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160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160A
KR20200109160A KR1020190028310A KR20190028310A KR20200109160A KR 20200109160 A KR20200109160 A KR 20200109160A KR 1020190028310 A KR1020190028310 A KR 1020190028310A KR 20190028310 A KR20190028310 A KR 20190028310A KR 20200109160 A KR20200109160 A KR 20200109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pport
terminals
mid plate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102B1 (ko
Inventor
김형준
부진현
카즈노리 이치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102B1/ko
Priority to CN202020300766.2U priority patent/CN211789679U/zh
Publication of KR2020010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미드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는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 및, 미드플레이트와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에 절연층이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절연층의 하부에는 하부터미널들의 사이를 통해 돌출되는 다수의 제1받침돌기 및, 하부터미널들의 사이를 통해 돌출되어 제1받침돌기의 후방측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받침돌기를 포함하며, 제1받침돌기와 제2받침돌기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이 좌우 방향에 위치된 하부터미널들의 하단을 상방으로 각각 지지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성형시 하부터미널의 하단에 지지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출 성형시 미드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터미널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받침돌기와 제2받침돌기가 하부터미널의 폭 방향을 지지하므로 사출 성형시 하부터미널이 측방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된 상태에서 전단의 결합 부위가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미드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열되는 다수의 상부터미널과, 미드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열되는 다수의 하부터미널과, 미드플레이트와 상부터미널 및 하부터미널의 일부분에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절연층 및, 미드플레이트와 상부터미널 및 하부터미널의 일부분과 절연층의 외부에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절연 하우징 등으로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미드플레이트의 하부에 하부터미널을 배치시킨 후 절연층을 1차로 인서트 몰딩 성형한 후, 절연 하우징을 2차로 몰딩 성형하는 과정에서 하부터미널이 하부로 쳐지거나 측방으로 틀어질 염려가 있으므로, 2차 성형시 하부터미널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3-303024호(2013년 02월 0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성형시 하부터미널의 하부에 절연층과 일체화된 제1받침돌기와 제2받침돌기를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사출 성형시 미드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터미널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받침돌기와 제2받침돌기가 하부터미널의 폭 방향을 지지하므로 사출 성형시 하부터미널이 측방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는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에 절연층이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절연층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터미널들의 사이를 통해 돌출되는 다수의 제1받침돌기 및, 상기 하부터미널들의 사이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제1받침돌기의 후방측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받침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받침돌기와 제2받침돌기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이 좌우 방향에 위치된 상기 하부터미널들의 하단을 상방으로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받침돌기는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받침돌기는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받침돌기들과 좌우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은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표준단자와, 상기 표준단자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원단자 및, 상기 전원단자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받침돌기는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표준단자의 사이를 통해 돌출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표준단자의 하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받침돌기는 상기 표준단자의 사이 및 상기 전원단자와 그라운드단자의 사이를 통해 각각 돌출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표준단자들의 하단 및 상기 전원단자와 그라운드단자의 하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단자는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을 따라 2열로 배치되고,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을 따라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받침돌기는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표준단자의 하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받침돌기는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에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표준단자들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중심측돌기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전원단자들과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좌우측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부터미널의 하부에 절연층과 일체화된 제1받침돌기와 제2받침돌기를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사출 성형시 미드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터미널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받침돌기와 제2받침돌기가 하부터미널의 폭 방향을 지지하므로 사출 성형시 하부터미널이 측방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미드플레이트(100)와,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과, 제1받침돌기(400) 및, 제2받침돌기(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도 8과 9에서처럼 절연층(10)과, 절연 하우징(20) 및, 외부 셀(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들 중, 미드플레이트(100)는 도전성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고,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에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에 결합시키기 위해 한 쌍의 체결돌기(110)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에는 절개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절개홀에 형성된 내부영역의 상하 방향에 후술 될 표준단자(210)(310)와 전원단자(220)(320)들이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부터미널(200)은, 후술 될 절연 하우징(20)에 의해 미드플레이트(100)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미드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전후로 길이를 갖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터미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단자(210)와, 한 쌍의 전원단자(220) 및, 한 쌍의 그라운드단자(2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터미널(200)의 표준단자(210)는,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터미널(200)의 표준단자(21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터미널(200)의 표준단자(210)는, 전단이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상부터미널(200)의 