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050A -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050A
KR20200109050A KR1020190028043A KR20190028043A KR20200109050A KR 20200109050 A KR20200109050 A KR 20200109050A KR 1020190028043 A KR1020190028043 A KR 1020190028043A KR 20190028043 A KR20190028043 A KR 20190028043A KR 20200109050 A KR20200109050 A KR 20200109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dust
collection unit
road surf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342B1 (ko
Inventor
구창완
김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7067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10905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Priority to KR1020190028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3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50Methods or devices for preventing dust by spraying or su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는, 차선제거장치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선 제거시 발생되는 절삭 이물질들 중에서 분진을 집진 방식으로 노면 상에서 1차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수거부; 및 상기 제1 수거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선 제거시 발생되는 절삭 이물질들 중에서 파편을 브러싱 방식으로 노면 상에서 2차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수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DUST COLLECTOR USED FOR REMOVAL TRAFFIC LANES}
본 발명은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차선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면서 도료층이 변색되거나, 일부가 노면 상에서 탈리(脫離)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주기적인 보수 작업이 요구된다.
노면 상에 시공된 노후 차선들의 주기적인 보수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차선 식별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차선 본연의 기능성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교통 사고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노면 상의 차선을 보수 관리하는 작업은 대부분 차선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차선을 따라 진행하면서 노후된 차선을 제거하고, 노후 차선이 제거된 노면 상에 차선도포장치를 이용하여 새로운 차선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노면 상의 차선을 제거할 때에는 차선제거장치의 절삭부(예: 컷터)로 차선 도포층을 강제로 긁어내는 절삭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작업장 주변의 노면 상에 파편이나 분진 등이 불규칙하게 튀거나 비산(飛散)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차선 절삭 제거시 발생되는 파편이나 분진과 같은 절삭 이물질들을 차선 제거 작업과 연계하여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진들은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 오염 문제를 더욱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신속한 제거가 요구된다.
(특허 0001) 특허등록 제10-1168555호_포장도로의 차선 제거기.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차선 제거시 발생되는 분진은 물론이거니와, 파편과 같은 절삭 이물질들을 차선 제거 작업과 연계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거 처리할 수 있는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차선제거장치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선 제거시 발생되는 절삭 이물질들 중에서 분진을 집진 방식으로 노면 상에서 1차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수거부; 및
상기 제1 수거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선 제거시 발생되는 절삭 이물질들 중에서 파편을 브러싱 방식으로 노면 상에서 2차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수거부;
를 포함하는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선제거장치로 도로 노면의 차선을 제거할 때 차선제거장치를 따라 이동되면서 차선 절삭 제거시 발생되는 절삭 이물질들 중에서 분진과 파편을 나눠서 제1 수거부 및 제2 수거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거 처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차선 제거 작업과 연계하여 분진이나 파편과 같은 절삭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수거 처리할 수 있고, 특히 차선 제거 작업시 분진의 비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대기 오염 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2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는, 제1 수거부(10) 및 제2 수거부(20)를 포함한다.
제1 수거부(10) 및 제2 수거부(20)는 도 1에서와 같이 차선제거장치(M)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도로 노면(L)의 차선(L1)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절삭 이물질(P)들을 1 차 및 2차로 나눠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수거부(10)는 차선제거장치(M)의 후방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 차선제거장치(M)를 따라 이동되면서 절삭 이물질(P)들을 도로 노면(L) 상에서 집진 방식으로 1차로 수거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수거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11)과, 이 제1 프레임(11) 측에서 차선제거장치(M)의 절삭부(M1)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연장 배열되며 절삭 이물질(P) 중에서 분진(P1)을 빨아들이기 위한 집진관(12)과, 이 집진관(12)을 통해 유입되는 분진(P1)을 걸러내기 위한 집진기(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프레임(11)은 복수 개의 바퀴(11a)들을 구비하고, 차선제거장치(M)의 후방 측에서 이 차선제거장치(M)의 이동시 견인되는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1 프레임(11)은 도 2에서와 같이 연결부(14)에 의해 차선제거장치(M)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연결부(18)는 예를 들어, 트레일러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히치(HITCH) 연결 구조나 후크(HOOK) 연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 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손잡이(15)는 작업자가 잡은 상태로 제1 수거부(10) 측을 도로 노면(L)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집진관(12)의 관 길이방향 일단 측은 도 2에서와 같이 차선제거장치(M)의 절삭부(M1)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 측은 제1 프레임(11)의 집진기(13) 측에 연결된 상태로 셋팅된다.
