵커에 지지하면서도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하므로, 경질의 탄성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내진고무링(73)은 쇼어 경도 50~90 범위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진고무링(73)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등의 소재로 구성 가능하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헤드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외부마감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와 외부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캡(72)의 단부판(721) 내측 외곽에는 원통형의 측벽(7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단캡(72)은 원형의 단부판(721) 내측에 원통형의 측벽(722)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외부마감재(2) 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측벽(722)은 외부마감재(2)의 수용홈(22) 저면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단캡(72)은 수용홈(22)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마감재(2)에 고정되므로, 수용홈(22)의 저면과 마찰 지지되는 면적이 크지 않아도 충분히 전단력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진고무링(73)은 신축에 의해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전단캡(72)의 측판이 수용홈(22)의 저면에 지지될 경우 내진고무링(73)에 의한 진동 흡수가 곤란하다.
따라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수용홈(22)의 외곽에 수용홈(22)에서 연장되는 링홈(23)을 형성하여, 전단캡(72) 측판의 앵커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전단캡에 연장지지부가 형성된 헤드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전단캡의 연장지지부와 외부마감재의 링홈 간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캡(72)의 측벽(722) 내측 단부에는 상기 외부마감재(2) 측으로 연장지지부(72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단캡(72)의 측벽(722) 단부를 내진고무링(73)의 두께보다 연장시켜 연장지지부(723)를 형성하면, 연장지지부(723)가 외부마감재(2)의 수용홈(22) 외측에 연장 형성된 링홈(23)에 삽입 가능하다.
이 경우 내진 앵커(4)의 헤드부(7)를 외부마감재(2)와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장지지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지지부(723)는 복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전단캡(72)의 내측 단부에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지지부(723)는 도 9과 같이 전단캡(72)의 단부에서 연장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장지지부(723)는 도 11과 같이 원통 형상인 전단캡(72) 단부의 연장된 부분을 절취하여 복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연장지지부(723)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므로, 하중 작용시 상대적으로 연장지지부(723)의 변형이 용이하다.
상기 연장지지부(723)는 외부마감재(2)의 폭이 좁은 링홈(23)에 삽입되므로, 사용 중 하중에 대해서는 링홈(23) 내부에서 변형 없이 앵커 볼트의 응력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다가 지진 등 큰 하중 발생시에는 연장지지부(723)에서 원주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면서 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다.
즉, 하중이 적은 범위 내에서는 내진고무링(73)이 진동을 흡수하고, 하중이 더욱 커져 변형이 커지면 연장지지부(723)가 링홈(23)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연장지지부(723)의 변형에 의해 추가로 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내진 이력 거동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장지지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지지부(723)는 일측을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연장지지부(723)를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경사면을 활용하여 헤드부(7)의 체결 방향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또한, 반대 방향으로는 헤드부(7)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헤드부(7)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분리형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분리형 헤드부와 외부마감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캡(72)은 롱너트(7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통상 상기 앵커체(5)의 설치와 앵커로드(6)의 삽입을 위해 외벽(1)과 외부마감재(2)에 각각 천공 형성되는 삽입홀(11)과 관통홀(21)의 지름은 앵커로드(6)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에 앵커로드(6)와 삽입홀(11) 또는 관통홀(21) 사이에는 소정이 유격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앵커의 축력은 앵커체(5)의 정착력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지지력에 한계가 있고, 앵커로드(6)와 삽입홀(11) 또는 관통홀(21) 사이 유격으로 인해 횡하중에 대해 외부마감재(2)와 외벽(1)을 일체화할 수 없다.
따라서 앵커로드(6)의 시공 후 삽입홀(11) 내부에 에폭시 수지 등 케미컬 약액(8)을 주입한다(도 1, 도 3 등 참조).
그런데 상기 헤드부(7)를 앵커로드(6)에 고정시키면, 전단캡(72)의 간섭으로 인해 삽입홀(11) 내부에 케미컬 약액(8)을 주입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7)를 앵커로드(6)와 분리하여 나중 설치하면, 앵커로드(6)를 회전시켜 앵커체(5)에 결합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7)의 전단캡(72)과 롱너트(71)를 분리 구성하여, 롱너트(71)를 앵커로드(6)에 먼저 고정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때, 상기 롱너트(71)의 지름을 관통홀(2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여 관통홀(21) 내부에 롱너트(71)를 삽입하고, 롱너트(71)와 관통홀(21) 사이 공간으로 케미컬 약액(8)을 주입 가능하다.
