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274B1 -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274B1
KR102575274B1 KR1020190028309A KR20190028309A KR102575274B1 KR 102575274 B1 KR102575274 B1 KR 102575274B1 KR 1020190028309 A KR1020190028309 A KR 1020190028309A KR 20190028309 A KR20190028309 A KR 20190028309A KR 102575274 B1 KR102575274 B1 KR 10257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nd
terminal
terminals
upper connection
pitch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159A (ko
Inventor
김형준
부진현
카즈노리 이치가와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274B1/ko
Priority to CN202020300787.4U priority patent/CN211789645U/zh
Publication of KR20200109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전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의 피치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킴으로써, 전원 공급시 상/하부 전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가 열화 현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TERMINAL STRUCTURE OF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부 전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의 피치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킴으로써, 전원 공급시 상/하부 전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가 열화 현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된 상태에서 전단의 결합 부위가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미드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열되는 다수의 상부터미널과, 미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열되는 다수의 하부터미널과, 미드 플레이트와 상부 접속단자 및 하부 접속단자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인서트 성형되며, 전방측 결합구와 후방측을 통해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의 접속단을 각각 노출시키는 절연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은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그널단자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 및, 기판에 접속되는 그라운드단자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원단자와 그라운드단자가 근접하게 위치되므로, 전원 공급시 열화 현상에 의해 전원단자와 그라운드단자의 인접 부분이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3-303024호(2013년 02월 0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 전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의 피치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킴으로써, 전원 공급시 상/하부 전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가 열화 현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하부 시그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 간의 피치 간격은 상태적으로 좁게 형성시킴으로써, 설치 간격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을 정해진 설치간격 내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는, 미드플레이트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전후로 길이를 갖는 상태로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이 대응되게 결합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로서, 상기 상부터미널은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후방에 제1상부 접속단이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시그널단자와, 상기 상부 시그널단자들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이격 위치되며, 후방에 제2상부 접속단이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전원단자 및, 상기 상부 전원단자들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이격 위치되며, 후방에 제3상부 접속단이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터미널은 상기 상부 시그널단자와 대응되게 구비되며, 후방에 형성된 제1하부 접속단이 상기 제1상부 접속단의 측부에 이격 위치되는 하부 시그널단자와, 상기 상부 전원단자들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후방에 형성된 제2하부 접속단이 상기 제2상부 접속단의 측부에 이격 위치되는 하부 전원단자 및, 상기 상부 전원단자들과 대응되게 배치되며, 후방에 형성된 제3하부 접속단이 상기 제3상부 접속단의 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상부 접속단과 제2하부 접속단은 좌우 폭의 중심이 제1피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3상부 접속단과 제3하부 접속단은 상기 제1피치 간격과 동일한 제2피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상부 접속단 또는 제2하부 접속단과 상기 제3상부 접속단 또는 제3하부 접속단은 좌우 폭의 중심이 상기 제1피치 간격과 제2피치 간격보다 넓은 제3피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 접속단과 제1하부 접속단은 좌우 폭의 중심이 제4피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4피치 간격은 상기 제1피치 간격과 제2피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상부 접속단과 제1하부 접속단의 좌우 폭은 상기 제2상부 접속단과 제2하부 접속단의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상부 접속단과 제2하부 접속단의 좌우 폭은 상기 제3상부 접속단과 제3하부 접속단의 좌우 폭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상부 접속단과 제2상부 접속단 및 제3상부 접속단은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부 접속단과 제2하부 접속단 및 제3하부 접속단은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상부 접속단과 제2상부 접속단 및 제3상부 접속단과 동일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부 전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의 피치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킴으로써, 전원 공급시 상/하부 전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가 열화 현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시그널단자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 간의 피치 간격은 상태적으로 좁게 형성시킴으로써, 설치 간격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을 정해진 설치간격 내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절연 하우징과 외부 쉘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미드 플레이트(100)와, 상부터미널(200)과, 하부 터미널(3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절연층(10)과, 절연 하우징(20) 및, 외부 셀(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들 중, 미드플레이트(100)는 도전성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고,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에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에 결합시키기 위해 한 쌍의 체결돌기(110)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에는 절개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절개홀의 상하 방향에 후술 될 상부 및 하부 시그널단자(210)(310)와 상부 및 후술 될 상부 및 하부 전원단자(220)(320)들이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부터미널(200)은, 후술 될 절연 하우징(20)에 의해 미드플레이트(100)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결합되는 것으로, 미드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전후로 길이를 갖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터미널(200)은 다수의 상부 시그널단자(210)와, 한 쌍의 상부 전원단자(220) 및, 한 쌍의 상부 그라운드단자(2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시그널단자(210)는,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시그널단자(21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시그널단자(210)는 그 전단이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후단으로부터 제1상부 접속단(211)이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때,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시그널단자(210)는 그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된 후 제1상부 접속단(211)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1상부 접속단(211)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된다.