전원단자(220)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 배치되고, 표준단자(210)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터미널(200)의 전원단자(220)들은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터미널(200)의 전원단자(220)는, 그 전단이 플러그 커넥너(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반대되는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상부터미널(200)의 그라운드단자(23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라운드단자(230)들은 중앙측 영역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터미널(200)의 그라운드단자(230)들은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측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터미널(200)의 그라운드단자(230)는, 그 전단이 플러그 커넥너(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반대되는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표준단자(210)와 전원단자(220) 및 그라운드단자(230)의 배열 순서와 개수 및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하부터미널(300)은, 후술 될 절연층(10)에 의해 미드플레이트(100)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미드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전후로 길이를 갖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터미널(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단자(310)와, 한 쌍의 전원단자(320) 및, 한 쌍의 그라운드단자(330)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터미널(300)의 표준단자(310)는,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터미널(300)의 표준단자(31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측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터미널(300)의 표준단자(310)는, 전단이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하부터미널(300)의 전원단자(320)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 배치되고, 표준단자(310)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터미널(300)의 전원단자(320)들은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측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터미널(300)의 전원단자(320)는 그 전단이 플러그 커넥너(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반대되는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하부터미널(300)의 그라운드단자(33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라운드단자(330)들은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터미널(300)의 그라운드단자(330)들은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측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터미널(300)의 그라운드단자(330)는, 그 전단이 플러그 커넥너(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반대되는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하부터미널(300)의 표준단자(310)와 전원단자(320) 및 그라운드단자(330)의 배열 순서와 개수 및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절연층(10)은,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절연층(10)은 미드플레이트(100)와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의 일부분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절연층(10)은 미드플레이트(100)의 일부분에 몰딩된 상태로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절연 하우징(20)은, 미드플레이트(100)와 상부터미널(200) 및 하부터미널(300)의 일부분과 절연층(10)의 외부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하우징(300)의 전단에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구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결합구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전방부를 상부와 하부에서 감쌀 수 있다.
이때, 미드플레이트(100)의 전방측 영역(측면)이 결합구의 좌우 방향으로 노출되고,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측 양단에 형성된 체결돌기(110)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구의 하면을 통해 하부터미널(300)의 전방에 형성된 접촉면이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고, 결합구의 상면을 통해 상부터미널(200)의 전방에 형성된 접촉면이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절연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의 후단을 하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수직홀이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 하우징(20)의 수직홀을 통해 돌출된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의 후단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외부 쉘(30)은, 절연 하우징(2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부 쉘(30)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암수로 대응 결합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단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쉘(30)은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외부 쉘(30)의 내부에는 절연 하우징(20)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수용공간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받침돌기(400)는, 절연층(1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제1받침돌기(400)는 절연층(10)을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받침돌기(400)는 하부터미널(300)들의 사이를 통해 돌출되는 것으로, 제1받침돌기(400)는 하부터미널(300)들의 사이를 통해 돌출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받침돌기(400)는 하부터미널(300)의 전원단자(320)와 표준단자(310)의 사이를 통해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받침돌기(40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받침돌기(4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410)이 하부터미널(300)의 전원단자(320)와 표준단자(310)의 하단을 각각 지지한다.
제2받침돌기(500)는, 절연층(1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제2받침돌기(500)는 절연층(10)을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받침돌기(5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511)(521)이 좌우 방향에 위치된 하부터미널(300)들의 하단을 상방으로 각각 지지한다.
그리고, 제2받침돌기(50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위치되는 것으로, 제1받침돌기(400)의 후방측에 제1간격(G1) 만큼 이격 위치됨과 동시에, 제1받침돌기(400)들과 좌우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받침돌기(500)들과 제1받침돌기(400)들은 전후 방향에 제1간격(G1) 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상부터미널(400)과 하부터미널(500)의 길이방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받침돌기(500)는, 표준단자(310)들의 사이 및 전원단자(320)와 그라운드단자(330)의 사이를 통해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받침돌기(5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511)(521)이 표준단자(310)들의 하단 및 전원단자(320)와 그라운드단자(330)의 하단을 각각 지지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받침돌기(500)는 도 2와 4에서처럼 중심측돌기(510) 및, 한 쌍의 좌우측돌기(520)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측돌기(51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측돌기(510)의 지지단(511)이 표준단자(310)들의 하단을 상방으로 각각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좌우측돌기(52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측돌기(520)들의 지지단(521)이 전원단자(320)들과 그라운드단자(330)들의 하단을 상방으로 각각 지지한다.