집진관(12)은 집진기(13) 측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한 흡입 분위기로 차선제거기(M) 하부의 절삭부(M1) 측에서 차선(L1) 절삭시 발생되는 절삭 이물질(P) 중에서 미세 입자 형태의 분진(P1)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셋팅된다.
집진기(13)는 수납부(16)를 구비하고, 집진관(12)의 단부 측이 연결된 상태로 제1 프레임(11) 측에 놓여진 상태로 배치된다.
집진기(13)는 흡입력으로 집진관(12)을 통해서 분진(P1)을 빨아들일 때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입자 형태의 분진(P1)들을 걸러서 수납부(16) 측에 담겨지도록 하고, 분진(P1)이 걸러진 공기는 배기구(17)를 통해서 다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통상의 집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부(16)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집진기(13)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집진관(12)을 통해 집진기(13) 내부로 유입된 분진(P1)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6)는 집진기(13) 하부 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클램프(16a)들을 이용한 고정 방식으로 집진기(13)의 하부 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6)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집진기(13) 하부 측에 서랍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납부(16)는 내부에 담겨진 분진(P1)을 밀봉 상태로 포장 처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수납부(16)는 하부 측에 배출구(16b)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16b) 아래쪽에 배치되는 밀봉포장기(18)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포장기(18)는 포장지(V)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8a)와, 이 거치대(18a) 측의 포장지(V)를 열압착 상태로 눌러서 밀봉 처리하기 위한 열압착구(18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거치대(18a)는 원형(또는 다각형) 모양의 둘레부를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11) 상에서 수납부(16)의 배출구(16b)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포장지(V)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포장지(V)는 일측이 개방된 포장공간(V1)을 내측에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포장공간(V1)의 둘레부 측이 펼쳐진 형태를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오므라지게 겹쳐진 상태로 거치대(18a) 측에 배치된다.
포장지(V)는 열압착에 의한 밀봉 처리가 가능하도록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는 열가소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치대(18a)는 도 5에서와 같이 집진기(13) 측에서 걸러진 분진(P1)이 수납부(16)의 배출구(16b)를 통해 배출되어 포장지(V)의 포장공간(V1) 측에 담겨질 때, 분진(P1)의 무게에 의해 아래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펼쳐질 수 있는 상태로 포장지(V)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다.
열압착구(18b)는 도 5에서와 같이 두 개가 한 조로 거치대(18a)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에 의해 서로 간격이 좁혀지는 상태로 작동되면서 거치대(18a) 측에 거치된 포장지(V)의 개구부 둘레부 측을 열압착 상태로 눌러서 밀봉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열압착구(18b) 측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톱니 모양의 돌기부를 갖는 압착 블레이드(18c)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압착 블레이드(18c)는 열압착구(18b)들로 포장지(V)의 개구부 측을 눌러서 열압착 상태로 밀봉 처리할 때, 압착 영역 내에 톱니 모양의 돌기부에 의해 복수 개의 홀부들이 성형되는 상태로 절취구간(V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절취구간(V2)은 분진(P1)이 담겨진 상태로 밀봉 처리된 포장지(V) 측을 거치대(18a)의 잔여 포장지(V) 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잘라낼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절취선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밀봉포장기(18)를 구비한 수납부(16) 구조에 의하면, 차선제거장치(M)의 절삭부(M1) 측에서 차선(L1)을 제거할 때 발생되는 절삭 이물질(P) 중에서 분진(P1)이 제1 수거부(10) 측의 집진관(12)을 통해 집진기(13) 측에서 걸러진 후, 수납부(16) 측에 담겨질 때 도 7에서와 같이 포장지(V) 측에 담겨진 상태로 밀봉 포장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수거부(10)는 차선제거장치(M)로 도로 노면(L)의 차선(L1)을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차선제거장치(M) 측에 연결된 상태로 후방 측에 배치되어 차선(L1)의 절삭 제거시 발생되는 분진(P1)을 용이하게 집진 및 밀봉 포장 처리하는 상태로 수거할 수 있다.