상기 케미컬 약액(8)의 주입을 완료한 후에는 롱너트(71)에 전단캡(72) 및 내진고무링(73)을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 중 케미컬 약액(8)의 재주입이나 내진고무링(73)의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단캡(72)을 분리하여 이들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단캡(72)의 단부판(721) 중앙에 결합볼트(724)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결합볼트(724)가 롱너트(71)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진고무링(73)은 전단캡(72)과 수용홈(22) 저면 사이에서 와셔 역할을 하여 전단캡(72)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는 유로홈이 형성된 앵커로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로드(6)의 측면에는 앵커로드(6)의 축 방향으로 유로홈(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롱너트(71)와 관통홀(21) 사이 유격이 작은 경우에는 롱너트(71)와 관통홀(21) 사이 공간으로 케미컬 약액(8)을 주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앵커로드(6)의 측면에 앵커로드(6)의 축 방향으로 유로홈(61)을 형성하면, 유로홈(61)을 통해 케미컬 약액(8)을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유로홈(61)은 앵커로드(6)의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로홈(61)은 케미컬 약액(8)의 주입을 위한 주입관이 관통홀(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즉 롱너트(71)가 결합되는 부분보다 약간 긴 정도로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5 등을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시공 방법에서는 먼저 (a) 외부마감재(2)와 건물 외벽(1)을 천공하여 각각 관통홀(21)과 삽입홀(1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외부마감재(2)의 외측면에 관통홀(21)과 연통되는 것으로 지름이 확대된 수용홈(22)을 형성한다.
상기 관통홀(21)과 삽입홀(11)의 지름은 앵커로드(6)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천공한다.
상기 관통홀(21)과 삽입홀(11)을 천공한 후에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수용홈(22)은 내진 앵커(4)의 헤드부(7)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때, 약간의 유격은 허용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헤드부(7)를 롱너트(71), 전단캡(72) 및 내진고무링(73)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단캡(72)의 측벽(722)이 삽입되어 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수용홈(22)의 외곽에 링홈(23)을 추가로 형성한다.
이미 설치된 외부마감재(2)를 보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마감재(2)와 외벽(1)을 한 번에 천공하여 관통홀(21)과 삽입홀(11)을 형성할 수 있다.
신설 구조물은 내진 앵커(4)가 고정될 부분에 미리 관통홀(21)과 수용홈(22) 형성한 후 외부마감재(2)를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b) 상기 삽입홀(11)의 내부에 앵커체(5)를 삽입하여 정착한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앵커체(5)를 삽입홀(11)의 내부에 삽입한 후 타격에 의해 앵커체(5)의 쐐기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앵커체(5)를 삽입홀(11) 내에 견고하게 정착한다.
그리고 (c) 상기 관통홀(21) 및 삽입홀(11)에 내진 앵커(4)의 앵커로드(6)를 삽입하여 앵커로드(6)의 일단을 앵커체(5)에 결합하되, 상기 내진 앵커(4)의 헤드부(7)가 상기 수용홈(22)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앵커로드(6)는 헤드부(7)가 사전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앵커로드(6)만 먼져 시공한 후 나중에 헤드부(7)를 결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7)는 수용홈(22)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하여 수용홈(22) 내부에 수용한다.
