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113A -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113A
KR20200109113A KR1020190028216A KR20190028216A KR20200109113A KR 20200109113 A KR20200109113 A KR 20200109113A KR 1020190028216 A KR1020190028216 A KR 1020190028216A KR 20190028216 A KR20190028216 A KR 20190028216A KR 20200109113 A KR20200109113 A KR 20200109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nding
projectors
projection
imag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우
김현철
서정일
양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2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113A/ko
Publication of KR2020010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은, 복수의 프로젝터, 입력 영상 중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들의 투사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밝기 값을 블렌딩 하기 위한 스케일링 팩터들로 구성된 블렌딩 마스크를 이용하여 블렌딩 보정을 수행하는 블렌딩 보정부, 및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가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투사하면,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별로 투사 위치에 따른 밝기 값들을 측정하고, 상기 밝기 값들 중 최소 값을 기준으로 상기 밝기 값들을 평활화 하기 위한 평활화 마스크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렌딩 보정부는, 상기 평활화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블렌딩 마스크를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MULTI PROJECT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UHD(Ultra High Definition)가 활성화되고 360 광 시야각 영상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더불어 광 시야각 파노라마 영상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시관, 체험관, 홍보관 등에서 대화면의 원통형 스크린에 파노라마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장치들의 제작 및 설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원통형 스크린과 같이 비평면 스크린에 멀티 프로젝션 기반으로 영상을 투사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투사할 스크린의 형상에 따른 기하학적 보정뿐만 아니라, 프로젝터들 간의 중첩 영역에 대한 블렌딩 보정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딩 보정은, 프로젝터들 간 중첩영역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밝기 값을 일률적으로 반(1/2) 값으로 보정함으로써, 중첩 영역의 밝기 값을 자연스럽게 조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프로젝터의 특성 상, 생산일자가 동일한 모델들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프로젝터들의 간의 밝기 값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투사 영역의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록 밝기 값이 감소한다. 이러한 프로젝터의 특성은, 블렌딩 보정에 영향을 주어 영상의 이질감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프로젝터들 간의 투사 중첩 영역에서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은, 복수의 프로젝터, 입력 영상 중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들의 투사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밝기 값을 블렌딩 하기 위한 스케일링 팩터들로 구성된 블렌딩 마스크를 이용하여 블렌딩 보정을 수행하는 블렌딩 보정부, 및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가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투사하면,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별로 투사 위치에 따른 밝기 값들을 측정하고, 상기 밝기 값들 중 최소 값을 기준으로 상기 밝기 값들을 평활화 하기 위한 평활화 마스크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렌딩 보정부는, 상기 평활화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블렌딩 마스크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프로젝터들 간의 투사 중첩 영역에서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이상적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블렌딩 보정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제 환경에서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밝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의 밝기 평활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의 영상 투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의 블렌딩 보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상적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블렌딩 보정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실제 환경에서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밝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멀티 프로젝션을 이용해 광 시야갹 영상을 투사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형상에 따른 기하학적 보정뿐만 아니라, 프로젝터들 간에 투사가 중첩되는 중첩 영역에 대한 블렌딩 보정 또한 필수적이다.
통상적으로,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는, 투사 스크린(2)에서 프로젝터들(1a, 1b)의 투사 영역들(2a, 2b)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2ab)에 대응하여 영상 밝기를 조정하여 블렌딩 보정을 수행한다. 블렌딩 보정 전, 투사 스크린(2)의 중첩 영역(2ab)에서의 투사 영상은 프로젝터들(1a, 1b)의 중복 투사로 영상 밝기가 다른 투사 영역의 대략 2배가 된다. 따라서,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서는 각 프로젝터(1a, 1b)로부터 중첩 영역(2ab)에 투사되는 영상의 픽셀 밝기 값을 조정하는 블렌딩 보정을 통해, 중첩 영역(2ab)에서의 영상 밝기를 자연스럽게 조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의 이질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적인 경우, 각 프로젝터(1a, 1b)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은 투사 위치에 상관 없이 균일한 밝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블렌딩 보정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두 개의 프로젝터들(1a, 1b)에 의해 투사된 영상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2a, 2b)에서의 투사 영상의 밝기는 다른 영역의 2배 정도로 나타난다. 따라서, 프로젝터들(1a, 1b)들은 중첩 영역(2ab)에서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첩 영역(2ab)에서의 영상 밝기 값을 일률적으로 반(1/2) 값으로 줄이거나, 고정된 기울기로 선형적으로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블렌딩 보정을 수행한다.