한편, 제2 수거부(20)는 제1 수거부(10) 측과 연계하여 도로 노면(L) 상의 절삭 이물질(P) 중에서 파편(P2)을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수거부(20)는 브러싱 방식으로 파편(P2)을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제1 수거부(10)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도킹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 수거부(20)는 도 1 및 도 8에서와 같이 제2 프레임(21)과, 이 제2 프레임(21) 측에 배치되는 브러싱 로울러(22)와, 이 브러싱 로울러(22) 측을 감싸는 상태로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수거통(2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2 프레임(21)은 도 8에서와 같이 바퀴(21a)들이 설치되며, 제1 수거부(10)의 후방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 제1 수거부(10) 측에 의해 끌려가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프레임(21) 측에는 손잡이(24)가 형성되며, 이 손잡이(24)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로 제2 수거부(20) 측을 도로 노면(L)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브러싱 로울러(22)는 브러싱을 위한 모(毛)들이 로울러 둘레부 측에 심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싱 로울러(22)는 제2 프레임(21) 측의 바퀴(21a)들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될 때 이 바퀴(21a)들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도 9에서와 같이 바퀴축(21b) 측에 설치되거나,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바퀴의 회전시 예를 들어, 벨트 풀리 또는 체인 스프라켓 방식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로 브러싱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될 수 있다.
즉, 브러싱 로울러(22)는 노면(L) 상에서 제2 수거부(20) 측이 제1 수거부(10) 측을 따라 이동될 때 회전되면서 노면(L)의 파편(P2)을 쓸어내는 상태로 브러싱 동작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21) 측에 제공된다.
또한, 브러싱 로울러(22)는 제2 수거부(20) 측이 제1 수거부(10) 측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노면(L)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조작될 때,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브러싱 동작될 수 있는 상태로 제2 프레임(21) 측에 제공된다.
수거통(23)은 제2 프레임(21) 측에서 브러싱 로울러(22)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며, 브러싱 로울러(22)의 정,역 회전에 의한 브러싱 동작과 부합하는 상태로 파편(P2)이 수거될 수 있는 공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수거통(23)은 도 10에서와 같이 브러싱 로울러(22)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상태로 제1 수거공간(S1)과 제2 수거공간(S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수거통(23)은 브러싱 로울러(22)가 정,역 방향(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노면(L) 상의 파편(P2)이 제1 수거공간(S1) 또는 제2 수거공간(S2) 측에 원활하게 담겨지는 상태로 수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수거통(23)은 제1 수거공간(S1)과 제2 수거공간(S2) 측이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 조작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거부(20)는 차선제거장치(M)를 이용하여 노면(L)의 차선(L1)을 절삭 방식으로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제1 수거부(10) 측을 따라 이동되면서 브러싱 로울러(22)의 회전에 의한 브러싱 동작으로 노면(L) 상의 절삭 이물질(P)들 중에서 파편(P2)들을 쓸어 담는 상태로 수거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거부(2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1 수거부(10) 측에서 분리된 상태로 작업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되면서 파편(P2)들을 브러싱 동작으로 수거 처리할 수도 있다.