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전원단자(220)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부 표준단자(210)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전원단자(220)들은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측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전원단자(220)는 그 전단이 플러그 커넥너(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후단으로부터 제2상부 접속단(221)이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때,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전원단자(220)는 그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된 후 제2상부 접속단(221)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2상부 접속단(221)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된다.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그라운드단자(23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 그라운드단자(230)들은 중앙측 영역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그라운드단자(23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측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그라운드단자(230)는 그 전단이 플러그 커넥너(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후단으로부터 제3상부 접속단(231)이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때, 상부터미널(200)의 상부 그라운드단자(230)는 그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된 후 제3상부 접속단(231)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3상부 접속단(231)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된다.
하부터미널(300)은, 후술 될 절연층(10)에 의해 미드플레이트(100)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결합되는 것으로, 미드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전후로 길이를 갖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터미널(300)은 미드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전술한 상부터미널(200)과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터미널(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시그널단자(310)와, 한 쌍의 하부 전원단자(320) 및, 한 쌍의 하부 그라운드단자(330)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시그널단자(310)는,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앙측 영역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시그널단자(31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시그널단자(310)는, 전단이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후단으로부터 제1하부 접속단(311)이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때,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시그널단자(310)는 그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된 후 제1하부 접속단(311)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1하부 접속단(311)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된다.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전원단자(320)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심측 영역에 배치되고, 하부 시그널단자(310)의 좌우 방향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전원단자(32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전원단자(320)는 그 전단이 플러그 커넥너(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후단으로부터 제2하부 접속단(321)이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때,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전원단자(320)는 그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된 후 제2하부 접속단(321)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2하부 접속단(321)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된다.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그라운드단자(33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중심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 그라운드단자(33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그라운드단자(330)는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그라운드단자(330)는, 그 전단이 플러그 커넥너(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후단으로부터 제3하부 접속단(331)이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때, 하부터미널(300)의 하부 그라운드단자(330)는 그 후단이 하향 절곡 연장된 후 제3하부 접속단(331)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3하부 접속단(331)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1상부 접속단(211)과 제1하부 접속단(311)의 좌우 폭은 도 2와 3에서처럼 제2상부 접속단(221)과 제2하부 접속단(321)의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상부 접속단(211)과 제1하부 접속단(311)의 좌우 폭은 0.17mm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2상부 접속단(221)과 제2하부 접속단(321)의 좌우 폭은 도 2와 3에서처럼 제3상부 접속단(231)과 제3하부 접속단(331)의 좌우 폭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상부 접속단(221)과 제2하부 접속단(321)의 좌우 폭은 0.25mm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1상부 접속단(211)과 제2상부 접속단(221) 및 제3상부 접속단(231)은 도 1에서처럼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하부 접속단(311)과 제2하부 접속단(321) 및 제3하부 접속단(331)은 도 1에서처럼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제1상부 접속단(211)과 제2상부 접속단(221) 및 제3상부 접속단(231)과 동일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여기서, 제3상부 접속단(231)과 제3하부 접속단(331)의 좌우 폭은 0.25mm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제2상부 접속단(221)과 제2하부 접속단(321)은 도 2와 3에서처럼 좌우 폭의 중심(C)이 제1피치 간격(D1)으로 이격 위치되고, 제3상부 접속단(231)과 제3하부 접속단(331)은 제1피치 간격(D1)과 동일한 제2피치 간격(D2)으로 이격 위치된다.