도 1을 예로 들면, 각 프로젝터(1a, 1b)가 중첩 영역(2a)의 시작점에서 끝지점까지 영상 밝기 값을 원래 밝기 값의 100%에서 0%로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면, 각 프로젝터(1a, 1b)에서 중첩 영역(2ab)으로 투사되는 영상의 밝기는, 평균적으로 다른 영역에서의 영상 밝기의 반(1/2)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두 프로젝터(1a, 1b)에서 투사된 영상이 중첩됨으로써, 중첩 영역(2ab)에서 밝기는 전체적으로 100%의 균일한 밝기를 가질 수 있어, 다른 투사 영역과의 이질감이 제거된다.
한편, 도 1은 이상적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의 블렌딩 보정을 설명한 것으로서, 실제 환경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제조일자에 제작된 동일한 모델의 프로젝터들이라 하더라도 프로젝터들 간의 밝기 값이 동일할 수만은 없다. 또한, 각 프로젝터(1a, 1b)의 투사 영상은 투사 영역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밝기가 감소하여, 투사 영역의 외곽에서는 영상 밝기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블렌딩 보정에 영향을 주어 블렌딩 보정을 수행한 후에도 영상에 이질감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프로젝터에서 투사 스크린에 도달하는 빛의 양은, 투사 거리에 따라 선형적으로 줄어들지 않고 투사 거리가 멀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와 투사 스크린 간의 거리가 먼 경우, 프로젝터들에 의해 투사되는 투사 영상들 간에 밝기와 색상이 상이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프로젝터들을 하드웨어적으로 조절하여 프로젝터들 간에 투사면에서의 영상 밝기를 맞춘다 하더라도, 각 R, G, B 값까지 정확히 맞출 수 없어 투사 영상들 간에 색상 차가 오히려 두드러져 더 큰 이질감을 발생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사 위치에 따른 밝기 값을 평활화하는 스케일링 팩터를 산출하고, 이를 블렌딩 보정 시 적용함으로써 중첩 영역에서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100)은, 기하학 보정부(110), 블렌딩 마스크(121), 블렌딩 보정부(122), 재생부(130), 복수의 프로젝터(141, 142), 및 캘리브레이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하학 보정부(110)는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100)의 프로젝터들(141, 142)을 통해 투사할 영상(이하, '입력 영상'이라 칭함)이 입력되면, 투사 스크린(미도시)의 형상과 각 프로젝터(141, 142)와 투사 스크린 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미리 정의된 기하학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기하학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100)은 하나의 광 시야각 영상을 복수의 프로젝터(141, 142)를 통해 나누어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각 프로젝터(141, 142)는 투사 스크린(미도시) 내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영상 투사를 담당한다. 따라서, 각 프로젝터(141, 142)에 의해 투사되는 영상(이하, '투사 영상'이라 칭함)은 투사 스크린에 재생하고자 하는 광 시야각 영상의 일부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기하학 보정부(110)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이 전체 광 시야각 영상인 경우, 각 프로젝터(141, 142)의 위치에 따라 입력 영상을 각 프로젝터(141, 142)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분할한 후, 각 프로젝터(141, 142) 별로 대응하는 영상의 기하학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입력 영상이 기하학 보정부(110)로 입력되기 전에 이미 각 프로젝터(141, 142) 별로 분할된 영상인 경우, 기하학 보정부(110)는 입력 영상을 분할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각 프로젝터(141, 142) 별로 대응하는 영상의 기하학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블렌딩 마스크 생성부(121)는 프로젝터들(141, 142) 간에 투사가 중첩되는 영역(이하, '중첩 영역'이라 칭함)에서의 블렌딩 보정을 위한 블렌딩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블렌딩 마스크는, 각 프로젝터(141, 142) 별로 중첩 영역에 투사되는 픽셀들의 밝기 스케일링 팩터를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블렌딩 마스크(122)에서 각 수치의 위치는, 투사 영상 중 중첩 영역에 투사되는 영상(이하, '중첩 영역 영상'이라 칭함)에서의 각 픽셀(또는 픽셀 그룹)의 위치에 대응하고, 매트릭스 내의 수치들은 각각 대응하는 픽셀(또는 픽셀 그룹)의 밝기 스케일링 팩터를 나타낼 수 있다.