제2 수거부(20)는 도 10에서와 같이 분사부(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부(25)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며, 제2 수거부(20)의 앞쪽에서 도로 노면(L) 측을 향하여 물(W)을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분사부(25)는 예를 들어, 브러싱 로울러(22)에 의해 브러싱되기 위한 노면(L) 측이 물기에 젖은 상태가 되도록 스프레이 방식으로 물(W)을 분사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분사부(25)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물탱크에 담겨진 물(W)을 통상의 방법으로 공급받아서 노즐을 통해서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부(25)는 파편(P2)들을 수거하기 위하여 제2 수거부(20)로 노면(L) 측을 브러싱하기 전에 노면(L) 측이 물기에 젖은 상태가 되도록 물(W)을 분사 공급할 수 있으므로, 브러싱 처리시 노면(L) 상의 미세한 이물질들이 작업장 주변에 비산(飛散)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는, 도킹 스테이션부(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부(30)는 제1 수거부(10)와 제2 수거부(20) 측이 도킹 방식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킹 스테이션부(30)는 제1 수거부(10)의 제1 프레임(11)과 제2 수거부(20)의 제2 프레임(21) 측이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도킹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킹 스테이션부(30)는 도 11에서와 같이 제1 수거부(10)의 제1 프레임(11) 측에 형성되는 도킹 공간부(31)와, 이 도킹 공간부(31) 내측에 제2 수거부(20)의 제2 프레임(21) 측을 도킹 연결 상태로 잡아주기 위한 도킹 고정구(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킹 공간부(31)는 제2 프레임(21) 측이 제1 프레임(11)의 둘레부 내측으로 도킹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는 공간 구조를 이루는 상태로 제1 프레임(11) 측에 형성된다.
도킹 공간부(31)는 도 11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11)의 둘레부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부 측을 통해서 제2 프레임(21) 측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도킹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가능한 상태로 제1 프레임(11) 측에 형성된다.
도킹 공간부(31)는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의 제조시 밴딩이나 용접 방식으로 제1 프레임(11)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킹 고정구(32)는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하는 두 개의 자석이 한 조로 이루어지며, 도 11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 측에서 도킹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복수 개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부(30)는 제2 수거부(20) 측의 도킹 안정성 확보를 위한 도킹 가이드부(33)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킹 가이드부(33)는 도킹 방향은 물론이거니와, 안정적인 도킹 연결 및 해제가 가능하게 걸림 접촉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킹 가이드부(33)는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도킹 및 도킹 해제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상태로 제1 프레임(11)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4)과, 이 가이드홈(34)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제2 프레임(21)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5)와, 가이드 홈(34)의 연장 구간 내에 형성되는 걸림구(3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 홈(34)은 도 11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11)의 도킹 공간부(31)의 내측 둘레부 측에 형성되며, 도 12에서와 같이 제2 프레임(21)의 도킹 및 도킹 해제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도킹 유도구간(34a)과, 이 도킹 유도구간(34a) 측과 각을 이루는 상태로 연장되는 해제 유도구간(34b)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킹 유도구간(34a)은 제2 수거부(20) 측이 노면(L) 상에서 진전 이동되면서 제1 수거부(10) 측에 도킹 상태로 연결될 때, 가이드 돌기(35) 측이 홈부 측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 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제1 프레임(11)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해제 유도구간(34b)은 도킹 유도구간(34a)의 끝단 측과 연결된 상태로 위쪽을 향하여 연장된 홈부 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제1 프레임(11) 측에 형성된다.
특히, 해제 유도구간(34b)은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연장될 때 제2 프레임(21)의 후진 방향 측으로 점차 경사진 홈부 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35)는 제1 프레임(11) 측의 가이드 홈(34)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제2 프레임(21)의 둘레부 중에서 폭 방향 측에 배치되며, 핀의 단부 측이 프레임 측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태로 셋팅된다.
