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219A -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서버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219A
KR20200109219A KR1020190055879A KR20190055879A KR20200109219A KR 20200109219 A KR20200109219 A KR 20200109219A KR 1020190055879 A KR1020190055879 A KR 1020190055879A KR 20190055879 A KR20190055879 A KR 20190055879A KR 20200109219 A KR20200109219 A KR 20200109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content
information
public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환
이현수
백현진
이주철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200109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용 단말은 홈쇼핑 서버로부터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홈쇼핑 서비스 정보 수신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증강현실 안내 정보 표시부,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해 선택받은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증상현실 서비스 정보 수신부 및 수신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고, 공용 단말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가 스캔되는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서버{DEVICE AND SERVER FOR PROV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본 발명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현실세계에 가상의 객체 및 정보 기술을 혼합하여 실제 상황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실감나게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된 가상 피팅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의 현실 세계 정보에 제품의 가상 이미지를 결합하여 마치 실제로 옷을 입어보는 듯한 효과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시험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상 피팅 서비스는 대부분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전용 장치들을 이용하여 해당 매장 내의 제품 중 일부에 대해 적용해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접근성이나 선택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09213호 (2015.03.3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홈쇼핑 서버로부터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공용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해 선택받은 경우, 공용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용 단말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가 스캔되면, 증강현실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용 단말은 홈쇼핑 서버로부터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홈쇼핑 서비스 정보 수신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증강현실 안내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해 선택받은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증상현실 서비스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용 단말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스캔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공용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선택받은 경우, 상기 공용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 수행부;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공용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하는 스캔부; 및 상기 스캔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는 홈쇼핑 서버에서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공용 단말이 표시한 정보이고,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는 상기 공용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공용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공용 단말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받는 수신부; 및 상기 공용 단말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는 홈쇼핑 서버에서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된 정보이고,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공용 단말에서 실행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공용 단말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스캔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홈쇼핑 서버로부터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공용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해 선택받은 경우, 공용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용 단말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가 스캔되면, 증강현실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면서 홈쇼핑 방송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증강현실 서비스(예컨대, 사용자에게 홈쇼핑 의류 상품을 피팅하거나 사용자가 위치한 실제 공간에 홈쇼핑 판매 상품을 자동 배치하는 서비스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공용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공용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용 단말(100), 컨텐츠 제공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용 단말(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홈쇼핑 서비스 및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용 단말(100)은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20)과 연동하여 홈쇼핑 서비스 및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용 단말(100)은 홈쇼핑 서버로부터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 1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홈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공용 단말(10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 단말(100)은 예를 들면, 인공지능 음성인식 디바이스, 셋톱 박스 (set-top box), 미디어 플레이 디바이스, OTT(over the top) 디바이스, VOD(video on demand) 장치, 스마트 TV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용 단말(100)은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용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용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공용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공용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해 선택받은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용 단말(100)로부터 요청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공용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공용 단말(100)은 수신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고, 페어링된 공용 단말(100)과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홈쇼핑 서비스 및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20)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한 경우, 공용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거하고, 사용자 단말(120)은 공용 단말(100)에서 제거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공용 단말(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용 단말(100)은 홈쇼핑 서비스 정보 수신부(200),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 증강현실 안내 정보 표시부(220), 정보 요청부(230),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 수신부(240) 및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공용 단말(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e와 함께 도 2를 설명하기로 한다.