블렌딩 마스크를 구성하는 밝기 스케일링 팩터들은,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밝기 값이, 중첩 영역의 시작단부터 끝단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감소 비율에 의해 감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렌딩 마스크의 스케일링 팩터들은, 중첩 영역의 시작단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밝기 값은 원 밝기 값의 100%가 되도록 하고, 중첩 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밝기 값은 원 밝기 값의 0%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중첩 영역의 시작단은 대응하는 프로젝터의 투사 중심에 가까운 위치를 나타내고, 끝단은 대응하는 프로젝터의 투사 중심에서 가장 먼 위치를 나타낸다.
블렌딩 보정부(120)는 블렌딩 마스크를 이용하여 각 프로젝터(141, 142) 별로 중첩 영역 영상의 밝기 값을 조정하는 블렌딩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재생부(130)는 기하학 보정부(110) 및 블렌딩 보정부(120)에 의해 기하학 보정 및 블렌딩 보정이 완료된 투사 영상들이 입력되면, 이들을 각각 대응하는 프로젝터(141, 142)로 전달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150)는 캘리브레이션 영상 생성부(151), 측정부(152) 및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영상 생성부(151)는 캘리브레이션이 시작되면, 모든 픽셀에서의 밝기 값이 동일한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브레이션 영상 생성부(151)는 모든 픽셀에서의 밝기 값(또는 휘도 성분)이 최대치(255)인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캘리브레이션 영상은 기하학 보정부(110)로 입력된다.
측정부(152)는 각 프로젝터(141, 142)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영상이 투사되면, 카메라 등의 측정 장치(미도시)를 통해 중첩 영역을 포함하는 모든 투사 영역에 대해 위치에 따른 밝기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밝기 값 측정 시, 캘리브레이션 영상은 기하학 보정부(110)에 의해 기하학 보정이 수행된 후, 재생부(130)로 전달되어 각 프로젝터(141, 142)에 의해 투사될 수 있다. 즉, 캘리브레이션 시, 프로젝터(141, 142)들에 의해 투사되는 영상은 블렌딩 보정 전 캘리브레이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밝기 검출 시, 재생부(130)는 각 프로젝터(141, 142) 별로 투사 위치에 따른 밝기 값을 검출할 수 있도록, 각 프로젝터(141, 142)가 순차적으로 영상을 투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는 측정부(152)에 의해 각 프로젝터(141, 142) 별로 투사 위치에 따른 밝기 값들이 측정되면, 이를 토대로 투사 영상의 밝기 값들을 평활화하는 평활화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평활화 마스크는 프로젝터(141, 142) 별로 투사 영상의 각 픽셀(또는 픽셀 그룹)에 대해 밝기 스케일링 팩터를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평활화 마스크에서 각 수치의 위치는, 투사 영상 내 각 픽셀(또는 픽셀 그룹)의 위치에 대응하고, 매트릭스 내의 수치들은 각각 대응하는 픽셀(또는 픽셀 그룹)의 밝기 스케일링 팩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에서의 밝기 평활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아래 표 1은 도 4의 투사 영상에 대해 밝기 평활화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 1. 밝기 평활화 예
투사 위치 보정 전 보정후
설정 값 측정 값 설정 값 측정 값
P1 255 150 255 150
P2 255 255 150 150
P3 255 170 235 150
P4 255 158 247 150
도 4 및 표 1을 예로 들면, 제1 및 제2프로젝터(141, 142)를 통해 밝기 값이 모두 255로 설정된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투사한 경우, 제1프로젝터(141)에 의해 투사 스크린에 투사된 영상의 밝기 값은 최대 값이 255이고, 최소 값이 150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제2프로젝터(142)에 의해 투사 스크린에 투사된 영상의 밝기 값은 최소 값이 170으로 측정되었다. 이 경우,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는 제1 및 제2프로젝터(141, 142)에 대해 측정된 밝기 값들 중 최소 값(150)을 선택하고, 모든 투사 위치(P1~P4)에 대해 실제 밝기 값이 최소 값(150)에 맞춰지도록 픽셀들의 밝기 값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평활화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투사 위치 P1의 경우, 픽셀 밝기가 255로 설정된 영상을 투사할 경우, 실제 측정되는 밝기 값은 150으로 다른 위치들에 비해 낮은 밝기를 보인다. 따라서, 평활화 마스크 생성에 기준으로 선택되어, 밝기 스케일링이 수행되지 않도록 스케일링 팩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투사 위치 P2의 경우, 픽셀 밝기가 255로 설정된 영상을 투사할 경우, 실제 측정되는 밝기 값은 255이다. 