이에 일반적인 렌치와 같은 공구로는 회전이 곤란하므로, 전단캡(72)을 구성하는 단부판(721) 외측면에 렌치 홈이나 드라이버 홈을 형성하여 전동 공구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자석이 내장된 헤드부 조임용 소켓(미도시)을 전동공구에 부착하여 헤드부(7)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전단캡(72)은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헤드부(7)는 상기 앵커로드(6)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롱너트(71) 및 상기 롱너트(7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원형의 단부판(721) 내측에 원통형의 측벽(722)이 구비되어 외부마감재(2) 측이 개방된 전단캡(72)으로 구성되어, 상기 (c) 단계에서, 외측 단부에 롱너트(71)가 결합된 앵커로드(6)가 앵커체(5)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홀(11)에 케미컬 약액(8)이 주입된 후 롱너트(71)의 외측 단부에 전단캡(72)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앵커로드(6)의 시공 후 삽입홀(11) 내부에 에폭시 수지 등의 케미컬 약액(8)을 쉽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7)의 전단캡(72)과 롱너트(71)를 분리 구성한 후 상기 (c) 단계에서 케미컬 약액(8) 주입 후 전단캡(72)을 나중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케미컬 약액(8)의 주입에 의하여 앵커로드(6)가 전체 길이에 걸쳐 삽입홀(11)에 접착되므로, 인발 저항성을 향상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진 발생시 외벽(1), 내진 앵커(4) 및 외부마감재(2)의 일체 거동이 가능하다.
상기 케미컬 약액(8)은 외벽(1)의 삽입홀(11)에만 주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앵커로드(6)가 외벽(1) 내부에 완전히 고정된다.
반면, 상기 외부마감재(2)는 앵커로드(6)와 상대적 변위를 허용하여 내진고무링(73)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외부마감재(2)의 관통홀(21)에는 케미컬 약액(8)이 주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 건물 외벽
11: 삽입홀
2: 외부마감재 21: 관통홀
22: 수용홈 23: 링홈
3: 단열재 4: 내진 앵커
5: 앵커체 6: 앵커로드
61: 유로홈 7: 헤드부
71: 롱너트 72: 전단캡
721: 단부판 722: 측벽
723: 연장지지부 724: 결합볼트
73: 내진고무링 8: 케미컬 약액
2: 외부마감재 21: 관통홀
22: 수용홈 23: 링홈
3: 단열재 4: 내진 앵커
5: 앵커체 6: 앵커로드
61: 유로홈 7: 헤드부
71: 롱너트 72: 전단캡
721: 단부판 722: 측벽
723: 연장지지부 724: 결합볼트
73: 내진고무링 8: 케미컬 약액
Claims (10)
- 건물 외벽(1)에 시공되는 외부마감재(2)를 고정하기 위한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4)에 관한 것으로,
건물 외벽(1)에 천공 형성되는 삽입홀(11)의 내부에 정착되는 앵커체(5);
상기 삽입홀(11)에 삽입되어 일단은 앵커체(5)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마감재(2)에 형성된 관통홀(21) 내에 위치하는 앵커로드(6); 및
상기 앵커로드(6)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마감재(2)의 관통홀(21)과 연통되어 외부마감재(2)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홈(22)에 수용되는 헤드부(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 제1항에서,
상기 헤드부(7)는 상기 앵커로드(6)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롱너트(71) 및 상기 롱너트(71)가 결합되는 원형의 단부판(7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단캡(7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캡(72)의 단부판(721) 내측에는 링 형상의 내진고무링(7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 제2항에서,
상기 전단캡(72)의 단부판(721) 내측 외곽에는 원통형의 측벽(7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 제3항에서,
상기 전단캡(72)의 측벽(722) 내측 단부에는 상기 외부마감재(2) 측으로 연장지지부(723)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 제4항에서,
상기 연장지지부(723)는 복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전단캡(72)의 내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 제5항에서,
상기 연장지지부(723)는 일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 제2항에서,
상기 전단캡(72)은 롱너트(7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 제1항에서,
상기 앵커로드(6)의 측면에는 앵커로드(6)의 축 방향으로 유로홈(6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 제1항에 의한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외부마감재(2)와 건물 외벽(1)을 천공하여 각각 관통홀(21)과 삽입홀(1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외부마감재(2)의 외측면에 관통홀(21)과 연통되는 것으로 지름이 확대된 수용홈(22)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삽입홀(11)의 내부에 앵커체(5)를 삽입하여 정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통홀(21) 및 삽입홀(11)에 내진 앵커(4)의 앵커로드(6)를 삽입하여 앵커로드(6)의 일단을 앵커체(5)에 결합하되, 상기 내진 앵커(4)의 헤드부(7)가 상기 수용홈(22)에 수용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시공 방법.