홈쇼핑 서비스 정보 수신부(200)는 홈쇼핑 서버로부터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쇼핑 서비스 정보 수신부(200)는 홈쇼핑 서버로부터 홈쇼핑 방송 컨텐츠의 동영상 정보 및 판매/상품 정보와, 홈쇼핑 방송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예컨대, 홈쇼핑 서버에서 관리하는 상품 코드)를 포함하는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는 홈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공용 단말(100)에서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홈쇼핑 서버로부터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홈쇼핑 서버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템플릿 영역에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화면의 제 1 템플릿 영역(301)에 홈쇼핑 방송 컨텐츠의 동영상을 표시하고, 화면의 제 2 템플릿 영역(303)에 홈쇼핑 방송 컨텐츠의 판매 정보 및 주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요청부(230)는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증강현실 안내 정보 표시부(220)는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증강현실 안내 정보 표시부(22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함을 확인한 경우, 공용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증강현실 안내 정보(305)를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 안내 정보(305)는 홈쇼핑 방송 컨텐츠의 동영상이 출력되는 제 1 템플릿 영역(301)의 일 영역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 안내 정보(305)는 증강현실의 체험 안내 정보(예컨대, 'AR 쇼룸 방송중인 상품을 직접 체험해 보세요!') 및 증강현실의 체험을 위해 사용자가 다음 단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안내 정보(예컨대, '리모컨의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요청부(230)는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해 선택받은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공용 단말(10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305)에 대하여 리모컨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확인 버튼'을 입력받은 경우, 정보 요청부(23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 수신부(24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컨대, 증강현실 컨텐츠의 상품 이미지 정보 등) 및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을 공용 단말(100)에서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0)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제공되는 제 3 템플릿 영역(307)에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초기 화면(예컨대, '스마트한 홈쇼핑 도우미 AR 쇼룸'의 문구가 표시된 초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템플릿 영역(307)은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에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홈쇼핑 방송 컨텐츠의 동영상이 출력되는 제 1 템플릿 영역(301)의 일 영역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화면에 표시되면, 공용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20) 간에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용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20)과의 페어링이 완료되면, 공용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사용자 단말(120)과의 페어링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2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공용 단말(100)과의 페어링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0)는 공용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20) 간에 페어링이 수행됨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를 참조하면,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공용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 3 템플릿 영역(307)에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AR 쇼룸 진입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AR 쇼룸 진입 화면에는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로의 진입 방법을 설명하는 정보(예컨대, 사용자 단말(120)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방법 및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의 진입 안내 정보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R 쇼룸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AR 쇼룸 서비스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20)이 AR 쇼룸 서비스의 진입 완료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전송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용 단말(100)에게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AR 쇼룸 서비스의 진입 완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20)의 AR 쇼룸 서비스로의 진입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 3 템플릿 영역(307)에 증강현실 컨텐츠(309)를 포함하는 AR 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3 템플릿 영역(307)에 표시된 AR 카드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20)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309)를 스캔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 및 증강현실 컨텐츠(309)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309)를 스캔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가 스캔된 경우,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공용 단말(100)에서 제거된 증강현실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 및 3e를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컨텐츠(309)를 스캔한 후, 스캔된 증강현실 컨텐츠(309)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스캔된 증강현실 컨텐츠(309)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309)의 제거 명령을 공용 단말(100)에게 전송하고, 공용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309)를 화면에서 제거할 수 있다.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2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309)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309)를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120)은 증강현실 컨텐츠(309)에 대한 체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309)를 스캔한 경우,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309)는 페이드아웃(Fade-out)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화면에서 제거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120)에 표시될 증강현실 컨텐츠(309)는 페이드인(Fade-in)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2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증강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받은 경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품에 대한 구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홈쇼핑 서비스 정보 수신부(200),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 증강현실 안내 정보 표시부(220), 정보 요청부(230),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 수신부(240) 및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단말(10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공용 단말(100)은 홈쇼핑 서버로부터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공용 단말(10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공용 단말(10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공용 단말(100)은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공용 단말(100)은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해 선택받은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공용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공용 단말(100)은 수신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1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 서버(110)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수신부(500) 및 전송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부(500)는 공용 단말(100)로부터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예컨대, 홈쇼핑 서버에서 관리하는 상품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홈쇼핑 서비스 정보는 공용 단말(100)이 홈쇼핑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로서, 예를 들면, 홈쇼핑 방송 컨텐츠의 동영상 정보 및 판매/상품 정보와, 홈쇼핑 방송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500)는 공용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송부(510)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용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부(510)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검색되는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1값을 공용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전송부(510)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2값을 공용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공용 단말(100)에는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홈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증강현실 안내 정보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용 단말(100)에 표시될 수 있다.
수신부(5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공용 단말(100)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선택된 경우, 공용 단말(100)로부터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컨대, 증강현실 컨텐츠의 상품 이미지 정보 등) 및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을 공용 단말(100)에서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510)는 공용 단말(100)에게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공용 단말(100)에서는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공용 단말(100)에서 실행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초기 화면(예컨대, '스마트한 홈쇼핑 도우미 AR 쇼룸'의 문구가 표시된 초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수신부(500)는 공용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20)과의 페어링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공용 단말(100)과의 페어링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510)는 공용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20) 간에 페어링이 수행됨에 따라 공용 단말(100)에게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공용 단말(100)에서는 공용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20) 간의 페어링 완료 메시지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AR 쇼룸 진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AR 쇼룸 진입 화면에는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로의 진입 방법을 설명하는 정보(예컨대, 사용자 단말(120)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방법 및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의 진입 안내 정보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수신부(500)는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20)이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R 쇼룸 서비스로 진입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AR 쇼룸 서비스의 진입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진입 완료 메시지를 공용 단말(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공용 단말(100)에서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120)의 AR 쇼룸 서비스로의 진입 완료 메시지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전송부(510)는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120)이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하는 경우, 증강현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500)는 사용자 단말(120)이 스캔한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5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스캔된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제거 명령을 공용 단말(100)에게 전송하고, 해당 증강현실 컨텐츠(즉, 3D 컨텐츠 상품)를 사용자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제거되고, 공용 단말(100)에서 제거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한 경우,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는 페이드아웃(Fade-out) 방식으로 제거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120)에 표시될 증강현실 컨텐츠는 페이드인(Fade-in)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신부(500) 및 전송부(51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20)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페어링 수행부(600), 스캔부(610), 컨텐츠 출력부(620) 및 구매 요청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사용자 단말(12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7e와 함께 도 6을 설명하기로 한다.