따라서, 실제 투사 밝기가 P1에서의 밝기 값인 150에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 0~255로 설정되는 픽셀 밝기 값을 0~150으로 스케일링하도록 스케일링 팩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투사 위치 P3의 경우, 픽셀 밝기가 255로 설정된 영상을 투사할 경우, 실제 측정되는 밝기 값은 170이다. 따라서, 실제 투사 밝기가 P1에서의 밝기 값인 150에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 0~255로 설정되는 픽셀 밝기 값을 0~235으로 스케일링하도록 스케일링 팩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투사 위치 P4의 경우, 픽셀 밝기가 255로 설정된 영상을 투사할 경우, 실제 측정되는 밝기 값은 158이다. 따라서, 실제 투사 밝기가 P1에서의 밝기 값인 150에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 0~255로 설정되는 픽셀 밝기 값을 0~247으로 스케일링하도록 스케일링 팩터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평활화 마스크가 생성되면,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는 이를 블렌딩 마스크 생성부(121)로 전달한다. 이를 수신한 블렌딩 마스크 생성부(121)는, 평활화 마스크를 이용하여 블렌딩 마스크를 보정하고, 캘리브레이션의 종료 후 투사 영상에 대한 블렌딩 보정 시 보정된 블렌딩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100)은 캘리브레이션이 시작되면, 캘리브레이션 생성부(151)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한다(S10). 예를 들어,, 캘리브레이션 영상 생성부(151)는 모든 픽셀에서의 밝기 값(또는 휘도 성분)이 최대치(255)인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10 단계에서 생성된 캘리브레이션 영상은, 기하학 보정부(110)로 전달되어 기하학 보정된 후(S11), 프로젝터들(141, 142)에 의해 투사 스크린으로 투사된다(S12).
각 프로젝터(141, 142)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영상이 투사되면, 측정부(152)는 카메라 등의 측정 장치(미도시)를 통해 중첩 영역을 포함하는 모든 투사 영역에 대해 위치에 따른 밝기 값을 측정한다(S13).
상기 S13 단계에서, 측정부(152)는 각 프로젝터(141, 142)별로, 그리고 투사 스크린 내 각 투사 위치 별로 밝기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터들(141, 142)은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순차적으로 투사할 수 있다.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는 상기 S13 단계를 통해 밝기 값들이 측정되면, 이를 토대로 밝기 값의 평활화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14).
상기 S14 단계에서,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는 프로젝터들(141, 142) 간의 평균 밝기 값(또는 최대 밝기 값/최소 밝기 값)이 임계치 이상 차이나면, 밝기 값의 평활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4 단계에서,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는, 각 프로젝터(151)의 투사 위치에 따른 밝기 변화가 소정 수준 이상이면, 밝기 평활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14 단계에서 평활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는 상기 S13 단계를 통해 측정된 밝기 값들을 토대로 투사 영상의 밝기 값들을 평활화하는 평활화 마스크를 생성한다(S15).
상기 S15 단계에서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는 상기 S13 단계를 통해 측정된 밝기 값들 중 최소 값을 선택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투사 위치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밝기 값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평활화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15 단계를 통해 평활화 마스크가 생성되면, 평활화 마스크 생성부(153)는 이를 블렌딩 마스크 생성부(121)로 전달하고, 블렌딩 마스크 생성부(121)는, 평활화 마스크를 이용하여 블렌딩 마스크를 보정한다(S16).
이렇게 보정된 블렌딩 마스크는, 이후 각 프로젝터(141, 142)의 투사 영상들에 대한 블렌딩 보정 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의 영상 투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100)은 영상이 입력되면(S20), 기하학 보정부(110)를 통해 투사 스크린(미도시)의 형상과 각 프로젝터(141, 142)와 투사 스크린 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미리 정의된 기하학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기하학적 보정을 수행한다(S21).