가이드 돌기(35)는 돌기 끝단이 가이드 홈(34) 측에 끼워져서 홈부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로 도킹 또는 도킹 해제와 부합하는 방향으로 제2 프레임(21)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걸림구(36)는 제2 프레임(21) 측이 제1 프레임(11) 측에 도킹 연결된 상태에서 비정상적으로 연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걸림구(36)는 도 12에서와 같이 해제면(36a)과 걸림면(36b)을 구비하고 가이드 홈(34)의 연장구간 내에서 도킹 유도구간(34a) 내에 배치되며, 탄성부재(34c)에 의해 위쪽을 향하여 해제면(36a)과 걸림면(36b) 측이 탄력적으로 돌출될 수 있는 상태로 제1 프레임(11) 측에 설치된다.
해제면(36a)은 제2 프레임(21) 측이 전진 이동되는 상태로 제1 프레임(11) 측에 도킹될 때, 가이드 돌기(35)의 접촉에 의해 점차 아래쪽으로 눌려지면서 걸림구(36) 측이 탄력적으로 비돌출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걸림구(36)의 돌출부 측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면(36b)은 걸림구(36)의 돌출부 측에서 해제면(36a) 측과 대향하는 지점에 배치되며, 가이드 홈(34)의 도킹 유도구간(34a) 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표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걸림면(36b)은 제2 프레임(21) 측이 제1 프레임(11) 측에 도킹되어 도킹 고정구(32)에 의해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21) 측의 가이드 돌기(35)가 도킹 유도구간(34a)을 따라 뒤로 이동되는 것을 걸림 접촉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걸림구(36)는 제2 프레임(21) 측이 제1 프레임(11) 측에 도킹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 홈(34)의 해제 유도구간(34b)을 통해서만 도킹이 해제될 수 있는 록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가이드부(33)는 제2 수거부(20) 측이 제1 수거부(10) 측에 도킹되거나, 도킹 해제될 때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제2 수거부(20)의 제2 프레임(21)의 도킹 움직임 및 도킹 연결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로 상에서 차선제거장치(M)를 이용하여 노면(L)의 차선(L1)을 절삭 방식으로 제거할 때, 차선제거장치(M) 측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노면(L) 상의 절삭 이물질(P) 중에서 분진(P1)들은 제1 수거부(10)의 집진 작용에 의해 1차로 수거 처리하고, 파편(P2)들은 제2 수거부(20)의 브러싱 작용에 의해 2차로 수거 처리하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의 차선(L1) 절삭 제거 작업과 연계하여 절삭 이물질(P)들을 1차 및 2차로 나눠서 수거(제거) 처리하는 구조 및 방식은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차선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차선 제거와 이물질 제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구조 및 방식과 비교할 때 한층 향상된 이물질 제거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제1 수거부 20: 제2 수거부 30: 도킹 스테이션부
L: 노면 L1: 차선 M: 차선제거장치

Claims (6)

  1. 차선제거장치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선 제거시 발생되는 절삭 이물질들 중에서 분진을 집진 방식으로 노면 상에서 1차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수거부; 및
    상기 제1 수거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선 제거시 발생되는 절삭 이물질들 중에서 파편을 브러싱 방식으로 노면 상에서 2차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수거부;
    를 포함하는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거부는,
    노면 상에서 이동되기 위한 바퀴를 구비한 제1 프레임과, 이 제1 프레임 측에 배치되며 분진이 담겨지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한 집진기와, 이 집진기와 상기 차선제거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집진관을 포함하고,
    차선 제거시 도로 노면 상에 발생된 분진들을 상기 집진관을 통해서 상기 집진기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거부는,
    상기 집진기의 수납부 측과 대응하는 밀봉포장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포장기는,
    상기 수납부 아래쪽에 배치되며 분진이 담겨지기 위한 포장지를 거치하는 거치대와, 이 거치대 측의 포장지를 열압착 상태로 눌러서 밀봉 처리하기 위한 열압착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수거부는,
    노면 상에서 이동되기 위한 바퀴를 구비한 제2 프레임과, 이 제2 프레임 측에 노면 브러싱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브러싱 로울러와, 이 브러싱 로울러 측을 감싸는 상태로 수거공간을 형성하는 수거통을 포함하고,