페어링 수행부(600)는 제 1 어플리케이션(홈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공용 단말(100)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선택받은 경우,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 안내 정보는 홈쇼핑 서버에서 공용 단말(100)로 전송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용 단말(100)이 표시한 정보일 수 있다. 증강현실 안내 정보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용 단말(100)에 표시되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는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공용 단말(100)이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전송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10)가 공용 단말(100)로 전송한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스캔부(610)는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공용 단말(100)을 통해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된 경우,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는 공용 단말(100)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서 공용 단말(100)로 전송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공용 단말(100)을 통해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는 공용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20) 간에 페어링이 수행됨에 따라 공용 단말(100)이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공용 단말(100)에 표시될 수 있다.
스캔부(610)는 스캔된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컨대, 증강현실 컨텐츠의 이미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3D 애니메이션 방식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부(620)는 스캔된 증강현실 컨텐츠(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이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한 경우,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는 제거되고, 컨텐츠 출력부(620)는 제거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한 경우,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는 페이드아웃(Fade-out) 방식으로 제거되는 동시에, 컨텐츠 출력부(620)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페이드인(Fade-in)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를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부(620)는 사용자 단말(12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배경 영상 위에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증강현실 컨텐츠(701)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701)는 3D 애니메이션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20)의 화면에서 도출되어 보이는 입체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부(620)는 증강현실 컨텐츠(701)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방향에 따라 결정된 증강현실 컨텐츠(701)의 관찰 위치 및 방향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컨텐츠(701)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출력부(620)는 사용자가 증강현실 컨텐츠(701)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터치 입력한 경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701)의 측면 및 후면 방향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70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부(620)는 사용자 단말(12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배경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증강현실 컨텐츠(701)가 위치하도록 증강현실 컨텐츠(701)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부(620)는 증강현실 컨텐츠(701)에 대한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따라 증강현실 컨텐츠(701)의 내부 및 소재 등을 관찰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 컨텐츠(701)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부(620)는 사용자료부터 피팅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공용 단말(100)에게 피팅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공용 단말(100)은 공용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700)의 전신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700)의 각 부위(예컨대, 어깨, 팔, 허리, 다리 위치 등)를 추정한 후, 사용자(700)의 전신 영상에 증강현실 컨텐츠(701)를 피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공용 단말(100)은 공용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700)의 손의 방향 및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700)의 손이 위치하는 제어 아이콘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컨텐츠(70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 단말(100)은 사용자(700)의 손이 제 1 제어 아이콘(702)에 위치한 경우, 제 1 제어 아이콘(702)에 설정된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컨텐츠(701)가 피팅된 사용자(700)의 전신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 단말(100)은 사용자(700)의 손이 제 2 제어 아이콘(704) 또는 제 3 제어 아이콘(706)에 위치한 경우, 제 2 제어 아이콘(704)에 설정된 확대 모드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컨텐츠(701)를 확대하거나 제 3 제어 아이콘(706)에 설정된 축소 모드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컨텐츠(701)를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 단말(100)은 사용자(700)의 손이 제 4 제어 아이콘(708)에 위치한 경우, 제 4 제어 아이콘(708)에 설정된 회전 모드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컨텐츠(7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구매 요청부(630)는 증강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입력받고,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공용 단말(100)이 상품에 대한 구매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공용 단말(100)에서 제 2 어플리케이션은 종료되고,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품에 대한 구매 처리가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페어링 수행부(600), 스캔부(610), 컨텐츠 출력부(620) 및 구매 요청부(63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1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공용 단말(100)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선택받은 경우, 공용 단말(100)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공용 단말(100)은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공용 단말(100)을 통해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된 경우,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공용 단말(100)은 스캔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0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면, 단계 S901에서 공용 단말(10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홈쇼핑 서비스 정보는 공용 단말(100)이 홈쇼핑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이다.
단계 S903에서 공용 단말(100)은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용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07에서 공용 단말(100)은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909에서 공용 단말(100)은 리모컨 컨트롤러를 통해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911에서 공용 단말(100)은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의 수신에 따라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913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용 단말(100)에게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15에서 공용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중단시키고,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917에서 공용 단말(100)은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초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919에서 공용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20) 간에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921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용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20)과의 페어링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공용 단말(100)과의 페어링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923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용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20) 간 페어링이 수행됨에 따라 공용 단말(100)에게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25에서 공용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AR 쇼룸 진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927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R 쇼룸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929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AR 쇼룸의 진입이 완료되면, AR 쇼룸의 진입 완료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31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AR 쇼룸의 진입 완료 메시지를 공용 단말(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933에서 공용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AR 쇼룸의 진입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93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할 수 있다.