또한, 제1받침돌기(400)와 제2받침돌기(500)는 상단이 연결부에 의해 절연층(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는, 좌우 방향측 양단이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의 일측단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즉, 제2받침돌기(500)들과 제1받침돌기(400)들은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의 폭 방향을 지지하므로, 상부터미널(400)과 하부터미널(500)이 폭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받침돌기(500)들과 제1받침돌기(400)들은 전후 방향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상부터미널(400)과 하부터미널(5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절연 하우징(20)을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제2받침돌기(500)의 하단이 절연 하우징(2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받침돌기(500)는 제1받침돌기(400)보다 제2간격(G2) 만큼 상대적으로 더 길게 돌출시킬 수 있으며, 절연 하우징(20)을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시키는 경우, 제1받침돌기(400)는 제2간격(G2) 만큼 제2받침돌기(500)보다 짧게 돌출되므로 절연 하우징(20)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받침돌기(400)와 제2받침돌기(50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하부에 하부터미널(300)을 배치시킨 후 절연층(10)을 인서트 몰딩 결합시키는 1차 성형 과정에서 형성되며, 미드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상부터미널(300)을 배치시킨 후 절연 하우징(20)을 몰딩 결합시키는 2차 성형 과정에서 하부터미널(300)의 하단과 측단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하부터미널(300)의 하부에 절연층(10)과 일체화된 제1받침돌기(40)0와 제2받침돌기(500)를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사출 성형시 미드플레이트(10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터미널(300)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받침돌기(400)와 제2받침돌기(500)가 하부터미널(300)의 폭 방향을 지지하므로 사출 성형시 하부터미널(300)이 측방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절연층 20: 절연 하우징
30: 외부 쉘 100: 미드플레이트
110: 체결돌기 200: 상부터미널
210: 표준단자 220: 전원단자
230: 그라운드단자 300: 하부터미널
310: 표준단자 320: 전원단자
330: 그라운드단자 400: 받침돌기
410: 지지단 500: 제2받침돌기
510: 중심측돌기 511: 지지단
520: 좌우측돌기 521: 지지단
G1: 제1간격 G2: 제2간격

Claims (5)

  1.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는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에 절연층이 인서트 몰딩 성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절연층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터미널들의 사이를 통해 돌출되는 다수의 제1받침돌기 및, 상기 하부터미널들의 사이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제1받침돌기의 후방측에 이격 위치되는 다수의 제2받침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받침돌기와 제2받침돌기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이 좌우 방향에 위치된 상기 하부터미널들의 하단을 상방으로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돌기는,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2받침돌기는,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1받침돌기들과 좌우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은,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표준단자와, 상기 표준단자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원단자 및, 상기 전원단자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받침돌기는,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표준단자의 사이를 통해 돌출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표준단자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제2받침돌기는,
    상기 표준단자의 사이 및 상기 전원단자와 그라운드단자의 사이를 통해 각각 돌출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표준단자들의 하단 및 상기 전원단자와 그라운드단자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준단자는,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을 따라 2열로 배치되고,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을 따라 2열로 배치되며,
    상기 제1받침돌기는,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표준단자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제2받침돌기는,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에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표준단자들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중심측돌기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지지단이 상기 전원단자들과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좌우측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돌기와 상기 제2받침돌기는,
    상단이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절연층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좌우 방향측 양단이 상기 상부터미널과 상기 하부터미널의 일측단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90028310A 2019-03-12 2019-03-12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84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10A KR102584102B1 (ko) 2019-03-12 2019-03-12 리셉터클 커넥터
CN202020300766.2U CN211789679U (zh) 2019-03-12 2020-03-12 插座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10A KR102584102B1 (ko) 2019-03-12 2019-03-12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160A true KR20200109160A (ko) 2020-09-22
KR102584102B1 KR102584102B1 (ko) 2023-10-04

Family

ID=7270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310A KR102584102B1 (ko) 2019-03-12 2019-03-12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4102B1 (ko)
CN (1) CN211789679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0687A (zh) * 2015-09-17 2015-12-09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CN105703124A (zh) * 2016-01-19 2016-06-22 深圳市得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以及制作电连接器的方法
CN207530139U (zh) * 2017-11-21 2018-06-22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0687A (zh) * 2015-09-17 2015-12-09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CN105703124A (zh) * 2016-01-19 2016-06-22 深圳市得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以及制作电连接器的方法
CN207530139U (zh) * 2017-11-21 2018-06-22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789679U (zh) 2020-10-27
KR102584102B1 (ko)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parate grounding pieces
US11075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583900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65384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ood anti-EMI perfprmance
CN109103673B (zh) 插座连接器
US82624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rosstalk prevention member
US9502821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46882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isolation block
KR101084738B1 (ko) 커넥터
US787884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US7320608B2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17035296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terminal
US2016004351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385488B2 (en) Connector having improved inner board
US11245216B2 (en) Electrical connector upper and lower contacts made from a single contact carrier and including two outermost contacts with integral latching portions
US20090170354A1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1046882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tongue portion
US20080248695A1 (en) Modular jack with improved grounding member
KR102575274B1 (ko)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TWI396336B (zh) 連接器
KR20200109160A (ko) 리셉터클 커넥터
CN211789680U (zh) 插座连接器
CN213660669U (zh) 连接器
JP4960273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5054492B2 (ja) 多極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