이와 함께, 제2상부 접속단(221) 또는 제2하부 접속단(321)과 제3상부 접속단(231) 또는 제3하부 접속단(331)은 좌우 폭의 중심(C)이 제1피치 간격(D1)과 제2피치 간격(D2)보다 넓은 제3피치 간격(D3)으로 이격 위치된다.
또한, 전술한 제1상부 접속단(211)과 제1하부 접속단(311)은 도 2와 3에서처럼 좌우 폭의 중심(C)이 제4피치 간격(D4)으로 이격 위치될 수 있고, 제4피치 간격(D4)은 제1피치 간격(D1)과 제2피치 간격(D2)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상부 전원단자(220) 및 하부 전원단자(320)와 상부 그라운드단자(230) 및 하부 그라운드단자(330)가 제2피치 간격(D2)보다 넓은 제3피치 간격(D3)으로 이격 위치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시 상부 전원단자(220) 및 하부 전원단자(320)와 상부 그라운드단자(230) 및 하부 그라운드단자(330)의 열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절연층(10)은,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절연층(10)은 미드플레이트(100)와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의 일부분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절연 하우징(20)은, 미드플레이트(100)와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 및 절연층(10)의 일부분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하우징(300)의 전단에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구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결합구는 미드 플레이트(100)의 전방부를 상부와 하부에서 감쌀 수 있다.
이때, 미드플레이트(100)의 전방영역(측면)이 결합구의 좌우 방향으로 노출되고, 미드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 형성된 체결돌기(110)가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구의 하면을 통해 하부터미널(300)의 전방에 형성된 접촉면이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고, 결합구의 상면을 통해 상부터미널(200)의 전방에 형성된 접촉면이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절연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의 후단을 하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수직홀이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 하우징(20)의 수직홀을 통해 돌출된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의 후단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외부 쉘(30)은, 절연 하우징(2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부 쉘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암수로 대응 결합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단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쉘(30)은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외부 쉘(30)의 내부에는 절연 하우징(20)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수용공간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하부 전원단자(220)(320)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230)(330)의 피치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킴으로써, 전원 공급시 상/하부 전원단자(220)(320)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230)(330)가 열화 현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시그널단자(210)(310)와 상/하부 그라운드단자(230)(330) 간의 피치 간격은 상태적으로 좁게 형성시킴으로써, 설치 간격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부터미널(200)과 하부터미널(300)을 정해진 설치간격 내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절연층 20: 절연 하우징
30: 외부 쉘 100: 미드플레이트
110: 체결돌기 200: 상부터미널
210: 상부 시그널단자 211: 제1상부 접속단
220: 상부 전원단자 221: 제2상부 접속단
230: 상부 그라운드단자 231: 제3상부 접속단
300: 하부터미널 310: 하부 시그널단자
311: 제1하부 접속단 320: 하부 전원단자
321: 제2하부 접속단 330: 하부 그라운드단자
331: 제3하부 접속단 C: 중심
D1: 제1피치 간격 D2: 제2피치 간격
D3: 제3피치 간격 D4: 제4피치 간격

Claims (4)

  1. 미드플레이트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전후로 길이를 갖는 상태로 상부터미널과 하부터미널이 대응되게 결합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로서,
    상기 상부터미널은,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후방에 제1상부 접속단이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시그널단자와, 상기 상부 시그널단자들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이격 위치되며, 후방에 제2상부 접속단이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전원단자 및, 상기 상부 전원단자들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이격 위치되며, 후방에 제3상부 접속단이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터미널은, 상기 상부 시그널단자와 대응되게 구비되며, 후방에 형성된 제1하부 접속단이 상기 제1상부 접속단의 측부에 이격 위치되는 하부 시그널단자와, 상기 상부 전원단자들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후방에 형성된 제2하부 접속단이 상기 제2상부 접속단의 측부에 이격 위치되는 하부 전원단자 및, 상기 상부 전원단자들과 대응되게 배치되며, 후방에 형성된 제3하부 접속단이 상기 제3상부 접속단의 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상부 접속단과 제2하부 접속단은, 좌우 폭의 중심이 제1피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3상부 접속단과 제3하부 접속단은 상기 제1피치 간격과 동일한 제2피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상부 접속단 또는 제2하부 접속단과 상기 제3상부 접속단 또는 제3하부 접속단은 좌우 폭의 중심이 상기 제1피치 간격과 제2피치 간격보다 넓은 제3피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상부 접속단과 제1하부 접속단은,