단계 S937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스캔된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39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공용 단말(100)에게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제거 명령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20)에게 3D 컨텐츠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41에서 공용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제거 명령에 따라 공용 단말(100)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거하고, 사용자 단말(12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3D 컨텐츠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01 내지 S94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공용 단말
110: 컨텐츠 제공 서버
120: 사용자 단말
200: 홈쇼핑 서비스 정보 수신부
210: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220: 증강현실 안내 정보 표시부
230: 정보 요청부
240: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 수신부
250: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500: 수신부
510: 전송부
600: 페이러이 수행부
610: 스캔부
620: 컨텐츠 출력부
630: 구매 요청부

Claims (18)

  1.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용 단말에 있어서,
    홈쇼핑 서버로부터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홈쇼핑 서비스 정보 수신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수신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증강현실 안내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 정보에 대해 선택받은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증상현실 서비스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용 단말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스캔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인, 공용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청부는 상기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공용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 표시부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행 중인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공용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공용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에 페어링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인, 공용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한 경우,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거하고,
    상기 제거된 증강현실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인, 공용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한 경우,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는 페이드아웃(Fade-out) 방식으로 제거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증강현실 컨텐츠는 페이드인(Fade-in)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인, 공용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받은 경우,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처리를 수행하는 것인, 공용 단말.
  8.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공용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를 선택받은 경우, 상기 공용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 수행부;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 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공용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하는 스캔부; 및
    상기 스캔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는 홈쇼핑 서버에서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공용 단말이 표시한 정보이고,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는 상기 공용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된 것인, 사용자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공용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상기 공용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에 페어링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공용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한 경우,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는 제거되고, 상기 컨텐츠 출력부는 상기 제거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스캔한 경우,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는 페이드아웃(Fade-out) 방식으로 제거되는 동시에, 상기 컨텐츠 출력부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페이드인(Fade-in)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입력받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용 단말이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공용 단말에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은 종료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처리가 수행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5.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공용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 안내 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공용 단말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요청받는 수신부; 및
    상기 공용 단말로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는 홈쇼핑 서버에서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된 홈쇼핑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된 정보이고,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공용 단말에서 실행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공용 단말과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스캔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안내 정보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공용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에 페어링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공용 단말로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상기 공용 단말이 상기 페어링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공용 단말에 표시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공용 단말로부터 상기 홈쇼핑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공용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KR1020190055879A 2019-03-12 2019-05-13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서버 KR20200109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063 2019-03-12
KR20190028063 2019-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219A true KR20200109219A (ko) 2020-09-22

Family

ID=7270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879A KR20200109219A (ko) 2019-03-12 2019-05-13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21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634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2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3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1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213B1 (ko) 2013-04-26 2015-04-20 (주)케이.피.디 개인 구매정보 기반의 인터렉티브 미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213B1 (ko) 2013-04-26 2015-04-20 (주)케이.피.디 개인 구매정보 기반의 인터렉티브 미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634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2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3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1631A (ko) * 2022-06-27 2024-01-03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9219A (ko)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서버
US1126958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content on multiple networked devices with a simple command
JP6368033B2 (ja) 端末、サーバ、および端末制御方法
WO2019242057A1 (zh) 远程全景看房方法、装置、用户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JP2016511603A (ja) マルチユーザ制御及び共有ディスプレイに対するメディアストリーミ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1326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JP5192462B2 (ja) リモートサポート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114818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image
CN106028106A (zh) 一种电视操控方法及装置
WO20110321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interface portions on peripheral computer devices
US20170104808A1 (en) Network appliance, feature phone, network appli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network appliance
CN104135690A (zh) 基于iptv的机顶盒操控方法及系统
JP707525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10944140A (zh) 远程展示方法、远程展示系统、电子装置、存储介质
CN110928509A (zh) 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装置、存储介质、通信终端
KR102223339B1 (ko) 증강 현실 비디오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20170034698A1 (e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JP6334557B2 (ja) ネットワーク内のモバイル装置を起動する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表示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2612580B1 (ko)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0833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13168287A1 (ja) 中継装置
US10296280B2 (en) Captured image sharing system, captured image sharing method and program
KR101548514B1 (ko) 서비스 단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101670983B1 (ko) 화면 공유 시스템 및 화면 공유 방법과 관리서버 및 관리서버의 운영방법
CN115278329B (zh) 视频播放方法、系统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