기하학 보정이 완료된 입력 영상은 블렌딩 보정부(122)로 전달되고, 블렌딩 보정부(122)는 블렌딩 마스크를 이용하여 프로젝터들(141, 142) 간의 중첩 영역에 대한 블렌딩 보정을 수행한다(S22).
상기 S22 단계에서, 블렌딩 보정부(122)는 전술한 도 5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통해 블렌딩 마스크가 보정된 경우, 보정된 블렌딩 마스크를 이용하여 블렌딩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블렌딩 보정이 완료된 입력 영상은 재생부(130)로 전달되며, 재생부(130)는 프로젝터들(141, 142)을 통해 이 영상을 투사 스크린으로 투사한다(S23).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재생환경에서, 프로젝터들 간의 밝기 값이 서로 상이하거나, 각 프로젝터의 투사 영역 내 밝기 변화가 심한 경우, 밝기 값을 평활화하기 위한 스케일링 팩터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블렌딩 보정에 사용되는 블렌딩 마스크를 보정함으써, 중첩영역의 블렌딩 보정 시 발생하는 영상 밝기 혹은 색상 값의 이질감을 줄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평활화 마스크를 통해 평활화되는 파라미터가 픽셀의 밝기 값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세밀한 평활화를 위해 픽셀의 밝기 값과 색상 값을 모두 평활화 하도록 평활화 마스크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평활화 마스크를 이용하여 블렌딩 마스크를 보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블렌딩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기하학 보정이 완료된 입력 영상에 대해 평활화 마스크를 이용한 밝기 스케일링을 먼저 수행한 후에, 블렌딩 마스크를 이용한 블렌딩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복수의 프로젝터,
    입력 영상 중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들의 투사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밝기 값을 블렌딩 하기 위한 스케일링 팩터들로 구성된 블렌딩 마스크를 이용하여 블렌딩 보정을 수행하는 블렌딩 보정부, 및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가 캘리브레이션 영상을 투사하면,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별로 투사 위치에 따른 밝기 값들을 측정하고, 상기 밝기 값들 중 최소 값을 기준으로 상기 밝기 값들을 평활화 하기 위한 평활화 마스크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렌딩 보정부는, 상기 평활화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블렌딩 마스크를 보정하는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KR1020190028216A 2019-03-12 2019-03-12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KR20200109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16A KR20200109113A (ko) 2019-03-12 2019-03-12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16A KR20200109113A (ko) 2019-03-12 2019-03-12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113A true KR20200109113A (ko) 2020-09-22

Family

ID=7270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16A KR20200109113A (ko) 2019-03-12 2019-03-12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1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20484A (ja) * 2021-07-30 2023-0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方法、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20484A (ja) * 2021-07-30 2023-0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方法、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2332B2 (en) Intensity scaling for multi-projector displays
US671762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ne or more projectors
US6814448B2 (en) Image projection and display device
JP5603014B2 (ja) 超解像表示の補正
Brown et al. Camera-based calibration techniques for seamless multiprojector displays
JP5363101B2 (ja) 立体視投影を向上させるゴースト補償
KR101511523B1 (ko) 영상 중첩 영역의 보정 방법, 기록 매체 및 실행 장치
US74574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nd correcting image data
JP2002072359A (ja) 画像投影表示装置
KR20200109113A (ko) 멀티 프로젝션 시스템
CN109417614A (zh) 高分辨率内容回放包
JP4762412B2 (ja) 画像再生システムの欠陥を判定し且つ少なくとも部分的に補正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200814788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6105185A (ja) 輝度補正方法
KR10188684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기하학 보정 방법 및 장치
JP2008139709A (ja) 色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11901578B (zh) 一种多通道洞穴式的投影方法
JP2015115788A (ja)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5583578A (en) Projection-type video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an asymmetrical brightness distribution
KR20130088718A (ko) 영상 투영 장치에 대한 색 보정 장치 및 방법
CN112911258B (zh) 一种基于b样条曲线的投影图像边缘亮度调节方法
JPS63268380A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KR101564974B1 (ko) 영상 중첩 영역의 보정 방법, 기록 매체 및 실행 장치
KR100239954B1 (ko) 콘버젼스 조정방법
KR20160109927A (ko) 은닉포인트를 이용한 기하학 보정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