    차선 제거시 도로 노면 상에 발생된 파편들을 상기 브러싱 로울러의 브러싱 동작으로 상기 수거통 내측에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수거부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수거부 측에서 도로 노면 측을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는, 상기 제1 수거부 및 제2 수거부와 대응하는 도킹 스테이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부는,
    상기 제2 수거부 측이 상기 제1 수거부 측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 제1 수거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도킹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KR1020190028043A 2019-03-12 2019-03-12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KR10221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043A KR102214342B1 (ko) 2019-03-12 2019-03-12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043A KR102214342B1 (ko) 2019-03-12 2019-03-12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50A true KR20200109050A (ko) 2020-09-22
KR102214342B1 KR102214342B1 (ko) 2021-02-09

Family

ID=7270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043A KR102214342B1 (ko) 2019-03-12 2019-03-12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3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202B1 (ko) * 2004-03-30 2006-04-07 (주)깨끗한도시 차량에 장착된 도로의 페인트 제거장치
KR101052760B1 (ko) * 2009-04-08 2011-08-01 박희라 화물차량을 이용한 도로청소차
KR101080868B1 (ko) * 2011-03-11 2011-11-07 의왕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실링재 제거 장치
JP2012002022A (ja) * 2010-06-18 2012-01-05 Nakayama Tekko Kk 舗装材の切断作業システム、並びにこれに用いる舗装材切断装置
KR101168555B1 (ko) 2011-09-30 2012-07-27 윤선병 포장도로의 차선 제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202B1 (ko) * 2004-03-30 2006-04-07 (주)깨끗한도시 차량에 장착된 도로의 페인트 제거장치
KR101052760B1 (ko) * 2009-04-08 2011-08-01 박희라 화물차량을 이용한 도로청소차
JP2012002022A (ja) * 2010-06-18 2012-01-05 Nakayama Tekko Kk 舗装材の切断作業システム、並びにこれに用いる舗装材切断装置
KR101080868B1 (ko) * 2011-03-11 2011-11-07 의왕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실링재 제거 장치
KR101168555B1 (ko) 2011-09-30 2012-07-27 윤선병 포장도로의 차선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342B1 (ko)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964B2 (en) Milling machine as well as method for working ground surfaces
EP3418450B1 (de) Tunnelreinigungsvorrichtung
KR101811596B1 (ko) 차량에 기반하여 제작된 도로 낙하물 수거장치
KR101547836B1 (ko) 흡입력이 강화된 콘크리트 건식 컷팅기
US4121388A (en) Abrasive surface treating device
KR101975415B1 (ko) 편심캠 회전부재를 이용한 공중분산 및 수거 구조를 가지는 순환골재의 경량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000069553A (ko) 레일그루브 세척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5219B1 (ko)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150112648A (ko) 건식 집진유닛을 구비하는 보도블록 절단장치
KR102214342B1 (ko) 차선 제거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JP6147583B2 (ja) 除染装置
KR102066067B1 (ko) 굴삭기용 폐고무트랙의 심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20130003075U (ko) 낙엽 제거용 청소장치
US6578714B2 (en) Mobile washer with fluid reclamation system
EP0121511A1 (fr) Appareil mobile de nettoyage par aspiration
CN112746550A (zh) 冷铣刨机减尘系统
KR101690762B1 (ko) 줄눈보수용 살수흡입차량 및 이를 이용한 줄눈보수방법
KR20140124290A (ko)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37218B1 (ko) 도로 절단장치
JP6499994B2 (ja) 自走式切削機
KR101263044B1 (ko) 차체 도장부스의 수류판 청소장치
JP2005036475A (ja) 路面清掃車の塵埃回収装置
JP6054691B2 (ja) 除染装置
CN220944842U (zh) 一种螺母扳手打磨装置
CN217343830U (zh) 一种母线槽加工用等长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500003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20331

Effective date: 20220523