    좌우 폭의 중심이 제4피치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4피치 간격은,
    상기 제1피치 간격과 제2피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 접속단과 제1하부 접속단의 좌우 폭은,
    상기 제2상부 접속단과 제2하부 접속단의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 접속단과 제2하부 접속단의 좌우 폭은,
    상기 제3상부 접속단과 제3하부 접속단의 좌우 폭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 접속단과 제2상부 접속단 및 제3상부 접속단은,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동일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1하부 접속단과 제2하부 접속단 및 제3하부 접속단은,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상부 접속단과 제2상부 접속단 및 제3상부 접속단과 동일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KR1020190028309A 2019-03-12 2019-03-12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KR102575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09A KR102575274B1 (ko) 2019-03-12 2019-03-12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CN202020300787.4U CN211789645U (zh) 2019-03-12 2020-03-12 插座连接器的端子配置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09A KR102575274B1 (ko) 2019-03-12 2019-03-12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159A KR20200109159A (ko) 2020-09-22
KR102575274B1 true KR102575274B1 (ko) 2023-09-06

Family

ID=7270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309A KR102575274B1 (ko) 2019-03-12 2019-03-12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5274B1 (ko)
CN (1) CN21178964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0830A4 (en) 2020-08-28 2024-01-24 Lg Chemical Ltd METHOD FOR PRODUCING A POLYOLEFIN-POLYSTYRENE BASED MULTIBLOCK COPOLYM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3582A (zh) 2009-11-04 2011-04-13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防高频讯号干扰的插头连接器
CN204289773U (zh) 2014-08-08 2015-04-22 东莞市精和电子科技有限公司 大电流插座连接器、插头连接器及其组合
CN107591630A (zh) * 2016-07-06 2018-0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501B1 (ko) * 2015-03-20 2021-05-2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25366B1 (ko) * 2015-06-23 2021-03-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3582A (zh) 2009-11-04 2011-04-13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防高频讯号干扰的插头连接器
CN204289773U (zh) 2014-08-08 2015-04-22 东莞市精和电子科技有限公司 大电流插座连接器、插头连接器及其组合
CN107591630A (zh) * 2016-07-06 2018-0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789645U (zh) 2020-10-27
KR20200109159A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parate grounding pieces
KR101084738B1 (ko) 커넥터
US1046882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isolation block
US7077668B2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633863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bus
US2017003350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ood anti-emi perfprmance
US9257797B2 (en) Cabl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circuit board
US9385488B2 (en) Connector having improved inner board
US10062992B2 (en) Electrical connector performing large power delivery
US20170025772A1 (en) Right angle type electrical connector
US1046882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tongue portion
US7052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ver
US7670173B2 (en) Modular jack with improved grounding member
US103332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and shell soldered together
US8721366B2 (en) Connector
US85236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modules with differential pairs on both sides of a printed circuit board
KR102575274B1 (ko)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 배치구조
US820211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witching terminal
US10644456B2 (en) Shield connector
CN211789680U (zh) 插座连接器
CN213660669U (zh) 连接器
US7445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KR10258410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675568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2023035288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insert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