- 제9항에서,
상기 헤드부(7)는 상기 앵커로드(6)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롱너트(71) 및 상기 롱너트(7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원형의 단부판(721) 내측에 원통형의 측벽(722)이 구비되어 외부마감재(2) 측이 개방된 전단캡(72)으로 구성되어,
상기 (c) 단계에서, 외측 단부에 롱너트(71)가 결합된 앵커로드(6)가 앵커체(5)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홀(11)에 케미컬 약액(8)이 주입된 후 롱너트(71)의 외측 단부에 전단캡(7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8546A KR102216446B1 (ko) | 2019-03-13 | 2019-03-13 |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8546A KR102216446B1 (ko) | 2019-03-13 | 2019-03-13 |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9474A true KR20200109474A (ko) | 2020-09-23 |
KR102216446B1 KR102216446B1 (ko) | 2021-02-16 |
Family
ID=7270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8546A KR102216446B1 (ko) | 2019-03-13 | 2019-03-13 |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644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34849U (ko) * | 1995-04-26 | 1996-11-21 | 정규성 |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강판 접착용 앵커볼트 고정장치 |
KR20170111347A (ko) * | 2016-03-28 | 2017-10-12 | 이승원 | 마감재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용 마감재 고정구조 |
KR101896867B1 (ko) * | 2018-03-12 | 2018-09-07 | 신동원 | 방진부를 구비한 앵커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
KR101896987B1 (ko) * | 2018-02-13 | 2018-09-10 | 정정순 | 건축물 내장 또는 외장 마감재 고정장치 |
-
2019
- 2019-03-13 KR KR1020190028546A patent/KR1022164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34849U (ko) * | 1995-04-26 | 1996-11-21 | 정규성 |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강판 접착용 앵커볼트 고정장치 |
KR20170111347A (ko) * | 2016-03-28 | 2017-10-12 | 이승원 | 마감재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용 마감재 고정구조 |
KR101896987B1 (ko) * | 2018-02-13 | 2018-09-10 | 정정순 | 건축물 내장 또는 외장 마감재 고정장치 |
KR101896867B1 (ko) * | 2018-03-12 | 2018-09-07 | 신동원 | 방진부를 구비한 앵커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6446B1 (ko) | 2021-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93400B1 (en) | Concrete insert for poured concrete floors | |
RU2395015C2 (ru) | Дистанцирующий держате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предмета на имеющем изоляционный слой основании | |
US5085026A (en) | Conical seismic anchor and drill bit for use with unreinforced masonry structures | |
KR100923587B1 (ko) | 마이크로 파일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 |
KR20030051002A (ko) | 그라운드 앵커 | |
CA2908945A1 (en) | Anchoring system | |
JP2008267136A (ja) | せん断抵抗型定着用ディスク | |
KR101600679B1 (ko) | 전단 소켓 앵커 | |
KR101896867B1 (ko) | 방진부를 구비한 앵커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 |
KR102368708B1 (ko) | 조적 보강 시공방법과 그 조적보강을 위한 내진 보강구 | |
JP2007332555A (ja) |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 |
JP4642042B2 (ja) | アンカーナット用スリーブ | |
KR102216446B1 (ko) |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 |
CA2873843A1 (en) | Unitary, strike, drop-in anchor for concrete and the like | |
JP2008231869A (ja) | 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 |
KR102047695B1 (ko) | 방진패드를 구비한 선 매립형 소켓앵커 조립체 및 그의 시공방법 | |
RU2274772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ания предмета на объекте и способ его закрепления на объекте | |
JPH10197427A (ja) | アンカーとコンクリートとの剪断方向支持能力検定機 | |
JP2005105768A (ja) | せん断抵抗型定着装置 | |
EP3315690B1 (en) | A floor support structure | |
KR101549394B1 (ko) | 충전형 앵커 소켓 | |
JP2011042975A (ja) |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これを用いた耐震補強構造、耐震補強方法 | |
JP4611879B2 (ja) | ブラケットの取付方法 | |
KR20060048842A (ko) |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 |
KR200422747Y1 (ko) | 앵커너트용 슬리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